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더 비너베르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더 비너베르거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화학자이자 사진작가로, 1891년 빈에서 태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군의 포로가 된 후, 소련에서 화학자로 일하며 1932년부터 1933년까지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서 발생한 홀로도모르의 참상을 약 100장의 사진으로 기록했다. 그의 사진들은 굶주린 사람들, 거리의 시체, 집단 매장지 등 참혹한 현실을 담고 있으며, 홀로도모르의 진실을 알리는 중요한 증거로 활용되고 있다. 비너베르거는 1934년 사진들을 오스트리아로 반출했고, 이후 사진들은 여러 저서와 전시회를 통해 공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화학자 -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는 콜로이드 화학 연구와 초현미경 개발에 기여한 오스트리아 출신 화학자로, 특히 유리 착색 연구와 금 하이드로졸 연구를 통해 콜로이드 입자의 특성을 밝히고 슬릿 초현미경을 개발하여 나노과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192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오스트리아의 화학자 - 프리츠 프레글
    오스트리아의 화학자이자 의사인 프리츠 프레글은 유기 화합물의 정량적 미량 분석법을 개발하여 극히 적은 양으로도 정확한 원소 분석을 가능하게 한 공로로 1923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분석법은 현대 화학 분석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 소련의 화학자 -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는 러시아 제국의 광물학자이자 지구화학자, 사상가로서 생물권 개념을 발전시키고 노스피어 개념을 대중화했으며 환경 과학의 과학적 기초를 개척하는 데 기여했고, 우크라이나 과학 아카데미를 창설하고 소련의 원자 폭탄 개발 계획에 참여하기도 했다.
  • 소련의 화학자 - 발레리 레가소프
    발레리 레가소프는 소련의 무기 화학 분야 전문가로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조사 및 수습 정부 위원회의 핵심 위원으로 활동하며 사고의 규모와 원인을 알리는 데 기여했으나, 사고 2주기일에 자살로 생을 마감한 후 러시아 연방 영웅 칭호를 받았다.
  • 1955년 사망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 1955년 사망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알렉산더 비너베르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891년 12월 8일
출생지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사망일1955년 1월 5일
사망지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직업화학 공학자
관련 인물
기타

2. 생애

알렉산더 비너베르거는 1891년(일부 자료에서는 1898년으로 오기) 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유대인이고 어머니가 체코인이었지만, 딸에 따르면 알렉산더 자신은 오스트리아 무신론자로 생각했다고 한다.[21]

1910년부터 1914년까지 빈 대학교 철학과에서 수학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에 징집되어 러시아군과 싸우다가 1915년에 포로가 되었다.

1917년 모스크바로 거주지를 옮겨 친구들과 화학 실험실을 세웠다. 1919년 문서를 위조해 에스토니아를 거쳐 오스트리아로 탈출하려 했으나, 프스코프에서 체카에 체포되어 간첩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고, 1920년대 대부분을 모스크바의 루뱐카 감옥에서 보냈다.[23] 소련 정부는 외국인 죄수들을 생산인력으로 고용하였는데, 비너베르거는 화학자로서의 기술을 높이 평가받아 바니시페인트, 폭발물 생산 시설에 지정되었다.[24]

1927년 발트 독일인인 요제핀 뢰니모이스와 결혼했지만 이혼했다. 전 부인은 딸 안네마리와 아들 알렉산더를 데리고 에스토니아에 남았다. 1928년 빈의 친척들을 방문해 슈베하트 출신 릴리 침메르만과 재혼하고 모스크바로 돌아왔다. 제약이 해제되어 아내도 소련으로 이주할 수 있었다. 1931년 아내는 빈으로 돌아가 딸 마곳을 낳았다.

1930년대 초반, 비너베르거 가족은 모스크바에서 거주했다. 1932년 류부차니(모스크바주) 플라스틱 산업 공장의 기술감독으로 배정되었고, 1933년 하르키우로 전근했다.

1944년 러시아 해방군의 연락 장교를 맡았다.[19] 전후 미국 점령 구역인 잘츠부르크에서 1955년에 사망했다.[20]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알렉산더 비너베르거는 1891년(일부 자료에서는 1898년으로 오기) 에서 아버지가 유대인, 어머니가 체코인인 혼혈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딸에 따르면, 알렉산더 자신은 스스로를 오스트리아 무신론자로 생각했다고 한다.[2]

1910년부터 1914년까지 그는 빈 대학교 철학부에서 공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 징집되어 러시아 제국군과의 전투에 참전했고, 1915년에 포로가 되었다.

1917년에는 모스크바로 이주할 수 있게 되었고, 그곳에서 친구들과 함께 화학 연구소를 설립했다. 1919년 가을, 위조 서류를 사용하여 소련에서 에스토니아를 거쳐 오스트리아로 탈출하려 했으나 실패하여 프스코프에서 체카에 체포되었다. 그는 간첩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는 1920년대 대부분을 모스크바의 루비얀카 감옥에서 보냈다.[3] 감옥에 수감된 동안, 화학자로서 그의 능력이 소련 정부에 의해 평가받아 외국인 수감자를 사용하여 생산에 종사하게 했다. 비너베르거는 니스페인트 생산 기술자로 임명되었고, 나중에 폭발물 제조 공장에서 일했다.[4]

1927년, 발트 독일인인 요제피네 레니모이스와 결혼했지만 이혼했다. 전 부인은 딸 안네마리, 아들 알렉산더와 함께 에스토니아에 남았고 (나중에 안네마리는 오스트리아로 이주했다).

1928년, 수감 후 처음으로 빈에 있는 친척들을 방문하여 슈베하트의 제조업자 딸 릴리 지머만과 재혼했다. 모스크바로 돌아가자 그의 제한이 해제되었고, 아내는 소련으로 이주할 수 있게 되었다. 1931년, 아내는 일시적으로 빈으로 돌아가는 것이 허용되었고, 그곳에서 딸 마고트를 출산했다.

1930년대 초, 비너베르거 가족은 모스크바에 살았고, 알렉산더는 화학 공장에서 일했다. 1932년 류브차니(모스크바주)로 파견되어 플라스틱 산업 공장의 기술 부장이 되었고, 1933년에는 하르키우에서 동등한 직책을 맡았다.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소련에서의 삶

1910년부터 1914년까지 빈 대학교 철학부에서 공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 징집되어 러시아 제국군과의 전투에 참전했으며, 1915년에 포로로 잡혔다.

1917년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친구들과 함께 화학 실험실을 설립했다. 1919년 가을, 가짜 문서를 사용하여 에스토니아를 통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오스트리아로 탈출을 시도했지만 실패하고 프스코프에서 소비에트 비밀 경찰에 체포되었다. 간첩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1920년대 대부분을 모스크바의 루비얀카 감옥에서 보냈다.[23] 수감 기간 동안, 화학자로서 비너베르거의 기술은 소련 정부에 의해 높이 평가받았고, 소련 정부는 외국인 수감자들을 화학 산업에 고용했다. 그는 바니시페인트 생산 엔지니어로 임명되었으며, 나중에는 폭발물 생산 공장에서 일했다.[24]

1927년 발트 독일인 출신인 요제핀 뢰니모이스와 결혼했으나 이혼했다. 전 부인은 딸 안네마리와 아들 알렉산더와 함께 에스토니아에 남았다(안네마리는 나중에 오스트리아로 이주했다). 1928년 수감 이후 처음으로 빈에 있는 친척들을 방문했고, 슈베하트 출신 제조업자의 딸인 릴리 짐머만과 재혼했다. 모스크바에 돌아오면서 비너베르거에게 적용되었던 제약은 해제되었고, 그의 아내는 소련으로 이주할 수 있었다. 1931년 릴리는 잠시 빈으로 돌아가 딸 마고를 낳았다.

1930년대 초, 비너베르거 가족은 모스크바에서 살았고, 알렉산더는 화학 공장에서 직책을 맡았다. 1932년 플라스틱 산업 공장의 기술 이사직을 맡기 위해 류부차니(모스크바주)로 파견되었고, 1933년에는 하르키우로 비슷한 직책으로 전근했다.

2. 3. 홀로도모르의 사진 기록 (1932-1933)

비너베르거가 촬영한 홀로도모르 당시 하르키우의 굶주린 소녀 사진은 가장 유명한 사진 중 하나이다


당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였던 하르키우에 거주하면서, 비너베르거는 대규모 기근홀로도모르를 목격했다. 그는 NKVD에 체포될 위험에도 불구하고 도시 거리에서 목격한 장면들을 몰래 약 100장의 사진으로 촬영했다.[23]

그의 사진은 식료품점 앞에 줄을 선 배고픈 사람들, 굶주린 아이들, 길거리에서 아사한 시체들, 그리고 홀로도모르 희생자들의 집단 매장 등을 기록하고 있다. 비너베르거는 아마도 해외 친구들에게 받은 독일 라이카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22]

1934년 오스트리아로 떠난 비너베르거는 외교 우편을 통해 오스트리아 대사관의 도움을 받아 네거티브 필름을 보냈다. 오스트리아 외교관들은 국경에서 개인 소지품에 대한 수색이 있을 가능성이 높고, 사진이 발견되면 그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주의 조치를 취하도록 주장했다. 비너베르거는 비엔나로 돌아와 사진을 테오도르 이니처 추기경에게 건네주었고, 추기경은 유럽 국가 의회 사무총장인 에발트 암멘데와 함께 이 사진들을 국제 연맹에 제출했다.[22]

1934년, 오스트리아의 극우 신문인 애국 전선은 비너베르거의 사진을 "Rußland, wie es wirklich ist"("러시아, 그것이 실제로 어떤가")라는 제목의 소책자에 무단으로 게재했다.[25] 이 사진들은 1935년 에발트 암멘데의 저서 "Muss Russland Hungern?"("러시아는 굶어 죽어야 하는가?")의 출판을 통해 처음으로 대중에게 널리 공개되었지만, 사진 제작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제작자의 이름은 밝히지 않았다.[26]

1939년, 비너베르거는 소련에서의 삶에 대한 회고록을 오스트리아에서 출판했는데, 그 중 두 챕터가 홀로도모르에 할애되었다.[27] 사진들은 1942년에 출판된 그의 회고록에도 포함되었다.[28]

1933년 하르키우의 집단 매장지

2. 4. 사진 공개와 이후의 삶



1934년 오스트리아로 떠난 비너베르거는 오스트리아 대사관의 도움을 받아 외교 우편을 통해 네거티브 필름을 전달했다. 오스트리아 외교관들은 국경에서 소지품 수색을 받을 가능성과 사진이 발견될 경우 그의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조치를 취하도록 권고했다. 비너베르거는 비엔나로 돌아와 사진을 테오도르 이니처 추기경에게 전달했고, 추기경은 유럽 국가 의회 사무총장인 에발트 암멘데와 함께 이 사진들을 국제 연맹에 제출했다.[22]

1934년, 오스트리아의 애국 전선은 비너베르거의 사진을 "Rußland, wie es wirklich ist"("러시아, 그것이 실제로 어떤가")라는 제목의 소책자에 무단으로 게재했다.[25] 1935년 에발트 암멘데의 저서 "Muss Russland Hungern?"("러시아는 굶어 죽어야 하는가?")를 통해 비너베르거의 사진이 처음으로 대중에게 널리 공개되었지만, 사진 제작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제작자의 이름은 밝히지 않았다.[26]

1939년, 비너베르거는 소련에서의 삶에 대한 회고록을 오스트리아에서 출판했는데, 그 중 두 챕터가 홀로도모르에 할애되었다.[27] 1942년에 출판된 회고록에도 사진들이 포함되었다.[28]

1944년, 비너베르거는 러시아 해방군의 연락 장교로 복무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는 소련군에 이송되는 것을 간신히 피했고, 1955년 잘츠부르크의 미국 점령 구역에서 사망했다.[29]

현재 비너베르거의 사진은 여러 작품에서 재출판되었으며, 특히 위니펙의 캐나다 인권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3. 홀로도모르 사진의 의의와 영향



알렉산더 비너베르거의 홀로도모르 사진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하르키우에서 촬영되었으며, 당시 참혹했던 현실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그의 사진들은 홀로도모르의 진실을 알리는 중요한 증거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역사적 의미를 인정받고 있다.

비너베르거는 1934년 오스트리아로 돌아가면서 오스트리아 대사관의 도움을 받아 사진들을 외교 문서를 통해 안전하게 전달했다.[15] 빈으로 돌아온 후, 테오도르 이니처 추기경에게 사진을 전달했고, 이니처 추기경은 국제 연맹에 사진을 증정했다.[15]

1934년, 오스트리아의 조국 전선은 "Rußland, wie es wirklich ist"(러시아의 진실)라는 제목의 작은 책자에 비너베르거의 사진을 게재했지만, 출처는 밝히지 않았다.[16] 1935년 에발트 암멘데의 "러시아는 굶어야 하는가"(Muss Russland Hungern)라는 책에 비너베르거의 사진이 게재되면서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되었지만, 촬영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사진의 출처는 밝히지 않았다.[17] 1939년, 비너베르거는 오스트리아에서 소련에서의 생활에 대한 회고록을 출판했는데, 그 중 두 개의 장은 홀로도모르를 주제로 했다.[18]

비너베르거의 사진은 현재 위니펙의 캐나다 인권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홀로도모르의 참상을 알리고 역사적 교훈을 되새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3. 1. 홀로도모르의 진실을 알린 증거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였던 하르키우에서 비너베르거는 NKVD의 체포 위협에도 불구하고 길거리에서 목격한 홀로도모르 대기근 현장을 거의 100장의 사진으로 남겼다.[23] 그의 사진은 잡화점에 줄 선 배고픈 사람들, 굶주린 아이들, 거리에서 아사한 시체들, 기근으로 사망한 사람들의 무덤 등을 기록하고 있다. 이 사진들은 독일 라이카 사진기로 촬영되었는데, 당시 상황을 고려했을 때 해외에 있는 친구들을 통해 사진기를 전달받은 것으로 보인다.[22]

1934년 오스트리아를 떠나며 비너베르거는 오스트리아 대사관의 도움을 받아 이 사진들을 외교문서로 전달한다. 국경에서 입국 수색을 통해 사진이 발견되면 생명에 큰 위험이 있을 것이라는 오스트리아 대사관의 염려 섞인 설득 끝에 비너베르거는 사진을 테오도르 인니처 추기경에게 전달하고, 추기경은 국제소수민족위원회 사무총장인 에발트 아멘데와 함께 이 자료들을 국제 연맹에 제출한다.[22] 같은 해 오스트리아 조국전선은 비너베르거의 사진들을 촬영자 이름은 밝히지 않고 《''Rußland, wie es wirklich ist'' (러시아의 실체)》라는 제목의 팜플렛으로 배포한다.[25]

비너베르거의 사진들은 에발트 아멘데의 책 《''Muss Russland Hungern?'' (러시아는 굶주려야 하는가?)》을 통해 1935년 대중에게 공개된다. 그러나 이때 역시 촬영자의 안전을 위해 촬영자의 이름은 밝히지 않는다.[26] 1939년 알렉산더 비너베르거는 오스트리아에서 소련에서의 삶에 대한 회고록을 출판하는데, 이때 두 챕터를 홀로도모르를 기술하는데 할애한다.[27] 이 회고록에 사진들이 들어가게 된 것은 1942년의 일이다.[28]

현재 비너베르거의 사진들은 위니펙 소재의 캐나다 인권 박물관 등에 전시되어 있다.

3. 2. 사진의 전시와 활용



비너베르거는 NKVD의 체포 위협에도 불구하고, 당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였던 하르키우에서 대기근의 현장을 약 100장의 사진으로 남겼다.[23] 그의 사진은 잡화점에 줄 선 배고픈 사람들, 굶주린 아이들, 거리에서 아사한 시체들, 기근으로 인해 사망한 사람들의 무덤 등을 기록하고 있다. 이 사진들은 독일제 라이카 사진기로 촬영되었는데, 당시 상황을 고려했을 때 해외에 있는 친구들을 통해 사진기를 전달받은 것으로 보인다.[22]

1934년 오스트리아를 떠나면서 비너베르거는 오스트리아 대사관의 도움을 받아 이 사진들을 외교문서로 전달했다. 국경에서 입국 수색을 통해 사진이 발견되면 생명에 큰 위험이 있을 것이라는 오스트리아 대사관의 염려 섞인 설득 끝에, 비너베르거는 사진을 테오도르 인니처 추기경에게 전달했고, 추기경은 국제소수민족위원회 사무총장인 에발트 아멘데와 함께 이 자료들을 국제 연맹에 제출했다.[22] 같은 해 오스트리아 조국전선은 비너베르거의 사진들을 촬영자의 이름은 밝히지 않고 《''Rußland, wie es wirklich ist'' (러시아의 실체)》라는 제목의 팜플렛으로 배포했다.[25]

비너베르거의 사진들은 1935년 에발트 아멘데의 책 《''Muss Russland Hungern?'' (러시아는 굶주려야 하는가?)》을 통해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나, 촬영자의 안전을 위해 사진 촬영자의 이름은 밝히지 않았다.[26] 1939년 알렉산더 비너베르거는 오스트리아에서 소련에서의 삶에 대한 회고록을 출판하는데, 이 때 두 챕터를 홀로도모르를 기술하는데 할애했다.[27] 회고록에 사진들이 포함된 것은 1942년의 일이다.[28]

1944년 비너베르거는 러시아 해방군의 연락장교로 근무했고, 전쟁이 끝난 뒤 소비에트 군대의 행렬에서 탈출하여 잘츠부르크의 미국 관할지에서 여생을 살다가 1955년 숨을 거두었다.[29]

현재 비너베르거의 사진들은 위니펙 소재의 캐나다 인권 박물관 등에 전시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asks of the Holodomor http://samarajadepea[...]
[2] 웹사이트 "Це був геноцид": історія британської фотохудожниці, яка ширить пам'ять про Голодомор https://www.bbc.com/[...] BBC Україна 2018-11-23
[3] 웹사이트 "Рискуя попасть в застенки НКВД, мой прадед фотографировал жертв Голодомора" https://fakty.ua/258[...] Факты 2018-02-14
[4] 웹사이트 Александр Вінербергер у спогадах доньки https://web.archive.[...] Меморіал жертв Голодомору 2016-02-07
[5] 간행물 Literatur in Österreich 1938–1945 Böhlau 2021
[6] 문서 Rußland, wie es wirklich ist! der Vaterländischen Front 1934
[7] 서적 Muß Rußland hungern? Menschen- und Völkerschicksale in der Sowjetunion 1935
[8] 웹사이트 Austria: The Later Years: Alexander Wienerberger: a Biographical Exhibit: Holodomor Photo Directory https://vitacollecti[...]
[9] 서적 Hart auf hart. 15 Jahre Ingenieur in Sowjetrußland. Ein Tatsachenbericht 1939
[10] 서적 Um eine Fuhre Salz im GPU-Keller. Erlebnisse eines deutschen Ingenieurs in Sowjetrussland, mit Zeichnungen von Günther Büsemeyer 1942
[11] 웹사이트 Josef Vogl. Alexander Wienerberger — Fotograf des Holodomor. In: Dokumentationsarchiv des österreichischen Widerstandes (Hrsg.), Feindbilder, Wien 2015 (= Jahrbuch 2015), S. 259—272 https://www.doew.at/[...]
[12] 웹사이트 "Це був геноцид": історія британської фотохудожниці, яка ширить пам'ять про Голодомор https://www.bbc.com/[...] BBC Україна 2018-11-23
[13] 웹사이트 Александр Вінербергер у спогадах доньки http://memorialholod[...] Меморіал жертв Голодомору 2016-02-07
[14] 웹사이트 "Це був геноцид": історія британської фотохудожниці, яка ширить пам'ять про Голодомор https://www.bbc.com/[...] BBC Україна 2018-11-23
[15] 웹사이트 "Це був геноцид": історія британської фотохудожниці, яка ширить пам'ять про Голодомор https://www.bbc.com/[...] BBC Україна 2018-11-23
[16] 문서 Rußland, wie es wirklich ist! der Vaterländischen Front 1934
[17] 서적 Muß Rußland hungern? Menschen- und Völkerschicksale in der Sowjetunion 1935
[18] 서적 Um eine Fuhre Salz im GPU-Keller. Erlebnisse eines deutschen Ingenieurs in Sowjetrussland, mit Zeichnungen von Günther Büsemeyer 1942
[19] 서적 Hart auf hart. 15 Jahre Ingenieur in Sowjetrußland. Ein Tatsachenbericht 1939
[20] 문서 Josef Vogl. Alexander Wienerberger — Fotograf des Holodomor. In: Dokumentationsarchiv des österreichischen Widerstandes (Hrsg.), Feindbilder, Wien 2015 (= Jahrbuch 2015), S. 259—272 https://www.doew.at/[...]
[21] 문서 일부 기록에서는 1898년으로 오기되었다.
[22] 웹인용 "Це був геноцид": історія британської фотохудожниці, яка ширить пам'ять про Голодомор https://www.bbc.com/[...] BBC Україна 2018-11-23
[23] 웹인용 «Рискуя попасть в застенки НКВД, мой прадед фотографировал жертв Голодомора» https://fakty.ua/258[...] Факты 2018-02-14
[24] 웹인용 Александр Вінербергер у спогадах доньки https://web.archive.[...] Меморіал жертв Голодомору 2016-02-07
[25] 문서 Rußland, wie es wirklich ist! der Vaterländischen Front 1934
[26] 서적 Muß Rußland hungern? Menschen- und Völkerschicksale in der Sowjetunion 1935
[27] 서적 Hart auf hart. 15 Jahre Ingenieur in Sowjetrußland. Ein Tatsachenbericht 1939
[28] 서적 Um eine Fuhre Salz im GPU-Keller. Erlebnisse eines deutschen Ingenieurs in Sowjetrussland, mit Zeichnungen von Günther Büsemeyer 1942
[29] 문서 Josef Vogl. Alexander Wienerberger — Fotograf des Holodomor. In: Dokumentationsarchiv des österreichischen Widerstandes (Hrsg.), Feindbilder, Wien 2015 (= Jahrbuch 2015), S. 259—272 https://www.doew.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