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 허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천 허씨는 가락국 김수로왕과 허황옥의 후손인 허선문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허선문은 고려 태조 왕건에게 군량을 지원하여 공암촌주로 임명되었고, 삼한공신이 되었다. 양천은 현재 서울특별시 강서구와 양천구 일대의 지명으로, 고려 시대에 양천현으로 개칭되어 양천 허씨의 본관이 되었다. 허공의 딸은 충선왕의 비가 되었으며, 허엽의 후손에서 허균, 허난설헌 등이 배출되었고, 허준은 동의보감을 편찬했다.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인구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양천 허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씨족 |
국가 | 한국 |
지역 | 서울특별시 강서구 |
시조 | 허선문 |
관련 인물 | 김보성 허각 허경민 허균 허난설헌 허목 허영만 허재 허적 허정무 허준 허승 허웅 |
웹사이트 | 양천 허씨 대종회 웹사이트 |
한자 표기 | |
한자 | 陽川 許氏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Yangcheon Heo clan |
기타 정보 | |
이칭 | 공암 허씨(孔巖許氏) |
집성촌 | 경기도 장단군 경기도 연천군 경기도 안성시 경기도 파주시 함경북도 학성군 함경북도 길주군 평안북도 구성시 충청북도 청주시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전라남도 순천시 |
주요 인물 | 허재 순비 허씨 허백 허종 허침 허자 허엽 허준 허성 허욱 허봉 허교 허균 허난설헌 허완 허후 허목 허적 허윤 허유 |
인구 (2015년) | 149,505명 |
참고 자료 | 양천 허씨 대종회 |
2. 역사
양천 허씨(陽川 許氏)의 시조 '''허선문'''(許宣文)은 가락국 수로왕과 왕비 허황옥의 후손이라고 한다. 허선문은 공암촌(孔巖 : 현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에 살면서 농사에 힘써 많은 양곡을 비축하였는데,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을 정벌할 때 군량이 부족하여 사기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군량을 보급해 주었다. 고려 태조 왕건은 후백제군과의 싸움 중 말과 식량을 제공한 공으로 허선문을 공암촌주(孔岩村主)로 임명하여 공암촌을 식읍으로 내렸고, 허선문은 고려 건국에 대한 공으로 삼한공신(三韓功臣)이 되었다.
양천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 일대의 지명이다. 고구려 때는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었는데, 통일신라 경덕왕 때 공암현(孔岩縣)으로 고쳤다. 공암 허씨로 불리다가 1310년(고려 충선왕 2)에 양천현(陽川縣)으로 개칭되어 양천 허씨(陽川 許氏)가 되었으며 조선시대에도 이어졌다. 1895년(고종 32) 양천군(陽川郡)으로 개편됐다가, 1914년 경기도 김포군에 통합되어 양동면, 양서면이 되었다. 1963년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다.
양천 허씨는 허선문을 시조로 하며, 고려 시대에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주요 분파로는 허정(許程)을 파조로 하는 동주사공파, 허관(許冠)을 파조로 하는 판도좌랑공파, 허부(許富)를 파조로 하는 대제학공파 등이 있다.
5세손 허재는 고려 인종 때 평장사에 올랐고,[6] 10세손 허공은 1258년(고려 고종 45년) 과거에 급제하여 충렬왕 때 첨의중찬에 올랐다.[7] 허공의 딸은 충선왕의 제6비 순비로 책봉되었다.
3. 본관
4. 분파
4. 1. 분파도
이름 | 한자 | 비고 |
---|---|---|
허선문 | 공암촌주 | |
허현 | 소부소감 | |
허원 | 예빈성경 | |
허정 | 예부시랑 | |
허재 | 평장사 | |
허순 | 공부상서 | |
허이섭 | 전구서령 | |
허경 | 좌복야 | |
허수 | 예부상서 | |
허공 | 문경공 | |
허정 | 동주사공파 (東州使公派) | |
허숭 | ||
허관 | 판도좌랑공파 (版圖佐郞公派) | |
허총 | ||
허부 | 대제학공파 (大提學公派) |
5. 인물
- 고려 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5세손 허재[6]
- 1258년(고려 고종 45년) 과거에 급제하여 충렬왕 때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오른 10세손 허공[7]
- 충선왕의 제6비 순비가 된 허공의 딸

6. 항렬자
세손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
항렬자 | 만(萬) | 욱(旭) | 회(會) | 행(行) | 무(茂) | 범(範) | 강(康) | 재(宰) | 정(廷) | 규(揆) | 학(學) |
세손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항렬자 | 병(秉) | 연(演) | 경(卿) | 진(振) | 용(龍) | 남(南) | 수(洙) | 창(暢) | 상(商) | 국(國) | 곤(袞) |
7. 왕실과의 인척 관계
양천 허씨 10세손 허공의 딸은 충선왕의 제6비 순비가 되었다.[7]
7. 1. 고려
가락국 수로왕과 왕비 허황옥의 후손이라고 전해지는 '''허선문'''(許宣文)은 공암촌(孔巖 : 현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에 살면서 농사에 힘써 많은 양곡을 비축하였다. 태조 왕건(王建)이 후백제 견훤(甄萱)을 정벌할 때 군량이 부족하여 사기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군량을 보급해 주었다. 고려 태조는 후백제군과의 싸움 중 말과 식량을 제공한 공으로 허선문을 공암촌주(孔岩村主)로 임명하여 공암촌을 식읍으로 내렸고, 허선문은 고려 건국에 대한 공으로 삼한공신(三韓功臣)이 되었다.[6]5세손 허재는 고려 인종 때 평장사에 올랐고,[6] 10세손 허공은 1258년(고려 고종 45년) 과거에 급제하여 충렬왕 때 첨의중찬에 올랐다.[7] 허공의 딸은 충선왕의 제6비 순비로 책봉되었다.
7. 2. 조선
8. 인구 분포
전라남도 진도군에서는 2015년 통계 기준 572명으로, 총인구의 2.07%를 차지하여 2%를 넘는 비율을 보이고 있다. 다른 많은 자치단체에서는 총인구 대비 1% 미만의 비율을 차지한다.[5]
참조
[1]
서적
Heo Clans: Gimhae Heo Clan, Yangcheon Heo Clan, Heo Hwang-Ok, Heo Jun, Heo Gyun, Heo Nanseolheon
https://books.google[...]
General Books LLC
2010-06
[2]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양천허씨 陽川許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7
[4]
웹사이트
뿌리지식 {{!}} 항렬자
https://ych1956.org/[...]
2024-03-09
[5]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6]
문서
『고려사』 권98, 열전11
https://terms.naver.[...]
[7]
문서
『고려사』 권105, 열전18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