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로폴크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로폴크 1세는 스뱌토슬라프 1세의 아들로, 972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키예프 공작이 되었다. 977년 동생 올레크를 살해하고 키예프 루스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으나, 또 다른 동생 블라디미르 1세와의 갈등 끝에 980년 살해당했다. 그는 신성 로마 제국 및 교황과 사절을 교환하는 등 외교 활동을 펼쳤으며, 라틴 의식에 따른 세례를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야로폴크 1세는 그리스 출신 수녀와 결혼하여 스뱌토폴크 1세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80년 사망 - 군힐드 코눙가모디르
    군힐드 코눙가모디르는 10세기 노르웨이의 인물로, 사가에서 강력한 능력을 지닌 인물로 묘사되며, 노르웨이 왕 에이리크 블로됙스와 결혼하여 아들 하랄 2세의 섭정을 했으며, 다양한 이야기와 평가를 받았다.
  • 980년 사망 - 유창 (십국)
    유창은 십국시대 남한의 마지막 황제로, 폭정으로 민심을 잃어 송나라에 항복하여 남한을 멸망시킨 인물이다.
  • 958년 출생 - 사무일
    사무엘은 10세기 불가리아의 귀족이자 통치자로서 반 비잔틴 항쟁을 이끌고 불가리아 차르로 즉위하여 발칸 반도의 대부분을 지배했으나, 1014년 벨라시차 전투 패배 후 사망했다.
  • 958년 출생 - 블라디미르 1세
    블라디미르 1세는 980년부터 1015년까지 키예프 루스를 통치하며 영토를 확장하고 동방 정교회를 국교로 받아들여 비잔틴 문화를 전파하여 동슬라브 민족에게 기독교 시대를 열었다.
  • 키예프 공작 - 키예프의 올가
    키예프의 올가는 10세기 키예프 루스의 통치자이자 이고르 1세의 부인으로, 남편의 암살 후 섭정으로서 드레블랴네인에 대한 잔혹한 복수, 세제 개혁을 통한 중앙 집권화 강화, 그리스 정교로의 개종을 통해 루스의 기독교화에 영향을 미쳐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키예프 공작 - 스뱌토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프 1세는 이고리 대공과 올가 대공비의 아들로, 964년부터 친정을 시작하여 카자르 칸국을 정복하는 등 적극적인 팽창 정책을 펼쳤으나, 불가리아 제국과의 전쟁 후 귀환 중 페체네그족의 공격으로 사망한 키예프 대공이다.
야로폴크 1세
기본 정보
야로폴크 1세
이름야로폴크 스뱌토슬라비치
원어 이름Ꙗрополкъ Свѧтославичъ (고대 동슬라브어)
통치
칭호키예프 대공
재위 기간972년 – 978년
계승 순서키예프 대공
이전스뱌토슬라프 1세
이후블라디미르 1세
출생과 사망
출생 추정기원후 958년경
사망일978년 6월 11일
사망지카네프
매장지십일조 교회, 키예프
가족 관계
배우자그리스 수녀
자녀스뱌토폴크 1세 (추정)
아버지스뱌토슬라프 1세
어머니말루샤
왕조
왕가류리크 가문

2. 생애

스뱌토슬라프 1세의 아들로 태어난 야로폴크는 아버지로부터 키예프를 물려받았다. 968년 페체네그인키예프 루스를 침공했을 때, 할머니 올가, 동생 올레크 스뱌토슬라비치, 블라디미르 1세와 함께 키예프에 잔류했다.

972년 아버지 스뱌토슬라프 1세가 다뉴브 불가리아를 상대로 한 군사 원정에서 전사하면서 키예프 공작으로 즉위했다. 그러나 즉위 직후 형제들 간의 내전이 시작되었다. 977년 동생 올레크 스뱌토슬라비치를 살해했지만, 또 다른 동생인 블라디미르 1세와 갈등을 빚게 되었다.

한 연대기에 따르면, 야로폴크의 형제 올레그가 야로폴크의 수석 고문이자 군 지휘관인 스벤넬드의 아들 류트를 죽였다고 한다. 다른 설에 따르면, 스벤넬드는 스뱌토슬라프와 동일 인물이며, 스베이나일드/스벤넬드는 슬라브 이름의 노르드어식 표현이라고 한다. 복수심과 스벤넬드의 끈질긴 요구에 따라 야로폴크는 형제와 전쟁을 벌여 그를 죽였다. 그 후 야로폴크는 블라디미르가 올레그의 죽음에 대한 소식을 듣고 달아난 노브고로드로 사람들을 보냈다. 이로써 야로폴크는 키예프 루스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980년 블라디미르는 바랑인 용병들과 함께 돌아와 야로폴크를 공격했고, 결국 블라디미르에 의해 살해당했다.

2. 1. 초기 생애와 키예프 대공 즉위

스뱌토슬라프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968년 페체네그인키예프 루스를 침공했을 때 할머니 올가, 동생 올레크 스뱌토슬라비치, 블라디미르 1세와 함께 키예프에 잔류했다.

972년 아버지 스뱌토슬라프 1세가 전사하면서 키예프 공작에 즉위했다. 977년 동생 올레크 스뱌토슬라비치를 살해했지만 블라디미르 1세와 갈등을 빚었다. 980년 블라디미르 1세에게 살해당했다.

2. 2. 형제들과의 갈등 및 죽음

972년 스뱌토슬라프 1세가 전사하면서 야로폴크 1세는 키예프 공작으로 즉위했다. 977년 자신의 동생인 올레크 스뱌토슬라비치를 살해했지만, 또 다른 동생인 블라디미르 스뱌토슬라비치와 갈등을 빚게 된다.[2]

한 연대기에 따르면, 야로폴크의 형제 올레그가 야로폴크의 수석 고문이자 군 지휘관인 스벤넬드의 아들 류트를 죽였다고 한다. 복수심과 스벤넬드의 끈질긴 요구에 따라 야로폴크는 형제와 전쟁을 벌여 그를 죽였다. 그 후 야로폴크는 블라디미르가 올레그의 죽음에 대한 소식을 듣고 달아난 노브고로드로 사람들을 보냈다. 이로써 야로폴크는 키예프 루스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2]

980년 블라디미르는 바랑인 용병들과 함께 돌아와 야로폴크를 공격했다. 키예프로 가는 길에 블라디미르는 폴로츠크를 점령했는데, 이는 로그네다가 폴로츠크 공작 로그볼로드의 딸로서 야로폴크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블라디미르는 로그네다에게 자신과 결혼할 것을 강요했다. 이후 블라디미르는 스벤넬드가 죽은 후 야로폴크의 수석 고문이 된 보야르 블루드의 도움을 받아 키예프를 점령했다. 블루드는 야로폴크에게 키예프에서 로스 강 어귀에 있는 로드냐로 도망가라고 조언하며 그를 배신했다. 블라디미르는 로드냐를 포위하고 야로폴크를 굶주리게 하여 협상에 나서게 했다. 야로폴크는 블루드와 그의 형제의 평화 약속을 믿고 블라디미르의 본부로 향했지만, 그곳에서 두 명의 바랑인에게 매복 공격을 당해 살해당했다.[2]

3. 외교 및 종교 정책

헤르스펠트의 람베르트는 973년 부활절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루스(''legati gentium Ruscorum'')의 사절단을 만났다고 기록했다. 수 세기 후 야로폴크는 교황과도 사절을 교환했다고 전해진다. 샤반의 아데마르의 ''연대기''와 성 로물드의 생애(피에트로 다미아니가 저술)는 성 퀘르푸르트의 브루노가 루스(라틴어: ''Russia'')로 파견되어 그 지역의 왕(그 땅을 다스린 세 형제 중 한 명)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데 성공했다는 것을 기록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파르호멘코는 두 텍스트 모두 시대착오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브루노의 행적이 그의 전임자들인 프라하의 아달베르트와 오토 2세 통치 기간 동안 동유럽에서 활동한 익명의 선교사들의 행적과 혼동되었다고 추론한다.[5]

알렉산드르 나자렌코는 이러한 생각에 따라, 야로폴크가 어떤 예비적인 세례 의식을 거쳤지만, 그가 기독교 신앙으로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전에 그의 이교도 이복 형제(왕위에 대한 그의 권리 또한 의심스러웠음)에 의해 살해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라틴 의식에 따른 야로폴크의 세례에 대한 정보는 블라디미르를 러시아의 사도로서 후대에 흠 없이 보이려는 열성적인 정교회 연대기 작가들에 의해 억압되었을 것이다.[6] 블라디미르의 아들 슬기공 야로슬라프가 야로폴크의 유해를 발굴하여 세례를 주고 십일조 교회에 안치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7]

4. 가족 관계

야로폴크는 그리스 출신 수녀와 결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스뱌토폴크 1세( 980년 – 1019년)를 낳았는데, 출생의 진위 여부에 논란이 있다.

5. 등장 작품


  • 바이킹: 자랑스러운 전사들(2016년, 러시아, 배우: 알렉산드르 우스튜고프)

참조

[1] 웹사이트 ЛѢТОПИСЬ ПО ИПАТЬЕВСКОМУ СПИСКУ http://litopys.org.u[...]
[2] 서적 Dynasties of the world: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 서적 Memoirs of a Millennium https://books.google[...] Grosvenor House Publishing 2016-01-18
[4] 서적 The Nature and the Image of Princely Power in Kievan Rus', 980-1054: A Study of Sources https://books.google[...] BRILL 2013-10-10
[5] 간행물 Nachalo khristianstva na Rusi: Ocherki iz istorii Rusi IX-X vekov Poltava 1913
[6] 서적 Drevniaia Rus' na mezhdunarodnykh putiakh: mezhdistsiplinarnye ocherki kul'turnykh, torgovykh, politicheskikh sviazei IX-XII vekov Russian History Institute
[7] 간행물 The Notion of "Uncorrupted Relics" in Early Russian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