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르하르트 슈미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르하르트 슈미트는 1876년 에스토니아 타르투에서 태어난 독일계 수학자이다. 다비트 힐베르트의 지도 아래 1905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함수 해석학 분야에 기여했다. 1948년에는 학술지 《수학 논문》을 창간하고 초대 편집장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베를린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나치 정권의 유대인 관련 정책을 수행했으며, 아돌프 히틀러를 옹호하는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다. 1959년 베를린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트 독일인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알프레트 로젠베르크는 발트 독일인 출신 나치 이론가이자 정치가로,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베르사유 조약 폐기 등을 주창하며 나치 이데올로기에 영향을 미쳤고, 나치당 외교정책국장, 동부 점령 지역 장관 등을 역임하며 전쟁 범죄로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
  • 발트 독일인 - 게오르크 칸토어
    게오르크 칸토어는 집합론의 기초를 다지고 무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집합의 크기가 다를 수 있음을 증명했으며, 대각선 논법과 초한수 이론을 제시한 독일계 수학자이다.
  • 독일의 수학자 - 레기오몬타누스
    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알마게스트》 요약, 《삼각형에 대하여》 저술,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
  • 독일의 수학자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 1876년 출생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1876년 출생 - 찰스 케터링
    찰스 케터링은 전기식 계산대, 자동차용 전기 시동 장치, 점화 및 조명 시스템을 개발하여 자동차 대중화에 기여하고 GM 연구소 부사장을 역임한 미국의 발명가, 엔지니어, 사업가이다.
에르하르트 슈미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르하르트 슈미트 (MFO 제공)
이름에르하르트 슈미트
출생일1876년 1월 13일
출생지[[파일:Flag of the Governorate of Livonia.svg|20px]] 리보니아 타르투 (현재 에스토니아)
사망일1959년 12월 6일
사망지베를린
학문 분야
분야수학
모교괴팅겐 대학교
학위 논문 제목임의 함수의 지정된 시스템에 따른 전개
학위 논문 년도1905년
지도 교수다비트 힐베르트
박사 학위 제자살로몬 보흐너
Alfred Brauer
Richard Brauer
Lothar Collatz
Alexander Dinghas
Michael Golomb
Guido Hoheisel
Eberhard Hopf
Heinz Hopf
Martin Kneser
Wilhelm Specht
주요 업적Schmidt decomposition
Gram–Schmidt process
Hilbert–Schmidt operator
Hilbert–Schmidt integral operator
Singular value

2. 수학적 업적

에르하르트 슈미트는 다비트 힐베르트의 지도를 받아 1905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 ''Entwickelung willkürlicher Funktionen nach Systemen vorgeschriebenerde''는 적분 방정식에 관한 연구였다.[1] 그는 힐베르트와 함께 함수 해석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2. 1. [[정렬 정리]] 증명 기여

에른스트 체르멜로는 1904년 선택 공리를 이용한 정렬 정리 증명에 대한 아이디어와 방법을 슈미트와의 대화를 통해 얻었으며, 이는 현대 집합론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3]

2. 2. 학술지 창간

전쟁 후, 1948년에 슈미트는 학술지 ''Mathematische Nachrichtende''[2]을 창간하고 초대 편집장이 되었다.

3. 나치 시대의 행적과 논란

에르하르트 슈미트는 나치 독일 시대에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교수직을 유지했다. 그는 나치당의 반유대주의에 직접 동조하지는 않았지만, 나치당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6][7][8]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베를린 대학교에서 권위 있는 직책을 맡아 유대인 관련 나치 결정을 수행해야 했으나, "유대인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4]

3. 1. 나치 옹호 발언 논란

슈미트는 나치 독일 시대에 교수직을 유지하며 나치당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직접적으로 반유대주의에 동조하지는 않았지만, 나치 정책을 비판하는 유대인 동료 이사이 슈어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며 아돌프 히틀러를 옹호했다.[6][7][8]

Suppose we had to fight a war to rearm Germany, unite with Austria, liberate the Saar and the German part of Czechoslovakia. Such a war would have cost us half a million young men. But everybody would have admired our victorious leader. Now, Hitler has sacrificed half a million Jews and has achieved great things for Germany. I hope some day you will be recompensed but I am still grateful to Hitler.|만약 우리가 독일을 재무장시키고, 오스트리아를 병합하고, 자를란트와 주데텐란트를 해방시키기 위해 전쟁을 벌인다고 가정해 보게나. 이 전쟁은 50만의 젊은이들의 목숨을 앗을 것이네. 그러나 모두들 승전하신 우리의 지도자 각하를 찬양하겠지. 히틀러 각하는 50만 유대인들의 목숨을 앗아서 독일을 위하여 위대한 업적들을 달성하시었소. 언젠가 자네가 겪은 일에 대하여 보상받을 것을 희망하지만, 난 여전히 히틀러 각하께 감사드린다네.영어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베를린 대학교에서 권위 있는 직책을 맡았던 슈미트는 유대인 관련 나치 결정을 수행해야 했으나, "유대인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

3. 2. 한스 프로이덴탈의 평가

한스 프로이덴탈은 나치 시대를 생존한 저명한 유대인 수학자였다. 그는 1951년 슈미트의 75세 생일 기념식에서 슈미트가 나치 시대에 겪었던 어려움에 대해 비판 없이 이야기했다.[2]

4. 생애

1876년 1월 13일에, 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이던 에스토니아 타르투의 독일계 가정에서 태어났다.[6][7][8]

괴팅겐 대학교에서 1905년에 다비트 힐베르트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 제목은 ''Entwickelung willkürlicher Funktionen nach Systemen vorgeschriebener''이며, 적분 방정식에 관한 연구였다. 이후 힐베르트와 함께 함수 해석학 분야에 크게 공헌했다.

이후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교수가 되었다. 나치 독일 시대 동안 교수직을 계속하였으며, 나치당의 반유대주의에 직접적으로 동조하지는 않았지만 나치당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유대인이었던 이사이 슈어가 나치 독일의 정책에 대하여 비판하자, 슈미트는 슈어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6][7][8]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의 요직에 있었으며, 입장에 따라 유대인에 대한 나치의 여러 결정을 집행해야 했다. 유대인 문제(Jewish question)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비난받은 슈미트에게 그 직무는 분명히 버거운 것이었다.

1951년 슈미트의 75세 생일 축하 행사에서, 나치 시대를 살아남은 뛰어난 유대인 수학자인 한스 프로이덴탈이 슈미트가 나치 시대에 직면한 어려움에 대해 슈미트 개인에 대한 비판을 섞지 않고 이야기했다.

1959년 12월 6일 베를린에서 사망하였다.

참조

[1] MathGenealogy
[2] MacTutor Biography
[3] harvnb
[4] 서적 Mathematicians Under the Nazi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Absolutely summing operato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인용 Mathematik in Berlin. Band II Shaker-Verlag 1998
[7] 서적 인용 Menahem Max Schiffer: selected papers. Volume 2 Springer-Verlag 2014
[8] 서적 인용 Mathematicians Under the Nazi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