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은 1742년 크리스티안 골트바흐가 레온하르트 오일러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 언급된 것으로, 모든 홀수 정수는 세 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내용이다. 1937년 비노그라도프는 충분히 큰 홀수에 대해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성립함을 증명했고, 2013년 하랄드 헬프갓은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을 증명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추측은 강한 골드바흐의 추측과 관련이 있으며,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참일 경우 4 이상의 자연수는 최대 4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수에 관한 추측 - 쌍둥이 소수 추측
    쌍둥이 소수 추측은 차이가 2인 소수인 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추측이며, 브룬 상수는 쌍둥이 소수의 역수 합이 수렴하는 값이고, 천징룬은 소수 간격에 대한 정리를 발표했다.
  • 소수에 관한 추측 - 알틴 상수
    알틴 상수는 정수 a가 제곱수가 아니고 -1이 아닐 때, a가 법 p에 대한 원시근인 소수 p의 집합 S(a)의 점근 밀도에 대한 추측과 관련된 상수이며, 특히 a가 완전 거듭제곱이 아니고 a0이 4를 법으로 1과 합동이 아닌 경우, S(a)의 밀도는 아르틴 상수 C_Artin과 같다.
  • 해석적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해석적 수론 - 리만 제타 함수
    리만 제타 함수는 복소수 s의 함수로, 실수부가 1보다 큰 영역에서 무한급수로 정의되고 s ≠ 1인 모든 복소수에서 유리형 함수로 해석적 연속이 가능하며 함수 방정식과 오일러 곱 공식을 만족하고, 영점 분포는 소수 분포와 관련이 있으며, 비자명 영점이 임계선 상에 있다는 리만 가설은 중요한 미해결 문제이다.
  •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수론 - 최소공배수
    최소공배수는 둘 이상의 정수들의 공배수 중 가장 작은 양의 정수로서, 소인수분해나 최대공약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분수 통분이나 기어 회전 수 계산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
개요
골트바흐에서 오일러에게 보낸 편지 (1742년 6월 7일)
골트바흐에서 오일러에게 보낸 편지 (1742년 6월 7일)
분야수론
제안자크리스티안 골트바흐
제안일1742년
증명하랄트 헬프고트
증명 완료일2013년
함의골드바흐의 추측
다른 이름약한 골드바흐 추측
홀수 골드바흐 추측
삼항 골드바흐 문제
설명
골드바흐의 약한 추측5보다 큰 모든 홀수는 세 개의 소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관련 연구
주요 논문주요 호(Major arcs)에 대한 골드바흐 정리
골드바흐 문제에 대한 작은 호(Minor arcs)

2. 역사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의 원형은 골트바흐의 추측과 마찬가지로 1742년 6월 7일 크리스티안 골트바흐레온하르트 오일러에게 보낸 편지에 언급되었다. 오일러는 편지의 추측을 정리하여 "모든 양의 정수는 최대 세 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추측을 제시하였다. 이 추측은 크리스티안 골드바흐와 레온하르트 오일러 사이의 서신 교환에서 비롯되었다.

더 흔히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되는 강한 골드바흐 추측의 한 가지 공식은 다음과 같다.

:5보다 큰 모든 정수는 세 소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약한 추측은 단순히 이 명제를 정수가 홀수인 경우로 제한한 것이다(그리고 합의 세 소수가 홀수여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 추가될 수 있다).

'''골드바흐의 추측#현재까지의 주요 진전'''도 참조.


  • 1923년, 고드프리 H. 하디와 존 E. 리틀우드는 일반화된 리만 가설을 가정하면,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충분히 큰 홀수에 대해 성립함을 보였다.
  • 1937년, 비노그라도프는 일반화된 리만 가설에 의존하지 않고,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충분히 큰 홀수에 대해 성립함을 보였다. (비노그라도프의 정리 참조)
  • 1956년, 비노그라도프의 제자인 K. Borozdin은 3^{3^{15}} \, 가 "충분히 큰 홀수"의 하한임을 보였다. 이는 십진법 표기로 684만 6169 자리의 수이다.
  • 1995년, 올리비에 라마레는 모든 5 이상의 홀수는 기껏해야 7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였다.
  • 1997년, Deshouillers, Effinger, te Riele, Zinoviev는 일반화된 리만 가설을 가정하면,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모든 홀수에 대해 성립함을 증명했다.[17]
  • 2002년, 랴오밍저와 왕톈저는 e^{3100} \approx 2 \times 10^{1346} 보다 큰 홀수에 대해서는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성립함을 증명했다.
  • 2012년, 테렌스 타오는 모든 3 이상의 홀수는 기껏해야 5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증명했다.[18]
  • 2013년, 하랄드 헬프갓은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을 무조건적으로 증명했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15][16]

2. 1. 사용하는 소수의 개수를 줄이는 방법

1933년, L. Schnirelmann은 어떤 상수 K가 존재하여 1보다 큰 모든 정수를 최대 K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19] 1969년, K. I. Klimov는 K = 6×109을 증명하였고, 이후 G. Z. Piltay, T. A. Sheptickaja와 함께 K = 115, 그리고 K = 55로 그 값을 개선하였다. 이후 R. C. Vaughan의 K = 27[20], J.-M. Deshouillers의 K = 26[21], H. Riesel와 R. C. Vaughan의 K = 19[22]로 필요한 소수의 개수가 점점 개선되어갔다.

1995년, O. Ramaré는 모든 짝수가 최대 6개의 소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23] 2012년, 테렌스 타오는 1보다 큰 모든 홀수가 최대 5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내어짐을 증명하였다.[24]

2. 2. 추측이 성립하는 홀수의 하계를 줄이는 방법

1937년 이반 비노그라도프는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이 충분히 큰 홀수에 대해 성립함을 증명하였다.[25] 이 증명으로는 그 하계 C를 계산할 수 없었지만, 이후 비노그라도프는 C를 계산할 수 있는 다른 증명을 발표하였다.[26][27] K. K. Mardzhanishvili가[25] 이를 발전시켜 C를 계산할 수 있는 증명을 발표하였다.[28] 처음 C를 계산한 것은 비노그라도프의 지도 아래 K. G. Borodzkin가 작성한 미출판된 박사 학위 논문(1936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값은 exp(exp(exp(41.96)))이었다.[29]

이후 1956년 K. G. Borodzkin는 C = 3315 ≈ 107000000을 증명하였다.[30][39] 1989년 천징룬과 T. Z. Wang은 C = exp(exp(11.503)) < 4×1043000을 증명하였으며,[31] 1996년에는 C = exp(exp(9.715)) < 6×107193을 증명하였다.[32] 2002년 M.-Ch. Liu와 T. Wang은 C = 2×101346을 증명하였다.[33]

2013년 H. A. Helfgott는 C = 1027을 증명하였다.[34] 같은 해, H. A. Helfgott와 D. Platt가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으로 8.875×1030 이하의 홀수들에 대해 추측이 성립함을 검증하여,[35]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이 증명되었다.

1923년, 고드프리 H. 하디와 존 E. 리틀우드는 일반화된 리만 가설을 가정하면,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충분히 큰 홀수에 대해 성립함을 보였다. 1997년, Deshouillers, Effinger, te Riele, Zinoviev는 일반화된 리만 가설을 가정하면,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모든 홀수에 대해 성립함을 증명했다[17]2012년, 테렌스 타오는 모든 3 이상의 홀수는 기껏해야 5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증명했다[18]

2. 3. 일반화 리만 가설을 가정하였을 때

1922년 하디리틀우드일반화 리만 가설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 충분히 큰 모든 홀수를 세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36] 1997년 D. Zinoviev는 이 하계를 1020으로 발전시켰다.[38] 같은 해,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으로 1020 미만의 홀수에 대해 추측이 참이라는 것이 검증되었다.[39][40]

1997년, 데슐리에, Effinger, 테 릴레와 지노비에프는 일반화된 리만 가설이 모든 숫자에 대해 골드바흐의 약한 추측을 함축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6] 이 결과는 1020보다 큰 숫자에 대해 유효한 일반적인 명제와 작은 경우에 대한 광범위한 컴퓨터 검색을 결합한것이다.[6]

1926년 에드문트 란다우의 학생 B. Lucke가 미출판된 박사 학위 논문에서 동일한 가정 하에 1032라는 하계를 증명하였다는 기록이 있다.[37] 1999년 G. Effinger는 하디와 리틀우드의 논문의 계산을 발전시켜, 충분히 큰 홀수의 하계를 1.24×1050으로 계산하였다.[37]

3. 골트바흐의 추측과의 관계

골트바흐의 추측은 "2 초과의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추측으로,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을 함의한다. 이는 골트바흐의 추측이 참일 경우 7 이상의 홀수 a를 3+(a-3)으로 나누고, (4 이상의 짝수) a-3에 대해 골트바흐의 추측을 적용하여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식을 이용해 결과적으로 a를 세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골드바흐의 추측이 옳다고 가정하면 4 이상의 짝수는 2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자연수를 n이라고 하면, n번째 양의 짝수에 대해

: 2 n = p_1 + p_2 \qquad n>1

을 만족하는 소수 p1 , p2가 반드시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n+2 번째 양의 홀수는

: 2 (n+2) -1 = p_1 + p_2 + 3 \qquad n>1

과 같이 3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도 옳다.

반대로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옳다고 가정하면 n번째 양의 홀수에 대해

: 2 n - 1 = p_1 + p_2 + p_3 \qquad n>3

을 만족하는 소수 p1 , p2 , p3가 반드시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n번째 양의 짝수는

: 2 n = p_1 + (p_2 + p_3 + 1) \qquad n>3

으로 나타낼 수 있지만, p2 + p3 + 1은 소수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p2 = 3 , p3 = 5인 경우 등) ''강한'' 골드바흐의 추측은 증명할 수 없다.

이러한 점들로부터,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은 ''강한'' 골드바흐의 추측의 계라고 할 수 있다.

: 2 n - 1 = p_1 + p_2 + p_3 \qquad n>3

이라면

: 2 (n + 1) = p_1 + p_2 + p_3 + 3 \qquad n>3

이므로, 이 추측이 옳다면 8보다 큰 짝수는 4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8도 8 = 2 + 2 + 2 + 2 와 같이 4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옳다면 7 이상의 자연수는 3개 또는 4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옳다면 4 이상의 자연수는 기껏 4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골드바흐의 추측에 대해서는 이와 마찬가지로 "골드바흐의 추측이 옳다면 4 이상의 자연수는 기껏해야 3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라고 할 수 있다.

4. 기타

작은 홀수를 순서대로 3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7 = 2 + 2 + 3
  • 9 = 2 + 2 + 5 = 3 + 3 + 3
  • 11 = 2 + 2 + 7 = 3 + 3 + 5
  • 13 = 3 + 3 + 7 = 3 + 5 + 5
  • 15 = 2 + 2 + 11 = 3 + 5 + 7 = 5 + 5 + 5
  • 17 = 2 + 2 + 13 = 3 + 3 + 11 = 5 + 5 + 7
  • 19 = 3 + 3 + 13 = 3 + 5 + 11 = 5 + 7 + 7
  • 21 = 2 + 2 + 17 = 3 + 5 + 13 = 5 + 5 + 11 = 7 + 7 + 7
  • 23 = 2 + 2 + 19 = 3 + 3 + 17 = 5 + 5 + 13 = 5 + 7 + 11


3개의 소수의 합은 6 이상이므로, 5 이하의 홀수는 3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다. 또한 3개의 홀수 소수의 합은 9 이상이므로, 7은 3개의 홀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다.

"7보다 큰 홀수는 3개의 홀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명제는 골드바흐 추측의 "4보다 큰 짝수는 2개의 홀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명제와 유사하다.

7 이상의 홀수가 n을 자연수, p를 홀수 소수로 하여

: 2n - 1 = 2 + 2 + p

와 같이 3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면, 그 다음 홀수도

: 2n + 1 = 3 + 3 + p

와 같이 3개의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5보다 큰 홀수는 1개의 홀수 소수와 2개의 같은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레모인 추측과 유사한 추측도 있다.

참조

[1] 서적 "Correspondance mathématique et physique de quelques célèbres géomètres du XVIIIème siècle" https://books.google[...] St.-Pétersbourg 1843
[2] 웹사이트 Annals of Mathematics Studies https://press.prince[...] 1996-12-14
[3] 웹사이트 Harald Andrés Helfgott https://webusers.imj[...] 2021-04-06
[4] 웹사이트 Goldbach Conjecture
[5] arXiv The ternary Goldbach problem
[6] 저널 A complete Vinogradov 3-primes theorem under the Riemann hypothesis https://ir.cwi.nl/pu[...]
[7] 저널 Checking the odd Goldbach Conjecture up to 1020 https://www.ams.org/[...]
[8] 저널 On Šnirelman's constant under the Riemann hypothesis http://matwbn.icm.ed[...]
[9] 저널 Every odd number greater than 1 is the sum of at most five primes
[10] arXiv Minor arcs for Goldbach's problem
[11] arXiv Major arcs for Goldbach's theorem
[12] arXiv The ternary Goldbach conjecture is true
[13] 서적 Seoul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Proceedings Kyung Moon SA 2014
[14] arXiv The ternary Goldbach problem
[15] arXiv Major arcs for Goldbach's theorem
[16] arXiv Minor arcs for Goldbach's problem
[17] Citation A complete Vinogradov 3-primes theorem under the Riemann hypothesis http://www.ams.org/e[...]
[18] arXiv Every odd number greater than 1 is the sum of at most five primes
[19] 저널
[20] 저널
[21] 저널
[22] 저널
[23] 저널
[24] 저널
[25] 저널
[26] 저널
[27] 서적
[28] 저널
[29] 서적
[30] 저널
[31] 저널
[32] 저널
[33] 저널
[34] arXiv
[35] 저널
[36] 저널 Some problems of 'Partitio numerorum'; III: On the expression of a number as a sum of primes 1922
[37] 저널 Some numerical implications of the Hardy and Littlewood analysis of the 3-primes problem 1999
[38] 저널 On Vinogradov’s constant in Goldbach’s ternary problem 1997
[39] 저널 A complete Vinogradov 3-primes theorem under the Riemann hypothesis https://www.ams.org/[...] 1997-09-17
[40] 저널 Checking the odd Goldbach conjecture up to 1020 199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