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엉덩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엉덩뼈는 골반을 형성하는 뼈로, 몸통과 날개로 구성된다. 몸통은 볼기뼈 절구의 일부를 형성하며, 날개는 큰 골반과 연결된다. 엉덩뼈 너비는 산과에서 골반 크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인류학에서도 체질량 측정에 활용된다. 공룡은 엉덩뼈 구조에 따라 용반류와 조반류로 구분된다. 엉덩뼈는 다양한 근육의 기시부이며, 혈액 생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지 뼈대 - 골반
    골반은 몸통 아랫부분의 골반뼈와 관련 구조물로 이루어진 부위로, 골반 골격, 골반강, 골반저, 회음으로 구성되어 척추와 하지를 연결하고 내부 장기를 포함하며 자세 유지와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하지 뼈대 - 정강뼈
    정강뼈는 무릎과 발목 사이 다리에 위치한, 넙다리뼈 다음으로 큰 뼈로서 종아리뼈와 함께 다리를 구성하며 체중을 지탱하고 무릎 및 발목 관절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
  • 골반뼈 - 궁둥뼈
    궁둥뼈는 엉덩이뼈의 일부로, 몸통, 위가지, 아래가지로 구성되며, 엉덩관절을 형성하고 여러 근육의 기시 및 정지 부위로 작용하며, 앉을 때 체중을 지탱하는 궁둥뼈 결절을 포함한다.
  • 골반뼈 - 폐쇄구멍
    폐쇄구멍은 두덩뼈와 궁둥뼈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골반의 구멍으로, 폐쇄막으로 덮여 있으며 폐쇄 신경, 동맥, 정맥이 폐쇄관을 통과하고, 성별에 따라 형태와 크기가 다르다.
엉덩뼈
개요
골반의 장골 개요
골반의 장골 개요
엉덩관절의 관절낭 (팽창). 후방 모습. (상단에 장골 라벨이 붙어 있음)
장골
라틴어os ilium
영어ilium
상세 정보
일부골반의 가장 크고 위쪽 부분
설명
엉덩뼈궁둥뼈와 두덩뼈가 합쳐져서 형성됨.
추가 정보
그레이 해부학'57'
그레이 해부학 단락'2'
식별
메쉬 명칭ilium

2. 구조

엉덩뼈는 몸통과 날개로 구성된다. 엉덩뼈는 궁둥뼈두덩뼈와 연결되어 골반뼈를 형성하며, 이 뼈들의 결합 부위는 희미한 선으로 나타난다.

== 몸통 ==

몸통(코르푸스 오시스 일리/corpus ossis iliila)은 볼기뼈 절구의 약 2/5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바깥면의 일부는 관절면이고 일부는 비관절면이다. 관절면 부분은 볼기뼈절구의 반달면(lunate surface)을 형성하며, 비관절면 부분은 절구오목(acetabular fossa)을 이룬다. 안쪽면은 작은 골반의 벽 일부를 형성하여, 속폐쇄근(Obturator internus muscle)의 기시부가 된다.

아래로는 궁둥뼈, 두덩뼈와 연결되는데, 서로의 유합은 육안으로 감별하기 힘들다.

== 날개 ==

엉덩뼈의 날개(알라 오시스 일리/ala ossis iliila)는 몸통을 제외한 윗부분의 크고 널찍한 구조로, 큰골반(greater pelvis)과 연결된다. 날개는 바깥면과 속면의 두 면, 하나의 능선(crest), 그리고 앞모서리와 뒤모서리의 두 모서리로 구성된다.

몸통()은 비구의 2/5 미만을 형성하며, 비구와도 연결된다. 몸통의 내측면은 작은 골반 벽의 일부를 형성하며, 폐쇄내근의 일부 섬유가 기시한다.

날개()는 큰 골반을 가쪽으로 둘러싸는 넓게 확장된 부분이다. 바깥쪽 면과 안쪽 면, 능선, 그리고 앞쪽과 뒤쪽의 두 경계를 가지고 있다.

2. 1. 몸통

몸통(body, corpus ossis ilii)은 볼기뼈 절구의 약 2/5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바깥면의 일부는 관절면이고 일부는 비관절면이다. 관절면 부분은 볼기뼈절구의 반달면(lunate surface)을 형성하며, 비관절면 부분은 절구오목(acetabular fossa)을 이룬다. 안쪽면은 작은골반의 벽 일부를 형성하여, 속폐쇄근(Obturator internus muscle)의 기시부가 된다.

아래로는 궁둥뼈, 두덩뼈와 연결되는데, 서로의 유합은 육안으로 감별하기 힘들다.

2. 2. 날개

엉덩뼈의 날개(wing, ala ossis ilii)는 몸통을 제외한 윗부분의 크고 널찍한 구조로, 큰골반(greater pelvis)과 연결된다. 날개는 바깥면과 속면의 두 면, 하나의 능선(crest), 그리고 앞모서리와 뒤모서리의 두 모서리로 구성된다.

3. 엉덩뼈 너비 (장골간 너비)

사람의 엉덩뼈 너비는 양쪽 엉덩뼈의 상단부 바깥경계 사이의 거리이다.

엉덩뼈 너비 측정은 산과에서 유용한데, 골반이 특별히 너무 작거나 너무 크면 산과적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골반의 작은 크기에 비해 아기가 큰 경우 제왕절개를 하지 않으면 사망할 수도 있다.[34] 성인 여성의 평균 너비는 28cm이다.

인류학자들이 사용하는 측경기(測徑器)를 사용하면 좀더 수월하게 측정할 수 있다. 골반계(骨盤計)라고도 한다. 골반의 굽어진 부분까지 포함하여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줄자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인류학자들은 체질량을 측정하기 위해 엉덩뼈 너비를 측정하기도 한다.[35]

인간의 '''장골간 너비'''는 엉덩뼈 상부의 바깥쪽 가장자리 사이 골반의 가장 넓은 너비를 나타내는 해부학적 용어이다. 장골간 너비는 골반뼈 너비, 장골간 폭, 장골능간 폭/너비, 이중 장골 폭/너비, 장골능간 폭/너비.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장골간 너비 측정은 골반이 지나치게 작거나 큰 경우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산부인과에서 유용하다. 큰 아기나 작은 골반은 제왕 절개를 실시하지 않으면 종종 사망으로 이어진다.[3] 또한 인류학자들이 체질량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4]

4. 다른 동물

4. 1. 공룡

공룡은 골반, 특히 엉덩뼈의 구조에 따라 용반류와 조반류로 나뉜다.[5] 용반류와 조반류 모두에서 엉덩뼈는 몸의 축에서 양쪽으로 뻗어 있으며, 좌골과 치골은 엉덩뼈에서 동물의 배쪽으로 뻗어 있다. 비구는 좌골, 엉덩뼈, 치골이 모두 만나는 골반 뼈대 양쪽에 있는 구멍으로, 대퇴골의 머리가 삽입된다. 비구의 방향과 위치는 공룡이 다리를 몸 아래에 바로 두고 직립 자세로 걷게 한 주요 형태학적 특징 중 하나이다. 브레비스 오목은 엉덩뼈의 뒷부분인 비구 후돌기 아래쪽에 있는 깊은 홈이다. 브레비스 선반은 오목 안쪽 측면의 뼈 능선이며, 엉덩뼈 뒷부분의 내부를 형성하는 뼈 벽으로 꼬리 근육인 ''꼬리넙다리근 브레비스''의 부착 부위 역할을 한다.[6] 종종 엉덩이 소켓 근처에서 비구 후돌기의 바깥쪽 면의 아래쪽 가장자리가 브레비스 선반의 가장자리보다 높게 위치하여 측면에서 볼 때 브레비스 선반이 노출된다.

5. 역사

엉덩뼈를 뜻하는 영어 이름 'ilium'은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의 저작에서 유래되었는데, 그는 'os ilium'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7] 이 표현에서 ''ilium''은 명사 ''ile''의 주격 단수의 소유격 복수로 간주될 수 있다.[7] 고전 라틴어에서 ile는 '몸의 옆구리',[8] '사타구니',[8] 또는 '가장 낮은 갈비뼈에서 치골까지의 복부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8] Ile는 고전 라틴어에서 복수형(''ilia'')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8] ''os ilium''은 문자 그대로 '옆구리의 뼈'(라틴어: ''os''[8])로 번역될 수 있다.

이보다 천 년 이상 앞서, ''ossa ilium''은 그리스 의사 갈레노스에 의해 묘사되었으며, τά πλατέα λαγόνων ὀστᾶ, 즉 '옆구리의 평평한 뼈'라는 매우 유사한 표현으로 언급되었다.[7] 여기서 λαγών은 '옆구리'를 의미한다.[9] 해부학적 라틴어에서는 고대 그리스어 λαγών을 기반으로 한 ''os lagonicum''이라는 표현도 찾을 수 있다.[10]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명사화된 형용사 λαγόνιο[11]가 ''os ilium''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영어에서 사용되는 이름 ''ilium''[14][15]은 전체 라틴어 표현 ''os ilium''에서 파생된 명사화된 형용사로 간주될 수 없는데, 이 표현에서 ''ilium''은 형용사의 주격 단수가 아니라 명사의 소유격 복수이기 때문이다.[7] 그러나 영어에서 ''ilium''의 형태는 라틴어 단어 ''ilium''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는데,[16] 이는 ''ile'', 즉 '옆구리' 또는 '사타구니'의 라틴어 철자 변형이다.[8][16]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의 표현인 ''os ilium''이 '옆구리의 뼈'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반면, 영어에서 사용되는 단독 용어 ''ilium''은 이러한 정확성이 부족하며 문자 그대로 '사타구니' 또는 '옆구리'로 번역해야 한다.

고전 라틴어에는 형용사 ''ilius/ilia/ilium''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형용사는 '옆구리와 관련하여'가 아니라 '트로이의'를 의미한다.[8] ''트로이''는 고전 라틴어에서 ''Ilium'',[8] ''Ilion''[8] 또는 ''Ilios''[17]로,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Ἴλιον[9] 또는 Ἴλιος로 불린다.[9]

최초 80년 동안의 공식 라틴어 명명법인 ''Nomina Anatomica''의 초판(1895년 초)에서는 베살리우스의 표현인 ''os ilium''을 사용했다.[18][19][20][21][22][23] 1983년[24]과 1989년[25]의 후속판에서는 ''os ilium'' 표현이 ''os ilii''로 변경되었다. 현재의 1998년판 ''Nomina Anatomica''는 ''Terminologia Anatomica''로 개명되었으며, ''os ilium'' 표현이 다시 도입되고 ''os ilii''는 삭제되었다.

6. 엉덩뼈와 관련된 근육

엉덩뼈에서 시작하는 근육에는 엉덩근, 큰볼기근, 중간볼기근, 작은볼기근, 넙다리근막긴장근, 허리네모근, 내복사근, 배가로근 등이 있다. 엉덩뼈에는 바깥 빗근이 닿는다.

6. 1. 엉덩뼈에서 시작하는 근육

엉덩뼈에서 시작하는 근육에는 엉덩근, 큰볼기근, 중간볼기근, 작은볼기근, 넙다리근막긴장근, 허리네모근, 내복사근, 배가로근 등이 있다.

6. 2. 엉덩뼈에 닿는 근육

엉덩뼈에는 바깥 빗근이 닿는다.

7. 혈액과의 관계

장골에는 인체에서 가장 많은 양의 골수가 존재하며, 성인의 경우 혈액의 약 절반은 장골에서 생성된다.[30] 골수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장골능의 뒤쪽, 위뒤엉덩뼈가시를 중심으로 하는 부위에서 채취한다.[30]

참조

[1] 서적 Infectious Diseases and Pathology of Reptil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9-01-09
[2] 서적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F.A. Davis
[3]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Medicine: Cesarean Section http://health.enotes[...] eNotes 2008-12-03
[4] 저널 Body mass prediction from stature and bi-iliac breadth in two high latitude populations, with application to earlier higher latitude humans http://www.hopkinsme[...] 2006-07-26
[5] 간행물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fossil animals commonly named Dinosauria.'" 1888
[6]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Dinosaurs Blackwell Publishing
[7] 서적 Onomatologia Anatomica. Geschichte und Kritik der anatomischen Sprache der Gegenwart. Wilhelm Braumüller. K.K. Hof- und Universitätsbuchhändler.
[8] 서적 A Latin dictionary founded on Andrews' edition of Freund's Latin dictionary. Clarendon Press.
[9]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revised and augmented throughout by Sir Henry Stuart Jones. with the assistance of. Roderick McKenzie. Clarendon Press.
[10] 저널 Die gynäcologische Anatomie und ihre zu Basel festgestellte Nomenclatur.
[11] 서적 Corpus humanum, The human body, Le corps humain, Der menschliche Körper, Il corpo umano, El cuerpo humano, Ciało człowieka, Människokroppen, Menneskekroppen, Τό ανθρώπινο σῶμα, ЧЕЛОВЕК. FKG
[12] 서적 Terminologia medica polyglotta. Latinum-Bulgarski-Russkij-English-Français-Deutsch. Editio medicina et physcultura.
[13] 서적 Kritisch-etymologisches medicinisches Lexikon Verlag der Deuerlich- und Dieterichschen Buchhandlung.
[14] 서적 The American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W.B. Saunders Company.
[15] 서적 Stedman's concise 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Williams & Wilkins.
[16] 서적 A comprehensive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Dealing with the origin of words and their sense development thus illustratio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nd culture. Elsevier Science B.V.
[17] 서적 Latijnsch woordenboek. J.B. Wolters' Uitgevers-Maatschappij
[18] 서적 Die anatomische Nomenclatur. Nomina Anatomica. Der von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auf ihrer IX. Versammlung in Basel angenommenen Namen Verlag Veit & Comp.
[19] 서적 Die Nomina anatomica des Jahres 1895 (B.N.A.) nach der Buchstabenreihe geordnet und gegenübergestellt den Nomina anatomica des Jahres 1935 (I.N.A.) Georg Thieme Verlag.
[20] 서적 Nomina Anatomica. Zusammengestellt von der im Jahre 1923 gewählten Nomenklatur-Kommission, unter Berücksichtigung der Vorschläge der Mitglieder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der Anatom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sowie der American Association of Anatomists, überprüft und durch Beschluß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auf der Tagung in Jena 1935 endgúltig angenommen. Verlag Gustav Fischer.
[21] 서적 Anatomical dictionary with nomenclature and explanatory notes. Pergamon Press.
[22] 서적 Nomina Anatomica Excerpta Medica Foundation.
[23]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Excerpta Medica.
[24]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Williams & Wilkins
[25]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Churchill Livingstone.
[26] 웹사이트 慶応大学/系統解剖学/骨、骨格系 http://web.sc.itc.ke[...] 2011-02-12
[27] 웹사이트 gooヘルスケア 上・下前腸骨棘裂離骨折の症状と原因 http://health.goo.ne[...]
[28] 웹사이트 股関節の痛みの原因を治療する~理学療法士國津秀治 http://kokansetsu-it[...]
[29] 웹사이트 股関節の痛みの原因を治療する~理学療法士國津秀治 http://kokansetsu-it[...]
[30] 서적 三輪血液病学 文光堂
[31]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32] 서적 Infectious Diseases and Pathology of Reptiles http://books.google.[...] CRC Press 2007-01-09
[33] 서적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F.A. Davis
[34] 웹인용 Encyclopedia of Medicine: Cesarean Section http://health.enotes[...] eNotes 2008-12-03
[35] 저널 Body mass prediction from stature and bi-iliac breadth in two high latitude populations, with application to earlier higher latitude humans http://www.hopkinsme[...] 2006-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