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더 대왕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더 대왕은 1956년에 개봉한 영화로, 알렉산드로스 3세의 생애를 다루고 있다. 리처드 버튼이 알렉산더 대왕 역을 맡았으며, 프레드릭 마치, 클레어 블룸 등 여러 배우가 출연했다. 로버트 로센이 감독했으며, 스페인에서 촬영되었다. 영화는 헬레니즘 문화, 군사적 업적, 정치적 유산을 묘사하며, 1956년 개봉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트로이 (영화)
《트로이》는 볼프강 페터젠 감독이 호메로스의 《일리아드》를 바탕으로 트로이 전쟁을 묘사한 2004년 역사 서사 영화로, 브래드 피트, 에릭 바나, 올랜도 블룸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며 그리스와 트로이의 충돌, 주요 인물들의 갈등과 운명, 트로이 목마 작전과 함락 등을 웅장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타이탄의 분노
타이탄의 분노는 2012년에 개봉한 영화로, 페르세우스가 크로노스의 부활에 맞서 제우스를 구출하고 트라이엄프의 창을 찾아 모험을 떠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흥행했으나 비평가들에게는 혹평을 받았다. - 그리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헤라클레스 (1983년 영화)
루이지 코치가 감독하고 루 페리뇨가 주연을 맡은 1983년 이탈리아 영화 《헤라클레스》는 그리스 신화 속 헤라클레스를 주인공으로, 과학을 이용해 세계를 정복하려는 마법사 미노스에 맞서는 그의 모험을 그린 검과 샌들 및 SF 영화이며, 골든 라즈베리상 2개 부문 수상 후 1985년 속편이 제작되었다. - 그리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뮌헨 (영화)
영화 《뮌헨》은 1972년 뮌헨 올림픽 참사 이후 이스라엘 모사드가 테러 배후 인물들을 암살하는 비밀 작전을 다룬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작품이다. - 마드리드에서 촬영한 영화 -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은 솔로몬 왕과 시바의 여왕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로, 1959년 율 브리너와 지나 롤로브리지다 주연의 영화와 2019년 짐 캐비젤 주연의 영화가 있으며, 1959년 영화는 제작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 마드리드에서 촬영한 영화 - 퍼펙트 크라임 (2004년 영화)
퍼펙트 크라임은 2004년에 개봉한 스페인 영화로, 백화점 살인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의 갈등과 비극적인 결말을 다루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고야상 후보로도 올랐다.
알렉산더 대왕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로버트 로센 |
각본 | 로버트 로센 |
제작 | 로버트 로센 |
주연 | 리처드 버튼 프레더릭 마치 클레어 블룸 다니엘 다류 |
음악 | 마리오 나심베네 |
제작사 | 로센 필름즈 C.B. 필름즈 S.A. |
배급사 |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쇼치쿠 외화부 |
개봉일 | (런던 로열 월드 프리미어) |
상영 시간 | 147분 (개봉 전 버전) 136분 (일반 개봉 버전) |
제작 국가 | |
언어 | 영어 |
제작비 | 4백만 달러 |
흥행 수익 | 250만 달러 |
2. 생애
그리스의 웅변가 데모스테네스는 아테네에서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와 그의 침략 계획, 그리고 모든 그리스 도시 국가 점령에 저항하기 위한 전쟁을 옹호했다.[1]
필리포스 2세가 올린토스 점령 작전을 이끌던 중, 아내 올림피아스가 "신이 낳은 신"이라고 주장하는 아들을 낳았다는 소식을 듣는다. 필리포스는 올림피아스가 간통을 저질렀고, 그녀가 신에 의해 임신된 것이 아닐 것이라고 의심하여 분노한다. 하지만 장군 파르메니온은 왕에게 알렉산드로스가 자라서 그를 계승하도록 내버려두라고 조언한다.[1]
필리포스는 알렉산드로스를 펠라로 보내 섭정으로 삼아, 올림피아스가 남편의 죽음에 대한 소문을 퍼뜨리는 것을 막으려 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스스로 통치하며, 어머니와 아버지의 꼭두각시가 되지 않았다.[1]
이후 알렉산드로스는 아버지와 합류하여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아테네 등 도시 국가들을 상대로 정복 전쟁을 벌였다. 전투에서 승리한 후, 그리스 도시 국가들에게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위해 군인, 무기, 배를 제공할 것을 요구한다.[1]
필리포스가 클레오파트라 에우리디케와 결혼하고 그녀를 새 여왕으로 삼자, 알렉산드로스와 아버지 사이에 큰 틈이 생겼다. 알렉산드로스의 어머니가 버려졌을 뿐만 아니라, 일부 궁정 사람들이 그를 사생아로 여겨 그의 계승이 위태로워졌기 때문이다.[1]
필리포스와 그의 궁정이 알렉산드로스에게 충성스러운 친구인 오레스티스의 파우사니아스를 조롱하자, 올림피아스의 암묵적인 격려로 파우사니아스는 필리포스를 암살한다. 알렉산드로스는 그 자리에서 파우사니아스를 죽인다. 에우리디케는 자살하거나, 올림피아스에 의해 살해가 조작되고, 올림피아스는 필리포스와 에우리디케의 아들인 카라누스를 불 속에 던져 넣는다. 알렉산드로스는 모든 마케도니아인의 충성을 주장하고 아버지의 칭호를 승계하며, 코린토스 동맹 조약이 유효하다고 선언한다. 로도스의 멤논은 알렉산드로스에게 충성을 맹세하지 않아 추방된다.[1]
알렉산드로스는 아시아 전체를 정복하기 위한 임무를 시작했다. 바빌론에서의 술자리에서 "나는 신의 아들"(제우스)이며 "세상은 나의 영역이다... 우리는 세상의 끝까지 행진할 것이다"라고 선언한다. 아테네에서는 알렉산드로스가 인도를 정복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아에스키네스는 "그는 신들을 능가했다"고 외친다.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의 지위에 도취되어 오만함과 편집증이 커졌지만, 술에 취한 언쟁 후 절친한 친구 클리투스 흑제를 창으로 죽인 후 슬픔에 잠긴다. 인도에서 바빌론으로 돌아오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잃는다. 수사에서 록사네와 결혼하지만, 곧 병이 들어 죽음을 앞두고 시신을 유프라테스 강에 던져 사람들이 그의 시신이 신들에게 돌아갔다고 생각하게 해 달라고 부탁한다. 임종을 앞두고 누구에게 제국을 남길 것이냐는 질문에, "가장 강한 자에게"라고 속삭인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알렉산드로스는 기원전 356년 마케도니아의 수도 펠라에서 필리포스 2세와 올림피아스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는 어린 시절부터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미에자에서 역사, 수학, 논리 등 여러 과목을 배웠다.[1] 알렉산드로스는 통치하기를 열망하며, 스승에게 아킬레우스처럼 "영광스러운 짧은 삶"을 "무명의 긴 삶"보다 더 원한다고 말했다.[1]2. 2. 마케도니아 왕 즉위
Ἀλέξανδρος|알렉산드로스grc는 기원전 336년, 아버지 필리포스 2세가 파우사니아스에게 암살당하자 20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10] 알렉산드로스는 즉시 파우사니아스를 처형하고, 마케도니아인들의 충성을 얻어 아버지의 칭호를 이어받았다. 그는 코린토스 동맹 조약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선언하며 자신의 지배력을 확고히 했다.[10]2. 3. 그리스 통일
기원전 338년, 알렉산드로스는 아버지 필리포스 2세와 함께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아테네 등의 도시 국가들을 상대로 승리한다. 이후 알렉산드로스는 그리스 도시 국가들에게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위해 군사적 지원을 요구하며, 어떤 도시 국가도 펠라에 무기를 들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11]필리포스 2세가 클레오파트라 에우리디케와 결혼하면서 알렉산드로스와 아버지 사이에 갈등이 생긴다. 올림피아스가 버려지고, 알렉산드로스의 왕위 계승마저 위태로워졌기 때문이다. 결국 필리포스 2세는 암살당하고, 알렉산드로스는 즉위하여 마케도니아인들에게 코린토스 동맹 조약이 유효함을 선언한다. 이로써 알렉산드로스는 그리스 세계를 통일하고 페르시아 정복의 기반을 다지게 된다.[11]
2. 4. 페르시아 원정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 제국 원정을 시작했다. 그라니쿠스 강 전투, 이수스 전투,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승리하며 페르시아 제국을 멸망시켰다. 또한 프리지아에서는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칼로 잘라 고르디우스 왕의 수수께끼를 풀었다.2. 4. 1. 그라니쿠스 강 전투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는 아시아 전체를 정복하기 위한 임무를 시작한다. 다리우스 3세의 궁정에 있는 로도스의 멤논은 전략적으로 후퇴하여 알렉산드로스의 보급품이 떨어졌을 때 공격하라고 조언한다. 하지만 페르시아의 영주들은 "소년" 알렉산드로스를 과소평가하고 그라니쿠스 강 전투에서 그와 싸우기로 결정한다.2. 4. 2. 이수스 전투 (기원전 333년)
Μάχη της Ισσού|마케도니아 왕국grc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3세를 상대로 대승을 거둔 전투이다.2. 4. 3. 가우가멜라 전투 (기원전 331년)
바빌론 전투에 앞서, 알렉산드로스는 부하들이 불길한 징조로 여긴 월식에 대해 "페르시아의 달이 마케도니아의 태양에 가려질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고, 예언자 아리스타데르도 이에 동의했다. 이 전투에서 패배한 다리우스 3세는 새로운 군대를 만들기 위해 카스피 해로 도망갔으나, 사기가 꺾인 지휘관들에게 살해당한다. 다리우스 3세는 유언으로 알렉산드로스에게 "내 딸 록사네를 아내로 삼아... 우리 세상을 하나로 만들라"고 말했다. 알렉산드로스는 국왕시해를 저지른 페르시아 영주들을 왕을 배신한 죄로 말뚝에 꿰어 처형하라고 명령했다.2. 5. 인도 원정과 죽음
알렉산드로스는 아시아 전체를 정복하기 위한 임무를 시작했다. 인도까지 진출하여 그곳을 정복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아에스키네스는 "그는 신들을 능가했다"고 외칠 정도였다. 그러나 알렉산드로스는 술에 취한 언쟁 후에 그의 절친한 친구 클리투스를 창으로 죽이는 사건을 일으킨다. 슬픔에 잠기고 겸손해진 알렉산드로스는 인도에서 바빌론으로 돌아왔으나, 그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잃었다. 그는 수사에서 록사네와 결혼했지만, 곧 병에 걸려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알렉산드로스는 죽기 직전, 자신의 시신을 유프라테스 강에 던져 사람들이 그의 시신이 신들에게 돌아갔다고 믿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임종을 앞두고 제국을 누구에게 남길 것이냐는 질문에, 알렉산드로스는 "가장 강한 자에게"라고 답했다.3. 유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은 단순한 군사적 성공을 넘어 문화, 정치,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정복 활동은 헬레니즘 문화를 전파했으며, 이는 헬레니즘 국가들의 성립에 영향을 주었다.
알렉산드로스는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역사, 수학, 논리 등을 배우며, 아킬레우스와 같은 영웅을 동경했다. 그는 카이로네이아 전투, 그라니쿠스 강 전투 등에서 승리하며 군사적 역량을 과시했다. 또한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풀어내고, 월식을 상서롭게 해석하는 등 뛰어난 지략을 보여주었다.
바빌론에서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을 신의 아들로 칭하며, "세상은 나의 영역이다...우리는 세상의 끝까지 행진할 것이다"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그의 오만함은 클레이토스를 죽이는 비극으로 이어졌고, 인도에서 바빌론으로 돌아오는 길에 병을 얻어 사망한다.
3. 1. 헬레니즘 문화
알렉산드로스의 정복 활동은 그리스 문화와 동방 문화가 융합된 헬레니즘 문화의 확산을 가져왔다.[1]3. 2. 군사적 업적
알렉산드로스는 뛰어난 군사 전략과 전술을 구사하여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아버지 필리포스 2세와 함께 아테네 등의 도시 국가들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이후 그라니쿠스 강 전투에서 페르시아 군대를 격파하고, 프리지아에서는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풀어내는 등 연이은 승리를 거두었다. 바빌론 전투 전에는 월식을 "페르시아 달이 마케도니아 태양에 의해 가려질 것"이라고 해석하여 병사들의 사기를 높였다. 전투에서 패배한 다리우스 3세는 도망가던 중 부하들에게 살해당했고, 알렉산드로스는 국왕시해를 저지른 페르시아 영주들을 처형하였다.3. 3. 정치적 유산
알렉산드로스는 임종을 앞두고 자신의 제국을 "가장 강한 자에게" 남긴다고 말했고, 이로 인해 그의 사후 제국은 분열되었다. 하지만, 그의 정복 활동은 헬레니즘 국가들의 성립에 영향을 미쳤다.4. 영화에서의 묘사
1956년 영화 "알렉산더 대왕"에서 리처드 버튼이 알렉산더 대왕 역을 맡았다.[3] 이 영화는 알렉산드로스의 생애와 정복 과정을 다룬다. 영화에서는 알렉산드로스가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교육받는 장면, 필리포스 2세의 암살과 알렉산드로스의 왕위 계승, 그라니쿠스 강 전투, 고르디우스의 매듭 이야기, 다리우스 3세와의 전투 및 그의 죽음, 록사네와의 결혼 등 주요 사건들을 묘사한다. 또한 알렉산드로스가 자신의 신격화를 주장하고, 친구 클리투스 흑제를 죽이는 비극적인 사건도 다루고 있다.
4. 1. 출연진
배역 | 배우 |
---|---|
알렉산더 대왕 | 리처드 버튼 |
필리포스 2세 | 프레드릭 마치 |
바르시네 | 클레어 블룸 |
올림피아스 | 다니엘 다리외 |
아리스토텔레스 | 배리 존스 |
다리우스 3세 | 해리 앤드류스 |
아탈로스 | 스탠리 베이커 |
파르메니온 | 나일 맥기니스 |
멤논 | 피터 쿠싱 |
데모스테네스 | 마이클 호더른 |
에우리디케 | 마리사 데 레자 |
클레이토스 | 구스타보 로호 |
필로타스 | 루벤 로호 |
파우사니아스 | 피터 윈가드 |
넥타네부스 | 헬무트 단틴 |
아이스키네스 | 윌리엄 스쿼이어 |
안티파트로스 | 프리드리히 폰 레데부르 |
프톨레마이오스 1세 | 버지리오 텍세이라 |
록사네 | 테레사 델 리오 |
아르시테스 | 훌리오 페냐 |
스피트리다테스 | 호세 니에토 |
네아르코스 | 카를로스 바에나 |
페르디카스 | 래리 테일러 |
하르팔로스 | 호세 마르코 |
헤파이스티온 | 리카르도 바예 |
스타테이라 | 카르멘 카룰라 |
아리스탄데르 | 헤수스 루케 |
술 취한 여자 | 램지 에임스 |
아미티스 | 엘렌 로센 |
오쿠스 | 카를로스 아세베도 |
4. 1. 1. 주연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NET판) | 일본어 더빙 (TBS판) |
---|---|---|---|
알렉산더 대왕 | 리처드 버튼 | 이가와 히사시 | 사카와 테츠로 |
필리포스 2세 | 프레드릭 마치 | 카나이 오사무 | 모리야마 슈이치로 |
바르시네 | 클레어 블룸 | 히라이 미치코 | 타니 이쿠코 |
올림피아스 | 다니엘 다리외 | 키타자토 미유키 | 모토야마 카쿠코 |
다리우스 3세 | 해리 앤드류스 | 코바야시 키요시 | |
멤논 | 피터 쿠싱 | 오오키 타미오 | |
아탈로스 | Stanley Baker|스탠리 베이커영어 | ||
안티파트로스 | Friedrich von Ledebur|프리드리히 폰 레데부르de | ||
파르메니온 | Niall MacGinnis|나이얼 맥기니스영어 | 오오미야 테이지 | |
데모스테네스 | 마이클 호더른 | ||
에우리디케 | 마리사 데 레자 | ||
아리스토텔레스 | Barry Jones (actor)|배리 존스영어 | ||
클레이토스 | Gustavo Rojo|구스타보 로호영어 | ||
아이스키네스 | William Squire|윌리엄 스콰이어영어 | ||
파우사니아스 | Peter Wyngarde|피터 윙가드영어 | ||
넥타네보 | Helmut Dantine|헬무트 단틴영어 | ||
프톨레마이오스 1세 | 버지리오 텍세이라 | ||
록사네 | 테레사 델 리오 | ||
아르시테스 | 훌리오 페냐 | ||
스피트리다테스 | 호세 니에토 | ||
네아르코스 | 카를로스 바에나 | ||
페르디카스 | 래리 테일러 | ||
하르팔로스 | 호세 마르코 | ||
헤파이스티온 | 리카르도 바예 | ||
스타테이라 | 카르멘 카룰라 | ||
아리스탄데르 | 헤수스 루케 | ||
술 취한 여자 | 램지 에임스 | ||
아미티스 | 엘렌 로센 | ||
오쿠스 | 카를로스 아세베도 |
4. 1. 2. 조연
- 프레드릭 마치 - 필리포스 2세 역
- 클레어 블룸 - 바르시네 역
- 다니엘 다리외 - 올림피아스 역
- 배리 존스 - 아리스토텔레스 역
- 해리 앤드류스 - 다리우스 3세 역
- 스탠리 베이커 - 아탈로스 역
- 나일 맥기니스 - 파르메니온 역
- 피터 쿠싱 - 멤논 역
- 마이클 호더른 - 데모스테네스 역
- 마리사 데 레자 - 에우리디케 역
- 구스타보 로호 - 클레이토스 역
- 루벤 로호 - 필로타스 역
- 피터 윈가드 - 파우사니아스 역
- 헬무트 단틴 - 넥타네부스 역
- 윌리엄 스쿼이어 - 아이스키네스 역
- 프리드리히 폰 레데부르 - 안티파트로스 역
- 버지리오 텍세이라 - 프톨레마이오스 1세 역
- 테레사 델 리오 - 록사네 역
- 훌리오 페냐 - 아르시테스 역
- 호세 니에토 - 스피트리다테스 역
- 카를로스 바에나 - 네아르코스 역
- 래리 테일러 - 페르디카스 역
- 호세 마르코 - 하르팔로스 역
- 리카르도 바예 - 헤파이스티온 역
- 카르멘 카룰라 - 스타테이라 역
- 헤수스 루케 - 아리스탄데르 역
- 램지 에임스 - 술 취한 여자 역
- 엘렌 로센 - 아미티스 역
- 카를로스 아세베도 - 오쿠스 역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
NET판 | TBS판 | |||
알렉산더 대왕 | 리처드 버튼 | 이가와 히사시 | 사카와 테츠로 | |
필리포스 2세 | 프레드릭 마치 | 카나이 오사무 | 모리야마 슈이치로 | |
바르시네 | 클레어 블룸 | 히라이 미치코 | 타니 이쿠코 | |
올림피아스 | 다니엘 다리외 | 키타자토 미유키 | 모토야마 카쿠코 | |
다리우스 3세 | 해리 앤드류스 | 코바야시 키요시 | ||
멤논 | 피터 쿠싱 | 오오키 타미오 | ||
아탈로스 | 스탠리 베이커 | |||
안티파트로스 | 프리드리히 폰 레데부르 | |||
파르메니온 | 나일 맥기니스 | 오오미야 테이지 | ||
데모스테네스 | 마이클 호더른 | |||
에우리디케 | 마리사 데 레사 | |||
아리스토텔레스 | 배리 존스 | |||
클레이토스 | 구스타보 로호 | |||
아이스키네스 | 윌리엄 스쿼이어 | |||
파우사니아스 | 피터 윈가드 | |||
넥타네보 | 헬무트 단틴 |
4. 2. 제작진
David Folks|데이비드 폴크스영어가 의상을 디자인했다.[3]5. 평가
참조
[1]
뉴스
Gibson eyes Alexander
https://www.theage.c[...]
2002-06-05
[2]
뉴스
Aristotle at Any Price
https://www.newspape[...]
1956-04-03
[3]
뉴스
"'Alexander the Great' Director Says His Epic Has Spectacle Plus History"
https://www.newspape[...]
1955-01-26
[4]
뉴스
Spaniards Make Like Greeks In 'Alexander the Great' Epic
https://www.newspape[...]
1955-07-07
[5]
뉴스
Colossal! Stupendous! and Big, Too
https://www.newspape[...]
1956-01-27
[6]
뉴스
"'Alexander' Fights Last Battle"
https://www.newspape[...]
1955-08-26
[7]
뉴스
Rossen Found Spain Ideal Film Location
https://www.newspape[...]
1956-02-26
[8]
뉴스
Prince Peter
https://www.newspape[...]
1955-02-18
[9]
뉴스
Alexander restores historian's faith in filmmaking
https://www.newspape[...]
2004-11-26
[10]
뉴스
Colossal! Stupendous! and Big, Too
https://www.newspape[...]
1956-01-11
[11]
웹사이트
Alexander the Great (1956)
http://www.rottentom[...]
2021-07-29
[12]
뉴스
Screen: A Saga of Ancient Titans
https://www.nytimes.[...]
1956-03-29
[13]
뉴스
Film Reviews: Alexander the Great
https://archive.org/[...]
1956-04-04
[14]
뉴스
Premiere of 'Alexander' Assumes Festive Character
Los Angeles Times
1956-03-29
[15]
뉴스
Real History in 'Alexander
1956-03-31
[16]
뉴스
"'Alexander the Great' with Richard Burton, Fredric March and Claire Bloom"
https://archive.org/[...]
1956-03-31
[17]
간행물
The Current Cinema
1956-04-07
[18]
논문
Alexander the Great
1956-05
[19]
뉴스
"Alexander the Great" Is Too Big
https://www.newspape[...]
1956-03-24
[20]
뉴스
Alexander Is Delayed By A Marriage Tangle
https://www.newspape[...]
1956-03-24
[21]
뉴스
Movie Version of Alexander's Life Is Meaty and Massive
https://www.newspape[...]
1956-04-06
[22]
뉴스
Alexander - The Greatest
https://www.newspape[...]
1956-04-02
[23]
뉴스
Alexander Is Great As a Screen Figure
https://www.newspape[...]
1956-03-31
[24]
뉴스
A Great Alexander
https://www.newspape[...]
1956-03-30
[25]
comic
Dell Four Color #688
[26]
comic
Dell Four Color #688
[27]
영화
Alexander the Great
[28]
간행물
The Top Box-Office Hits of 1956
1957-01-02
[29]
웹사이트
Alexander the Great
2022-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