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메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메리아는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감시탑의 도시"라는 뜻의 아랍어에서 유래되었다. 9세기부터 페치나 공화국의 무역항으로 발전했으며, 코르도바 칼리파국, 타이파, 알모라비드, 알모하드 왕조의 지배를 거쳐 1489년 가톨릭 군주에게 복속되었다. 16세기 지진과 무슬림 추방, 해적의 공격 등 어려움을 겪었으나, 18세기 이후 농업과 해상 무역이 발전했다. 현재는 온실 농업이 발달하여 유럽 채소 공급의 중심지이며, 관광, 영화 촬영, 교통의 요지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메리아 - 알보란섬
    알보란섬은 지중해에 위치한 스페인령 화산섬으로, 검은머리갈매기 번식지이자 철새의 중간 기착지이며, 알보라나이트가 발견되고 멸종 위기 식물이 서식하며, 알메리아 자치시에 속한다.
  • 알메리아도의 자치체 - 엘에히도
    엘에히도는 스페인 알메리아에 위치한 도시로, 광대한 온실 단지 덕분에 "유럽의 정원" 또는 "플라스틱 바다"로 불리며 비닐하우스 농업을 중심으로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고, 1981년 달리아스에서 분리되어 자치제가 되었으며, 2000년에는 이민자 관련 폭동이 발생하기도 했다.
  • 알메리아도의 자치체 - 아드라
    아드라는 페니키아인에 의해 세워져 로마 제국 시대에 번성했고, 스페인 내 무어인의 마지막 거점이었으며, 16세기 방어벽이 건설되었고, 2020년 기준 25,412명이 거주하며 아드라 박물관과 축제 등의 문화적 특징을 가지며, 알부페라 데 아드라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스페인의 항구 도시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항구 도시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알메리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알메리아
모토매우 고귀하고, 매우 충성스럽고 자유를 향해 결연한: 알메리아 시
설립955년
설립자압드 알 라흐만 3세
면적12.36 제곱킬로미터
인구 (2023년)199,237 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명칭알메리엔세스, 우르시타노스
시간대CET
UTC 오프셋+1
일광 절약 시간제CEST
UTC 오프셋 (DST)+2
고도24 미터
최소 고도0 피트 (지중해)
최대 고도1387 미터 (피코 콜라티비)
우편 번호04001-04090
지역 번호(+34) 950
차량 등록 번호AL
웹사이트알메리아 시청
로마자 표기Almería
행정 구역
국가스페인
자치 지방안달루시아
알메리아 도
코마르카알메리아 광역 코마르카
정치
정부 기관알메리아 시의회
시장라몬 페르난데스-파체코 (PP)
기후
평균 최고 기온 (1월)16.5 °C
평균 최고 기온 (2월)17.6 °C
평균 최고 기온 (3월)19.3 °C
평균 최고 기온 (4월)21.3 °C
평균 최고 기온 (5월)24.1 °C
평균 최고 기온 (6월)27.7 °C
평균 최고 기온 (7월)30.4 °C
평균 최고 기온 (8월)30.7 °C
평균 최고 기온 (9월)28.3 °C
평균 최고 기온 (10월)24.3 °C
평균 최고 기온 (11월)19.8 °C
평균 최고 기온 (12월)17.4 °C
연간 평균 최고 기온23.1 °C
평균 최저 기온 (1월)7.1 °C
평균 최저 기온 (2월)7.9 °C
평균 최저 기온 (3월)9.5 °C
평균 최저 기온 (4월)11.4 °C
평균 최저 기온 (5월)14.2 °C
평균 최저 기온 (6월)17.7 °C
평균 최저 기온 (7월)20.3 °C
평균 최저 기온 (8월)20.7 °C
평균 최저 기온 (9월)18.2 °C
평균 최저 기온 (10월)14.0 °C
평균 최저 기온 (11월)10.0 °C
평균 최저 기온 (12월)8.1 °C
연간 평균 최저 기온13.3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1월)23.2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2월)28.0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3월)33.0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4월)35.0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5월)37.4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6월)40.0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7월)40.0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8월)41.2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9월)39.8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10월)33.0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11월)28.0 °C
월간 최고 기록 기온 (12월)25.8 °C
연간 최고 기록 기온41.2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1월)1.0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2월)0.1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3월)6.0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4월)8.4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5월)10.4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6월)12.0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7월)14.8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8월)10.1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9월)1.6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10월)3.1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11월)2.0 °C
월간 최저 기록 기온 (12월)0.1 °C
연간 최저 기록 기온0.1 °C
월간 강수량 (1월)24 mm
월간 강수량 (2월)25 mm
월간 강수량 (3월)16 mm
월간 강수량 (4월)17 mm
월간 강수량 (5월)12 mm
월간 강수량 (6월)5 mm
월간 강수량 (7월)1 mm
월간 강수량 (8월)1 mm
월간 강수량 (9월)14 mm
월간 강수량 (10월)27 mm
월간 강수량 (11월)28 mm
월간 강수량 (12월)30 mm
연간 총 강수량200 mm
강수일 (1월)2.9 일
강수일 (2월)2.9 일
강수일 (3월)2.6 일
강수일 (4월)2.6 일
강수일 (5월)1.9 일
강수일 (6월)0.6 일
강수일 (7월)0.3 일
강수일 (8월)0.3 일
강수일 (9월)1.5 일
강수일 (10월)2.8 일
강수일 (11월)3.6 일
강수일 (12월)3.3 일
연간 총 강수일25.4 일
습도 (1월)67%
습도 (2월)67%
습도 (3월)65%
습도 (4월)62%
습도 (5월)63%
습도 (6월)61%
습도 (7월)60%
습도 (8월)62%
습도 (9월)64%
습도 (10월)66%
습도 (11월)67%
습도 (12월)68%
이미지
알메리아 깃발
깃발
알메리아 문장
문장
알카사바
알카사바
케이블 잉글레스
케이블 잉글레스
파노라마 전경
파노라마 전경
시청 건물
시청
대성당
대성당

2. 역사

알메리아의 역사는 9세기 코르도바로부터 자치를 누렸던 페치나 공화국과 관련이 깊다. 현재 알메리아는 페치나의 작은 무역항으로 시작하여, 933년 압드 알라흐만 3세 통치 시기 칼리파 해군의 기지가 되면서 발전했다. 955년에는 성벽이 건설되었고,[2] 비단 산업과 노예 무역으로 번영했다.

11세기 초 코르도바 칼리파국 붕괴 이후, 알메리아는 독립적인 타이파가 되었다가, 알모라비드, 알모하드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이 시기 알메리아는 알-안달루스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로 성장했으며, 지중해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이슬람 금화


1147년 알폰소 7세가 이끄는 기독교 군대에 일시 점령되기도 했지만, 곧 알모하드 왕조가 재탈환했다. 이후 그라나다 에미르국에 편입되어 말라가와 함께 주요 항구 도시로 기능했다.

1489년 가톨릭 군주에게 함락된 후, 알메리아는 쇠퇴의 길을 걸었다. 바바리 해적의 공격과 잦은 지진, 무슬림 추방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6세기에는 1522년 대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었고, 알푸하라스 전쟁 이후 무슬림들이 추방되었다. 바바리 해적의 공격은 18세기 초까지 계속되었다. 19세기에는 철광 발견과 외국 자본 유입으로 잠시 번영을 되찾았으나, 스페인 내전 당시 독일 해군의 포격을 받는 등 다시 시련을 겪었다.

20세기 후반, 알메리아는 관광 산업과 집약 농업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플라스틱 온실을 이용한 채소 생산은 알메리아 경제의 중요한 축이 되었다.

2. 1. 선사 시대 및 고대

알메리아 북서쪽에 있는 산타페데몬두하르(Santa Fe de Mondújar)에는 청동기 시대 로스밀라레스 유적이 있다. 이것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주거지 유적으로, 기원전 5000년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77] 알메리아 북부의 베나하둑스(Benahadux)에도 로스밀라레스 유적이 있으며, 기원전 2500~2000년 것으로 추정된다. 엘알가르(El Argar)라고 불리는 청동기 시대 문화권은 기원전 2300~1500년경까지 알메리아 일대에 존재했다.

이러한 내륙 지역(현재의 페치나)에서는 우르치(Urci) 또는 우르키(Urki)(기원전 5세기~2세기)라고 불리는 마을이 이베리아 원주민에 의해 형성되었다. 해안 근처에는 소규모 주거지가 산재해 있었으며, 그 흔적은 알메리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당시 해안선은 현재보다 내륙 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8세기에는 페니키아인들이 식민지를 형성했고, 아브데라(현재의 아드라, 알메리아 주 서부)와 바리아(현재의 비야리코스(Villaricos), 알메리아 주 동부)가 가장 중요한 도시였다. 이들은 모두 상업과 어업의 중심지였으며, 그리스 항해사들과 교역을 유지했다. 페니키아인들의 지배는 카르타고인들의 지배로 바뀌었는데, 이는 페니키아 문명이 이베리아 반도 남서부 전역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이 지배는 기원전 209년 제2차 포에니 전쟁으로 종식되었다. 페니키아와 카르타고 시대의 유적은 베라, 로스벨레스, 다리아스 등 여러 곳에 남아 있다.

2. 2. 이슬람 시대

알메리아라는 이름은 도시의 이전 아랍어 이름인 "마디낫 알 마리야(Madīnat al-Mariyya)"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감시탑의 도시"를 의미한다.[8] 처음에는 ''마리야트 알 바자나(Mariyyat al-Bajjāna)''(바자나(Bajjāna)는 페치나의 아랍어 이름)로 알려졌다.[9]

알메리아는 9세기에 북쪽으로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세워진 페치나 공화국(바하나)과 관련이 있으며, 코르도바 중앙 정부로부터 한때 자치를 누렸다. 오늘날의 알메리아는 처음에 알-마리야 바하나로 알려진 페치나의 작은 무역항으로 발전했다. 페치나와 그 항구는 서로 다른 운명을 겪었는데, 페치나는 점차 인구가 감소한 반면, 후자는 933년 압드 알라흐만 3세 통치 기간 동안 칼리파 해군의 기지가 되었다. 955년 압드 알라흐만 3세는 성벽을 세우기로 결정했다.[9] 수백 개의 베틀로 이루어진 비단 산업은 그 지역에 심어진 뽕나무에서 공급받아 알메리아의 경제를 촉진했다. 알메리아는 칼리파 시대에 중요한 노예 무역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11세기 초 코르도바 칼리파국의 붕괴 이후, 알메리아는 1014년경 코르도바 당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슬라브 소왕들의 지배하에 독립적인 타이파가 되었다. 1038년 발렌시아 타이파에 복속되었지만, 곧 새로운 타이파로 독립하여 아랍계 바누 수마디가 1091년 알모라비드의 지배를 받을 때까지 통치했다. 이는 알메리아의 경제가 알모라비드 제국의 무역 네트워크에 편입될 수 있게 했다. 칼리파 시대의 이전 발전을 토대로 알메리아는 11세기와 12세기 동안 역사적 중요성을 달성하여, 알-안달루스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알메리아는 마그레브에서 인디고 염료와 양모를, 이집트에서 린넨을 수입했고, 페즈와 틀렘센구리와 고가의 직물을 수출했다.

알폰소 7세는 1147년 7월 11일부터 카탈루냐인, 제노바인, 피사인, 프랑크인의 혼성군을 이끌고 십자군을 이끌었고, 알메리아는 1147년 10월 17일에 함락되었다.

10년 후인 1157년, 알메리아는 무슬림 알모하드 통치자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알메리아는 곧 반란을 일으킨 무르시아 에미르 이븐 마르다니쉬(1165~1169)의 일시적인 지배를 받게 되어, 도시의 초기 회복 노력을 방해했으며, 10년간의 기독교 점령 기간 동안 인구가 감소하고 대체로 파괴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알모하드 통치 기간 동안 도시는 이전의 번영을 회복하지 못했지만, 항구는 아라곤 왕관과 이탈리아 공화국과 무역을 계속했다.

바누 후드와 바누 마르다니스와 같은 세력이 알모하드 통치에 반란을 일으킨 후, 알메리아는 1228년 흑기를 들고 압바스 당국에 명목상 충성을 맹세한 이븐 후드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238년 알메리아에서 이븐 후드가 암살된 후, 이베리아 반도에 남아 있던 무슬림 통치 지역의 대부분은 1232년 이후 술탄이 된 경쟁자인 이븐 알 아흐마르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1238년 그의 에미르국 수도를 그라나다에 세웠고, 그라나다 에미르국을 구성했으며, 알메리아는 그 이후로 그라나다 에미르국에 속하게 되었다. 나스르 왕조 시대 내내 상대적으로 침체되었지만, 알메리아는 말라가와 함께 에미르국의 주요 전략적 항구이자 해적과 정치 반체제 인사들의 피난처로 남았다. 아라곤과 아프리카 항구 호나인과 활발한 무역 관계를 유지했다. 알메리아는 1309년 아라곤군의 잔혹한 공성전을 겪었는데, 결국 실패했지만 도시는 큰 피해를 입었다.

2. 3. 중세 및 근세

알메리아의 기원은 9세기에 북쪽으로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세워진 페치나 공화국(바하나)과 관련이 있으며, 한때 코르도바 중앙 정부로부터 자치를 누렸다. 오늘날의 알메리아는 처음에 알-마리야 바하나로 알려진 페치나의 작은 무역항으로 발전했다.[1] 933년 압드 알라흐만 3세 통치 기간 동안 칼리파 해군의 기지가 되었고,[1] 955년에는 성벽이 세워졌다.[2] 수백 개의 베틀로 이루어진 비단 산업은 그 지역에 심어진 뽕나무에서 공급받아 알메리아의 경제를 촉진했으며,[1] 노예 무역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3]

11세기 초 코르도바 칼리파국의 붕괴 이후, 알메리아는 1014년경 슬라브 소왕들의 지배하에 독립적인 타이파가 되었다.[4] 1038년 발렌시아 타이파에 복속되었지만, 곧 새로운 타이파로 독립하여[4], 아랍계 바누 수마디가 1091년 알모라비드의 지배를 받을 때까지 통치했다. 이는 알메리아의 경제가 알모라비드 제국의 무역 네트워크에 편입될 수 있게 했다.[5] 알메리아는 11세기와 12세기 동안 알-안달루스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로 성장했다.[5] 마그레브에서 인디고 염료와 양모를, 이집트에서 린넨을 수입했고, 페즈와 틀렘센구리와 고가의 직물을 수출했다.[5]

1147년에는 알폰소 7세가 이끄는 기독교 군대에 의해 점령되기도 하였으나, 1157년 무슬림 알모하드 통치자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8] 이후 이븐 마르다니쉬(1165~1169)의 일시적인 지배를 받으며 도시 회복이 더뎌졌고,[10] 10년간의 기독교 점령 기간 동안 인구 감소와 파괴를 겪었다.[9] 알모하드 통치 기간 동안 항구는 아라곤 왕관과 이탈리아 공화국과 무역을 계속했다.[17]

1228년 이븐 후드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나,[18] 1238년 이븐 후드 암살 이후[18][17] 이븐 알 아흐마르가 그라나다 에미르국을 세우면서 알메리아는 그라나다 에미르국에 속하게 되었다. 나스르 왕조 시대에 알메리아는 말라가와 함께 주요 전략적 항구이자 해적과 정치 반체제 인사들의 피난처로 남았다.[17] 아라곤, 아프리카 항구 호나인과 활발한 무역 관계를 유지했다.[17] 1309년 아라곤군의 공성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17]

1489년 12월 22일 가톨릭 군주에게 복속되었다.[11] 고립된 위치와 바바리 해적의 공격으로 인해 도시로서의 존속 자체가 위협받았다.[12] 10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으나, 유대인 추방 이후 북아프리카로 도망쳤다.[13]

16세기는 알메리아에게 천재지변과 인재가 빈번했던 시대였다. 적어도 네 번의 지진이 있었고, 그중 1522년 지진은 도시를 파괴했다. 알푸하라스 전쟁 이후 1568년 무슬림들은 추방되었다. 바바리 해적들의 공격은 18세기 초까지 계속되었다.

2. 4. 근대 및 현대

알메리아는 16세기에 천재지변과 인재가 빈번했던 시기를 겪었다. 적어도 네 번의 지진이 있었고, 그중 1522년 지진은 특히 격렬하여 도시를 파괴했다. 알푸하라스 전쟁 이후 1568년 알메리아에 남아 있던 무슬림들은 추방되어 카스티야 왕관 전역에 흩어졌다. 바바리 해적들의 상륙과 공격은 16세기에도 빈번했으며, 18세기 초까지 계속되었다. 그 당시 거대한 철광이 발견되었고 프랑스와 영국 회사들이 그 지역에 사업을 설립하여 알메리아에 새로운 번영을 가져다주고 스페인 내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되찾게 했다.[12]

스페인 내전 동안 이 도시는 독일 해군에 의해 포격을 받았다.[14] 알메리아는 1939년 함락되어 안달루시아 주요 도시 중 마지막으로 프랑코 세력에 함락되었다.

20세기 후반, 알메리아는 관광과 집약적인 농업으로 인해 엄청난 경제 성장을 경험했으며, 대규모 ''인베르나데로스''(플라스틱으로 덮인 온실)에서 일년 내내 작물을 재배하여 집약적인 채소 생산을 했다.

프랑코 사망 후 새로운 스페인 헌법이 승인되면서 남스페인 주민들은 안달루시아 지방의 자치 지위를 승인하는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알메리아 주에서 국민투표는 찬성 118,186표, 반대 11,092표로 통과되었는데,[15] 이는 등록 유권자의 42%를 차지했다.[16]

3. 지리

알메리아는 안달루시아 지방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도시 자체는 남쪽 해안선 안에 자리 잡고 있다. 면적은 296.21km²이다.

서쪽에는 시에라데가도르 산맥, 북쪽에는 시에라알하미야 산맥이 있다. 이들 산맥에서 흘러내리는 안다라크스 강은 안다라크스 계곡을 형성하며 남동쪽으로 흘러, 평야에 형성된 시가지 동쪽을 지나 하류에서 삼각형 모양의 끝을 이룬다. 동쪽에는 시에라데카보데가타 산맥, 카보데가타, 니하르 자연공원에 이르는 니하르 평야가 펼쳐져 있다. 시가지 남쪽은 지중해에 접해 있으며, 항구를 갖춘 알메리아 만이 펼쳐져 있다. 알메리아 주는 강의 동쪽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져 있으며, 이 지역의 많은 부분이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알메리아는 안다라크스 강에 의해 형성된 연안 충적 평야이다. 최상층 지층은 강도가 낮은 제4기 충적층이다. 시가지는 해발 16m이지만, 알카사바 언덕(86m)이나 트레칼데나스 언덕(140m) 등 시내에는 더 높은 곳도 있다. 알메리아 지방은 이베리아 마이크로 플레이트와 알보란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접점이며, 그 지각 변동은 현재도 활발하다. 안달루시아 남부 해안 일대는 아프리카판의 융기로 인해 소규모 지진이 자주 발생하며, 알메리아도 예외는 아니다.

해안선은 약 35km이며, 그 중 약 6km가 시가지에 해당한다. 해안은 강의 퇴적물인 모래로 덮여 있다. 사빈은 긴 만을 형성하고 있으며, 알메리아에는 16곳의 해변이 있다. 그 중 3곳은 시가지 안에 있다. 한편, 동부에는 암벽이 우뚝 솟아 있다.

알메리아를 중심으로 한 위성 사진


참고로, 아프리카에 가까운 알보란 해의 알보란 섬은 알메리아 주 관할 지역이다. 이 섬에는 작은 묘지, 항구, 그리고 19세기에 건설된 등대가 있다.

3. 1. 기후

알메리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사막 기후(BWh)로 판정되지만, 연간 강수량이 200mm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조건이 갖춰져 있어 스텝 기후(BSh)로 판정되기도 한다.

알메리아는 유럽에서 가장 건조한 도시 중 하나이며, 온대 사막 기후를 가진 유일한 도시이다. 이 기후는 도시 남동쪽 외곽에서 동쪽에 위치한 카보데가타-니하르 자연공원까지 이어진다.[35][36] 카보데가타-니하르 자연공원 인근 파로 델 카보는 1961년부터 1990년까지 유럽 대륙에서 연 강수량이 가장 적은 지역(156mm)이었으며, 2010년 이후로는 약 140mm이다.[38][39][40]

알메리아는 연간 320일 이상 맑은 날씨가 지속되며, 연간 약 3,000시간의 일조 시간을 기록하여 유럽에서 가장 일조량이 많은 도시 중 하나이다. 겨울철 평균 기온은 17°C~18°C, 밤에는 8°C~10°C 정도로 스페인에서 겨울철 가장 따뜻한 도시 중 하나이다.[49]

알메리아는 기록상 영하의 기온을 기록한 적이 없는 유럽 대륙 유일의 도시이다.[41][42] 기록된 최저 기온은 2005년 1월 공항에서 0.1°C였다.[43]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6.9°C17.6°C19.6°C21.4°C24.1°C27.9°C30.5°C31°C28.4°C24.5°C20.5°C17.9°C
평균 최저 기온 (°C)8.3°C9°C10.6°C12.5°C15.3°C18.9°C21.7°C22.4°C20°C16.3°C12.3°C9.6°C
평균 강수량 (mm)24mm25mm16mm17mm12mm5mm1mm1mm14mm27mm28mm30mm
평균 상대 습도 (%)676765626361606365686767



여름에는 하늘이 맑고 강수량이 거의 없으며, 낮 기온은 약 30°C, 7월과 8월 최저 기온은 약 22°C이다. 알메리아의 폭염은 해안에 위치하여 내륙보다 덜 발생한다. 기록된 최고 기온은 2022년 8월 42°C였다.[51]

4. 경제

알메리아는 농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과 교역을 통해 경제를 발전시켜 왔다.


  • 교통
  • 육로: A-7 지중해 고속도로와 A-92 고속도로를 통해 스페인의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 철도: 렌페 오페라도라가 운영하는 직통 철도 서비스를 통해 그라나다마드리드로 연결된다. 리나레스 바에사-알메리아 철도를 이용한다. 향후 무르시아-알메리아 고속철도 노선을 통해 고속철도 AVE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
  • 해상: 알메리아 항구는 멜리야, 알제리, 모로코 등과 연결되며, 지중해 관광 크루즈와 유람선도 이용 가능하다. 현재 항구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며, 대규모 국제 해상 운송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항구로 전환하여 화물 운송량을 늘릴 예정이다. 주로 아코니아, 코마릿, 코마나브 등의 회사가 운항한다.
  • 항공: 알메리아 공항을 통해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멜리야, 런던, 세비야 등과 연결되며, 여름에는 유럽 각지로의 국제 연결편이 추가된다.

  • 기타 산업: 지중해에 면한 항만 도시로, 통조림 제조, 알메리아 백포도 생산, 제염, 대리석 채석 등으로 알려져 있다.[79]

4. 1. 농업

알메리아는 일조량이 풍부하고 지하수를 활용한 온실 농업이 발달했다. 이 지역 온실에서는 매년 250만 톤에서 350만 톤의 과일과 채소를 생산하여 유럽 전체 수요의 40% 이상을 충족시킨다.[86] 온실 면적은 400km2에 달하며 해안 지역 대부분을 덮고 있다. NASA는 온실에서 반사되는 빛 때문에 이 지역 기후가 상대적으로 서늘해졌다고 보고했다.[86]

알메리아 근교의 온실


지난 50년간 집약적 농업은 알메리아의 가장 중요한 경제 부문이었다.[18] 현재 온실 생산, 채소류 취급 및 판매, 관련 산업은 알메리아 GDP의 약 40%를 차지한다. 농업 생산은 지방 GDP의 18.2%를 직접적으로 기여하는데, 이는 안달루시아 평균(6.6%)과 스페인 평균(2.9%)보다 훨씬 높다.[19]

이러한 발전은 지속적인 기술 통합 덕분이다. 토양 사질화, 플라스틱 피복, 점적 관개 시스템, 잡종 종자, 무토양 재배, 관개 프로그램, 새로운 온실 구조 등이 활용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생산성 향상과 판매 일정 증가를 가능하게 하여 작물의 수익성과 품질, 시장 경쟁력을 높였다.[20] 알메리아 경제는 수출 기능도 중요하다.[21] 2018년에는 생산량의 75%가 24억유로의 가치로 해외에 판매되었다.[22]

이러한 성장은 보조금이 거의 없거나 전무한 상황에서 가족 투자를 통해 이루어졌다. 원예 부문은 공동 농업 정책으로부터 가장 적은 유럽 지원금(총 수입의 1.9%)을 받는다. 이는 올리브 농장(33%)이나 곡물(53%)과 같은 다른 부문보다 훨씬 낮은 수치이다.[23]

이 지역의 생산은 공식적으로 공정한 임금을 지급하는 공정한 경쟁을 기반으로 하며, 유럽 동일 부문과 비슷한 임금 수준을 유지한다. 이는 이탈리아보다 8%, 벨기에보다 11% 높다.[24] 그러나, 북아프리카 출신 노동자들은 최저 임금보다 훨씬 낮은 임금을 받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며 생활하는 등 광범위한 착취를 당하고 있다는 사실이 잘 기록되어 있다.[25]

사회적 관점에서 알메리아와 그라나다는 소규모 농장과 토지 집중도가 낮은 가족 소유의 영세 농업의 예시이다.[26] 이러한 사회적 특징은 소득 및 복지 수준에서 높은 형평성을 만들어 사회적 응집력을 높이고 불평등을 줄인다.[27] 알메리아에는 2.5헥타르 규모의 농장 12,500곳이 있으며, 가족 노동력이 30%를 차지한다. 농민들의 높은 교육 수준 또한 중요한데, 81.2%가 어떤 형태의 공식적인 학업 훈련을 받았다.[26]

동시에 사회적 경제 기업(예: 협동조합)을 기반으로 하는 상업 시스템이 발전했다. 이러한 기업은 생산 및 판매의 62%를 차지한다.[28] 이들은 농식품 공급망 내에서 위치를 강화하고, 자금 조달, 기술 자문 및 기술 도입을 용이하게 하여 시장 진입을 돕는다. 또한 지역적 연계는 환경 지속 가능성을 높인다.[29]

4. 2. 관광

지중해의 알메리아 만에 면한 항만 도시이며, 통조림 제조 등의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알메리아 백포도 생산으로 유명하며, 그 외에 제염, 아름다운 대리석 채석으로도 알려져 있다.[79]

1038년, 알메리아 소왕국은 이웃 나라 발렌시아 소왕국에 정복되었으나, 1044년에 그 지배에서 해방되었다. 알모타신(1037-1091년)은 아버지 국왕의 죽음 후, 1051년 14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이 무렵 40년간은 알메리아가 가장 번영했던 시대였다. 당시 알메리아의 주요 산업은 견직물이었으며, 약 1만 채의 베틀이 있었다고 한다. 그 제품은 고품질에 종류가 풍부했기 때문에, 각지로 수출되기도 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산업이 존재했는데, 금속, 모자이크, 도자기, 동제품, 제염, 건조과일 등이 있으며, 튀니지이집트에서 인기가 있었다. 이 시기 도시부에서는 분수, 우물, 수로, 왕궁 등이 건설되었다. 알모타신 왕은 스스로 시인이었으며, 그의 작은 궁정에서 문인과 시인을 지원하는 등, 짧은 기간이었지만 알메리아 문화의 개화로 이어졌다.[79]

5. 문화

알메리아 출신 유명 인사로는 스페인 제1공화국의 세 번째 대통령을 지낸 니콜라스 살메론 이 알론소와 여러 음악가들이 있다. 여기에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적 중요성"이 인정된 음악을 작곡한 호세 파딜라 산체스, 민속 가수 마놀로 에스코바르, 플라멩코 기타 연주자 호세 토마스 "토마티토", 그래미상 수상자 다비드 비스발 등이 있다. 챔피언 모터사이클 선수 안토니오 마에소는 어린 시절 알메리아로 이주했다.

아일랜드 포크록 그룹 포그스는 앨범 ''신의 은총에서 멀어지다면(If I Should Fall from Grace with God)''의 수록곡 "피에스타(Fiesta)"에서 알메리아에 경의를 표했다. 1989년 영국 일렉트로닉 밴드 디페쉬 모드는 알메리아에서 "퍼스널 지저스(Personal Jesus)"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다. TV 시리즈 ''왕좌의 게임'' 시즌 6 촬영 기간 동안 관광객이 증가하여 1월부터 2월까지 호텔이 모두 만실이었다.[17]

알메리아 시의 축제 행사는 다음과 같다.[60]


  • 카니발
  • 성주간
  • 5월의 십자가 축제 (Cruces de mayo)
  • 성 요한 축제

5. 1. 문화 유적


  • '''알카사바''': 10세기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1522년 지진으로 파괴된 중세 요새이다. 삼중의 성벽, 웅장한 망루와 넓은 정원을 포함하고 있다. 안달루시아의 이슬람 요새 중 알람브라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크다.[77] 이슬람 시대 양식의 파스텔톤 건물들이 있는 도시 지역을 내려다보고 있다.
  • '''알메리아 공습 대피소''': 스페인 내전 당시 민간인 보호를 위한 지하 갱도로, 현재 유럽에서 관광객에게 개방된 가장 긴 시설이다.
  • '''대성당''': 지중해 해적들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진 탑, 흉벽, 방어로 때문에 요새 같은 외관을 가지고 있다. 원래는 모스크로 지정되었지만, 나중에 기독교 교회로 개조되었다가 1522년 지진으로 파괴되었다. 16세기에 일부 방어 시설을 유지하면서 르네상스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 '''산티아고 르네상스 교회''': 1533년에 지어진 탑과 부조로 장식된 정문이 있는 교회이다.
  • '''찬카''': 바위에 조각된 집들의 무리이다.
  • '''산 크리스토발 성''': 현재 폐허가 된 성이다. 알카사바와 성벽으로 연결되어 있다.
  • '''알메리아 박물관''': 선사 시대, 이베리아 시대, 로마 시대, 그리스 시대의 유물과 대부분 알카사바에서 출토된 이슬람 시대의 유물을 포함하고 있다.
  • '''파세오 데 코체스''': 정원과 야자수가 있는 현대적인 해변 산책로이다.
  • '''케이블 잉글레스''': 그라나다의 영국과 프랑스가 운영하는 광산에서 생산된 철광석, 구리, 은을 기차에서 대기 중인 화물선으로 옮기기 위해 1904년에 건설된 철제 철도 부두이다.
  • '''알카사바와 하이란의 성벽''': 알 안달루스 시대의 아랍 문화와 역사적 유물로 남아 있다. 10세기부터 건설된 중세 시대의 요새이다. 1522년 지진으로 손상되었으며, 1931년 6월 스페인의 역사적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018년에는 약 30만 명이 방문하였다.
  • '''알메리아 기차역''': 1893년에 완공되어 1895년부터 사용되었다. 19세기 말 유행했던 철과 유리를 사용한 양식의 역사이다. 2000년부터 사용되지 않게 되어 역이 이전되었고, 현대적인 디자인의 역사로 바뀌었다.

옛 기차역


5. 2. 영화 촬영지

타베르나스 사막의 건조한 지형 덕분에 알메리아에서는 수많은 스파게티 웨스턴 영화가 촬영되었으며, 일부 세트장은 현재 관광 명소로 남아있다.[30][31] 알메리아 시와 이 지역은 데이비드 린 감독의 ''아라비아의 로렌스''(1962), 존 밀리어스 감독의 ''바람과 사자''(1975) 등 다른 영화에서도 사용되었다.

6. 교통

알메리아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카르타고 원정 때 로마 제국에 편입되어 히스파니아 울테리올(이베리아 반도 남서부)의 일부가 되었고, 이베리아 반도 남부의 주요 항구 중 하나가 되었다. 로마는 교통망을 정비하고 마카엘 대리석을 비롯한 광물 자원을 개발했다. 현재 알메리아 교외에는 로마 시대 바이아나 가도의 유적이 남아있다.

6. 1. 육상 교통

알메리아는 육로를 통해 A-7 지중해 고속도로와 A-92 고속도로를 경유하여 지중해 지역 및 안달루시아의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알메리아 역은 렌페 오페라도라가 운영하는 직통 철도 서비스를 통해 그라나다와 마드리드로 연결된다.[78] 리나레스 바에사-알메리아 철도의 지선을 이용한다. 향후에는 고속철도 AVE 서비스가 무르시아-알메리아 고속철도 노선을 통해 무르시아를 경유하여 알메리아를 마드리드와 연결할 예정이다. 중앙역은 몇 달 동안 문을 닫았으며, 정확한 재개장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현재 승객들은 버스를 타고 몇 킬로미터 떨어진 우에르칼 데 알메리아 역으로 이동하여 여행을 시작한다.

6. 2. 해상 교통

알메리아 항구는 멜리야, 알제리, 모로코 등 북아프리카 지역과 지중해 관광 크루즈를 연결한다. 또한 유람선용 계류 시설을 갖춘 마리나가 있으며, 현재 새로운 부두를 건설하고 대규모 국제 해상 운송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항구로 전환하여 화물 운송량을 늘리기 위해 확장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 목적지와 연결된다.

선사목적지
아코니아알제리 가자우에트, 오랑(오란), 모로코 나도르, 멜리야
코마릿모로코 나도르
코마나브모로코 나도르



6. 3. 항공 교통

알메리아 공항은 알메리아 외곽에 있으며, 마드리드, 런던, 브뤼셀 등지로 가는 정기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78] 겨울에는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멜리야, 런던, 세비야로 가는 항공편이 있으며, 여름에는 맨체스터, 버밍엄, 브뤼셀, 더블린 및 스위스, 독일, 기타 EU 공항으로 가는 국제선 항공편이 추가된다. 알메리아 공항은 안달루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규모이다.

7. 자매 도시

도시국가
아이운العيون|엘아이운ar
부로뉴비앙쿠르Boulogne-Billancourt|불로뉴비양쿠르프랑스어
카스페Caspe|카스페es
시에고데아빌라Ciego de Ávila|시에고데아빌라es
코차밤바Cochabamba|코차밤바es
엔세나다Ensenada|엔세나다es
하카Jaca|하카es
레이테 주Leyte|레이테영어
멜리야Melilla|멜리야es
나보호아Navojoa|나보호아es
노이비트Neuwied|노이비트de
오랑وهران|와란ar
오발레Ovalle|오발레es
라슈타트Rastatt|라슈타트de
산후안델술San Juan del Sur|산후안델수르es
산라파엘San Rafael|산라파엘es
테카테Tecate|테카테es
베라크루스Veracruz|베라크루스es
비야시스네로스Villa Cisneros|비야시스네로스es


8. 스포츠

지중해 경기장


알메리아는 2005년 지중해 게임을 개최했다. 이 도시에는 두 개의 축구팀이 있는데, UD 알메리아는 2022년 스페인 축구 최상위 리그인 라리가로 승격했고, CP 알메리아는 6부 리그인 디비시온 데 오노르에서 활동하고 있다.[1] UD 알메리아는 알메리아에 연고지를 두고 있다.[3]

알메리아 투우장은 알메리아의 주요 투우장이다. 1만 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1882년에 문을 열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Mapa topográfico de España del Instituto Geográfico Nacional https://web.archive.[...] 2016-10-01
[2] 백과사전 Almería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3] 사전 Almería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7-27
[4] 웹사이트 Almería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7-27
[5] 학술지 Actuar en la ciudad consolidada. Resumen de un curso en Almería. Cartagena, Universidad Politécnica https://repositorio.[...] 2021-06-04
[6] 웹사이트 La Almería musulmana https://www.diariode[...] 2014-02-06
[7] 웹사이트 Why visit Tabernas, home to Europe's only desert https://www.national[...] 2024-04-27
[8]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9]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10] 서적 Almería entre culturas: (siglos XIII-XVI) Instituto de Estudios Almerienses de la Diputación de Almería 2021-07-13
[11] 서적 The Last Crusade in the West: Castile and the Conquest of Granad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4
[11]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Vol. IV E.J. Brill 1989
[12] 학술지 La actuación en el casco antiguo de Almería durante el siglo XIX https://dialnet.unir[...] 2021-07-13
[13] 웹사이트 Almeria, Spain https://www.jewishvi[...] 2024-06-25
[14] 서적 La vida cotidiana durante la guerra civil: la España republicana Editorial Planeta
[15] 웹사이트 Referéndum de ratificación de la iniciativa autonómica de Andalucía - Constitución española http://www.congreso.[...] Congreso.es 2012-08-02
[16] 웹사이트 Referéndum del Estatuto de Andalucía - La Voz Digital https://web.archive.[...] Servicios.lavozdigital.es 2012-08-02
[17] 뉴스 La industria del cine llena los hoteles de la capital https://www.lavozdea[...] 2016-01-31
[18] 학술지 "Sustainability dimensions related to agricultural based-development: the experience of 50 years of intensive farming in Almería (Spain)" 2013
[19] 웹사이트 Contabilidad regional de España http://www.ine.es/in[...] 2018
[20] 서적 El papel de la agricultura intensiva en la economía almeriense Vida Rural
[21] 서적 El sector de la comercialización hortícola en Almería Caja Rural Intermediterránea, Cajamar
[22] 보고서 Análisis de la campaña hortofrutícola de Almería. Campaña 2016-2017 Fundación Cajamar
[23] 웹사이트 Operating subsidies (both direct payments and rural development except investment support) https://ec.europa.eu[...] European Union 2018-04-00
[24] 웹사이트 Les Producteurs de Légumes de France http://www.legumesde[...] Livre Blanc 2024-03-00
[25] 뉴스 We pick your food: migrant workers speak out from Spain's 'Plastic Sea' https://www.theguard[...] 2023-06-19
[26] 웹사이트 El sistema de producción hortícola protegido de la provincia de Almería http://www.juntadean[...] Instituto de Investigación y Formación Agraria y Pesquera de Andalucía (IFAPA)
[27] 서적 Contribuciones económicas, sociales y medioambientales de la agricultura intensiva de Almería Cajamar Caja Rural
[28] 웹사이트 Memoria 2015/16 http://www.coexphal.[...] COEXPHAL, Asociación de Organizaciones de Productores de Frutas y Hortalizas de Almería
[29] 서적 Contribuciones económicas, sociales y medioambientales de la agricultura intensiva de Almería Cajamar Caja Rural
[30] 웹사이트 Poblados del Oeste. Desierto de Tabernas https://www.cabogata[...] 2018-02-14
[31] 웹사이트 'Once Upon A Time in Italy': The Films of Sergio Leone https://www.npr.org/[...] 2005-08-01
[32] 웹사이트 Cabo de Gata-Níjar Nature Reserve in Spain https://www.spain.in[...] 2021-03-07
[33] 웹사이트 Cabo de Gata-Níjar - Web oficial de turismo de Andalucía https://www.andaluci[...] 2021-03-07
[34] 웹사이트 Evolucion de los climas de Köppen en España en el periodo 1951-2020 https://www.aemet.es[...] 2024-05-18
[35] 뉴스 Desertification could soon make southern Spain more like West Africa https://www.independ[...] 2015-12-07
[36]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Clasificación climática de Köppen. https://www.aemet.es[...] AEMET 2023-05-29
[37] 뉴스 Cabo de Gata, Spain: exploring Europe's only desert https://www.theguard[...] 2024-04-29
[38] 논문 Mapa pluviométrico de España peninsular y Baleares (en el período internacional 1961-1990) https://rua.ua.es/ds[...] 2009-07-03
[39] 웹사이트 Cabo de Gata-Níjar Natural Park https://earthobserva[...] 2022-05-21
[40] 웹사이트 AEMET OpenData https://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ia 2024-11-14
[41] 웹사이트 Viaje por un sueño: Acariciando el revólver justiciero de Clint Eastwood https://semanariodej[...] 2024-01-23
[42] 웹사이트 We're heating up, and not only in Almeria (In Spanish) https://www.noticias[...] 2024-01-23
[43] 웹사이트 Almería: Almería Aeropuerto - Valores extremos absolutos - Selector -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 AEMET. Gobierno de España http://www.aemet.es/[...] 2020-09-19
[44] 웹사이트 Almería: Almería - Valores extremos absolutos - Selector -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 AEMET. Gobierno de España http://www.aemet.es/[...] 2015-04-10
[45] 웹사이트 Observaciones meteorológicas de Almería (1922-1991) https://www.dipalme.[...] 2024-01-24
[46] 웹사이트 Almeria - Extreme Values https://www.aemet.es[...] 2024-01-23
[47] 웹사이트 NEVADA https://www.cronista[...] Real Asociación Española de cronistas oficiales 2024-01-24
[48] 웹사이트 El día que Almería se vistió de blanco https://www.lavozdea[...] 2024-01-24
[49] 웹사이트 15 lugares de España para huir del invierno https://www.skyscann[...] Skyscanner 2021-12-31
[50] 웹사이트 Extreme temperature records since 1850 https://web.archive.[...] 2015-04-10
[51] 웹사이트 Almería Aeropuerto: Almería Aeropuerto - Valores extremos absolutos - Selector -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 AEMET. Gobierno de España http://www.aemet.es/[...] 2020-06-15
[52] 웹사이트 Highest minimum temperatures in Spain https://gaceta.es/es[...] 2024-01-24
[53] 웹사이트 AEMET OpeenData https://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ia 2024-05-12
[54] 웹사이트 Climate & Weather Averages at Almería Airport weather station https://www.timeandd[...] 2022-02-08
[55]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Almería Aeropuerto http://www.aemet.es/[...] Ministerio de Medio Ambiente y Medio Rural y Marino. Gobierno de España 2012-07-04
[56] 웹사이트 Valores extremos. Almería Aeropuerto http://www.aemet.es/[...] AEMET 2021-03-02
[57] 웹사이트 Guía resumida del clima en España (1981-2010) -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 AEMET. Gobierno de España http://www.aemet.es/[...] 2020-06-15
[58] 웹사이트 Valores extremos. Almería Almería Aeropuerto http://www.aemet.es/[...] Ministerio de Medio Ambiente y Medio Rural y Marino. Gobierno de España 2021-05-06
[59] 뉴스 Giant crystal cave discovered http://news.bbc.co.u[...] 2000-06-12
[60] 웹사이트 Fiestas Almería Ciudad https://www.turismod[...] 2020-09-15
[61] 웹사이트 La guitarra de Tomatito http://www.rtve.es/t[...] 2017-06-20
[62] 웹사이트 Lita Baron (1923–2015) https://www.imdb.com[...] IMDb 2021-01-19
[63] 뉴스 David Bisbal, premio al "mejor nuevo artista" en los Grammy Latino http://www.abc.es/he[...] 2003-09-04
[64] 뉴스 Nace en Almería la actriz Nieves Navarro García http://www.diariodea[...] 2017-11-10
[65] 서적 Las escapadas de Perico: Rutas en bici por España https://books.google[...] Penguin Random House Grupo Editorial España 2016-04-14
[66] 뉴스 Primer Concurso de micro guiones de cine https://www.lavozdea[...] 2018-03-16
[67] 뉴스 Fallece en Almería Chus Lampreave https://www.lavozdea[...] 2016-04-04
[68] 웹사이트 Jimena Quirós: the first Spanish oceanographer https://tekdeeps.com[...] 2020-08-16
[69] 웹사이트 Habitantes Almería 1900-2022 https://www.foro-ciu[...] 2023-08-27
[70] 웹사이트 Atlas Climático Ibérico https://www.aemet.es[...] aemet 2023-08-28
[71] 웹사이트 Almería Aeropuerto: Almería Aeropuerto - Valores extremos absolutos - Selector -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 AEMET. Gobierno de España https://www.aemet.es[...] 2023-08-28
[72] 웹사이트 El clima en Almería, el tiempo por mes, temperatura promedio (España) - Weather Spark https://es.weathersp[...] 2023-08-28
[73] 웹사이트 La DANA en Almería: calles cortadas, zonas inundadas y ríos llenos de agua https://www.diariode[...] 2023-05-22
[74] 웹사이트 45 años de las inundaciones de la tragedia https://www.diariode[...] 2018-10-19
[75] 웹사이트 LA RIADA DEL 11 DE SEPTIEMBRE DE 1891. ALMERÍA. https://historiasdea[...] 2019-10-07
[76] 웹사이트 El clima en Almería, el tiempo por mes, temperatura promedio (España) - Weather Spark https://es.weathersp[...] 2023-08-28
[77] 웹사이트 Investigadores demuestran que la primera ciudad de la Península Ibérica se estableció hace 5.000 años en Almería https://www.ideal.es[...] 2020-04-29
[78] 웹사이트 Historia - Turismo de Almería https://www.turismod[...] 2023-09-01
[79] 웹사이트 Al-mariyat Bayyana, la época musulmana - Historia de Almería - Turismo https://www.turismod[...] 2023-09-01
[80] 웹사이트 Siglo XIX - Historia de Almería - Turismo https://www.turismod[...] 2023-12-02
[81] 웹사이트 Siglo XIX - Historia de Almería - Turismo https://www.turismod[...] 2023-12-02
[82] 웹사이트 El día en que el cantón de Murcia atacó Almería https://www.ideal.es[...] 2020-04-19
[83] 웹사이트 Cómo visitar el Desierto de Tabernas en Almería: ruta en coche https://www.viajeros[...] 2020-11-13
[84] 웹사이트 La Alcazaba tendrá paneles informando de que la bandera andaluza es la original almeriense www.noticiasdealmeri[...] 2023-12-17
[85] 웹사이트 La increíble expansión del "mar de plástico" de Almería desde 1960, explicada en fotografías aéreas https://www.xataka.c[...] 2022-05-06
[86] 웹인용 Almería’s Sea of Greenhouses https://earthobserva[...] 2022-07-11
[87]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Almería Aeropuerto http://www.aemet.es/[...] Ministerio de Medio Ambiente y Medio Rural y Marino. Gobierno de Españ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