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고라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고라는 2009년 개봉한 스페인 영화로, 4세기 알렉산드리아를 배경으로 여성 철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히파티아의 삶을 그린다. 로마 제국의 쇠퇴와 기독교의 부상, 종교적 갈등 속에서 히파티아의 과학적 탐구와 비극적 죽음을 다루며, 레이첼 와이즈가 히파티아 역을 맡았다. 영화는 시각적 아름다움과 배우들의 연기, 역사적 배경을 높이 평가받았지만, 각본의 혼란, 역사적 사실과의 불일치, 기독교 묘사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역사적 고증과 종교적 논란, 히파티아의 묘사 등이 쟁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학자를 소재로 한 영화 - 운명 (1997년 영화)
    12세기 안달루시아를 배경으로 이슬람 문화의 황금기 속에서 종교적, 정치적 권력 유지를 위한 검열과 탄압에 맞서는 지식인의 고뇌를 그린 1997년 유세프 샤힌 감독의 이집트 영화 《운명》은 누르 엘셰리프, 라이라 엘루이, 마무드 헤미다 등이 출연했다.
  • 동로마 제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정복자 1453
    2012년 튀르키예 영화 정복자 1453은 데브림 에빈이 메흐메트 2세 역을 맡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튀르키예 영화 역사상 가장 많은 제작비가 투입되었으나 역사적 정확성 논란과 부정적 반응에 직면했다.
  • 동로마 제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바이킹: 왕좌의 게임
    2024년 러시아 영화 바이킹: 왕좌의 게임은 키예프 루스 시대를 배경으로 스뱌토슬라프 1세 사후 권력 다툼과 블라디미르 대공의 기독교 개종 과정을 그린 영화로, 시각 효과와 연기는 호평을 받았지만 역사 왜곡과 기독교적 시각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4세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이터널스 (영화)
    클로이 자오 감독의 영화 이터널스는 마블 코믹스 원작을 바탕으로, 수천 년간 인류를 보호해 온 불멸의 외계 종족 이터널스가 데비안츠에 맞서 다시 뭉치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26번째 슈퍼히어로 영화이다.
  • 4세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로마 스캔달
    1933년 제작된 뮤지컬 코미디 영화 로마 스캔달은 에디 캔터가 주연을 맡아 고대 로마 시대로 간 배달원의 모험과 사랑을 코믹하게 그린 작품으로, 다수의 뮤지컬 넘버를 포함하고 유나이티드 아티스츠의 1934년 최고 인기 작품 중 하나였다.
아고라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아고라 티저 포스터
티저 포스터
원제Ágora
로마자 표기Agora
제목 (한국어)알렉산드리아
장르역사 영화, 드라마 영화
제작
감독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제작자페르난도 보바이라, 알바로 아우구스틴
각본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마테오 힐
음악다리오 마리아넬리
촬영샤비 히메네스
편집나초 루이스 카피야스
제작사Mod Producciones, Himenóptero, Telecinco Cinema, Canal+ España, Cinebiss
출연
주연레이첼 바이스
조연맥스 밍겔라, 오스카 아이작
배급
스페인폭스 인터내셔널 프로덕션 (Hispano Foxfilm S.A.E.)
해외포커스 피처스 인터내셔널
일본가가
개봉
프랑스2009년 5월 17일 (제62회 칸 영화제)
스페인2009년 10월 9일
대한민국2011년 2월
일본2011년 3월 5일
기술 정보
상영 시간126분
언어영어
색채컬러
제작비 및 흥행
제작비5천만 유로 (약 7천만 달러)
흥행 수입3,900만 달러
기타
국가스페인

2. 역사적 배경

영화의 배경이 되는 4세기 말~5세기 초 알렉산드리아로마 제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으며,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공존하는 곳이었다.

당시 알렉산드리아는 로마 제국의 일부였으며, 이교도기독교인들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사회적 불안이 커지고 있었다.[14] 기독교인들이 이교 신들의 조각상을 모욕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테온을 포함한 이교도들은 이에 반발하여 기독교인들을 공격했다. 그러나 수적으로 우세한 기독교인들에게 포위되었고,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의 칙령에 따라 세라페움 도서관은 기독교인들의 소유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히파티아와 이교도들은 도서관의 중요한 두루마리들을 지키려 했으나, 결국 도서관은 파괴되었다.[14]

이후 기독교로 개종한 오레스테스는 알렉산드리아의 지방 장관이 되었고, 히파티아는 천동설에 대한 연구를 이어갔다. 한편, 일부 기독교인들은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조롱하며 종교적 권위를 내세우기도 했다.

2. 1. 로마 제국의 쇠퇴와 기독교의 부상

4세기 후반, 로마 제국은 점차 쇠퇴하고 있었으며, 기독교는 급속도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다. 391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선포하고, 다른 종교를 탄압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알렉산드리아에서 종교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이 영화에서 악역으로 묘사되는 키릴루스는 실제로 이교도와 유대인들을 탄압하는 데 앞장섰던 인물이다.[1]

2. 2. 알렉산드리아의 사회·문화적 상황

알렉산드리아헬레니즘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고대 지식의 보고였다. 그러나 기독교의 부상과 함께 이교도들의 전통적인 학문과 문화는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14] 영화는 이러한 알렉산드리아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특히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파괴를 통해 고대 지식의 소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다만, 실제 역사에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정확히 언제, 어떻게 파괴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서기 391년, 알렉산드리아는 로마 제국의 일부였으며, 이교도와 기독교인들 사이의 갈등으로 사회적 불안이 커지고 있었다. 기독교인들이 이교 신들의 조각상을 모욕하자, 테온을 포함한 이교도들은 기독교인들을 공격했다. 그러나 이교도들은 예상치 못한 기독교인 폭도들에게 포위당했고,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의 사절은 이교도들은 용서했지만, 기독교인들이 세라페움 도서관을 소유할 수 있다고 선언했다. 히파티아와 이교도들은 도서관이 파괴되기 전 중요한 두루마리들을 구하려 했지만, 결국 도서관은 기독교인들에 의해 점령되고 파괴되었다.[14]

몇 년 후, 기독교로 개종한 오레스테스는 알렉산드리아의 지방 장관이 되었다. 한편, 일부 기독교인들은 지구가 구형이라는 개념을 조롱하기도 했다.

3. 주요 등장인물

등장인물배우한국어 더빙설명
히파티아레이철 바이스소연테온의 딸이자 무세이온의 관장인 철학자이자 천문학자. 노예인 다부스와 제자 오레스테스의 사랑을 받지만, 과학에 헌신하기 위해 이를 거절한다.
다보스맥스 밍겔라남도형히파티아 아버지의 노예. 히파티아를 짝사랑하지만, 신분 차이와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갈등한다.
오레스테스오스카 아이작김승준히파티아의 제자. 귀족 출신으로 히파티아를 사랑하여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
키릴로스사미 사미르이장원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테오필로스마누엘 카우치키릴로스의 삼촌
암모니우스아쉬라프 바롬안용욱파라발라니 수도승
테온마이클 론즈데일김규식히파티아의 아버지이자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마지막 관장
키레네의 시네시우스루퍼트 에번스신경선히파티아를 사모하는 제자이자, 훗날 키레네주교
아스파시우스호마윤 에르샤디히파티아의 노예이자 연구 조수


3. 1. 히파티아

레이철 와이즈가 연기한 히파티아는 당대 최고의 여성 철학자이자 천문학자였다. 영화는 히파티아의 학문적 열정과 업적, 그리고 종교적 갈등 속에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히파티아는 테온의 딸이자 무세이온의 관장이었다. 그녀는 노예인 다부스와 제자 오레스테스의 사랑을 받지만, 과학에 헌신하기 위해 이를 거절한다. 히파티아는 지동설을 연구하고, 행성이 타원 궤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태양이 초점 중 하나에 있다고 이론화하는 등 뛰어난 과학적 업적을 남겼다(영화적 허구).[4]

그러나 이교도기독교인들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히파티아는 키릴로스를 비롯한 기독교인들에게 마녀로 몰리게 된다. 키릴로스는 히파티아가 오레스테스에게 너무 많은 영향력을 미친다고 보고 그녀를 굴복시키려 한다. 히파티아의 전 제자인 키레네주교 시네시우스가 그녀를 구하려 하지만, 히파티아가 기독교를 받아들이지 않아 실패한다. 결국 히파티아는 기독교인 폭도들에게 붙잡혀 옷이 벗겨지고 산 채로 껍질이 벗겨질 위기에 처한다.[5][6]

히파티아를 사랑했던 노예 다부스는 그녀가 고통받는 것을 막기 위해, 폭도들이 돌을 가지러 간 사이 히파티아를 질식시켜 죽이고 그녀가 기절했다고 말한다. 다부스는 그들이 그녀에게 돌을 던지기 시작하자 떠난다.[7]

3. 2. 다보스

다부스(Davus영어)는 맥스 밍겔라가 연기한 인물로, 히파티아 아버지의 노예이다.[7] 그는 히파티아를 짝사랑하지만, 신분 차이와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갈등한다. 다부스는 히파티아의 수업을 돕고 과학에 관심을 가졌지만, 동시에 그녀를 은밀히 사랑했다.[7]

다부스는 히파티아에 대한 사랑과 떠오르는 기독교 신앙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결국 히파티아가 돌에 맞아 죽을 위기에 처하자 그녀를 안락사시킨다. 그는 여전히 그녀를 사랑하여 그녀가 육체적 고통을 겪는 것을 원치 않았기에 그녀를 질식시켜 죽이기로 결심한다.[7] 다부스는 폭도들에게 그녀가 기절했다고 말하고, 그들이 그녀를 돌로 치기 시작하자 떠난다.

다부스라는 캐릭터는 영화 속 허구 인물이며, 역사적 기록에는 근거하지 않는다. 그는 "관객의 눈"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7]

3. 3. 오레스테스

오스카 아이작이 연기한 오레스테스는 히파티아의 제자였다. 귀족 출신으로, 히파티아를 사랑했으며 그녀와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7] 오레스테스는 훗날 기독교로 개종하여 알렉산드리아의 지방 장관이 되었다. 그는 기독교와 이교도 사이의 갈등을 중재하려 노력했지만, 키릴로스는 히파티아가 오레스테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여겨 그를 압박했다. 결국 오레스테스는 히파티아를 굴복시키려는 키릴로스의 공개 의식에 휘말리게 된다.

3. 4. 키릴로스

사미 사미르가 연기한 키릴로스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기독교의 권위를 이용하여 이교도와 유대인을 탄압하는 인물이다. 그는 히파티아가 오레스테스에게 너무 많은 영향력을 미친다고 보고, 오레스테스가 그녀를 굴복시키도록 강요하는 공개 의식을 연출한다. 키릴로스는 기독교인 폭도들에게 히파티아가 마녀라고 설득하고, 그들은 그녀를 죽이겠다고 맹세한다. 결국 히파티아는 키릴로스의 선동으로 인해 죽음에 이르게 된다.

4. 영화의 주제와 갈등

영화는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지배적인 종교로 부상하던 서기 391년 알렉산드리아를 배경으로, 다양한 갈등과 그 속에서 고뇌하는 인물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히파티아알렉산드리아 대도서관의 책임자인 테온의 딸이자 저명한 천문학자였다. 그녀는 플라톤주의 학교에서 미래의 지도자들을 가르치며, 제자 오레스테스와 노예 다부스의 사랑을 받지만 이를 거부하고 학문에 전념한다.

당시 알렉산드리아는 이교기독교 간의 종교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었다. 기독교도들이 이교 신상을 모욕하자, 히파티아의 아버지 테온을 포함한 이교도들은 이에 맞서 싸웠으나 수적으로 열세였다. 결국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는 기독교도들의 편을 들었고, 알렉산드리아 대도서관은 파괴되었다.[2]

이러한 종교적 갈등 속에서 히파티아는 천동설에 의문을 품고 지동설을 뒷받침할 증거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했다.

4. 1. 종교와 과학의 갈등

영화의 중심 갈등 중 하나는 기독교와 과학(천문학)의 대립이다. 히파티아는 과학적 진리를 추구하지만, 기독교는 교리에 어긋나는 과학적 발견을 억압하려고 한다. 특히, 지동설은 당시 기독교의 세계관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이론이었다.

히파티아는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제안한 지동설을 연구하기 위해 움직이는 배의 돛대에서 물체를 떨어뜨려 지구의 가능한 움직임이 지구상의 떨어지는 물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연했다. 그러나 지동설에 대한 종교적 반대로 인해 기독교인들은 히파티아가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을 금지했다.

영화는 히파티아가 지구가 원형 궤도가 아닌 타원 궤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태양이 초점 중 하나에 있다고 이론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4. 2. 기독교와 이교의 갈등

영화에서 기독교도들과 이교 신봉자들(그리스-로마 다신교) 사이의 갈등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기독교도들은 이교 신들의 조각상을 모욕하며 갈등을 일으켰고, 이에 테온을 포함한 이교도들은 기독교도들을 공격했다. 하지만 이교도들은 수적으로 우세한 기독교도들에게 포위당했고,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기독교도들의 편을 들어 도서관을 차지하게 했다.[2] 히파티아와 이교도들은 도서관의 중요한 두루마리들을 지키려 했지만, 결국 도서관은 기독교도들에 의해 파괴된다.[2]

4. 3. 기독교와 유대교의 갈등

영화에서 키릴루스를 비롯한 그리스도교도들은 이교도 숙청에 성공한 후, 알렉산드리아의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유대인을 표적으로 삼았다. 유대인, 로마 관리, 그리스도교도들이 모인 알렉산드리아 회담장에서 유대인은 "예수도 유대인이었소!"라고 항변하며 그리스도교도들의 근본 없음을 비판했다.

그러나 키릴루스가 이끄는 그리스도교도들은 유대교와 격렬한 갈등을 겪는다.

5. 제작 과정

역할담당
라인 프로듀서호세 루이스 에스코라
미술가이 헨드릭스 디아스
세트래리 디아스
특수음향펠릭스 베르게스
시각효과크리스 레이놀즈
분장잔 스웰
헤어수잔 스톡스-먼튼
의상가브리엘라 페스쿠치
배역지나 제이, 에드워드 세이드


5. 1. 개발

아메나바르는 《씨 인사이드》(2004)를 완성한 후 휴식을 취하며 몰타 섬으로 여행을 떠났고, 그곳에서 밤하늘을 탐험하며 아마추어 천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은하수를 보면서 친구들과 외계 생명체와 외계 행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고, 천문학을 더 깊이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미국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스페셜 보이스》를 읽고 큰 영향을 받았다.[10] 또한 프톨레마이오스, 코페르니쿠스, 요하네스 케플러, 갈릴레오와 같은 역사적 인물들을 연구했지만, 그중에서도 4세기 그리스 천문학자 히파티아의 이야기에 매료되었다. 아메나바르는 히파티아의 역사가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느꼈다.[12]

''이 영화는 관객들에게 추론의 측면에서, 그리고 이야기에 몰입하려는 측면에서 도전을 던집니다. 저는 계속 이 영화가 천문학에 관한 것이라고 말했고,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는 개념들—과학, 수학—이 얼마나 매혹적인 주제인지를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현대 교육에서 가르치는 방식으로는]. 저는 지식 추구에 대한 [인간의] 매력을 번역하고 싶었습니다. 저는 천문학과 그것을 연구하는 사람들을 가장 매력적인 방식으로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그들이야말로 이 영화의 진정한 영웅입니다.''영어[9]

아메나바르는 컴퓨터 그래픽에 의존하지 않고 고대 알렉산드리아 도시를 재현하기 위해 《십계》(1956), 《벤허》(1959), 《파라오》(1966)와 같은 이전의 검과 샌들 영화들을 참고했다.[10] 사전 제작 1년 전, 디자이너 가이 헨드릭스 다이어스는 아메나바르와 함께 마드리드에서 3주 동안 세트 디자인과 고대 알렉산드리아 도시 재현에 대한 예비 작업을 진행했다.

이 영화는 텔레신코 시네마가 MOD 프로덕션, 히메노프테로와 함께 주 제작사로 참여하고, 카날+ 에스파냐가 참여하여 페르난도 보바이르가 제작했다.[13][14]

5. 2. 촬영

주요 촬영은 2008년 3월 17일 몰타 섬에서 시작되었으며, 15주 동안 진행될 예정이었다.[15]

몰타 촬영 중 배우 오스카 아이삭, 감독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프로덕션 디자이너 가이 헨드릭스 디아스
]프로덕션 디자이너 가이 헨드릭스 디아스는 아메나바르의 지시에 따라 컴퓨터 그래픽(CGI) 대신 세트와 로케이션을 혼합하여 사용했다.[16] 세트 건설에는 거의 400명이 고용되었으며, 몰타 섬에서 설계된 최대 규모였다. 배우 찰스 테이크(헤시퀴우스 역)는 한 장면에서 엑스트라들과 충돌하여 가벼운 안면 부상을 입었다.[17] 촬영은 6월에 종료되었다.[9]

6. 영화에 대한 평가 및 논란

《아고라》는 개봉 이후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기독교 단체들은 이 영화가 기독교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기독교 혐오를 조장한다고 비판했다.[30] 스페인의 종교 반명예훼손 관측소는 이 영화가 가톨릭 교회에 대한 거짓된 고정관념을 강화한다고 주장했다.[30]

그러나 일부 기독교인들은 영화의 메시지에 공감하며, 종교적 광신과 불관용에 대한 경고로 받아들였다.[32] 뉴욕의 필립 그레이 목사는 히파티아가 기독교의 이름으로 자행된 폭력에 반대했지만, 오히려 박해자들보다 기독교의 가르침을 더 잘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고 언급했다.[32] 반면,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마이클 오르도냐는 이 영화가 "기독교에 대한 경멸적인 태도"로 비판받았지만, "특정 교리에 대한 비난이 없어서 이 영화의 표적이 근본주의 일반인 것처럼 보인다"라고 평했다.[31]

역사적 정확성 측면에서도 논란이 있었다. 영화는 히파티아가 지동설을 연구하고 행성의 타원 궤도를 발견했다는 설정을 하고 있으나, 이는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을 받는다.[44][36][48]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제안한 헬리오 중심설을 히파티아가 연구하거나, 이를 뒷받침할 증거를 찾았다는 역사적 증거는 없다.[44][36][48] 또한, 히파티아가 무신론자였다는 암시는 그녀가 신플라톤주의자였다는 역사적 사실과 모순된다.[48][53]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파괴 역시 영화에서는 기독교도들에 의해 자행된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도서관의 파괴 시기와 원인이 불분명하다.[49] 영화 속 로마 군인들의 복장도 시대적 배경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다.[36]



아이린 A. 아르테미는 "영화는 기독교 종교에 반하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지만, 사실 기독교인들을 근본주의자, 몽매주의자, 무지하고 광신적인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고 평가한다.[55]

6. 1. 비평적 반응

《아고라》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국의 작가이자 영화 평론가인 피터 브래드쇼는 가디언에서 "야심차고 지적이며 복잡한 영화... 대부분의 토가 영화와 달리, CGI 볼거리에 의존하지 않고, 실제 드라마와 아이디어를 보여준다"라고 묘사하며, 히파티아 역을 맡은 레이첼 와이즈의 연기를 "뛰어난 연기"라고 칭찬했다.[27] 미국의 시나리오 작가이자 평론가인 로저 이버트는 별 4개 중 3개를 주면서, "칼, 샌들, 섹스가 나오는 대서사시를 기대하며 ''아고라''를 보러 갔다. 칼과 샌들, 섹스에 대한 몇 가지 예상치 못한 의견, 그리고 훨씬 더 많은 것을 발견했다"라고 평가했다.[28]

토드 맥카시는 ''버라이어티''에서 ''시각적으로 인상적이고 고결한 대서사시로, 서양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를 야심차게 처음으로 스크린에 담아냈다.''라고 평했다.[26]

반면, 로튼 토마토에서는 9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5.7/10의 평균 점수를 받으며 53%의 긍정적 평가를 기록했다. 웹사이트의 평론가 의견은 "고귀한 목표와 레이첼 와이즈의 몰입도 높은 연기에도 불구하고, ''아고라''는 혼란스러운 각본, 고르지 못한 연기, 그리고 끊어진 편집으로 인해 실패했다"이다.[33]

6. 2. 종교적 논란

《아고라》는 기독교를 부정적으로 묘사했다는 이유로 일부 기독교 단체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특히, 스페인의 종교 반명예훼손 관측소는 이 영화가 기독교 혐오를 조장하고 가톨릭 교회에 대한 거짓된 고정관념을 강화한다고 주장했다.[30]

그러나 일부 기독교인들은 영화의 메시지에 공감하며, 종교적 광신과 불관용에 대한 경고로 받아들였다. 뉴욕의 필립 그레이 목사는 이 영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영화 속 광신적이고 살인적인 수도사에게서 자신을 발견하고 불쾌감을 느끼는 기독교인들은 진지한 자기 성찰을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히파티아가 기독교의 이름으로 자행된 폭력에 반대했지만, 오히려 박해자들보다 기독교의 가르침을 더 잘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고 언급하며, 특히 마지막 장면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히파티아의 모습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떠올렸다고 덧붙였다.[32]

반면,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마이클 오르도냐는 이 영화가 "기독교에 대한 경멸적인 태도"로 비판받았지만, "특정 교리에 대한 비난이 없어서 이 영화의 표적이 근본주의 일반인 것처럼 보인다"라고 평했다.[31]

6. 3. 역사적 정확성 논란

아고라》는 히파티아가 지동설을 연구하고 행성의 타원 궤도를 발견했다는 설정을 하고 있으나, 이는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을 받는다.[44][36][48]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제안한 헬리오 중심설을 히파티아가 연구하거나, 이를 뒷받침할 증거를 찾았다는 역사적 증거는 없다.[44][36][48] 안토니오 맘파소는 히파티아의 저작은 남아있는 것이 없지만, 2차 자료에 따르면 그녀의 주요 연구 분야는 기하학과 천문학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맘파소는 히파티아가 오늘날에도 사용되는 수압계를 발명했으며, 알렉산드리아의 테온이 히파티아와 함께 천구의를 발명했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는 의심스러운 주장이다.[38] 천구의는 이미 수 세기 전에 발명되었으며, 그리스 시대 이전부터 그 기구가 알려져 있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39][40] 수압계 또한 히파티아보다 먼저 발명되었고, 그녀 시대에도 이미 알려져 있었다.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는 히파티아가 태어나기도 전에 수압계를 사용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시네시우스는 히파티아에게 수압계에 대해 설명하고, 그를 위해 하나를 제작해 달라고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41][42][43]

영화는 히파티아가 무신론자였음을 암시하는데,[48] 이는 그녀가 "신과의 신비로운 합일"을 목표로 하는 플로티누스의 가르침을 따르는 신플라톤주의자였다는 역사적 사실과 모순된다.[48][53]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파괴 역시 영화에서는 기독교도들에 의해 자행된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도서관의 파괴 시기와 원인이 불분명하다.[49] 영화에서 교황 테오필루스의 명령에 따라 기독교 폭도들이 "대도서관"을 불태우는 모습이 나타난다.[48] 그러나 히파티아가 태어날 당시에는 역사적인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대한 기록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49] 무세이온의 구성원으로 활동한 마지막 언급은 서기 260년대였다.[50] 테온은 "무세이온"이라는 학교의 교장이었지만,[50] 아마도 무세의 헬레니즘 컬트를 따서 명명된 다른 학교였을 것이다.[50] 영화에는 대부분의 사건이 일어나는 도서관이 "딸" 도서관이라는 매우 짧은 언급이 있다.[36][48] 비록 알렉산드리아의 세라피움이 한때 대도서관의 두루마리를 소장하고 있었지만,[36][48] 서기 391년 파괴 당시 두루마리가 있었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그 이전의 일부 자료에서는 과거형으로 언급하고 있다).[48][51]

영화 속 로마 군인들은 서기 1세기에 사용된 갑옷과 무기를 착용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36] 영화는 서기 5세기를 배경으로 하며, 당시 로마군은 더 이상 분할 갑옷을 착용하지 않았고 대신 비늘 갑옷 또는 사슬 갑옷을 착용했을 것이다.[45][46][47]

아이린 A. 아르테미는 "영화는 기독교 종교에 반하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지만, 사실 기독교인들을 근본주의자, 몽매주의자, 무지하고 광신적인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고 말한다.[55]

참조

[1] 웹사이트 Fox picks up Spanish rights to Amenabar's Agora https://www.screenda[...] 2009-07-13
[2] 웹사이트 Agora https://www.boxoffic[...] IMDb 2021-07-04
[3] 웹사이트 Film #33537: Agora http://lumiere.obs.c[...] 2021-07-04
[4] 웹사이트 "Agora" entrevista Rachel Weisz https://www.youtube.[...] Zona Trailer 2021-07-04
[5] 뉴스 Hypatia, history and a never-ending story https://www.smh.com.[...] 2009-05-19
[6] 웹사이트 Rachel Weisz in Cannes for Agora https://www.youtube.[...] Films & Stars 2021-07-04
[7] 웹사이트 En primicia: Max Minghella y Oscar Isaac, estrellas de 'Ágor https://www.youtube.[...] HolaTV.com 2009-10-09
[8] 웹사이트 Agora - Oscar Isaac https://www.youtube.[...] Estrenos de Cine 2009-10-08
[9] 뉴스 Interview: Alejandro Amenabar on Agora http://www.scottholl[...] scottholleran.com 2010-05-30
[10] 뉴스 Cannes Interview: Agora Director Alejandro Amenábar https://www.firstsho[...] First Showing 2009-05-26
[11] 뉴스 At Cannes: Alejandro Amenabar's provocative new historical thriller https://latimesblogs[...] 2009-05-17
[12] 뉴스 Weisz, Amenabar preach enlightenment with 'Agora' https://www.theguard[...] 2009-05-17
[13] 웹사이트 Amenábar se pone épico https://www.elmundo.[...] 2019-02-24
[14] 뉴스 Agora Starts Shooting Stars https://www.4rfv.co.[...] 2008-03-13
[15] 뉴스 Bovaira takes wraps off 'Agora' https://www.hollywoo[...] 2008-03-14
[16] 뉴스 Indie Focus: In 'Agora,' a faceoff between faith and science https://www.latimes.[...] 2010-05-30
[17] 뉴스 Charles Thake sustains minor injuries on 'Agora' set http://www.maltatoda[...] 2008-04-16
[18]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Agora https://www.festival[...] 2009-05-17
[19] 논문 Epic Bow for 'Agora' 2009-10-22
[20] 뉴스 Il film che l'Italia non vedrà http://www.scienceon[...] 2009-07-10
[21] 간행물 'Agora' Finds Distrib 2009-11-18
[22] 간행물 'Agora' Reigns in Spain 2009-10-04
[23] 웹사이트 Newmarket Films: Agora http://newmarketfilm[...] Newmarket Films
[24] 문서 Blu-Ray.com release info for Agora http://www.blu-ray.c[...]
[25] 문서 Amazon.com page for Agora https://www.amazon.c[...]
[26] 간행물 Agora https://variety.com/[...] 2009-05-25
[27] 뉴스 Agora https://www.theguard[...] 2010-04-22
[28] 뉴스 'Agora' review by Roger Ebert https://www.rogerebe[...]
[29] 문서 The film uses a partial paraphrase of 1 Timothy 2:8 - 2:12, King James Version http://www.biblegate[...]
[30] 뉴스 Civil groups protest new anti-Christian film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31] 뉴스 Movie review: 'Agora' shows the true casualty of war https://www.latimes.[...] 2010-06-04
[32] 문서 Rev. Philip B. Grey, "Real and perceived Christianity in today's mass media and popular culture" in 'Positive Christianity Review', Summer 2010 issue, p. 26, 29.
[33] 웹사이트 Agora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34] 뉴스 Holiday Box Office: "Agora," "Micmacs" Post Decent Debuts; Restored "Breathless" Scores (UPDATED) https://www.indiewir[...] indieWire 2020-04-20
[35] 웹사이트 HIFF And Alfred P. Sloan Foundation Celebrate Ten Years https://www.hamptons[...] Hamptons
[36] 뉴스 Hypatia and Agora Redux=''Armarium Magnum'' http://armariummagnu[...] 2021-07-04
[3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cience: Volume 2, Mediev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38] 웹사이트 'El mejor legado de Hipatia es su propia historia' https://www.agencias[...] Organization of Ibero-American States (OEI) 2021-07-04
[39] 문서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Greek astrologers, in either the 1st or 2nd centuries BCE, invented the astrolabe'
[40] 문서 'The invention of the astrolabe is usually attributed to Hipparchus of the second century BC. But there is no firm evidence to support this view. It is however certain that the instrument was well known to the Greeks before the beginning of the Christian era.'
[41] 문서 "Ep. 15 is rather short, but gives interesting information: it contains a detailed description of a hydroscope which Synesius asks Hypatia to order for him in Alexandria, requesting that she herself oversee its construction."
[42] 문서 'For the sake of completeness we must mention that fact that SYNESIOS in his letter to HYPATIA mentions a hydrometer, which according to some was already known in the fourth century AD to PRISCIANUS, that is a century before SYNESIOS and HYPATIA.'
[43] 문서 'In 402, Hypatia receives a letter from the ailing Synesius giving a brief description of what he calls a hydroscope. This is a scientific instrument which was then in common use, although Hypatian is often credited with its invention.'
[44] 서적 Hypatia: The Life and Legend of an Ancient Philosopher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45] 서적 Medieval Weapons: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ir Impact ABC-CLIO
[46] 웹사이트 Scale (Lorica Squamata) http://rubens.anu.e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5-06-20
[47] 문서 "Military Equipment and Weaponry: A Bibliographic Essay"
[48] 서적 The Modern Cultural Myth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49] 간행물 Alexandria: Library of Dreams https://www.jstor.or[...] 2002
[50] 서적 City and School in Late Antique Athens and Alexandr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1] 간행물 Demise Of The Daughter Library https://brill.com/vi[...] 2008
[52] 문서 "Reconstructing the Serapeum in Alexandria from the Archaeological Evidence"
[53] 문서 "Agora", in ''The Encyclopedia of Epic Films'', Scarecrow Press (2014), 6, notes that it is a "historical embellishment" without evidence, but upholds it as a "narrative device".
[54] 뉴스 Christians must resist dangerous silliness of 'Agora' http://www.catholicn[...] 2011-02-11
[55] 뉴스 The historical inaccuracies of the movie "AGORA" by Alejandro Amenabar https://www.impantok[...] Orthodoxos Typos 2021-07-04
[56] 서적 Hypatia: The Life and Legend of an Ancient Philosopher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57] 웹사이트 Agora (2009) https://www.boxoffic[...] 2011-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