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로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로타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의 아버지인 파르메니온의 아들로, 알렉산드로스 즉위 후 요직에 임명되어 헤타이로이의 총사령관을 지냈다. 그는 그라니쿠스 강 전투, 밀레투스 포위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유능한 장교로 활약했으나, 오만하고 왕의 불신을 사기도 했다. 기원전 330년, 알렉산드로스 암살 음모를 알고도 알리지 않았다는 혐의로 군법회의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되었으며, 이후 그의 아버지 파르메니온도 암살당했다. 필로타스는 문학, 연극, 영화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30년 사망 - 다리우스 3세
다리우스 3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베소스에게 살해당하여 아케메네스 왕조를 멸망시킨 인물이다. - 기원전 330년 사망 - 파르메니온
파르메니온은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3세 시대 마케도니아의 장군으로, 군 육성에 기여하고 페르시아 원정에서 활약했으나 아들의 암살 음모 연루 의혹으로 알렉산드로스의 명령에 의해 암살당하며 비극적인 삶을 마감했다. - 헤타이로이 - 네아르코스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탐험가이자 장군으로, 인더스 강을 따라 항해하여 페르시아만까지 도달했으며, 그의 항해 기록은 아리아노스의 저서 《인디카》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 헤타이로이 - 클레이토스
마케도니아 귀족 출신 장군 클레이토스는 알렉산더 대왕을 구하고 기병대장으로 활약했으나, 페르시아 문화 융화 정책에 반대하다 알렉산더와의 논쟁 중 살해당해 알렉산더에게 깊은 후회를 남겼다. - 알렉산드로스 대왕 휘하의 장군 - 네아르코스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탐험가이자 장군으로, 인더스 강을 따라 항해하여 페르시아만까지 도달했으며, 그의 항해 기록은 아리아노스의 저서 《인디카》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 알렉산드로스 대왕 휘하의 장군 - 스타산드로스
스타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 사후 제국 분열기에 아레이아와 도란기아나 태수를 지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페르시아 원정 친위대 출신으로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에우메네스를 지지하여 안티고노스에 맞섰으나, 가비에네 전투 패배 후 행적이 묘연해졌다.
| 필로타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필로타스 |
| 원어 이름 | Φιλώτας |
| 원어 표기 언어 | el |
| 직위 | 장군 |
| 소속 | 마케도니아 |
| 지휘 | 동료 기병대 |
| 참여 전투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쟁 |
| 출생 | 기원전 365년경 |
| 사망 | 기원전 330년 (34-35세) |
| 가족 관계 | 아버지: 파르메니온 형제: 니카노르, 헥토르 삼촌: 아산데르, 아가톤 |
![]() | |
2. 생애
Φιλώτας|필로타스grc는 마케도니아의 귀족이자 알렉산드로스 3세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 때부터 활약한 장군 파르메니온의 아들이다.[3] 그는 알렉산드로스 3세를 가장 오랫동안 보좌한 장군 중 한 명으로, 마케도니아군 최정예 부대인 동료 기병대의 총사령관을 역임했다.[3][5] 알렉산드로스 3세의 동방 원정에 참여하여 초기 여러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5]
그러나 기원전 330년, 원정 중 딤누스가 꾸민 알렉산드로스 3세 암살 음모를 알고도 제때 보고하지 않았다는 혐의로 고발되어 군사 재판에 회부되었다.[3][6] 결국 유죄 판결을 받고 고문 끝에 처형되었으며,[5] 이 사건은 그의 아버지 파르메니온마저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해 제거되는 비극적인 결과로 이어졌다.[2][7][8]
2. 1. 초기 생애와 군 경력
알렉산드로스 3세가 마케도니아의 왕위에 오른 기원전 336년, 필로타스는 아버지 파르메니온의 지지를 받아[3] 다른 측근들과 함께 주요 관직과 임무를 맡게 되었다.[4] 그는 기병대 지휘관에서 헤타이로이(동료 기병대)의 총사령관으로 승진했는데,[3][5] 이 부대는 왕의 경호원 역할을 수행하고 전투 시 왕과 함께 싸우는 마케도니아의 정예 기병대였다.[3][5] 필로타스가 지휘한 헤타이로이는 총 8개의 지대(각각 225명의 기병)로 구성되었다.필로타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를 가장 오랫동안 보좌한 장군 중 한 명으로, 매우 유능한 지휘관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오만하고 젠체하는 성격 탓에 신하로서의 역할에는 부족하다는 인식이 있었고, 이로 인해 종종 갈등의 중심이 되거나 왕의 불신을 사기도 했다.[2]
그는 알렉산드로스 3세의 동방 원정 초기 주요 전투에 참전하며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기원전 334년 그라니코스 강 전투를 시작으로, 같은 해 밀레투스 공방전, 그리고 기원전 332년 티레 포위전 등에서 활약했다.[5] 특히 밀레투스 공방전에서는 밀레투스 항구를 포위하고 있던 페르시아 함대가 상륙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저지하여 도시 함락에 중요한 공을 세웠다.
2. 2. 알렉산드로스 암살 음모와 죽음
기원전 330년 후반, 아케메네스 제국 정복 중 아프가니스탄 지역에 머물던 필로타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에 대한 암살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받았다. 핵심 혐의는 딤누스의 음모를 알고도 알렉산드로스 3세에게 즉시 보고하지 않았다는 점이었다.[3][6] 이전에도 비슷한 의혹이 제기된 적이 있었으나, 기원전 330년의 이 혐의는 훨씬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졌다.필로타스를 고발한 인물 중에는 그의 여동생과 결혼한 지휘관 코이노스도 포함되어 있었다. 결국 필로타스는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재판을 받았고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는 음모의 전모와 공모자들을 밝히라는 요구와 함께 고문을 당했으며, 이 과정에서 그의 아버지인 노장 파르메니온까지 음모에 연루되었다고 자백했다.[5]
필로타스는 유죄 판결을 받은 다른 음모 가담자들과 함께 처형되었다. 기록에 따라서는 돌에 맞아 죽거나 창에 찔려 죽었다고 전해진다.[5] 한편, 필로타스가 평소 알렉산드로스 3세를 비판하는 발언을 한다는 밀고 때문에 왕의 신임을 잃었고, 이것이 그가 암살 음모의 주모자라는 누명을 쓰고 처형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필로타스의 처형은 그의 아버지 파르메니온의 비극적인 죽음으로 이어졌다. 알렉산드로스 3세는 파르메니온이 음모에 직접 가담했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었지만, 아들이 처형된 상황에서 그를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결국 알렉산드로스 3세는 필로타스의 처형 소식이 파르메니온에게 전달되기 전에 암살자를 보내 그를 살해하였다.[2][7][8]
필로타스가 사령관으로 있던 동료 기병대의 지휘권은 그의 사후 두 명의 장교에게 분할되었다.[9]
3. 평가
필로타스는 알렉산더 3세를 오랫동안 수행한 유능한 장교였으며[5], 특히 동료 기병대 지휘관으로서 왕의 신임받는 위치에 있었다.[3][5] 그라니코스 전투, 밀레투스 공방전, 티레 포위전 등 여러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5]
그러나 그는 오만하고 젠체하는 성격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이로 인해 종종 갈등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2] 이러한 성격과 행동은 그가 신하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게 했고, 결국 알렉산더 3세의 불신을 사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2] 일설에 따르면, 평소 알렉산더 3세를 비판했다는 밀고로 인해 왕에게 소외되었던 점이 그가 암살 미수 사건의 주모자로 몰려 처형되는 배경이 되었다고도 한다.
4.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필로타스의 이야기는 17세기 초 새뮤얼 다니엘의 연극을 시작으로 18세기 필립 프로우드의 작품 등 여러 연극 무대에 올랐다. 또한, 여러 편의 영화에서도 필로타스라는 인물이 등장하여 극화되었다.
4. 1. 문학
필로타스의 이야기는 1604년 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새뮤얼 다니엘에 의해 극화되었다. 동명의 연극 공연은 1601년 반역죄로 처형된 로버트 데버루, 에섹스 백작과 극 중 주인공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다니엘이 추밀원으로부터 조사를 받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후 1731년, 필립 프로우드가 필로타스의 삶을 다룬 두 번째 연극 ''필로타스''를 집필하여 런던에서 공연했다.독일의 극작가이자 평론가인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 역시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1759년에 희곡 ''필로타스''를 발표했다. 이 작품은 계몽주의 시대에 쓰였으며, 프로이센이 독일 지역에서 주요 세력으로 부상하던 시기와 맞물린다. 또한 이 희곡은 프로이센과 하노버가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위스, 스페인 등과 슐레지엔, 작센 지역의 지배권을 놓고 벌인 7년 전쟁(1756–1763) 중에 집필되었다.
레싱의 희곡은 젊고 충동적인 후계자인 필로타스 왕자가 첫 전투에서 포로가 되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포로가 된 필로타스를 그의 아버지의 옛 친구인 아리데우스 왕이 찾아와, 자신의 아들 역시 상대편에게 포로로 잡혀 있어 두 왕이 포로 교환을 계획하고 있다고 알려준다. 얼마 후 필로타스는 아버지의 사자 파르메니오를 만나 포로 교환 시점에 대해 논의하고, 교환 전에 하루의 시간을 더 달라고 요청한다. 이후 필로타스는 도덕적, 윤리적 질문으로 가득 찬 긴 독백에 빠진다. 그는 자신이 살아남는 것이 아버지의 이익에 더 도움이 될지, 특히 아리데우스의 아들을 인질로 잡고 있는 상황에서 어떤 선택이 옳은지 고뇌한다. 결국 필로타스는 논쟁 중인 땅에 대한 아버지의 지배권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결론 내린다. 그는 아리데우스에게서 칼을 얻어 자결한다.
필로타스의 자살 행위의 정당성은 현대 연극 및 윤리 교육에서 논의의 대상이 된다. 그의 자살이 과연 필요했는지, 그리고 레싱이 이 작품을 통해 18세기 프로이센을 지배했던 강력한 도덕 규범을 칭찬하려 했는지 혹은 비판하려 했는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도덕 규범이 프로이센 제국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프로이센의 도덕률이 강조했던 가치에는 신중함, 겸손, 근면, 정직, 공정함, 용기, 자기 절제, 질서, 의무, 시간 엄수, 청렴, 검소, 충성심, 권력에 대한 복종 등이 있었다.
영화 ''알렉산더''(2004)에서는 조셉 모건이 필로타스 역을 연기했고,[10] 테렌스 래티건의 연극 ''모험 이야기''의 1961년 텔레비전 버전에서는 린든 브룩이 필로타스 역을 맡았으며,[11] 영화 ''알렉산더 대왕''(1956)에서는 루벤 로호가 필로타스 역을 연기했다.[12]
4. 2. 영화
- 2004년 영화 알렉산더 (올리버 스톤 감독)에서 조셉 모건이 필로타스 역을 연기했다.[10]
- 1961년 테렌스 래티건의 연극을 각색한 TV 연극 ''모험 이야기''에서 린든 브룩이 필로타스 역을 맡았다.[11]
- 1956년 영화 ''알렉산더 대왕''에서 루벤 로호가 필로타스 역을 연기했다.[12]
참조
[1]
서적
The Marshals of Alexander's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10-26
[2]
뉴스
How suspicion and intrigue eroded Alexander's empire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8-09-27
[3]
서적
Carnage and Culture: Landmark Battles in the Rise to Western Power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7-12-18
[4]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page 65 (v. 1)
http://www.ancientli[...]
2005-10-26
[5]
웹사이트
Philotas
https://www.livius.o[...]
2019-03-13
[6]
서적
Rise of the Macedonian Empire
https://books.google[...]
C. Scribner's Sons
2012-04-23
[7]
서적
Ancient Greece from Homer to Alexander: The Eviden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12-19
[8]
서적
Alexander the Great: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4-07-24
[9]
서적
A History of Greece: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Close of the Generation Contemporary with Alexander the Great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907
[10]
간행물
Alexander (2004) - IMDb
http://www.imdb.com/[...]
[11]
간행물
Adventure Story (TV Movie 1961) - IMDb
http://www.imdb.com/[...]
[12]
간행물
Alexander the Great (1956) - IMDb
http://www.imdb.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