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에델바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에델바이스는 독일어로 "고귀한 흰색"을 의미하며, 알프스 지역을 상징하는 꽃이다. 솜다리속 식물을 통칭하며, 잎과 꽃에 흰색 털이 덮여 솜털 같은 모습을 보인다. 해발 2000~3400m의 고산 지대에서 자생하며, 알프스, 피레네 산맥, 아펜니노 산맥 등 석회암 지대를 선호한다.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사랑과 순결의 상징이 되었으며, 현재는 스위스와 오스트리아의 국화로 여겨진다. 군사적으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독일, 오스트리아, 폴란드 등 여러 국가의 산악 부대에서 휘장으로 사용된다. 또한, 다양한 예술 작품, 상품, 단체의 상징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프스의 식물상 - 돌꽃
    돌꽃(Rhodiola rosea)은 세계 고산 지대에서 자생하는 다육질 식물로, 노란색 또는 연녹색 꽃을 피우며, 잎과 어린 순은 식용 가능하고, 뿌리에는 다양한 화학 물질이 함유되어 건강 보조 식품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효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CITES 부록 II에 등재되어 거래가 통제된다.
  • 알프스의 식물상 - 유럽팥배나무
    유럽팥배나무는 깃털 모양의 잎, 황백색 꽃, 붉은색 열매를 지니며 유럽과 북아시아에 분포하는 낙엽 관목 또는 교목으로, 관상용, 식용, 약용, 목재 등으로 사용되며 악령을 쫓는 나무로 여겨지기도 한다.
  • 허브 -
    딜은 미나리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남유럽, 지중해 연안 등이 원산지이며 특유의 향긋한 향으로 유럽과 아시아 요리에서 향신료 및 약초로 활용된다.
  • 허브 - 차이브
    차이브는 유라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풀 초본 식물로, 얇고 속이 빈 잎과 연한 보라색 꽃을 가지며 마늘과 비슷한 향을 내어 유럽 요리에 샐러드, 수프, 소스 등으로 활용된다.
에델바이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펜 에델바이스, 레온토포디움 알피눔 2.JPG
알펜 에델바이스
학명Leontopodium nivale (Ten.) Huet ex Hand.-Mazz.
이명Leontopodium alpinum Colm. ex Cass.
다른 이름에델바이스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목
국화과
아과국화아과
왜떡쑥족
솜다리속
에델바이스
분포
서식 고도1,800–3,400m
보존 상태
IUCNLC (관심 필요)
학명 (일본어)
학명Leontopodium alpinum Cass., 1822
일본어 이름セイヨウウスユキソウ (세이요우우스유키소우)
아종L. alpinum ssp. nivale
L. alpinum ssp. pamiricum

2. 명칭

'에델바이스(Edelweiß)'는 독일어로 "고귀한 흰색"을 의미한다.[4] 슬로베니아어로는 '플라니카(planika, 산 소녀)', 루마니아어로는 '플로아레 데 콜츠(floare de colț, 절벽 꽃)'라고 불린다.[4]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스텔라 알피나(stella alpina)', '에투알 데 알프(étoile des Alpes)' 등으로 불리며, "알프스의 별"을 의미한다.[4]

19세기 전반, 초기 알프스 관광의 확산과 함께 Edelweißde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5] 이전에는 Chatzen-Talpende("고양이의 발톱"), Wullbluomengmh("양털 꽃")[6][7] 등으로 불렸다.

학명 'Leontopodium'은 고대 그리스어 '(λεοντοπόδιονgrc, 사자의 발)'[8]에서 유래했다. 종소명인 'nivale'는 "눈" 또는 "눈이 많은"을 의미한다.[9] 한국에서는 솜다리속 식물을 통칭하여 '에델바이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3. 분류

1822년 이후로, 솜다리속은 더 이상 개쑥갓속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고, 개쑥갓족 내의 별개의 속으로 분류되었다. 2003년에, 에델바이스는 눈솜다리의 아종으로 재분류되었다.[10] 따라서, 알프스 에델바이스는 현재 두 아종, 눈솜다리 아종 알피눔 (Cass.) 그뢰터 및 눈솜다리 아종 니발레로 나뉘어져 있다.[11]

4. 특징

에델바이스의 잎과 꽃에는 흰색 털이 덮여 있으며, 솜털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야생에서 에델바이스의 꽃줄기는 3–20cm까지 자라며, 재배 시에는 최대 40cm까지 자란다. 각 꽃은 5~6개의 작은 노란색 두상화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솜털 같은 흰색 포엽으로 둘러싸여 이중 별 모양을 형성한다. 꽃은 7월부터 9월 사이에 핀다.[12][13]

해발 2000~2900m의 고산지대 석회암 지대를 좋아한다. 지상부에는 솜털이 빽빽하게 나 있어 양털을 덮은 것처럼 보인다. 꽃줄기는 20~30cm 정도까지 자라지만, 재배 환경에서는 최대 40cm까지 자란 경우가 있다. 꽃은 별처럼 길고 흰 꽃잎을 펼친 것처럼 보이지만,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포엽이라 불리는 변형된 잎이며, 진짜 꽃은 그 중심에 핀 지름 5~6mm의 작고 노란 통 모양의 꽃차례 5~6개이다. 개화기는 7~9월이다.

지상부를 빽빽하게 덮는 솜털은 고산 환경에 적응한 결과로 보인다. 고산 식물은 추위, 건조, 그리고 자외선으로부터 식물체를 보호하는 어떤 메커니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5. 분포 및 서식지

에델바이스(''Leontopodium nivale'')는 약 1,800~3,400m 고도의 알프스, 피레네 산맥, 아펜니노 산맥의 석회암 바위지대를 선호한다.[14] 유럽 알프스가 자생지로 유명하며, 유럽의 솜다리속(Leontopodium)은 이 종 하나뿐이라고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이탈리아 반도 동부에서 유럽 남동부에 걸쳐 형태가 상당히 다른 솜다리속 식물이 분포하고 있다. 이 식물은 학자에 따라 아종 ''L. alpinum'' ssp. ''nivale''로 분류되거나, 별개의 종 ''L. nivale''로 분류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 이 종이 ''L. nivale''의 아종 ''L. nivale'' ssp. ''alpinum''으로 취급된다.

레온토포디움 니와레를 ''L. alpinum'' ssp. ''nivale''로 취급하는 경우, 서쪽으로는 피레네 산맥에서 동쪽으로는 터키의 산악 지대까지 분포한다. 중앙아시아의 고산 지대, 시베리아, 파미르 고원, 서쪽 히말라야에 자라는 것까지 아종 ''L. alpinum'' ssp. ''pamiricum''으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는 멸종위기종인 솜다리설악산, 한라산 등 고산 지대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6. 보존

솜다리(''Leontopodium nivale'')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된다.[15] 이 종의 개체 수는 과도한 채집으로 감소했지만, 현재는 법률, 현지 외 보전, 그리고 국립공원에서의 서식으로 보호받고 있다.[15]

13세기경에는 알프스 지방에서 가축 우리의 훈증용 원료나 약초로 다량 사용되었으며, 매우 흔하게 자생하고 있었다. 약초로서도 중요했으며, 이 무렵에는 본 종의 이름으로 바우호베ーブレーム(복통초), 루르크로이텔(적리초), 브루트ゥㄴ게ン크라우트(폐혈초) 등 많은 병의 이름을 붙여 불렸다.

19세기 낭만주의의 부상으로 에델바이스는 사랑과 순정, 확고한 신념 등 ‘불멸의 상징’으로서 축제나 연애 등에 사용되게 되어, 더욱 채취되어 감소하게 되었다. 결국 매우 험한 곳에서만 볼 수 있게 되었고, 채집자가 추락사하는 사례가 속출하여 ‘알프스의 식물 로렐라이’라고까지 불리게 되었다.

본 종의 감소는 정치적인 화제가 되었지만, 구체적인 보호책은 상당히 늦어 스위스에서 채집이 금지된 것은 1909년이다. 그러나 관광객이나 현지의 관광업자, 꽃집 등은 채집을 계속하여, 현재도 본 종의 야생종을 보는 것은 매우 어렵다.[38]

7. 재배

에델바이스는 독특한 꽃차례와 은색 잎 때문에 정원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된다.[16] 5월 말에 자란다. 이 식물은 수명이 짧으며 종자로 번식할 수 있다.[17]

8. 화학 성분

다양한 종류의 화합물, 예를 들어 테르페노이드, 페닐프로파노이드, 지방산, 그리고 폴리아세틸렌이 에델바이스 식물의 여러 부분에서 보고되었다.[18] 레올리진이 주요 리그난 성분으로 보고되었다.[19]

9. 민간 요법

에델바이스는 알프스 지역의 전통 민간 요법에서 수세기 동안 사용되어 왔다.[20] 식물의 여러 부분에서 추출한 것을 복통, 호흡기 질환, 심장병 치료 및 설사 치료에 사용했다.[20] 그래서 오랫동안 배앓이 꽃으로도 알려졌다.[20] 또한 산악인들은 건조한 꽃다발에서 오래가는 꽃("영원한 꽃")으로 사용했다.[20] 13세기경에는 알프스 지방에서 가축 우리의 훈증용 원료나 약초로 다량 사용되었으며, 이 무렵에는 본 종의 이름으로 바우호베-블레-메(복통초), 루르크로이텔(적리초), 브루트ゥㄴ게ン크라우트(폐혈초) 등 많은 병의 이름을 붙여 불렸다.

10. 상징적 의미

19세기에 에델바이스는 험준하고 순수한 알프스 지역과 그곳 원주민들의 상징이 되었다. 이전에는 무시되었던 에델바이스에 대한 열정은 19세기 중반,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가 부인 엘리자베트와 함께 등산을 갔을 때 황제가 직접 에델바이스를 따서 아내에게 준 사건을 계기로 시작되었다.[21]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와 황후 엘리자베트


이 식물은 오스트리아 황후 엘리자베트의 상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865년 화가 프란츠 크사베르 빈터할터가 그린 초상화에는 황후 엘리자베트의 머리카락에 인공 에델바이스 별 아홉 개가 엮여 있다. 이 장신구는 당시 궁정 보석상이었던 알렉산더 에마누엘 쾨허트가 디자인했다.[22]

19세기 말 산악 관광이 발전하면서 에델바이스는 알피니스트와 등산가들의 배지이자 상징이 되었다. 자주 채취되는 상징적인 종의 멸종을 막기 위해 일찍부터 자연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었다. 에델바이스는 곧 수많은 알프스 클럽과 협회의 로고 상징으로 채택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에서는 알프스 식물과 알프스 부대에 필요한 인내심, 민첩성 등 사이의 상징적인 관계를 인식하고, 배지와 명칭으로 자주 홍보했다. 프란츠 요제프 황제는 산악 작전을 위해 고안된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 부대에 에델바이스를 배지로 지정했다.[23]

베르톨트 아우어바흐의 소설 ''에델바이스''(1861)에서는 알피니스트가 에델바이스 꽃을 얻는 어려움이 과장되어, "하나를 소유하는 것은 남다른 대담함의 증거"라고 묘사되었다.[24] 이러한 생각은 당시 초기 알피니즘의 대중적인 신화의 일부가 되었다.[25] 아우어바흐의 소설 서문에는 랄프 왈도 에머슨의 말로 여겨지는 인용구가 실려 있는데, 스위스 사람들은 에델바이스를 "고귀한 순수"를 의미하는 ''Edelweisse''라고 부른다고 설명한다.

알프스 용담과 함께 에델바이스는 오늘날에도 알프스의 외로운 봉우리와 맑은 공기를 상징한다.[26]

일반적으로 '''에델바이스'''(Edelweiss)라는 이름은 독일어의 edel(고귀한, 기품 있는)과 weiß(흰색)에서 유래한다. 독일어권 이외에서도 이 종이 보여주는 흰색 외관은 순결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루마니아어 이름 floarea reginei(여왕의 꽃)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스위스와 비공식적으로 오스트리아의 국화로 선정되어 있다.

독일어권의 산악전 전문 부대인 산악 사냥꾼의 상징으로 에델바이스 문양이 채택되고 있다.

19세기 낭만주의의 부상으로 에델바이스는 사랑과 순정, 확고한 신념 등 ‘불멸의 상징’으로서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지나친 채취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여 채집자가 추락사하는 사례가 속출하였고, ‘알프스의 식물 로렐라이’라고까지 불리게 되었다. 스위스에서 채집이 금지된 것은 1909년이지만, 관광객이나 현지 업자들은 채집을 계속하여 현재도 야생종을 보는 것은 매우 어렵다.[38]

10. 1. 군사적 상징

에델바이스는 1907년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에 의해 제국-왕립 산악병의 상징으로 제정되었다.[27] 이 부대는 제복 깃에 에델바이스를 달았으며, 1918년 이전 합스부르크 군대에는 군사 산악 가이드 훈장, 깃과 모자의 에델바이스 문장, 알파인 순찰 중대의 휘장 등 다양한 에델바이스 휘장이 존재했다.[27] 많은 알파인 부대, 특수부대 및 병사들은 비공식적인 에델바이스 휘장을 달기도 했다.

카이저예거 - 상사 (''Oberjäger'')


부대 명칭에도 에델바이스가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요제프 페르디난트 대공의 "에델바이스 군단"(k.u.k. XIV 군단)과 제1차 세계 대전 중 편성된 "에델바이스 사단"이 있다. 1915년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알파인 부대에게 용기의 상징으로 에델바이스가 수여되었다.[27] 오늘날에도 오스트리아, 프랑스, 슬로베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및 독일 알파인 부대의 휘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스위스군에서는 최고 계급(준장 이상)의 휘장에 별 대신 에델바이스 꽃 모양을 사용한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인들은 발파롤라 고개(Valparola Pass) 바로 옆 지점을 "에델바이스 지점"이라고 불렀다.[29]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헤르미스 니엘(Herms Niel)이 군인들을 위해 에스 바어 아인 에델바이스/Es war ein Edelweissde라는 노래를 작곡하기도 했다.

에델바이스는 제3제국(Third Reich)의 국방군(Wehrmacht)과 무장친위대(Waffen-SS) 산악병(Gebirgsjäger)의 상징이었으며, 현재도 독일군(German Army) 산악여단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루프트바페(Luftwaffe) 부대 캄프게슈바더 51/Kampfgeschwader 51de (제51 폭격연대)는 에델바이스 연대로 알려져 있었다.

한국전쟁 당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에델바이스를 좋아하여 자신의 호를 '후광(後廣)'과 함께 '에델바이스'로 사용하기도 했다.

10. 2. 기타 상징

에델바이스는 오스트리아 2유로센트 동전과 루마니아 50레이 지폐에 등장하며, 스위스 국가 관광 기구의 상징으로 사용된다.[32] 불가리아 관광 연합[30]과 불가리아 산악 관리 및 구조대[31]의 상징이기도 하다. 독일, 오스트리아, 남티롤, 프리울 등의 여러 알파인 클럽[33] 및 국제 산악 지도자 협회 연합(UIMLA) 로고에도 사용된다.

에델바이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인 의미로 활용된다. 오스트리아의 맥주 브랜드, 스위스 항공사 에델바이스 항공(Edelweiss Air)의 이름과 로고, 남티롤 인민당(Südtiroler Volkspartei)의 로고 등에 사용된다. 또한, 한국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서 리정혁이 윤세리에게 선물한 화분으로 등장하며 중요한 소재로 사용되었다. 그 외 만화 《아스테릭스와 스위스》, HBO 미니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 게임 발키리아 크로니클, 노래 "High on a Rocky Ledge", "Bring me Edelweiss", "Tiroler Edelweiss" 등 다양한 예술 작품과 상품에도 영감을 주었다. 미 육군 제10 특수전단 제1대대 병사들은 에델바이스를 부대 마크로 사용하며, 폴란드 프로 아이스하키팀 MMKS 포드할레 노비 타르그(Podhale Nowy Targ)는 에델바이스를 엠블럼으로 사용한다. 우크라이나군 제10산악돌격여단은 "에델바이스" 명예 칭호를 받았다.[34] 리투아니아의 독일계 자녀들은 에델바이스 공동체를 결성하기도 했다.[35]

참조

[1] IUCN Leontopodium alpinum 2024-10-25
[2] 저널 Optical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white filamentary hair covering the edelweiss bracts 2005-01-01
[3] 웹사이트 5 martie, Ziua florii de colț, declarată monument al naturii încă din 1931 https://www.g4media.[...] 2023-03-05
[4] 서적 Handy-book of literary curiosities https://archive.org/[...] J.B. Lippincott Co. 2010-08-19
[5] 문서 Edelweiss reported as common name alongside Alpen-Ruhrkraut in Kittel, Taschenbuch der Flora Deutschlands zum bequemen Gebrauch auf botanischen Excursionen (1837) https://archive.org/[...]
[6] 서적 Stocc-Hornii et Nessi [...] description [...], a Benedicto Are [...] dictate. Basel
[7] 웹사이트 http://digital.idiot[...]
[8] 사전 LSJ entries for λέων, πόδιον, and πούς
[9] 서적 A source-book of biological names and terms Thomas
[10] 웹사이트 Leontopodium nivale subsp. alpinum (Cass.) Greuter http://www.worldflor[...] 2022-05-16
[11] 웹사이트 Leontopodium nivale (Ten.) Huet ex Hand.-Mazz. — The Plant List http://www.theplantl[...] 2017-09-07
[12] 문서 NOTE: Sometimes mistaken for a different species (reference only).
[13] 문서 NOTE: Image courtesy of Bernd Haynold (reference only).
[14] 웹사이트 Leontopodium alpinum: Habitat http://bioweb.uwlax.[...] University of Wisconsin BioWeb 2023-07-18
[15] IUCN Leontopodium alpinum 2021-11-13
[16] 서적 Rock garden plants: a color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Timber Press
[17] 서적 Seeds: The Ultimate Guide to Growing Successfully from Seed https://archive.org/[...] The Lyons Press
[18] 저널 https://link.springe[...]
[19] 저널 Leoligin, the Major Lignan from Edelweiss (Leontopodium nivale subsp. alpinum), Promotes Cholesterol Efflux from THP-1 Macrophages https://www.ncbi.nlm[...] 2016-06-24
[20] 뉴스 Edelweiß ist Heilpflanze des Jahres 2019 (German: Edelweiss is Medicinal Plant of the Year 2019) 2019-01-24
[21] 서적 Das Edelweiß Hugo Heller & Cie.
[22] 뉴스 Sisi-Stern: Das berühmteste Schmuckstück aus Österreich 2014-04-10
[23] 간행물 Das Edelweiß – Alpenblume mit Symbolkraft https://www.bundeshe[...]
[24] 서적 Edelweiss: A story https://archive.org/[...] Roberts Brothers
[25] 뉴스 Chamois hunting https://books.google[...] 1853
[26] 방송 Edelweiß und Enzian 2011-12-25
[27] 간행물 Das Edelweiß – Alpenblume mit Symbolkraft
[28] 웹사이트 I friulani scelgono il loro inno: è “Stelutis alpinis” di Zardini http://messaggeroven[...] 2016-04-06
[29] 웹사이트 Valparolapass: Die Edelweißstellung schloss die offene Flanke der Österreicher https://www.explorin[...] 2020-10-12
[30] 웹사이트 Български Туристически Съюз https://www.btsbg.or[...]
[31] 웹사이트 Начална страница https://www.pss-bg.b[...]
[32] 웹사이트 Vacation, Travel, Meetings - Typically Swiss - Switzerland Tourism https://web.archive.[...] 2009-08-26
[33] 웹사이트 IL NUOVO LOGO DELLA SAF: EVOLUZIONE DI UN SIMBOLO – Societa Alpina Friulana https://www.alpinafr[...]
[34] 뉴스 Zelenskyy awards special honourable title to the 10th Separate Mountain Assault Brigade https://www.pravda.c[...] 2023-02-14
[35] 웹사이트 Vilko vaikai https://www.vilkovai[...]
[36] 주석
[37] 주석
[38] 서적 久合田(1997),p.8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