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파티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파티아는 4세기 후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여성 철학자, 천문학자, 수학자이다. 그녀는 알렉산드리아 대학교의 교수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가르쳤으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했다. 히파티아는 당시 사회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 주교와 갈등을 겪다 415년 기독교인 폭도들에게 살해당했다. 그녀의 죽음은 종교적 극단주의와 여성 혐오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페미니즘과 지적 자유의 옹호자들에게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55년 출생 - 모용보
    모용보는 후연의 2대 황제로, 모용수의 아들이었으나 우유부단한 성격과 잦은 실책, 내분으로 후연을 쇠퇴하게 만들었고 재위 2년 만에 암살당했다.
히파티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08년의 상상화
1908년의 상상화 (쥘 모리스 가스파르 그림)
이름히파티아
원어 이름Ὑπατία (Hypatia)
출생기원후 350년 ~ 370년 경
출생지로마 제국 이집트 속주 알렉산드리아
사망기원후 415년 3월
사망지로마 제국 이집트 속주 알렉산드리아
분야신플라톤주의 철학
수학
천문학
활동 장소알렉산드리아 도서관 (무세이온)
참고동로마 제국 시대의 학자
학문
학파/전통신플라톤주의
주요 관심사수학
천문학

2. 생애

히파티아는 기원후 355년경 테온의 딸로 태어났다. 테온은 알렉산드리아 대학교 수학과의 저명한 교수였고, 후에 그 대학의 책임자가 되었다. 히파티아는 무사이온이라는 연구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유년기를 보냈고, 예술, 문학, 자연과학, 철학 등 균형잡힌 교육을 받았다. 당시 천문학점성술은 하나의 과학으로 간주되었으며, 수학은 과학과 종교를 결합한 것으로 여겨졌다.

테온은 히파티아에게 모든 종교체계를 가르쳤으며, 새로운 진리를 배척하는 완고한 신앙을 경계하도록 했다. 그는 "모든 형식적이고 독단적인 종교는 사람을 현혹시키는 것이어서 자존심 있는 사람이라면 절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라고 가르쳤다. 또한 "네가 생각하는 권리를 비축하여라. 왜냐하면 틀리게 생각하는 것이 오히려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 것보다 낫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히파티아는 뛰어난 정신을 가지고 있었고, 테온은 그녀의 건강을 위해 식이요법과 미용 체조를 고안했다. 히파티아는 노 젓기, 수영, 승마, 등산을 배우며 규칙적인 운동을 했다. 로마인에게 웅변술과 수사법은 사회적 품위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테온은 히파티아가 '완전한 인간'이 되기를 원했고, 이를 위해 연설에 필요한 정규 교육을 받게 했다.

히파티아는 고등 교육을 위해 외국을 여행했으며, 아테네의 한 학교에서 수학자로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알렉산드리아로 돌아온 후, 행정장관의 초빙으로 대학에서 수학과 철학을 가르쳤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온 학생들이 그녀의 강의를 듣기 위해 몰려들었다. 그녀는 디오판토스산술과 그가 고안한 기호에 관하여 강의하였다.

히파티아는 신플라톤주의의 창시자 플로티노스와 이얌블리코스의 학통을 이었다. 400년경 알렉산드리아의 신플라톤주의 철학 학교장이 되어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대해 강의했다. 410년경 시네시오스가 히파티아에게 보낸 서간 7통이 현존한다.

히파티아는 디오판토스의 『산술』, 페르가의 아폴로니우스의 『원뿔 곡선론』, 그리고 천문학 카논에 대한 주석을 저술했다. 아스트롤라베와 같은 천문 관측 기구의 발명에 대해서는, 히파티아에게 의견을 구한 시네시오스의 편지를 통해 그녀가 천문학과 수학에 전념했음을 알 수 있다.

2. 1. 유년기

히파티아는 355년경에 태어났다.[8] 아버지 테온은 알렉산드리아 대학교의 저명한 수학 교수였으며, 훗날 총장을 역임했다. 히파티아는 유년 시절 무사이온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학문적인 분위기 속에서 성장했다. 알렉산드리아는 세계적인 학문의 중심지였고, 여러 문명국 학자들이 학문을 교류하기 위해 모여드는 곳이었다. 테온의 딸로서 히파티아는 이러한 환경 속에서 균형 잡힌 교육을 받았다. 당시 수학은 천문학과 점성술과 결합된 학문으로 여겨졌다.

테온은 히파티아에게 다양한 종교 체계를 가르쳤고, 종교에 대한 분별력을 갖도록 지도했다. 그는 "모든 형식적이고 독단적인 종교는 사람을 현혹시키는 것이어서 자존심 있는 사람이라면 절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라고 가르쳤다. 또한 "네가 생각하는 권리를 비축하여라. 왜냐하면 틀리게 생각하는 것이 오히려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 것보다 낫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히파티아는 뛰어난 정신과 건강한 육체를 겸비했다. 테온은 딸의 건강을 위해 식이요법과 미용 체조를 고안했다. 히파티아는 노 젓기, 수영, 승마, 등산을 배우며 규칙적인 운동을 했다.

히파티아의 아버지 알렉산드리아의 테온은 유클리드의 ''원론''의 현존하는 텍스트를 편집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 2. 교육 및 학문 활동

히파티아는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 외국을 여행하였으며, 가는 곳마다 왕족처럼 대우를 받았다고 한다. 그녀의 여행은 오랫동안 계속되었지만, 연속적이지는 않았던 것 같다. 한동안 그녀는 젊은 플루타르크와 그의 딸 아셀피제니아가 운영하는 아테네의 한 학교의 학생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로 여기서 수학자로서의 명성이 시작되었다. 알렉산드리아로 돌아왔을 때, 그곳의 행정장관은 그녀를 대학으로 초빙하여 수학과 철학을 가르치게 하였고, 암모니우스, 히에로클레스, 그 외의 훌륭한 학자들이 가르쳤던 그 곳에서 강의하며 여생을 보냈다.[8]

그녀는 인기 있는 선생이었다. 그 시대의 가장 훌륭한 학자들이 그녀의 강의실은 물론이고 집에도 종종 방문하였는데, 그곳은 도서관, 뮤지엄과 더불어 위대한 학문의 도시에 있는 가장 확실한 지성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고 역사학자 소크라테스는 쓰고 있다. 그녀는 마치 제사장처럼 여겨졌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로부터 온 열정적인 학생들이 히파티아의 강의를 듣기 위해 몰려들었다. 그녀는 디오판토스산술과 디오판토스가 고안한 기호에 관하여 강의하였다. 그녀는 수학 자체로서, 그리고 호기심이 많은 그녀의 마음을 자극한 순수하고 예민한 기쁨으로 수학을 사랑하였기 때문에 강의하였다.

히파티아는 신플라톤주의자였지만, 그녀의 아버지처럼 이암블리코스의 가르침을 거부하고 대신 플로티노스가 정립한 초기 신플라톤주의를 받아들였다. 당시 알렉산드리아 학파는 철학으로 명성이 높았고, 알렉산드리아는 아테네 다음으로 그리스-로마 세계의 철학적 수도로 여겨졌다. 히파티아는 지중해 전역에서 온 학생들을 가르쳤다. 다마스키우스에 따르면, 그녀는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 대해 강의했다. 그는 또한 그녀가 철학자들과 관련된 일종의 망토인 ''트리본''을 입고 알렉산드리아를 걸어 다니며 즉흥적인 공개 강의를 했다고 말했다.

1553년 인쇄본에서 발췌한 히파티아에게 보낸 시네시우스의 현존하는 일곱 통의 편지 중 하나


시네시우스가 히파티아에게 보낸 일곱 통의 편지가 남아 있지만, 그녀가 그에게 보낸 편지는 남아 있지 않다.[8] 395년경 그의 친구 헤르쿨리아누스에게 쓴 편지에서 시네시우스는 히파티아를 "... 명성이 매우 높고, 그녀의 평판은 문자 그대로 믿을 수 없을 정도였다. 우리는 그녀가 철학의 신비를 존중스럽게 주관하는 것을 직접 보고 들었다."라고 묘사한다.[8] 시네시우스는 "감정과 애정으로부터의 완전한 해방"인 "무감정"의 철학적 상태 추구와 같은 히파티아의 의견과 가르침의 유산을 보존한다.[8]

히파티아의 동시대인인 기독교 역사가 콘스탄티노플의 소크라테스는 그의 ''교회사''에서 그녀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2. 3. 주요 업적

히파티아는 디오판토스의 『산술』, 페르가의 아폴로니우스의 『원뿔 곡선론』,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 대한 해설서를 저술했다.[1] 『산술』 해설서에는 디오판토스의 풀이 외에 몇 가지 다른 풀이와 새로운 문제를 추가했다.[1] 아버지 테온과 공동으로 유클리드 『원론』에 관한 해설서를 저술했다.[1] '천문학적 계산에 관하여'라는 저서의 일부분이 15세기경 바티칸 도서관에서 발견되었다.[1] 천문학 연구에 기여하여 천문표를 제작하고 아스트롤라베와 같은 관측 기구를 개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3. 철학 및 사상

히파티아는 신플라톤주의 철학을 따랐으며,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대해 강의했다. 이얌블리코스의 가르침을 거부하고 플로티노스의 초기 신플라톤주의를 받아들였다. 히파티아의 철학은 다른 신플라톤주의 학파의 교리보다 학술적이고 과학적이었으며, 신비주의를 배척했다.

히파티아는 이교도였지만 기독교인들에게 관대했으며, 제자들 대부분이 기독교인이었다. 410년키레나이카 지방의 Ptolemais, Cyrenaica|프톨레마이스영어주교가 되는 시네시오스가 히파티아에게 보낸 서한 7통이 현존한다.

히파티아는 "무릇 모든 형식적이고 독단적인 종교는 사람을 현혹시키는 것이어서 자존심 있는 사람이라면 절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라고 가르쳤다.[8] 또, "생각할 권리를 가지세요. 왜냐하면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보다 잘못된 것을 생각하는 것이 낫기 때문입니다."와 같은 발언은 당시의 기독교인들을 격분시켰다고 한다.

4. 정치적 활동 및 사회적 영향력

히파티아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는 히파티아가 알렉산드리아에서 "제사장처럼 여겨졌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그녀의 강의에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온 열정적인 학생들이 몰려들었다고 전한다.[8] 히파티아는 오레스테스 로마 총독을 비롯한 주요 정치 지도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현명한 조언자로서 명성을 얻어 오레스테스는 종종 그녀에게 조언을 구했다.[16]

히파티아의 학교는 알렉산드리아 지성계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다양한 종교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학문을 교류했다. 그녀의 집은 도서관, 뮤지엄과 더불어 알렉산드리아의 중요한 지적 중심지 중 하나였다.

5. 키릴루스와의 갈등

412년,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가 알렉산드리아의 주교가 되면서 히파티아와의 갈등이 시작되었다.[9] 키릴루스는 이교도와 유대인에 대한 강경한 정책을 추진했으며, 391년에는 테오도시우스 1세가 알렉산드리아 주교 테오필로스의 요청에 따라 비기독교 종교 시설 및 신전 파괴를 허가하기도 하였다. 414년에는 기독교인 집단에 의해 알렉산드리아에서 불법적이고 강제적인 유대인 추방이 이루어져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다. 히파티아는 그의 반대 세력으로 여겨졌으며, 흑색 선전의 대상이 되었다.[9]

6. 죽음

히파티아의 죽음


415년 사순절 기간, 히파티아는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의 지지자로 추정되는 광신적인 기독교 폭도들에게 잔혹하게 살해당했다. 키릴루스는 대중에게 광기를 일으켜 자신을 비방하는 사람들을 제거하기 위해 폭도를 구성하였다.[8] 폭도들은 대학으로 강의하러 가는 히파티아를 마차에서 끌어내어 머리카락을 뽑고 벌거벗긴 후, 날카롭게 간 굴 껍데기(혹은 기와 조각)로 피부를 벗겨내는 고문을 하고 화형에 처했다.[8]

에드워드 기번은 저서 『로마 제국 쇠망사』에서 "사순절 어느 날, 총대주교 키릴로스 등이 마차를 타고 학원으로 향하던 히파티아를 마차에서 끌어내 교회로 끌고 간 뒤, 그녀를 알몸으로 만들고, 굴 껍데기로 산 채로 그녀의 살점을 뼈에서 깎아내 살해했다"라고 기록했다.

이 사건은 당시 로마 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히파티아는 지혜와 이성의 상징이자 종교적 광기의 희생자로 여겨지게 되었다. 다만, 히파티아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다양하게 전해지고 있으며, 의견이 분분하다.

6. 1. 죽음의 배경 및 원인

기독교 신앙인들은 히파티아의 철학을 사교(邪敎)로 생각했고, 412년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가 알렉산드리아의 주교가 되면서 이들을 조직적으로 억압하기 시작했다.[8] 키릴루스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교도와 유대인을 탄압했으며, 히파티아는 그의 정치적 경쟁자로 여겨졌다. 키릴루스는 유대교회를 뒤엎고 행정장관의 지위와 권한을 대부분 장악하였다.[8]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에 따르면, 414년에 유대인이 주도한 학살 이후, 키릴루스는 알렉산드리아의 모든 회당을 폐쇄하고 유대인 소유의 재산을 몰수했으며, 일부 유대인을 도시에서 추방했다.[11][12] 히파티아의 친구이자 알렉산드리아의 로마 총독인 오레스테스는 키릴루스의 행동에 분노하여 황제에게 비난 보고서를 보냈다.[11][12]

갈등이 고조되어 키릴루스 휘하의 기독교 성직자 집단인 ''파라발라니''가 오레스테스를 거의 죽일 뻔한 폭동이 발생했다.[11] 오레스테스는 폭동을 일으킨 수도사 아모니우스를 공개 고문하여 죽였고, 키릴루스는 아모니우스를 순교자로 선포하려 했지만, 알렉산드리아의 기독교인들은 아모니우스가 신앙 때문이 아니라 폭동 선동 및 총독 살해 미수 혐의로 죽임을 당했기에 혐오감을 느꼈다.[11] 알렉산드리아의 저명한 기독교인들이 개입하여 키릴루스에게 그 문제를 포기하도록 강요했다.[11]

오레스테스는 종종 히파티아에게 조언을 구했는데, 그녀는 이교도와 기독교인 모두에게 호감을 받았고 이전 갈등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으며 현명한 조언자로서 흠 잡을 데 없는 명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11] 히파티아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키릴루스와 그의 동맹들은 그녀의 명성을 깎아내리려 했다.[11]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는 히파티아가 오레스테스가 키릴루스와 화해하는 것을 방해했다는 소문을 언급한다.[16] 니키우의 요한은 히파티아가 사탄 숭배 행위에 가담했고 의도적으로 교회가 오레스테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방해했다고 주장한다.[15][13][14]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에 따르면, 415년 3월 사순절 기간 동안, 베드로라는 독서자가 이끄는 기독교인 폭도들이 히파티아가 집으로 돌아가는 마차를 습격했다.[16] 그들은 그녀를 카이사리온이라는 건물로 끌고 가 옷을 벗기고 ''오스트라카''를 사용하여 살해했는데, 이는 "지붕 타일", "굴 껍질" 또는 단순히 "조각"으로 번역될 수 있다.[16] 다마스키우스는 그들이 그녀의 눈알을 도려냈다고 덧붙인다.[16] 그들은 그녀의 시신을 조각내어 시나리온이라는 곳으로 끌고 가서 불태웠다.[16]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는 히파티아의 살해를 전적으로 정치적인 동기로 제시하며, "그녀는 그 당시 만연했던 정치적 질투의 희생자가 되었다. 그녀가 오레스테스와 자주 만났기 때문에,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는 그녀가 오레스테스가 주교와 화해하는 것을 막았다는 비방이 있었다"고 추론한다.[16]

6. 2. 죽음 이후의 영향

히파티아의 죽음은 알렉산드리아 지성계의 쇠퇴를 가속화했다.[8] 철학자들은 그녀의 죽음에 큰 충격을 받았으며, 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의 공존 가능성에 대한 희망은 꺾였다.[9] 히파티아는 '철학의 순교자'로 여겨졌고, 그녀의 죽음은 철학자들이 이교 전통을 더욱 강조하고 기독교와 거리를 두게 만들었다. 히파티아의 철학은 다른 신플라톤주의 학파보다 학술적이고 과학적이었으며, 신비주의를 배척했기에 기독교인들에게는 이단으로 여겨졌다.

"생각할 권리를 가지세요. 왜냐하면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보다는 잘못된 것을 생각하는 것이 낫기 때문입니다." 혹은 "진실로서 미신을 가르치는 것은 매우 끔찍한 일입니다."와 같이 히파티아가 했다고 전해지는 말들은 당시 기독교인들을 격분시켰다. 히파티아는 기독교 입장에서 신에 대한 모독과 동일시되는 사상과 학문의 상징이었다.

7. 유산 및 평가

히파티아는 당대 최고의 지성인 중 한 명으로 널리 존경받았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 니세포르스, 필로스토르기우스 등은 모두 히파티아와 다른 교파의 역사학자였으나 그녀의 성품과 학문을 칭송했다.[8] 그녀는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잘 알려져 있었으며, '무사(Musa) 여신에게' 또는 '철학자에게'라고 주소가 쓰인 편지는 당연히 그녀에게 배달되었다는 전설적인 이야기가 전해온다.

히파티아는 신플라톤주의 철학 학파에 속해 있었으며, 알렉산드리아의 테온의 딸로서 플로티노스와 이얌블리코스의 학통을 이었다. 400년경 알렉산드리아의 신플라톤주의 철학 학교장이 되어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대해 강의했다. 키레나이카 지방의 Ptolemais, Cyrenaica|프톨레마이스영어 주교가 되는 시네시오스가 히파티아에게 보낸 서간 7통이 현존한다.

히파티아는 디오판토스의 『산술』, 페르가의 아폴로니우스의 『원뿔 곡선론』, 그리고 천문학 관련 저술(아마도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 대한 주석을 저술했다. 아버지 테온의 『알마게스트 해설』 제3권 본문을 교정하기도 했다. 이 주석들은 산실되었지만, 『산술』 주석은 아랍어 번역본 일부가 단편적으로 현존한다.

시네시오스의 편지에는 히파티아가 평면 아스트롤라베 제작법을 가르쳤다는 내용이 있다. 평면 아스트롤라베는 별과 행성의 위치를 기반으로 날짜와 시간을 계산하고, 주어진 날짜에 별과 행성의 위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다. 히파티아는 아버지 테온에게서 평면 아스트롤라베 제작법을 배웠을 가능성이 있는데, 테온은 아스트롤라베에 관한 두 개의 논문을 썼지만 현재는 분실되었다. 히파티아와 테온은 아스트롤라베 제작에 필요한 계산법을 설명하는 프톨레마이오스의 '플라니스페리움'을 연구했을 수도 있다. 시네시오스는 또한 히파티아에게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비중계인 "하이드로스코프" 제작을 요청했다. 그러나 시네시우스가 기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한 것으로 보아, 히파티아가 이 장치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가정하고 구두 설명을 바탕으로 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

7. 1. 현대적 해석

히파티아의 삶과 죽음은 여러 관점에서 해석된다. 진보 진영에서는 히파티아를 종교적 탄압과 여성 혐오의 희생자로 보며, 그녀의 죽음을 통해 종교적 극단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히파티아는 "철학의 순교자"로 여겨졌으며, 그녀의 살해는 철학자들이 신념 체계의 이교적 측면을 더욱 강조하게 만들었다. 이는 철학자들이 기독교 대중과 구별되는 이교 전통주의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히파티아의 죽음은 신플라톤 철학 전체를 끝낸 것은 아니지만, 그녀가 추구했던 특정한 형태의 신플라톤 철학에는 종말을 가져왔다. 히파티아는 기독교 학생들에 대한 관용과 기독교 지도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다는 선례를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그녀의 죽음과 기독교 정부의 살해범 처벌 실패는 이러한 희망을 완전히 꺾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히파티아의 죽음을 고대 세계의 종말과 지적 자유의 쇠퇴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히파티아는 여성 교육과 과학 발전의 중요성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지며, 그녀의 유산은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참조

[1] EPD
[2] LPD
[3] MacTutor Hypatia of Alexandria
[4] 간행물 Dating Hypatia's birth : a probabilistic model https://msp.org/memo[...] 2017-01-31
[5] 서적 Groundbreaking Scientific Experiments, Inventions, and Discov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6] MacTutor Pandrosion of Alexandria
[7] 서적 City and School in Late Antique Athens and Alexandr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8] 웹사이트 Ockham's Razor: Hypatia of Alexandria http://www.abc.net.a[...] ABC Radio 1997-08-03
[9] 서적 1747-1748
[10] 간행물 Ecclesiastical History http://www.earlychur[...]
[11] 간행물 Persecution of the Jews in the Roman Empire (300-438) https://kuscholarwor[...] Lawrence, University of Kansas Publications, 1952. 1952
[12] 웹사이트 John of Nikiu: The Life of Hypatia http://www.faculty.u[...] 2020-07-19
[13] 문서 John, Bishop of Nikiû, Chronicle 84.87–103
[14] 웹사이트 Hypatia http://penelope.uchi[...] University of Chicago
[15] 웹사이트 Chronicle 84.87–103 http://www.cosmopoli[...]
[16] 문서 Ecclesiastical History http://www.fordham.e[...]
[17] 서적 Written in Blood: A Brief History of Civilization Allen & Unwin 2003
[18] 간행물 Diophantus of Alexandria; A Study in the History of Greek Algeb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republished 2017
[19] 웹사이트 COSMOGRAPHICA Space Art and Science Illustration http://www.cosmograp[...]
[20] 간행물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s://archive.org/[...] Springer
[21] 간행물 Instruments and Experimentation in the History of Chemistr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2002
[22] 서적 A history of beer and brewing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03
[23] 서적 Archimedes and the Door of Science Literary Licensing, LLC 2011
[24] 문서 Synodicon, c. 216, in iv. tom. Concil. p. 484
[25] 웹사이트 Espetsieris K., "Icons of Greek philosophs in Churches", ("Εσπετσιέρης Κ., "Εικόνες Ελλήνων φιλοσόφων εις Εκκλησίας”), Επιστ. Επετηρίς Φιλοσοφ. Σχολ. Παν/μίου Αθηνών 14 (1963-64), pp. 391, 441 – 443 http://epub.lib.uoa.[...]
[26] 웹사이트 Espetsieris K., "Icons of Greek philosophs in Churches. Complementary information." (Εσπετσιέρης Κ., "Εικόνες Ελλήνων φιλοσόφων εις Εκκλησίας). Συμπληρωματικά στοιχεία”, Επιστ. Επετηρίς Φιλοσοφ. Σχολ. Παν/μίου Αθηνών 24 (1973-74), pp. 418-421 http://epub.lib.uoa.[...]
[27] 웹사이트 Suda online, Upsilon 166 http://www.stoa.org/[...]
[28] 서적 "Isidorus 1" entry in The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29] 서적 Women in science: Antiquity through the 19th century Cambridge, MA: The MIT Press. 1986
[30] 간행물 Ipazia ovvero Delle filosofie poema di Diodata Saluzzo Roero. https://books.google[...]
[31] 웹사이트 The Death of Hypatia http://penelope.uchi[...] University of Chicago
[32] 간행물 The woman and the lyre: Women writers in classical Greece and Rom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33] 간행물 Pre-Raphaelite women artists: Barbara Leigh Smith Bodichon … https://books.google[...] Manchester City Art Galleries
[34] 간행물 Geschichte der Hexenprozesse: aus dem Qvellen Dargestellt https://archive.org/[...] Cotta
[35] 간행물 Women Philosophers in the Ancient Greek World: Donning the Mantle
[36] 서적 The Swerve: how the world became modern
[37] 웹사이트 Hypatia of Alexandria – a philosophical martyr http://www.abc.net.a[...] 2009-04-04
[38] 간행물 Reading the Language of "The Dinner Party" 1980–1981
[39] 간행물 The Cosmos: Astronomy in the New Millenniu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7-11
[40] 간행물 Review of The Wisdom of Hypatia 2015-09
[41] 간행물 Unburning Alexandria http://www.analogsf.[...] 2013-03-26
[42] 웹사이트 The Plot to Save Socrates – book review http://www.curledup.[...] Curled Up With A Good Book 2013-03-26
[43] 웹사이트 Intev with Paul Levinson, Author of Unburning Alexandria http://www.themorton[...] The Morton Report 2013-11-03
[44] 웹사이트 'The Good Place' Boss on Reaching the Titular Location, Finding It's a 'Bummer' https://variety.com/[...] 2020-01-24
[45] 문서 史料翻訳『教会史』7巻15章「彼女が頻繁にオレステスと面会していたので、オレステスがかの司教と和解することを妨げているのは彼女だと、キリスト教徒の群れの間では中傷的に報じられていたのだ。それゆえその中の何人かが、獰猛で凝り固まった熱意に駆り立てられた。その首謀者はペトロスといい、彼女が家に帰るのを待ち伏せ、彼女を馬から引きずりだし、カエサリオンと呼ばれる教会へと彼女を連れ去った。そこで彼らは彼女を真っ裸にし、それから瓦で彼女を殺害したのである」ソクラテス『教会史』7巻15章
[46] 문서 エドワード・J・ワッツ『ヒュパティアー後期ローマ帝国の女性知識人』p150ではペトロスについて「教会の踊経者あるいは執事であった」としている
[47] 웹사이트 Socrates Scholasticus: The Murder of Hypatia http://www.fordham.e[...] 2014-04-24
[48] 서적 世界哲学史2
[49] 웹사이트 Was Saint Katherine Really Hypatia of Alexandria? https://www.johnsani[...] ORTHODOX CHRISTIANITY THEN AND NOW 2021-08-13
[50] 웹사이트 Is St Catherine of Alexandria a Fictional Person Based on Hypatia of Alexandria? https://www.ancient-[...] Ancient Origins 2021-08-13
[51] 문서 訳者あとがきp216
[52] 문서 p88
[53] 문서 このイシドーロスは、10世紀の[[スーダ辞典]]では、ヒュパティアの夫とされている人物であるが、イシドーロスはヒュパティア没後に誕生しているため、誤情報である。スーダにも1頁程ヒュパティアについて言及があり、その内容は主にダマスキオスを継承しているが、このように誤情報も加わっているためあまり重要視されていない
[54] 문서 p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