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허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허준은 1539년 출생하여 1615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의학자이다. 그는 29세에 궁중 의원이 되었고, 선조를 치료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공신이 되었다. 15년간의 집필 끝에 25권의 의학서적인 《동의보감》을 완성하여 한국 전통 의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동의보감》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으며, 일반 백성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힘썼다. 그의 업적은 여러 드라마, 영화, 소설 등의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서울 강서구에는 그를 기리는 허준박물관과 구암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준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허준 - 이희헌 (조선)
    이희헌은 조선 시대의 의관으로, 음보로 관직에 올라 내의원 주부 등을 역임하고 임진왜란 때 광해군을 수행했으며, 의과 급제 후 《동의보감》 편찬에 참여하고 인조반정 이후 이인거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 한국의 한의사 - 이희헌 (조선)
    이희헌은 조선 시대의 의관으로, 음보로 관직에 올라 내의원 주부 등을 역임하고 임진왜란 때 광해군을 수행했으며, 의과 급제 후 《동의보감》 편찬에 참여하고 인조반정 이후 이인거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 한국의 한의사 - 윤지미 (조선 의사)
    윤지미는 1569년 출생하여 서자 신분으로 관직에 오른 조선의 의사이며, 《동의보감》 발간에 참여하고 명나라에 파견되어 의술 관련 질의응답을 하기도 했다.
  • 한의학자 - 지석영
    지석영은 조선 후기의 의학자이자 개화 사상가로, 종두법 도입에 기여했지만 일제강점기에는 그의 업적이 식민지배 정당화에 이용되었다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하며, 《우두신설》 등의 저서를 통해 의학 지식을 전파한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 한의학자 - 이제마
    이제마는 조선 말기의 의학자이자 무관으로, 사상의학을 창시하고 《동의수세보원》을 저술하여 한국 의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으로 나누어 각 체질에 맞는 치료법을 제시했고, 무과 급제 후 진해현감과 고원군수를 지냈다.
허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허준의 초상
한글허준
한자許浚
로마자 표기Heo Jun
구암(龜巖)
청원(淸源)
인물 정보
출생일1539년
사망일1615년 10월 9일 (음력 8월 17일) (향년 77세)
국적조선
직업의관, 한의사
신분양반
본관양천(陽川)
당파무소속
종교유교(성리학)
가족 관계
배우자정경부인 안동 김씨
자녀아들 파릉군 허겸(巴陵君 許謙)
부모허논(부), 영광 김씨 첩실(모), 윤씨 부인(적모), 일직 손씨 첩실(서모)
형제이복형 허옥(許沃), 동복동생 허징(許徵)
관직 정보
주요 임금조선 선조, 조선 광해군
주요 관직내의원 당상관, 중추원 지중추부사
내의원 당상관 재임 기간1590년 ~ 1596년
중추원 지중추부사 재임 기간1601년 ~ 1608년
영의정류성룡
학문 정보
분야의학, 성리학
주요 저작동의보감

2. 생애

허준의 출생 년도는 1543년, 1546년으로 알려졌으나, 최립의 문집 《간이집》에 수록된 시에 자신과 동갑이라 언급된 것이 알려져 2000년 이후에는 1539년생으로 통상 서술되고 있다. 경기도 장단군 대강면 우근리(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장풍군)에서 출생하였으며, 한국 전쟁 이후 휴전선에 인접하여 이북지역이 되어 휴전선 이북 장풍군에 편입되었다. 양천 허씨 시조 허선문의 20세손으로, 할아버지 허곤은 경상우수사를 지냈고, 아버지는 용천부사 허론이었다. 허준은 서자였기에 중인 신분으로, 아버지처럼 문관이나 무관이 되기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29세에 궁중 의원으로 임명되었고, 32세에 내의원에 들어가 빠르게 승진했다. 1575년 선조를 치료했고, 1590년 왕세자의 천연두를 치료한 후 정3품에 올랐다. 임진왜란 때 선조를 따라다니며 충성을 다했고, 1596년 정2품으로 승진했다. 1600년 내의원 제조가 되었고, 선조는 허준에게 의학 서적 집필을 명령했다. 이는 조선 최초의 공중보건 프로그램 중 하나로 여겨진다.

1608년 선조가 죽자 왕의 죽음에 대한 책임으로 울주로 유배되었으나, 1609년 광해군이 다시 등용했다. 1610년, 15년간의 집필 끝에 25권의 《동의보감》을 완성했다. 1615년 사망할 때까지 내의원의 젊은 의원들을 교육했으며, 사후에 정1품 벼슬이 추증되었다.

허준은 여러 의학 서적을 저술했지만, 가장 중요한 업적은 《동의보감》이다. 이 책은 한국 전통 의학을 대표하며, 중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국가에 전파되어 동양 의학의 고전으로 인정받는다. '내경', '외형', '잡병', '탕액', '침구'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초를 중시하는 치료법과 침구 요법을 설명한다. 《동의보감》은 한국의 귀중한 보물 중 하나이며, 17세기 동아시아 철학을 반영한다.

허준은 왕실에서 활동했지만, 일반 백성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었다. 희귀하고 값비싼 재료 대신 조선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약초 치료법을 찾았고, 한자 대신 한글로 약초 이름을 썼다.[2][3] 《동의보감》은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허준은 뛰어난 의술과 충성심, 서민을 위한 치료법 개발에 힘쓴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이름과 업적은 많은 한국인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의 동의보감에 나오는 천연 요법을 참고한다.

2. 1. 출생과 가계

허준은 허론(許論)과 영광 김씨(靈光金氏) 사이에서 서자로 태어났다. 출생지는 여러 설이 있어 확실하지 않다. 아버지 허론과 할아버지 허곤(許坤)은 모두 무관이었다.

허준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
증조부허지(許芝)
조부허곤(許琨)
아버지허륜(許碖)
적모해평윤씨(海平尹氏)
생모영광 김씨(靈光金氏)
이복형허옥(許沃)
동복아우허징(許徵)
제수광주노씨(光州盧氏) - 영의정 노수신(盧守愼)의 딸
서모일직손씨(一直孫氏)
부인정경부인 안동김씨(安東金氏)
아들허겸(許謙)


2. 2. 의관 출사

1569년(선조 3년) 6월, 유희춘의 부인을 치료하기 위해 한성부로 가 부인의 병을 고쳤다. 유희춘이 허준을 언제 처음 만나 알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유희춘은 그해 음력 6월 3일 이조판서 홍담에게 허준을 소개하였다. 1569년 이조판서 홍담(洪曇)과 미암 유희춘의 천거로 내의원에 들어가 궁중 의사, 곧 의관으로서 출사했으며, 1570년에는 유희춘의 병까지 치료하게 되어 한성부 장안에서 고관대작들에게 이름이 알려지면서 명성을 높였다. 허준 관련 전설과 민간 전승, 그리고 이를 소재로 하여 쓰여진 각종 소설과 드라마에서는 그가 의과 급제자로, 1574년 의과에 급제하였다고 묘사하고 있으나, 실제로 의과 급제자 기록인 방목에는 허준의 이름이 없다.

1572년(선조 5) 당시 종4품 내의원첨정에 재직 중에 있었다는 기록이 최초로 보이며, 1573년에는 정3품 통훈대부와 내의원정에 올랐다. 비록 의과에 응시하지는 않았지만, 그가 동료 의관들보다 뛰어난 의술을 지니고 있었다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578년 9월 허준은 내의원첨정으로 있을 때 당시에 새로 출판된 '신간보주동인유혈침구도경' (新刊補註銅人腧穴鍼灸圖經)을 임금으로부터 선물로 하사받았다.

1578년(선조 11)에는 갑자기 심신이 허약해진 선조임금의 건강이 회복되어 수고로 내의원 책임자와 어의들이 모두 포상을 받았다. 이때 허준은 태의 양예수(楊禮壽)·안덕수(安德秀) 등과 함께 사슴가죽 1장을 선물로 하사받았다. 이후 구안와사에 걸려 입이 돌아간 공빈 김씨의 남동생을 진료하여 완쾌시켰고, 1590년 허준이 왕자 신성군(인빈 김씨의 아들)을 살린 공으로 당상관(정3품 통정대부 이상을 말함)으로 승진했다. 허준이 당상관에 가자(되자)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등 삼사와 의금부에서 일제히 나서서 탄핵, "왕자를 치료한 것은 의관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이고 비록 공이 있다 해도 의관에게 당상의 가자를 내린다는 것은 있을 수 없으므로 취소할 것"을 왕에게 여러 번 간청했으나 선조는 이를 거부했다.

2. 3. 임진왜란과 호성공신

1592년(선조 25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의주까지 피신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선조를 호종하여[11] 그의 건강을 돌본 공로로 허준은 뒷날 공신의 대열에 끼게 된다. 1596년 왕세자 광해군의 병을 맡게되어 이를 고친 공로로 허준은 정2품하계 자헌대부로 가자되고 김응탁·정예남은 승급되었다. 이어 허준은 정2품상계 정헌대부와 중추부의 정2품 지중추부사에 올랐다. 그가 정헌대부에 오르자 즉시 삼사의 간원들이 나서서 탄핵, 의관들의 가자를 취소할 것을 청했으나 선조가 "공로가 있는 자들이다"라고 하여 듣지 않았다.

1595년(선조 28년) 왕이 별전편방에 나와 침치료를 시술하였다. 이때 내의원(약방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림) 도제조 김응남, 제조 홍진, 부제조 오억령 등이 참여하였다. 1596년 이후 허준은 유의 정작과 태의 양예수·김응택·이명원·정예남 등과 편국을 설치하고 의서를 편찬, 요점을 잡아가는 시점에 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 의관들이 흩어져 작업은 자연히 중지되었다. 이에 선조가 허준을 다시 불러 허준 혼자 책임지고 새로운 의서를 만들라고 하면서 내장방서 500권을 내어주며 참고하도록 조치했다.

1600년(선조 33년) 정2품 지중추부사를 겸직하던 수의(실직으로서 내의원의 최고서열) 양예수가 병사함에 따라 허준이 내의원 최선임자로 수의가 되었다. 1604년 임진왜란 당시 어가 호종의 공로로 호성공신 3등에 오르게 되고, 이때 의관으로서는 처음으로 정1품 양평부원군에 올랐으나, 대간들의 반대로 인해 종1품 양평군(陽平君) 강격되었다. 군(君)은 왕의 서자나 당상(堂上)의 위계에게 주어지는 부군(府君)의 관작을 말한다. 종1품상계인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랐다가 1606년 이어 왕실의 병을 다스린 공로로 정1품하계인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로 가자되었으나, 보국숭록대부는 당상관의 문관이 받는 위계라는 이유로 또 한 번 대간들의 반대를 불러 백지화되었다. 1607년에는 임금의 병이 위중하고 잘 낫지 않았는데 이것은 허준이 약을 잘못 썼기 때문이라 하여 연일 조정에서 수의 허준을 벌주어야 된다는 여론이 강했으나 선조가 벌을 주기보다 의술을 다하게 해야 한다며 무마시켰다.

2. 4. 유배와 『동의보감』 완성

1608년 음력 2월 선조가 갑자기 사망하자, 허준은 3월 17일 파직당하고 공암으로 문외출송되었다. 문외출송은 죄인을 한성부 사대문 밖으로 추방하는 유배의 일종이었다. 광해군은 허준을 복귀시키려 했으나 삼사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그러나 허준은 1596년부터 왕명으로 편찬하던 《동의보감》을 1609년 11월 22일 광해군이 석방 명령을 내릴 때까지 계속 집필하였다.

동의보감》은 1610년(광해군 2년) 당시의 모든 의학 지식을 망라한 임상의학 백과사전으로, 조선 한방 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8세기에는 일본청나라에서도 간행될 만큼 높이 평가되었다. 지금도 여러 나라에서 번역 출판되고 있다. 1610년 8월 6일, 편찬해 온 동의보감(東醫寶鑑)이 완성되었다. 허준은 《동의보감》을 광해군에게 바친 후, 그 해 음력 11월 22일(양력 1611년 1월 5일) 귀양이 풀리고 내의원에 복직하였다. 1615년 11월 광해군은 허준에게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정1품 하계) 양평부원군을 추증하였다.

2. 5. 사망과 추증

1608년 음력 2월 선조가 갑자기 사망하자, 허준은 치료의 책임을 물어 3월 17일 파직당하고 공암으로 문외출송(죄인을 한성부 사대문 밖으로 추방하는 형벌)되었다. 광해군은 허준을 복귀시키려 하였으나 삼사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그러나 허준은 1596년부터 왕명으로 편찬하던 동의보감을 15년여의 연구 끝에 1609년 11월 22일 광해군의 석방 명령이 있을 때까지 계속 집필하였다.

동의보감조선 한방 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18세기에는 일본청나라에서도 간행될 만큼 높이 평가되었다. 광해군에게 동의보감을 바친 이후 그 해 음력 11월 22일(양력 1611년 1월 5일) 귀양이 풀리고 내의원에 복직하였다. 허준은 후진 양성과 의서 편찬 및 수리 등을 맡다가, 1615년 음력 8월 17일(양력 10월 9일)에 77세로 사망하였다. 다른 설에는 일본인 쓰기무라(三木榮)의 《조선의사연표 (朝鮮醫事年表)》 p.337에는 허준이 1615년 8월 17일에 사망했다는 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1615년 11월 광해군은 허준에게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정1품 하계) 양평부원군을 추증하였다.

허준의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하포리의 민간인통제구역(DMZ) 안에 있으며, 1991년 9월 27일 서지학 및 회화사학자 이양재의 조사활동으로 발견되었다. 1992년 6월 5일 경기도 기념물 제128호 《허준묘》로 지정되었고, 2006년 5월 군사안보 관광 구역으로 공개되었다.

서울 강서구 가양동에는 그를 기리기 위한 공원인 구암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3. 주요 저서

4. 평가 및 논란

4. 1. 평가

선조는 허준이 여러 의학 서적에 널리 통달하였고 약을 쓰는 데 노련하다고 평가하였다. 이수광은 허준이 저미고라는 약으로 많은 사람들의 두창을 고쳤으며, 양예수, 허준, 박제가, 손사명, 안덕수 등이 당대에 이름난 의원이었다고 평가하였다.

일본에서는 허준을 “한국행림(韓國杏林) 편창(扁倉)”, 즉 한국에 나타난 편작·창공이라고 칭송하였고, 중국에서는 “천하(天下)의 보(寶)를 만든 사람”이라며 칭송하였다.

4. 2. 논란

허준이 유의태라는 인물에게서 의술을 배웠다는 이야기는 TV 드라마를 통해 널리 알려졌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유의태는 허준보다 100년 뒤에 활동한 인물로, 드라마 속 유의태는 실존 인물 유이태를 각색한 캐릭터이다.[12] 유이태는 산청군 생초면 출신의 명의로, 『마진편』, 『인서문견록』, 『실험단방』 등을 저술한 조선 후기 의관이다.[12] 드라마에서는 허준이 평안도 용천에서 태어나 경남 산음(산청)에서 자란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경기도 양천에서 출생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13] 각종 기록에 '양천인(陽川人)'이라고 적혀 있으며, 선조로부터 양평군(陽平君)이라는 품계를 받은 것이 그 근거로 제시된다.[13]

허준의 출생 연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1991년까지는 양천 허씨 종친회의 족보에 기재된 1546년 출생설이 지배적이었으나, 같은 해 이양재가 허준의 묘소를 발견한 이후 다양한 학설이 제기되었다. 당대 관찬 서적을 제외한 여러 서적에서 1546년, 1547년 등 출생 연도에 대한 기록이 모두 달랐기 때문이다. 이양재를 비롯한 사학자들은 1999년 조선 중기 의례 서적인 《태평회맹도》에서 허준의 출생 연도가 1539년이라는 기록을 발견했고, 동시대 문장가 최립의 문집 《간이집》에서 최립이 허준을 동갑내기(1539년생) 친구로 언급한 사실을 밝혀냈다. 해당 기록은 “내 동갑내기 친구 태의 양평군 허준이 의주에서 조정으로 돌아오는 데에 부쳐”라는 의미의 《贈送同庚大醫許陽平君還朝自義州(증송동경 대의 허양평군 환조자의주)》라는 시문으로 실려 있었다.

허준박물관에 보관된 《내의선생안》에는 허준의 출생 연도가 1537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허준박물관 김쾌정 관장은 《내의선생안》의 기록이 더 정확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내의선생안》은 1605년에 저술된 명부로 허준이 직접 서문을 달았으며, 허준의 선계(아버지 론, 조부 곤, 증조부 지) 직계가 실려있다. 또한 허준의 향년(享年)이 77세라고 기록하고 있다. 《태의원선생안》에서도 역시 허준의 출생연도를 1537년 정유년으로 밝히고 있다. 하지만 허준이 1537년생이라면 1615년에 숨을 거둘 당시 그의 나이는 79세여야 하므로 이는 《내의선생안》의 기록과는 다르다.

허준의 가계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양천 허씨 족보에는 허준이 서자로 기록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허준의 생모가 허론의 첩인 일직 손씨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허준의 생모는 허론의 재취 부인인 영광 김씨라는 주장도 있다. 유희춘의 《미암일기》에는 허준의 외삼촌으로 김시흡이라는 인물이 언급되는데, 이양재는 김시흡을 “적(嫡) 외삼촌”이라고 기록한 것을 근거로 허론의 재취 부인 영광 김씨도 서녀이며, 허준은 서자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적(嫡)'이라는 표현은 영광 김씨에게 동복 남매 외 서자 남자 형제가 있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어, 허준이 서자였다는 사실을 입증하기에는 부족하다. 허준의 동복동생 허징은 1586년 문과 알성시 병과에 급제했는데, 서자는 대과를 볼 수 없다는 점에서 허준과 허징 형제가 서자가 아니라는 주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문과방복에 허징은 서자로 표기되어있고, 조선시대엔 서자도 문과를 볼 수 있었다. 다만 올라갈수있는 품계가 제한되어있었을 뿐이다. 허준이 1573년 정3품 내의원정을 지냈고, 1575년 선조의 어의로 임명되었으므로, 허징이 과거를 치른 시점에는 이미 허준의 동복동생인 허징 또한 중인 출신이 아닌 반가의 혈족으로 인정받았을 가능성도 있지만, 허준이 당상관 반열에 오른 것은 1590년경으로 허징이 과거에 급제한 시기보다 4년 뒤이기 때문에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

민간 전승에서는 허준이 경상도 산음현의 유의태에게서 의술을 배웠다고 알려져 있지만, 유의태는 숙종 대의 한의사라는 설과 실존 여부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설이 있어 허준의 스승이 될 수 없다. 유의태와 동명이인인 한의사 유이태는 정조 대의 한의사로 역시 허준의 스승이 될 수 없다.

허준은 임진왜란 때의 공신이었으므로 초상화가 작성되었으나,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허준의 실제 초상화로 추정되던 작품은 1980년 초 양천 허씨 대종회에 입수되었으나, 당시 미술인협회 임원이었던 한의사가 초상화에 허준이라는 글씨가 없다는 이유로 가짜라고 주장하여 행방이 묘연해졌고, 현재는 사진만 전해진다. 1900년대 이전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허준의 상상 초상화 역시 사라져 전해지지 않는다. 현재 사용되는 허준 표준 초상화는 철종의 어진 복원에 참여한 최광수가 그린 상상화이다. 2001년 신동원이 쓴 책 《조선사람 허준》에는 허준의 초상화로 전해지는 초상화 중 하나가 수록되어 있다.

허준의 외모에 대한 기록은 선조의 서녀 정안옹주의 남편인 박미가 남긴 《분서집》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박미는 허준이 비택(肥澤)하여 불교승려와 흡사하고, 늘 입을 열면 옅은 미소를 지었다고 묘사했다.

허준에게는 외아들 허겸(許謙)이 있었으며, 허겸은 문과에 급제하여 부사를 거쳐 파릉군(巴陵君)에 봉작받았다. 허준의 후손들은 대대로 관직을 역임했으며, 숙종 때에는 증손자 허진(許瑱)이 파춘군(巴春君)의 작호를 받았고, 고손자 허육은 양흥군(陽興君)의 작호를 받았다. 영조 때에는 5대손 허선이 양원군(陽原君)에, 6대손 허흡이 양은군(陽恩君)에 봉작되었다. 허준의 10대손 허도는 황해도 해주로 이주했으며, 13대 종손 허형욱이 1945년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이후 허준의 직계 종손은 현재까지 북한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양천 허씨 종친회는 남한에서 허준의 후손을 자칭하는 사람들은 실제 후손이 아니라고 밝혔다.

5. 대중문화 속의 허준

1976년, 이은성이 허준의 일생을 소재로 MBC(한국방송공사)에서 제작한 연속극 「집념」을 시작으로, 이를 바탕으로 이은성이 1990년에 집필한 소설 「소설 동의보감」, 그리고 이은성 사후 1999년에 드라마화된 「허준 (드라마)」이 있다. 2013년 3월부터는 1999년 방영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구암 허준」의 방영이 시작되었다.

5. 1. 드라마

허준은 여러 드라마에서 극화되었다. 1975년 MBC 드라마 《집념》에서는 배우 김무생이 허준 역을 맡았고, 1976년 영화 《집념》에서는 이순재가 허준 역을 맡았다.[4] 1991년 MBC 드라마 《동의보감》에서는 서인석이, 1999년부터 2000년까지 방영된 MBC 드라마 《허준》에서는 전광렬이 허준 역을 연기했다.[5]

2013년 MBC 드라마 《구암 허준》에서는 김주혁강한별이 허준 역을 맡았으며,[6][7][8][9] 같은 해 SBS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에서는 박영규가 허준 역으로 출연했다. 2016년 JTBC 드라마 《마녀보감》에서는 윤시윤김갑수가, 2017년 tvN 드라마 《명불허전》에서는 엄효섭이 허준 역을 맡았다.

이 외에도, 2003년 SBS 드라마 《왕의 여자》에서는 최병학이, 2007년 MBC 드라마 《향단전》에서는 임현식이 허준 역으로 출연했다.

5. 2. 영화

5. 3. 소설

1976년 이은성이 허준의 일생을 소재로 MBC(한국방송공사)에서 제작한 연속극 《집념》을 시작으로, 이를 바탕으로 이은성이 1990년에 집필한 소설 《동의보감》은 출판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은성 사후 1999년에는 드라마 《허준 (드라마)》이 제작되었다. 2013년 3월부터는 1999년 방영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구암 허준》이 방영되었다.

6.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ko:허준 許浚 (1539 ~ 1615) http://www.doopedia.[...] Doosan Encyclopedia 2009-09-18
[2] 웹사이트 Mirror of Eastern Medicine Becomes UNESCO Heritage https://www.koreatim[...] 2009-07-31
[3] 웹사이트 Korean of Dongui Bogam Unveiled https://www.koreatim[...] 2009-08-07
[4] 웹사이트 Concentration Of Attention (Jibnyeom; 1976) http://www.kmdb.or.k[...]
[5] 웹사이트 Historical Drama and Future http://webzine.kofic[...] 2013-02-01
[6] 웹사이트 Kim Joo Hyuk seeks to bring his new interpretation of Heo Jun in ''Gu Am Heo Jun'' http://omg.yahoo.com[...] 2013-03-06
[7] 웹사이트 'Hur Jun, the Original Story' script reading of MBC's new drama series http://content.mbc.c[...] 2013-03-07
[8] 웹사이트 Period piece overload? Spring drama lineup goes heavy on historical settings http://nwww.koreaher[...] 2013-03-13
[9] 웹사이트 'Hur Jun, the Original Story' Casts Interview http://content.mbc.c[...] 2013-04-09
[10] 웹사이트 『동의보감』의 主人인 허준 先生의 고향은 어디? http://www.g-enews.c[...]
[11] 뉴스 [연재] 고사성어를 통해보는 선현들의 가르침 http://www.yc-news.c[...] 연천신문 2022-03-20
[12] 뉴스 드라마〈허준〉의 역사적 오류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02-02-25
[13] 뉴스 허준은 남다른 신념의 소유자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