맨위로가기

악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침은 위나라의 장수로, 아버지 악진의 뒤를 이어 양주 자사에 이르렀다. 255년 문흠 등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으나, 257년 제갈탄의 모반에 연루되어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 사후 위위로 추증되고 민후의 시호가 내려졌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제갈량의 북벌에 참전하여 촉한과의 전투에서 패배하는 역할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57년 사망 - 교황 스테파노 1세
    교황 스테파노 1세는 254년부터 257년까지 재임한 제23대 교황으로, 데키우스 황제의 박해 이후 배교자 재세례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가톨릭교회는 그의 축일을 8월 2일에 기념하고 흐바르와 모딜리아나 대성당의 수호성인으로 공경한다.
  • 257년 사망 - 장창포
    장창포는 삼국 시대 위나라의 인물로, 첩의 신분임에도 아들 종회를 훌륭하게 교육하고 손씨의 음모에 지혜롭게 대처했으며, 고평릉 사변 당시 침착함을 유지하다가 257년에 사망했다.
  • 조위의 장군 - 하후돈
    하후돈은 후한 말기부터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조조의 사촌이자 그의 거병 때부터 종군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며, 연주 전투에서 왼쪽 눈을 잃어 "애꾸눈 하후"라는 별명을 얻었고, 군사적 능력과 청렴한 성품으로 조조의 신임을 받아 사후 조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조위의 장군 - 두예
    두예는 서진 시대의 장군이자 학자로, 촉한 정벌에 참여하고 오나라 정벌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춘추좌씨전》 연구에 깊이 있는 학자였다.
  • 참수된 사람 - 악비
    남송 시대 장군 악비는 금나라에 맞선 애국 영웅으로, 진회의 모함으로 처형되었으나 사후 충절을 인정받아 무목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만강홍이라는 시와 함께 현대 중국에서도 존경받는 인물이지만, 최근 그의 군사 행위에 대한 재평가 논의가 있다.
  • 참수된 사람 - 주문모
    청나라 출신 가톨릭 신부 주문모는 1794년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초기 조선 천주교회 성장에 기여하여 2014년 시복되었다.
악침
인물 정보
이름악침
한자 표기樂綝
로마자 표기Yue Chen
출생생년 미상
사망감로 2년 5월 5일 (257년 6월 4일)
사망 장소양주 구강군 수춘
출신지연주 양평군 위국
시호위후
작위광창정후
관직양주자사
소속
주군조조조비조예조방 → 조모

2. 생애

악진의 아들로, 아버지가 죽은 후 그 뒤를 이었다. 관직은 양주자사에 이르렀다. 과단성이 있고 강직하여 부친의 풍모가 있었다고 평가받는다. 악진이 살아있을 때 영토의 일부를 분할받아 열후(列侯)가 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것이 악침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255년, 문흠 등의 반란 추토에 공을 세워 양주 자사까지 승진했다.

감로 2년(257년), 제갈탄이 모반을 일으켰을 때, 먼저 양주로 나아가 악침을 습격하여 죽였다. 《위진세어》에서는 제갈탄이 사공이 되었을 때 제갈탄의 병사가 악침에게 붙게 되었으므로, 제갈탄은 악침이 꾀한 일이라고 여기고 수백 명을 이끌고 양주로 갔다고 한다. 양주 사람들은 문을 걸어잠갔으나 옛 제갈탄의 관리였으므로 제갈탄이 꾸짖자 바로 문을 열어주었다. 악침은 누대 위로 도망했으나 사로잡혀 참수당했다.

조서를 내려 이를 애도하고 애석히 여겼으며, 위위에 추증하고, 시호를 내려 민후(愍侯)라 하였다. 아들 악조가 뒤를 이었다. 무용(武勇)이 뛰어난 강개(剛毅)하고 과단한 인물로, 아버지에 못지않은 인물로 높이 평가받았다. 257년 6월 4일, 의심에 사로잡힌 제갈탄에게 사마씨의 여당으로 여겨져 그 군세에 공격받아 전사했다(제갈탄의 난). 제갈탄은 악침의 잘못을 상주했지만, 그 행위는 반역으로 간주되어 토벌당하게 되었다. 악침에게는 위후(慰侯)가 추증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생활

악진의 아들로, 아버지가 죽은 후 그 뒤를 이었다. 관직은 양주자사에 이르렀다. 과단성이 있고 강직하여 부친의 풍모가 있었다고 평가받는다. 악진(樂進)이 살아있을 때 영토의 일부를 분할받아 열후(列侯)가 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것이 악침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255년, 문흠 등의 반란 추토에 공을 세워 양주 자사까지 승진했다.

감로 2년 (257년) 제갈탄이 모반을 일으켰을 때, 제갈탄은 악침을 사마씨의 여당으로 의심하여 공격했고, 악침은 결국 전사했다. 제갈탄의 난이후, 조서를 내려 악침의 죽음을 애도하고 애석하게 여겨 위위에 추증하고, 시호를 내려 민후(愍侯)라 하였다. 아들 악조가 뒤를 이었다.

2. 2. 제갈탄의 난과 죽음

악진이 죽은 후 그 뒤를 이었다. 관직은 양주자사에 이르렀다. 과단성이 있고 강직하여 부친의 풍모가 있었다.

감로 2년(257년), 제갈탄이 모반을 일으켰을 때, 먼저 양주로 나아가 악침을 습격하여 죽였다. 《위진세어》에서는 제갈탄이 사공이 되었을 때 제갈탄의 병사가 악침에게 붙게 되었으므로, 제갈탄은 악침이 꾀한 일이라고 여기고 수백 명을 이끌고 양주로 갔다고 한다. 양주 사람들은 문을 걸어잠갔으나 옛 제갈탄의 관리였으므로 제갈탄이 꾸짖자 바로 문을 열어주었다. 악침은 누대 위로 도망했으나 사로잡혀 참수당했다.

조서를 내려 이를 애도하고 애석히 여겼으며, 위위에 추증하고, 시호를 내려 민후(愍侯)라 하였다. 아들 악조가 뒤를 이었다. 255년, 문흠 등의 반란 추토(관구검·문흠의 난)에 공적이 있어 양주 자사까지 승진했지만, 257년 6월 4일, 의심에 사로잡힌 제갈탄에게 사마씨의 여당으로 여겨져 그 군세에 공격받아 전사했다(제갈탄의 난). 제갈탄은 악침의 잘못을 상주했지만, 그 행위는 반역으로 간주되어 토벌당하게 되었다. 악침에게는 위위와 위후(慰侯)가 추증되었다.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사마의의 막하에서 2차 북벌 당시 장료의 아들 장호와 함께 각각 선봉과 부선봉이 되어 전선을 지켰다.

230년, 조진이 울화병으로 죽자 조진의 복수전을 위해 사마의의 부장으로 참전하여 제갈량과 진법으로 승부하였으나 장호, 대릉과 함께 제갈량의 포로가 되었고 무기와 갑옷을 모조리 빼앗겨 풀려났다.

234년, 장호와 함께 위수(渭水)를 지키며, 촉한의 장수 오의오반을 격파하여 오반을 죽였다.

제110회에도 등장하여 257년에 사서에서와 유사하게 제갈탄에게 죽임을 당한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명장의 아들이라는 설정 때문에 장료의 아들인 장호와 함께 묶여서 촉한과의 싸움에서 패배를 거듭하는, 전형적인 패배자 역할로 묘사된다. 최후에 관해서는 사서의 기록과 거의 동일한 결말을 맞이한다.

3. 1. 제갈량의 북벌 참전

사마의의 막하에서 2차 북벌 당시 장료의 아들 장호와 함께 각각 선봉과 부선봉이 되어 전선을 지켰다.

230년, 조진이 울화병으로 죽자 조진의 복수전을 위해 사마의의 부장으로 참전하여 제갈량과 진법으로 승부하였으나 장호, 대릉과 함께 제갈량의 포로가 되었고 무기와 갑옷을 모조리 빼앗겨 풀려났다.

234년, 장호와 함께 위수(渭水)를 지키며, 촉한의 장수 오의오반을 격파하여 오반을 죽였다.

제110회에도 등장하여 257년에 사서에서와 유사하게 제갈탄에게 죽임을 당한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명장의 아들이라는 설정 때문에 장료의 아들인 장호와 함께 묶여서 촉한과의 싸움에서 패배를 거듭하는, 전형적인 패배자 역할로 묘사된다. 최후에 관해서는 사서의 기록과 거의 동일한 결말을 맞이한다.

3. 2. 위수 전투

사마의(司馬懿)의 막하에서 2차 북벌 당시 장료(張遼)의 아들 장호(張虎)와 함께 각각 선봉과 부선봉이 되어 전선을 지켰다.

230년, 조진(曹眞)이 울화병으로 죽자 조진의 복수전을 위해 사마의의 부장으로 참전하여 제갈량(諸葛亮)과 진법으로 승부하였으나 장호, 대릉(戴陵)과 함께 제갈량의 포로가 되었고 무기와 갑옷을 모조리 빼앗겨 풀려났다.

234년, 장호와 함께 위수(渭水)를 지키며, 촉한(蜀漢)의 장수 오의(吳懿)와 오반(吳班)을 격파하여 오반을 죽였다.

제110회에도 등장하여 257년에 사서에서와 유사하게 제갈탄에게 죽임을 당한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명장의 아들이라는 설정 때문에 장료의 아들인 장호와 함께 묶여서 촉한과의 싸움에서 패배를 거듭하는, 전형적인 패배자 역할로 묘사된다. 최후에 관해서는 사서의 기록과 거의 동일한 결말을 맞이한다.

3. 3. 제갈탄의 난

사마의(司馬懿)의 막하에서 2차 북벌 당시 장료(張遼)의 아들 장호(張虎)와 함께 각각 선봉과 부선봉이 되어 전선을 지켰다.

230년, 조진(曹眞)이 울화병으로 죽자 조진의 복수전을 위해 사마의의 부장으로 참전하여 제갈량(諸葛亮)과 진법으로 승부하였으나 장호, 대릉(戴陵)과 함께 제갈량의 포로가 되었고 무기와 갑옷을 모조리 빼앗겨 풀려났다.

234년, 장호와 함께 위수(渭水)를 지키며, 촉한(蜀漢)의 장수 오의(吳懿)와 오반(吳班)을 격파하여 오반을 죽였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제110회에 등장하여 257년제갈탄에게 죽임을 당한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명장의 아들이라는 설정 때문에 장료의 아들인 장호와 함께 묶여서 촉한과의 싸움에서 패배를 거듭하는, 전형적인 패배자 역할로 묘사된다. 최후에 관해서는 사서의 기록과 거의 동일한 결말을 맞이한다.

4. 친족 관계

악침은 악진의 아들이다. 아들로는 악조(樂肇)가 있다.

참조

[1] 서적 正史 삼국지 지쿠마학예문고
[1] 서적 삼국지연의 지쿠마문고
[1] 서적 삼국지인물사전 상 고단샤문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