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도 4대 기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도 4대 기근은 에도 시대에 발생한 4번의 대규모 기근을 일컫는 말로, 간에이 대기근, 교호 대기근, 덴메이 대기근, 덴포 대기근을 포함한다. 이 외에도 겐나, 엔포 시기의 기근과 겐로쿠, 호레키 기근 등이 있었다. 덴메이 대기근이 가장 큰 피해를 입혔으며, 각 기근은 이상 기후, 냉해, 해충 피해 등을 원인으로 발생했다. 기근에 대비하기 위한 노력으로 오다기리 슌코는 『흉황도록』을 편집, 발행하여 피해 상황과 구황 식물을 소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의 재난 - 덴메이 대분화
덴메이 대분화는 1783년 아사마 산에서 발생한 플리니식 분화로, 화산재, 화쇄류, 용암류 등을 생성하여 덴메이 대기근의 원인이 되었고 사회, 정치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에도 시대의 재난 - 메이레키 대화재
메이레키 대화재는 1657년 에도에서 발생하여 도시 대부분을 파괴하고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낸 대규모 화재로, 후리소데 화재 전설, 막부 방화설 등 다양한 원인 논쟁이 있으며, 이후 도시 재건과 함께 방재를 위한 건축 규제 및 도시 계획이 시행되었다. - 일본의 기근 - 덴메이 대기근
덴메이 대기근은 에도 시대 일본에서 1783년 아사마산 분화와 막부의 경제 정책 실패로 발생한 대규모 기근으로, 도호쿠 지방을 중심으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여 사회 혼란을 야기하고 간세이 개혁의 배경이 되었다. - 일본의 기근 - 덴포 대기근
1833년부터 1837년까지 에도 시대 일본에서 발생한 덴포 대기근은 혼슈 북부의 홍수와 냉해, 질병 유행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쳐 도쿠가와 막부의 신뢰를 약화시키고 덴포 개혁 등의 대응책을 낳았으나 전국적인 효과는 미미했으며 현재까지도 일부 방언에 흔적이 남아있다. - 일본의 농업사 - 삿포로 농학교
삿포로 농학교는 1876년 홋카이도에 개교하여 홋카이도 대학 농학부의 전신이 되었으며, 윌리엄 스미스 클라크 부학장의 격려와 일본 근대화에 기여한 인재 배출로 유명하다. - 일본의 농업사 - 1918년 쌀 소동
1918년 쌀 소동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에서 쌀값 폭등으로 인해 발생한 전국적인 폭동 사건으로, 데라우치 마사타케 내각의 총사퇴와 하라 다카시 내각의 출범, 그리고 산미증식계획과 같은 식민지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등 일본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결과를 초래했다.
에도 4대 기근 | |
---|---|
개요 | |
발생 시기 | 17세기 ~ 19세기 |
주요 기근 | 간에이 대기근 교호 대기근 덴메이 대기근 덴포 대기근 |
간에이 대기근 (寛永の大飢饉) | |
발생 시기 | 간에이 시대 (1641년 ~ 1643년) |
주요 원인 | 냉해 흉작 |
피해 지역 | 일본 전역 |
사망자 수 | 약 50만 ~ 100만 명 |
영향 | 사회 불안 증가, 농민 반란 발생 |
교호 대기근 (享保の大飢饉) | |
발생 시기 | 교호 시대 (1732년 ~ 1733년) |
주요 원인 | 메뚜기 떼의 창궐 서일본 지역의 흉작 |
피해 지역 | 주로 서일본 지역 |
사망자 수 | 약 12,000명 ~ 수십만 명 (정확한 통계 부재) |
영향 | 사회 불안 증가, 쌀 가격 폭등 |
덴메이 대기근 (天明の大飢饉) | |
발생 시기 | 덴메이 시대 (1782년 ~ 1788년) |
주요 원인 | 아사마 산의 분화 냉해 장마 흉작 |
피해 지역 | 일본 전역 |
사망자 수 | 약 20만 ~ 90만 명 |
영향 | 사회 불안 심화, 농민 반란 격화, 기근 난민 발생 |
덴포 대기근 (天保の大飢饉) | |
발생 시기 | 덴포 시대 (1833년 ~ 1839년) |
주요 원인 | 냉해 홍수 가뭄 흉작 |
피해 지역 | 주로 도호쿠 지방 |
사망자 수 | 약 20만 ~ 30만 명 |
영향 | 사회 불안 극심화, 농민 반란 증가, 오시오 헤이하치로의 난 발생, 막부의 권위 실추 |
2. 에도 시대의 주요 기근
명칭 | 시기 | 피해 중심지 | 당시 쇼군 | 원인 |
---|---|---|---|---|
간에이 대기근 | 간에이 19년(1642년) - 간에이 20년(1643년) | 전국(특히 동일본 일본해 측의 피해가 큼) | 도쿠가와 이에미쓰 | 전국적인 이상 기상(폭우, 홍수, 한발, 서리, 벌레 피해) |
교호 대기근 | 교호 17년(1732년) | 주고쿠・시코쿠・규슈 지방의 서일본 각지, 특히 세토 내해 연안 일대 | 도쿠가와 요시무네 | 냉해와 벌레 피해 |
덴메이 대기근 | 덴메이 2년(1782년) - 덴메이 7년(1787년) | 전국(특히 도호쿠 지방) | 도쿠가와 이에하루 | 아사마 산, 아이슬란드의 라키 화산 등의 분화와 엘니뇨 현상에 의한 냉해 |
덴포 대기근 | 덴포 4년(1833년) - 덴포 10년(1839년) | 전국(특히 도호쿠, 무쓰국・데와국) | 도쿠가와 이에나리 도쿠가와 이에요시 | 폭우, 홍수와, 이에 따른 냉해(벼 베기 시기에 눈이 내렸다는 기록이 있음) |
간에이 대기근을 제외하고 '''에도 3대 기근'''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다.
2. 1. 간에이 대기근 (1642년 ~ 1643년)
간에이 19년(1642년)부터 간에이 20년(1643년)에 걸쳐 발생한 기근이다. 전국적으로 이상 기상(폭우, 홍수, 한발, 서리, 벌레 피해)이 발생하여, 특히 동일본 일본해 측의 피해가 컸다. 당시 쇼군은 도쿠가와 이에미쓰였다.명칭 | 시기 | 피해 중심지 | 당시 쇼군 | 원인 |
---|---|---|---|---|
간에이 대기근 | 간에이 19년(1642년) - 간에이 20년(1643년) | 전국(특히 동일본 일본해 측의 피해가 큼) | 도쿠가와 이에미쓰 | 전국적인 이상 기상(폭우, 홍수, 한발, 서리, 벌레 피해) |
2. 2. 교호 대기근 (1732년)
1732년에 발생한 교호 대기근은 주고쿠 지방, 시코쿠 지방, 규슈 지방 등 서일본 지역, 특히 세토 내해 연안 일대의 피해가 컸다. 냉해와 벌레 피해(멸구)가 주요 원인이었다. 당시 쇼군은 도쿠가와 요시무네였다.2. 3. 덴메이 대기근 (1782년 ~ 1787년)
덴메이 2년(1782년)부터 덴메이 7년(1787년)까지 전국적으로 발생했으며, 특히 도호쿠 지방의 피해가 극심했다. 아사마 산, 아이슬란드의 라키 화산 등의 분화와 엘니뇨 현상에 의한 냉해가 주요 원인이었다. 당시 쇼군은 도쿠가와 이에하루였으며, 에도 4대 기근 중 최대 규모의 피해를 입혔다.2. 4. 덴포 대기근 (1833년 ~ 1839년)
덴포 4년(1833년)부터 덴포 10년(1839년)까지 발생한 기근이다. 전국적으로 피해가 컸으며, 특히 도호쿠 지방, 무쓰국・데와국의 피해가 심각했다. 주요 원인은 폭우, 홍수와 그로 인한 냉해였다. 벼 베기 시기에 눈이 내렸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였다. 당시 쇼군은 도쿠가와 이에나리와 도쿠가와 이에요시였다.2. 5. 그 외 주요 기근
간에이 대기근 외에도, 1619년 (겐나 5년), 1675년 (엔포 3년), 1680년 (엔포 8년)의 기근은 17세기의 기근으로서는 비교적 피해가 커서, 근세 전기에서의 기근으로 알려져 있다.4대 기근 중, 최대 규모의 기근은 "덴메이 대기근"이다. 그 외, 겐로쿠 기근(1691년 - 1695년), 호레키 기근(1753년 - 1757년) 등도 도호쿠 지방 등을 중심으로 피해를 입혔다. 특히 호레키 기근의 피해는 심대했다. 또한, 엔포 기근(1674년 - 1675년), 덴와 기근(1682년 - 1683년)도 피해가 컸다고 한다.
3. 기근에 대한 대비
오와리번의 번사였던 나고야의 화가 오다기리 슌코는 1885년(메이지 18년) 흉황도록을 편집, 발행하여 기근에 대한 평소의 마음가짐을 설파했다.[1][2]
3. 1. 흉황도록 (凶荒圖錄)
오와리번의 번사였던 나고야의 화가 오다기리 슌코는 1885년(메이지 18년)에 『흉황도록』을 편집, 발행했다.[1][2] 이 저서에서는 여러 책을 인용하면서 평이한 문장으로 피해의 참상과 일화를 그림과 함께 소개하고, 기근에 대한 평소의 마음가짐을 설파하고 있다.[1][2] 삽화를 담당한 사람은 나고야의 키무라 킨슈이다.[1][2] 『흉황도록』 권말에는 산야에 많이 자생하며 흉황의 해에 식용으로 해야 할 식물에 대해 기록한 '구황 초목 일람'과, 잘못 먹으면 안 되는 식물을 열거한 '유독 초목 일람'을 부록으로 첨부했다.[1]참조
[1]
웹사이트
貴重和本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治水・災異】凶荒図録
https://websv.aichi-[...]
愛知県図書館
2022-01-16
[2]
웹사이트
「天下大変」史料にみる江戸時代の災害 49.凶荒図録
https://www.archives[...]
国立公文書館
2022-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