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니모스 아르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포니모스 아르콘은 고대 아테네에서 최고 행정관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아테네는 기원전 8세기 말부터 아르콘 에포니모스, 폴레마르코스, 아르콘 바실레우스 3명의 아르콘을 두었으며, 이들은 귀족 계층에서 선출되었다. 기원전 683년 이후에는 1년 임기의 아르콘 에포니모스가 최고 책임자가 되어 불레와 에클레시아를 주관했으며, 민주정 시기에도 명목상의 국가 지도자 지위를 유지했다. 문서에는 아테네의 아르콘 목록이 고졸기, 고전기, 헬레니즘 시대, 로마 시대로 구분되어 제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에포니모스 아르콘 |
---|
2. 배경
아르콘은 많은 그리스 도시국가들에서 최고행정관이었지만, 아테네에서는 소수의 과두정 정부 체제로 운영되는 10명의 아르콘 의회가 있었다. 기원전 8세기 말부터 아르콘 에포니모스, 폴레마르코스 (본래는 군사 역할을 지닌 직위였지만, 이 역할은 기원전 501년에 스트라테고이 10명에게 넘어갔다), 아르콘 바실레우스 (아테네 군주정 시대의 의식상의 흔적) 등 아르콘 세 명이 있었다.[132] 이 직위들은 10년마다 선거로 귀족 계층 (에우파트리다이)에서 충당되었다. 이 시기에 아르콘 에포니모스는 최고행정관이었고, 폴레마르코스는 군수통치권자, 아르콘 바실레우스는 국가적 종교적 문제를 책임졌다.
아르콘은 많은 그리스 도시국가들에서 최고행정관이었지만, 아테네에서는 소수의 과두정 정부 체제로 운영되는 10명의 아르콘 의회가 있었다. 기원전 8세기 말부터 에포니모스 아르콘, 폴레마르코스(본래는 군사 역할을 지닌 직위였지만, 이 역할은 기원전 501년에 스트라테고이 10명에게 넘어간다), 아르콘 바실레우스(아테네 군주정 시대의 의식상의 흔적) 등 세 명의 아르콘이 있었다.[132] 이 직위들은 10년마다 선거로 귀족 계층 (에우파트리다이)에서 충당되었다.
기원전 683년 이후로 아르콘은 1년제가 되었고, 아르콘이 그 자리를 맡은 해는 아르콘 에포니모스의 이름이 붙여졌다. 임기는 7월부터 시작해 6월까지 이어졌다.[133] 아르콘 에포니모스는 아르콘 중에 최고 책임자였으며, 고대 아테네에 있던 회의 기관들인 불레와 에클레시아 등을 주관하였다. 아르콘 에포니모스는 상당히 정치적 중요성이 떨어지기는 했으나 민주정 시기에도 명목상의 국가 지도자 신분을 유지하였다. 기원전 594년에 아르콘 에포니모스이기도 했던 솔론이 주도한 개혁 당시에, 아르콘의 수가 열로 늘어난 일시적인 시기가 있기도 했다. 기원전 457년 이후에 전직 아르콘들이 자동적으로 아레오파구스의 종신 일원으로 이름에 올렸는데, 이 당시에 들어선 아레오파구스가 더 이상 정치적으로 중요치 않을 때였다.
3. 아테네의 아르콘 목록
기원전 683년 이후로 아르콘은 1년제가 되었고, 아르콘이 그 자리를 맡은 해는 에포니모스 아르콘의 이름이 붙여졌다. 임기는 7월부터 시작해 다음 해 6월까지 이어졌다.[133] 아르콘 에포니모스는 아르콘 중에 최고 책임자였으며, 고대 아테네에 있던 회의 기관들인 불레와 에클레시아 등을 주관하였다. 기원전 594년에 솔론이 주도한 개혁 당시에는 아르콘의 수가 열 명으로 늘어난 일시적인 시기가 있기도 했다. 기원전 457년 이후에는 전직 아르콘들이 자동적으로 아레오파구스의 종신 회원이 되었는데, 이 당시에는 아레오파구스가 더 이상 정치적으로 중요하지 않았다.
아르콘 중 한 명은 기원전 487년 이후에는 도편 추방제의 절차를 감독했다.[134] 아르콘 의회가 ‘에피클레로이’ 문제를 담당하였다.[135] 그 밖의 다른 업무로는 파나텐 및 디오니소스제 등의 축제 감독도 있었다.[136]
아래의 아르콘 목록에서, 아르콘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의 해는 알려지지 않음으로 표시된다. ‘무정부 상태’로 표시된 해는 글자 그대로 아르콘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복원한 목록에는 여러 상충되는 부분들이 있으며, 목록에 대한 출처는 끝에 나타나 있다. 아르콘의 임기는 봄이나 여름에 시작하여 그 다음 해 봄이나 여름까지 계속되어 2년간의 범위를 가진다.
3. 1. 고졸기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서 에포니모스 아르콘 제도는 그리스 암흑기 이후 아티카의 최초 통치자인 메돈 시기(기원전 1068년–1048년)부터 시작되었다.[138] 초기에는 종신직이었으나, 기원전 753년에 에우파트리다이[149]에 의해 10년 임기제로 제한되었고,[150] 기원전 683년부터는 임기가 1년으로 단축되었다.[159]
초기 종신 아르콘으로는 메돈, 아카스토스 등이 있으며,[138][139][140]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들이 아르콘보다는 왕으로서 통치했을 것이라고 보았다.[137] 10년제 아르콘으로는 카롭스,[151][152] 클리디코스 등이 있었다. 1년제 아르콘은 프리타네이온에 거주했으며, 해당 연도는 에포니모스 아르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 최초의 1년제 아르콘은 크레온으로 여겨진다.[160]
솔론은 기원전 594년에 드라콘 법전을 개정하는 개혁을 단행했으며,[35] 클레이스테네스는 기원전 508년에 추가적인 개혁을 실시했다.[39] 기원전 487년부터는 아르콘 선출 방식이 선거에서 추첨으로 변경되었다.[45]
3. 1. 1. 종신 아르콘
후대의 아테네 전승은 종신직 아르콘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 다르게 이야기하는데, 어떤 자료에서는 '영구직 아르콘'이라고도 하며, 후대의 아르콘 바실레우스처럼 왕권의 신성한 권력을 행사했다고 한다. 이 목록의 역사성은 당연히 의심의 여지가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메돈과 아카스토스가 아르콘보다는 왕으로서 통치했을 것이라고 보기도 했다.[137]
연도 | 아르콘 | 그 밖에 주요 정보 |
---|---|---|
기원전 1068년–1048년 | 메돈(Μέδων|메돈grc)[138] | 그리스 암흑기 이후 아티카의 최초의 통치자. |
기원전 1048년–1012년 | 아카스토스(Ἄκαστος|아카스토스grc)[139][140] | 트로이 제7층b2이 파괴됨 (기원전 1120년경). |
기원전 1012년–993년 | 아르키포스(Ἄρχιππος|아르키포스grc)[141] | |
기원전 993년–952년 | 테르시포스(Θέρσιππος|테르시포스grc)[142] | |
기원전 952년–922년 | 포르바스(Φόρβας|포르바스grc)[143] | 트로이 제7층b3: 버려짐 (기원전 950년경) |
기원전 922년–892년 | 메가클레스(Μεγακλῆς|메가클레스grc)[144] | |
기원전 892년–864년 | 디오그네토스(Διόγνητος)[145] | |
기원전 864년–845년 | 페레클레스(Φερεκλῆς|페레클레스grc)[146] | 호메로스는 일리아드[147]와 오디세이아[148]를 썼을 시기이다.(기원전 850년경)[149] |
기원전 845년–825년 | 아리프론(Ἀρίφρων|아리프론grc)[150] | |
기원전 824년–797년 | 테스피에오스(Θεσπιεύς|테스피에오스grc)[151] | |
기원전 796년–778년 | 아가메스토르(Ἀγαμέστωρ|아가메스토르grc)[152] | |
기원전 778년–755년 | 아이스킬로스(Αἰσχύλος|아이스킬로스grc)[153] | 제1회 올림피아드[154][155] (기원전 776년) |
기원전 755년–753년 | 알크마이온(Ἀλκμαίων|알크마이온grc)[156] |
3. 1. 2. 10년제 아르콘
기원전 753년에 에우파트리다이[149]를 통해 종신직이었던 아르콘이 10년 임기제로 제한되었다.[150]연도 | 아르콘 | 그 밖에 중요 정보 |
---|---|---|
기원전 753–743년 | 카롭스[151][152] | 로마에서, 로물루스가 권력을 차지함.[153] |
기원전 743–733년 | 아이시미데스[154] | 메세니아에서, 제1차 메세니아 전쟁이 발발함. |
기원전 733–723년 | 클리디코스[155] | 디아울로스 도보 경주가 올림픽에 도입됨. (기원전 724년) |
기원전 723–713년 | 히포메네스[156] | |
기원전 713–703년 | 레오크라테스 | |
기원전 703–693년 | 압산데르[157] | 헤시오도스가 《신통기》를 씀 (기원전 700년경). |
기원전 693–683년 | 에리키아스 | 복싱이 올림픽에 추가 됨. (기원전 688년)[158] 칼케돈 식민지가 건립 (기원전 685년). |
3. 1. 3. 1년제 아르콘
기원전 683년부터 아르콘의 임기는 1년으로 제한되었다.[159] 아르콘들은 프리타네이온에 거주했다. 해당 연도는 에포니모스 아르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기한은 7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였다.[5]연도 | 에포니모스 아르콘 | 그 외의 공직이나 관련 사건들 |
---|---|---|
기원전 682년–681년 | 크레온 | 고대 사료 및 현대 학자들은 크레온을 최초의 1년제 아르콘으로 여긴다.[160] |
기원전 681년–680년 | 리시아데스 | 파로스 대리석에 언급됨. |
기원전 680년–679년 | 틀레시아스 | 파우사니아스(IV.15.1)는 제2차 메세니아 전쟁의 시작을 틀레시아스의 임기 때로 추정했다. |
기원전 671년–670년 | 레오스트라토스 | |
기원전 669년–668년 | 피시스트라토스 | 파우사니아스(II.24.7)는 제1차 히시아이 전투를 피시스트라토스 임기 때로 추정했다. |
기원전 668년–667년 | 아우토스테네스 | 파우사니아스(IV.23.4)는 에이라 점령과 제2차 메세니아 전쟁 종전을 아우토스테네스 임기 때로 추정했다. |
기원전 664년–663년 | 밀티아데스[161] | |
기원전 659년–658년 | 밀티아데스[161] | |
기원전 645년–644년 | 드로피데스 | 파로스 대리석은 드로피데스를 레스보스 출신 테르판데로스의 활동 시기와 관련짓는데, 테르판데로스는 리라 음악을 발전시켰다. |
기원전 639년–638년 | 다마시아스 | 탈레스 출생 |
기원전 634년–633년 | 에파이네토스 (?)[162] | |
기원전 632년–631년 | 메가클레스 | 킬론이 참주가 되려 함 |
기원전 624년–623년 | 아리스타이크모스 | ‘아테네인의 헌법’에 따르면, 드라콘이 아리스타이크모스 임기 때 아테네의 법을 개혁했다고 한다. |
기원전 615년–614년 | 헤니오키데스 | |
기원전 605년–604년 | 아리스토클레스 | 파로스 대리석은 아리스토클레스의 임기를 알리아테스가 리디아의 왕이 된 시기와 연관 지었다. |
기원전 600년–599년 | 크리티아스 | 파로스 대리석은 레스보스에서 시칠리아로 사포가 도주한 것을 크리티아스의 임기 때로 추정했다. |
기원전 597년–596년 | 킵셀로스[163] | |
기원전 596년–595년 | 텔레클레스[163] | |
기원전 595년–594년 | 필롬브로토스[163] | 제1차 신성 전쟁 발발. |
기원전 594년–593년 | 솔론 | 솔론이 드라콘의 법전을 개혁함. |
기원전 593년–592년 | 드로피데스 | |
기원전 592년–591년 | 에우크라테스 | |
기원전 591년–590년 | 시몬 | |
기원전 589년–588년 | 포르미온 | |
기원전 588년–587년 | 필리포스 | |
기원전 582년–581년 | 다마시아스 | ‘아테네인의 헌법’에 따르면, 다마시아스는 추방당하기 전까지 2년 9개월 동안 아르콘 자리에 있었다고 한다. |
기원전 581년–580년 | 다마시아스 | 팔레론의 데메트리오스는 탈레스가 처음으로 현인이라고 불렸을 때가 다마시아스 집권기라고 하였다. |
기원전 577년–576년 | 아르케스트라티다스 | |
기원전 570년–569년 | 아리스토메네스 | |
기원전 566년–565년 | 히포클레이데스 | |
기원전 561년–560년 | 코메아스 | ‘아테네 헌법’은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아테네 참주 즉위 시기를 코메아스 임기 때로 추정했다. |
기원전 560년–559년 | 헤가스트라토스 | 에레소스의 파이니아스는 솔론의 사망 시기를 헤가스트라토스 임기로 추정했다. |
기원전 556년–555년 | 헤게시아스 | ‘아테네 헌법’은 페이시스트라토스의 1차 축출을 헤게시아스 임기 때로 추정했다. |
기원전 555년–554년 | 에우티데모스 | |
기원전 548년–547년 | 에르키클레이데스 | 파우사니아스(X.5.13)는 네 번째 델포이 신전의 화재로 인한 소실을 에르키클레이데스 때로 추정했다. |
기원전 547년–546년 | 테스피오스[163] | 페이시스트라토스가 다시 참주가 됨 |
기원전 546년–545년 | 포르미온[163] | |
기원전 533년–532년 | 테리클레스 | |
기원전 528년–527년 | 필로네오스 | ‘아테네인의 헌법’에 따르면, 필로네오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죽고 그의 아들들인 히피아스와 히파르코스가 그의 뒤를 이어 참주 자리를 계승한 때의 아르콘이라고 한다. |
기원전 527년–526년 | 오네토르[165] | |
기원전 526년–525년 | 히피아스 | |
기원전 525년–524년 | 클레이스테네스[166] | 클레이스테네스는 이후 기원전 508년에 개혁을 실시했다.[167] |
기원전 524년–523년 | 밀티아데스 | Cadoux는 이 인물이 킵셀로스의 아들 밀티아데스인지 키몬의 아들인 밀티아데스인지 확실하지 못하였다.[168] |
기원전 523년–522년 | 칼리아데스 | |
기원전 522년–521년 | 피시스트라토스 | 526/5년 당시의 아르콘인 히피아스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다.[169] |
기원전 518년–517년 | 헤브론 (?)[170] | |
기원전 511년–510년 | 하르팍티데스 | 파로스 대리석은 히파르코스의 암살과 아테네에서 페이시스트라토스 일족의 축출을 하르팍티데스 시기로 추정했다. |
기원전 510년–509년 | 스카만드리오스 | |
기원전 509년–508년 | 리사고라스 | |
기원전 508년–507년 | 이사고라스 | 클레이스테네스는 아르콘 자리를 두고 이사고라스와 경쟁했지만, 스파르타의 클레오메네스 1세에게 축출당하고 말았다. |
기원전 507년–506년 | 알크메온 | |
기원전 504년–503년 | 아케스토리데스 | |
기원전 501년–500년 | 헤르모크레온 | |
기원전 500년–499년 | 스미로스 (?)[171] | |
기원전 497년–496년 | 아르키아스[172] | |
기원전 496년–495년 | 히파르코스 | |
기원전 495년–494년 | 필리포스 | |
기원전 494년–493년 | 피토크리토스 | |
기원전 493년–492년 | 테미스토클레스 | |
기원전 492년–491년 | 디오그네토스 | |
기원전 491년–490년 | 히브릴리데스 | |
기원전 490년–489년 | 파이니포스 | 파로스 대리석, 플루타르코스, ‘아테네인의 헌법’ 모두 마라톤 전투 시기를 파이니포스 때로 추정했다. |
기원전 489년–488년 | 아리스티데스 | |
기원전 488년–487년 | 안키세스 | |
기원전 487년–486년 | 텔레시노스[173] | ‘아테네 헌법’은 메가클레스의 도편 추방을 텔레시노스 임기 당시로 추정했다. |
기원전 485년–484년 | 필로크라테스 | |
기원전 484년–483년 | 레오스트라토스 | |
기원전 483년–482년 | 니코데모스 | |
기원전 481년–480년 | 힙시키데스 | ‘아테네인의 헌법’에 따르면, 힙시키데스는 아테네의 도편 추방제가 철폐된 시기의 아르콘이라 추정했다.[174] |
3. 1. 4. 개편
기원전 594년에 솔론이 드라콘 법전을 개정하는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했다.[35] 이후 기원전 508년에는 클레이스테네스가 추가적인 개혁을 실시했다.[39]기원전 487년에는 아르콘 선출 방식이 바뀌었는데, 이전까지는 선거를 통해 선출했지만, 이때부터는 추첨 방식으로 바뀌었다.[45]
기원전 462년에는 에피알테스가 아레오파고스를 개혁했다.[175]
기원전 403년에는 에우클레이데스가 아르콘으로 재임하면서, 30인 참주정이 종식되고 민주정이 다시 세워졌다. 또한, 기존의 아티카 문자 대신 24개의 이오니아 문자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183]
3. 2. 고전기
연도(기원전) | 올림피아드 | 아르콘 | 기타 관리 또는 주목할 만한 사건 |
---|---|---|---|
480–479 | 75.1 | 칼리아데스[47] | 제2차 페르시아 전쟁.[48] 아리스티데스와 테미스토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79–478 | 75.2 | 크산티포스 | 플라타이아이 전투; 아리스티데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78–477 | 75.3 | 티모스테네스 | 델로스 동맹 결성. |
476–475 | 76.1 | 파이돈 | |
475–474 | 76.2 | 드로모클레이데스 | |
474–473 | 76.3 | 아케스토리데스 | |
473–472 | 76.4 | 메논 | |
472–471 | 77.1 | 카레스 | |
471–470 | 77.2 | 프락시에르구스 | |
470–469 | 77.3 | 데모티온 | |
469–468 | 77.4 | 압세피온 | |
468–467 | 78.1 | 테아게니데스 | |
467–466 | 78.2 | 리시스트라투스 | |
466–465 | 78.3 | 리사니아스 | |
465–464 | 78.4 | 리시테우스 | 소파네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64–463 | 79.1 | 아르케데미데스 | 아이스킬로스의 다나이데스 3부작이 상연.[49] |
463–462 | 79.2 | 텔레폴레무스 | 키몬은 스트라테고스였다. |
462–461 | 79.3 | 코논 | 『아테네 헌법』(25장)에 따르면, 에피알테스는 아레오파고스를 개혁하고 암살당했다. |
461–460 | 79.4 | 에우힙푸스 | 에이푸스라고도 표기.[50] |
460–459 | 80.1 | 프라시클레스 | |
459–458 | 80.2 | 필로클레스 | 프르니쿠스, 디카이오게네스, 히포다마스는 스트라테고이였다. |
458–457 | 80.3 | 하브론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11.79)에 따르면, 다른 권위자들은 이 해의 에포니모스 아르콘이 비온이었다고 한다.[51] |
457–456 | 80.4 | 므네시테이데스 | |
456–455 | 81.1 | 칼리아스 | |
455–454 | 81.2 | 소시스트라투스 | |
454–453 | 81.3 | 아리스톤 | |
453–452 | 81.4 | 리시크라테스 | |
452–451 | 82.1 | 카이레파네스 | |
451–450 | 82.2 | 안티도투스 | 아낙시크라테스와 키몬은 스트라테고이였다. |
450–449 | 82.3 | 에우티데무스 | |
449–448 | 82.4 | 페디에우스 | 제2차 신성 전쟁 시작. |
448–447 | 83.1 | 필리스쿠스 | 페리클레스, 톨미데스와 에피텔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칼리아스 화약으로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종결. |
447–446 | 83.2 | 티마르키데스 | 파르테논 건설 시작. |
446–445 | 83.3 | 칼리마쿠스 | |
445–444 | 83.4 | 리시마키데스 | 아테네와 스파르타 간의 평화. 페리클레스 시대 시작. |
444–443 | 84.1 | 프락시텔레스 |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43–442 | 84.2 | 리사니아스 |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42–441 | 84.3 | 디필루스 |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41–440 | 84.4 | 티모클레스 | 페리클레스와 글라우콘은 스트라테고스였다.[52][53] |
440–439 | 85.1 | 모리키데스 |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39–438 | 85.2 | 글라우키누스 | 글라우키두스라고도 표기.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38–437 | 85.3 | 테오도로스 |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37–436 | 85.4 | 에우티메네스 |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프로필레아 건설 시작. |
436–435 | 86.1 | 리시마쿠스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12.33)에 따르면, 다른 권위자들은 이 해의 에포니모스 아르콘이 나우시마코스였다고 한다.[51]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35–434 | 86.2 | 안티오키데스 | 안틸로키도스라고도 표기.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34–433 | 86.3 | 크라테스 | 카레스라고도 표기.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33–432 | 86.4 | 압세우데스 | 페리클레스, 라케다이몬의, 디오티무스, 프로테아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32–431 | 87.1 | 피토도로스 | 투키디데스에 따르면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시작.[54] 페리클레스와 칼리아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31–430 | 87.2 | 에우티데무스 | 에우티데모스라고도 표기. 페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30–429 | 87.3 | 아폴로도로스 | 페리클레스 사망; 크세노폰, 헤스티오도로스, 칼리아데스, 멜레산드로스, 파노마쿠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29–428 | 87.4 | 에파이논 | 포르미온은 스트라테고스였다. |
428–427 | 88.1 | 디오티무스 | 데모스테네스, 아소피우스, 파케스, 클레이디페스, 리시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27–426 | 88.2 | 에우클레스 | 에우클레이데스라고도 표기. 니키아스, 카로이아데스, 프로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26–425 | 88.3 | 에우티노스 | 에우티데모스라고도 불림. 라케스와 히포크라테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25–424 | 88.4 | 스트라토클레스 | 니키아스, 에우리메돈, 피토도로스, 소포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24–423 | 89.1 | 이사르쿠스 | 데모스테네스, 클레온, 투키디데스와 히포크라테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23–422 | 89.2 | 아미니아스 | 아메니아스라고도 표기. 클레온은 스트라테고스였다. |
422–421 | 89.3 | 알카에우스 | 클레온은 스트라테고스였다. |
421–420 | 89.4 | 아리스티온 | 에레크테이온 건설 시작. |
420–419 | 90.1 | 아스티필루스 | 알키비아데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19–418 | 90.2 | 아르키아스 | |
418–417 | 90.3 | 안티폰 | 라케스와 니코스트라투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55] |
417–416 | 90.4 | 에우페무스 | |
416–415 | 91.1 | 아림네스투스 | 니키아스, 알키비아데스, 라마쿠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15–414 | 91.2 | 카리아스 | 차브리아스라고도 표기. 알키비아데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14–413 | 91.3 | 티산드루스 | 라마쿠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13–412 | 91.4 | 클레오크리투스 | 에우리메돈, 데모스테네스, 니키아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12–411 | 92.1 | 칼리아스 스캄보니데스 | |
411–410 | 92.2 | 므나실로쿠스 (사망); 테오폼푸스 | 시미쿠스와 아리스타르쿠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10–409 | 92.3 | 글라우키푸스 | |
409–408 | 92.4 | 디오클레스 | 아니투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08–407 | 93.1 | 에우크테몬 | |
407–406 | 93.2 | 안티게네스 | 알키비아데스, 아데이만투스, 아리스토크라테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06–405 | 93.3 | 칼리아스 안젤리데스 | 아르케스트라투스, 트라시루스, 페리클레스, 리시아스, 디오메돈, 아리스토크라테스, 에라시니데스, 프로토마쿠스, 아리스토게네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05–404 | 93.4 | 알렉시아스 | 아이코스포타모이 전투. 아데이만투스, 에우크라테스, 필로클레스, 메난드로스, 타이데우스, 케피소도투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404–403 | 94.1 | 피토도로스 | 스파르타는 30인 참주의 과두제를 세웠고, 피토도로스는 에포니모스 아르콘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
403–402 | 94.2 | 에우클레이데스[56] | 30인 참주는 추방되고 민주주의가 재건되었다. 구 아테네 문자는 24개의 문자로 된 이오니아 문자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
402–401 | 94.3 | 미콘 | 미키온이라고도 표기. |
401–400 | 94.4 | 크세나에네투스 | 엑사에네투스라고도 표기. |
400–399 | 95.1 | 라케스 | |
399–398 | 95.2 | 아리스토크라테스 | |
398–397 | 95.3 | 에우티클레스 | 이티클레스라고도 표기. |
397–396 | 95.4 | 수니아데스 | |
396–395 | 96.1 | 포르미온 | |
395–394 | 96.2 | 디오판투스 | |
394–393 | 96.3 | 에우불리데스 | |
393–392 | 96.4 | 데모스트라토스 | 아데이만투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92–391 | 97.1 | 필로클레스 | |
391–390 | 97.2 | 니코텔레스 | |
390–389 | 97.3 | 데모스트라투스 | 트라시불루스와 에르고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89–388 | 97.4 | 안티파테르 | 아귀리우스와 팜필루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88–387 | 98.1 | 피르기온 | 트라시불루스와 디오니시우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87–386 | 98.2 | 테오도투스 | 안탈키다스 평화로 코린토스 전쟁 종결. |
386–385 | 98.3 | 미스티키데스 | |
385–384 | 98.4 | 덱시테우스 | |
384–383 | 99.1 | 디에이트레페스 | 디오트레페스라고도 표기 |
383–382 | 99.2 | 파노스트라투스 | |
382–381 | 99.3 | 에우안드루스 | |
381–380 | 99.4 | 데모필루스 | |
380–379 | 100.1 | 피테아스 | |
379–378 | 100.2 | 니콘 | |
378–377 | 100.3 | 나우시니쿠스 | |
377–376 | 100.4 | 칼레아스 | 칼리아스라고도 표기. |
376–375 | 101.1 | 카리산데르 | 케돈은 스트라테고스였다. |
375–374 | 101.2 | 히포다마스 | |
374–373 | 101.3 | 소크라티데스 | |
373–372 | 101.4 | 아스테이우스 | 이피크라테스, 칼리스트라투스, 차브리아스, 티모테우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72–371 | 102.1 | 알키스테네스 | |
371–370 | 102.2 | 프라시클레이데스 | |
370–369 | 102.3 | 디스니케투스 | |
369–368 | 102.4 | 리시스트라투스 | |
368–367 | 103.1 | 나우시게네스 | |
367–366 | 103.2 | 폴리젤루스 | |
366–365 | 103.3 | 키피소도루스 | 차브리아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65–364 | 103.4 | 키온 | 이피크라테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64–363 | 104.1 | 티모크라테스 | |
363–362 | 104.2 | 카리클레이데스 | 에르고필루스와 칼리스테네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62–361 | 104.3 | 몰론 | 레오스테네스와 아우토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61–360 | 104.4 | 니코페무스 | 티마쿠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60–359 | 105.1 | 칼리미데스 | 메논, 티모테우스, 케피소도투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59–358 | 105.2 | 에우카리스투스 | |
358–357 | 105.3 | 케피소도투스 | |
357–356 | 105.4 | 아가토클레스 | 차브리아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56–355 | 106.1 | 엘피네스 | 이피크라테스, 티모테우스, 메네스투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55–354 | 106.2 | 칼리스트라투스 | |
354–353 | 106.3 | 디오테무스 | |
353–352 | 106.4 | 투데무스 | |
352–351 | 107.1 | 아리스토데무스 | |
351–350 | 107.2 | 테엘루스 | 테오게네스는 바실레우스(추정)였다. |
350–349 | 107.3 | 아폴로도로스 | |
349–348 | 107.4 | 칼리마쿠스 | 헤게실레우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48–347 | 108.1 | 테오필루스 | |
347–346 | 108.2 | 테미스토클레스[57] | 프로크세누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46–345 | 108.3 | 아르키아스 | |
345–344 | 108.4 | 에우불루스 | |
344–343 | 109.1 | 리키스쿠스 | 포키온은 스트라테고스였다. |
343–342 | 109.2 | 피토도투스 | |
342–341 | 109.3 | 소시게네스 | |
341–340 | 109.4 | 니코마쿠스 | |
340–339 | 110.1 | 테오프라스투스 | 포키온은 스트라테고스였다. |
339–338 | 110.2 | 리시마키데스 | 포키온은 스트라테고스였다.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에게 패배. |
338–337 | 110.3 | 카이론다스 | 리시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37–336 | 110.4 | 프뤼니쿠스 | |
336–335 | 111.1 | 피토델로스 | 피토도로스라고도 표기. |
335–334 | 111.2 | 에우아에네투스 | |
334–333 | 111.3 | 크테시클레스 | |
333–332 | 111.4 | 니코크라테스 | |
332–331 | 112.1 | 니케테스 | 니케라토스라고도 표기 |
331–330 | 112.2 | 아리스토파네스 | |
330–329 | 112.3 | 아리스토폰 | |
329–328 | 112.4 | 케피소폰 | |
328–327 | 113.1 | 에우티크리투스 | |
327–326 | 113.2 | 헤게몬 | |
326–325 | 113.3 | 크레메스 | |
325–324 | 113.4 | 안티클레스 | 필로클레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
324–323 | 114.1 | 헤게시아스 | 아게시아스라고도 표기 |
323–322 | 114.2 | 케피소도루스 | 케피소폰이라고도 표기. 포키온과 레오스테네스는 스트라테고스였다. 아모르고스 해전은 아테네 해군의 종말을 알리는 신호였다. |
322–321 | 114.3 | 필로클레스 | 라미아 전쟁의 종결. 투표권 제한 및 피레우스에 마케도니아 수비대 설치. |
3. 3. 헬레니즘 시대
헬레니즘 시대의 에포니모스 아르콘 목록은 다음과 같다.연도 | 에포니모스 아르콘 | 기타 관리 또는 주목할 만한 사건 |
---|---|---|
기원전 321–320년 | 아르키푸스 | |
기원전 320–319년 | 네아이크무스 | |
기원전 319–318년 | 아폴로도로스 | |
기원전 318–317년 | 아르키푸스 | |
기원전 317–316년 | 데모게네스 | 마케도니아 섭정 카산드로스가 총독으로 팔레론의 데메트리우스를 임명하다. |
기원전 316–315년 | 데모클레이데스 | |
기원전 315–314년 | 프락시불루스 | |
기원전 314–313년 | 니코도로스 | |
기원전 313–312년 | 테오프라스투스 | 디오도로스 시켈로스(19.73)에 따르면; 다른 권위자들은 이 해의 에포니모스 아르콘을 테오도로스라고 진술한다.[58] |
기원전 312–311년 | 폴레몬 | 셀레우코스 제국이 시작되다. |
기원전 311–310년 | 시모니데스 | |
기원전 310–309년 | 히에로므네몬 | |
기원전 309–308년 | 데메트리우스 | |
기원전 308–307년 | 카에리무스 | 카리누스라고도 표기. |
기원전 307–306년 | 아낙시크라테스 | 데메트리우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가 카산드로스에게서 도시를 점령하면서 팔레론의 데메트리우스가 추방되다. |
기원전 306–305년 | 코로이부스 | 안티고노스 왕조가 시작되다. |
기원전 305–304년 | 유크세니푸스 | |
기원전 304–303년 | 페레클레스 | |
기원전 303–302년 | 레오스트라투스 | |
기원전 302–301년 | 니코클레스 | |
기원전 301–300년 | 클레아르쿠스 | |
기원전 300–299년 | 헤게마쿠스[59] | |
기원전 299–298년 | 에욱테몬 | |
기원전 298–297년 | 므네시데무스 | |
기원전 297–296년 | 안티파테스 | |
기원전 296–295년 | 니키아스 | |
기원전 295–294년 | 니코스트라투스 | |
기원전 294–293년 | 올림피오도로스 | |
기원전 293–292년 | 올림피오도로스 | 두 번째 임기 |
기원전 292–291년 | 필리푸스 | |
기원전 291–290년 | 카리누스 (?)[60] | |
기원전 290–289년 | 암브로시우스 (?)[60] | |
기원전 289–288년 | 아리스톤 (?)[60] | |
기원전 288–287년 | 키몬 | |
기원전 287–286년 | 크세노폰 | |
기원전 286–285년 | 디오클레스 | |
기원전 285–284년 | 디오티무스 | |
기원전 284–283년 | 이사에우스 | |
기원전 283–282년 | 에우티우스 | |
기원전 282–281년 | 니키아스 | 아탈로스 왕조가 시작되다. |
기원전 281–280년 | 우리아스 | |
기원전 280–279년 | 텔레클레스[61] | |
기원전 279–278년 | 아낙시크라테스 | 브레누스와 아키코리우스가 이끄는 갈리아의 그리스 침공 발생 |
기원전 278–277년 | 데모클레스 | |
기원전 277–276년 | 아리스토니무스 | |
기원전 276–275년 | 필로크라테스 | |
기원전 275–274년 | 올비우스 | |
기원전 274–273년 | 에우불루스 | |
기원전 273–272년 | 글라우키푸스 | |
기원전 272–271년 | 리시테이데스 | |
기원전 271–270년 | 피타라투스[62] | |
기원전 270–269년 | 소시스트라투스 | |
기원전 269–268년 | 페이티데무스 | 크레모니데스 전쟁 시작; 아테네가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가 통치하는 마케도니아에 전쟁을 선포하다. |
기원전 268–267년 | 디오게이톤 | |
기원전 267–266년 | 메네클레스 | |
기원전 266–265년 | 니키아스 (오트리네우스) | |
기원전 265–264년 | 에우불루스 | |
기원전 264–263년 | 디오그네투스 | 파리아 연대기에 언급된 마지막 아르콘이 디오그네투스이므로, 해당 비문은 그의 재임 기간에 만들어졌다. |
기원전 263–262년 | 안티파트루스 | 아테네가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에게 항복하다.[63] |
기원전 262–261년 | 아르헤네이데스 |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가 아테네에 새로운 정권을 강요하다.[63] |
기원전 261–260년 | [...]시누스[64] | |
기원전 260–259년 | 필로스트라투스 | |
기원전 259–258년 | 필리누스 | |
기원전 258–257년 | 안티폰 | |
기원전 257–256년 | 티모카레스 | |
기원전 256–255년 | 안티마쿠스 | |
기원전 255–254년 | 클레오마쿠스 | |
기원전 254–253년 | 파노스트라투스 | |
기원전 253–252년 | 페이도스트라투스 | |
기원전 252–251년 | 칼리메데스 | |
기원전 251–250년 | 테르실로쿠스 | |
기원전 250–249년 | 폴리에우크투스 | |
기원전 249–248년 | 히에론 | |
기원전 248–247년 | 디오메돈 | |
기원전 247–246년 | 테오페무스 | |
기원전 246–245년 | 필로네오스 | |
기원전 245–244년 | 키데노르 | |
기원전 244–243년 | 리시아데스 | |
기원전 243–242년 | 에우리클레이데스 | |
기원전 242–241년 | 파노마쿠스 | |
기원전 241–240년 | 리케우스 | |
기원전 240–239년 | 폴리스트라투스 | |
기원전 239–238년 | 아테노도로스 | |
기원전 238–237년 | 리시아스 | |
기원전 237–236년 | 알키비아데스 | |
기원전 236–235년 | 키몬 | |
기원전 235–234년 | 엑판투스 | |
기원전 234–233년 | 리사니아스 | |
기원전 233–232년 | 불명 | |
기원전 232–231년 | 므네세이데스 (?) | |
기원전 231–230년 | 야손 (?) | |
기원전 230–228년 | 불명 | |
기원전 228–227년 | 헬리오도로스 | |
기원전 227–226년 | 레오카레스[65] | |
기원전 226–225년 | 테오필루스 | |
기원전 225–224년 | 에르고카레스 | |
기원전 224–223년 | 니케테스 | |
기원전 223–222년 | 안티필루스[66] | |
기원전 222–221년 | 에우크세누스 | |
기원전 221–220년 | 불명 | |
기원전 220–219년 | 트라시폰[67] | |
기원전 219–218년 | 메네크라테스 | |
기원전 218–217년 | 카에레폰 | |
기원전 217–216년 | 칼리마쿠스 | |
기원전 216–215년 | 불명 | |
기원전 215–214년 | 하그니아스 | |
기원전 214–213년 | 디오클레스 |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이 시작되다. (기원전 214년) |
기원전 213–212년 | 에우필레투스 | |
기원전 212–211년 | 헤라클레이투스 | |
기원전 211–210년 | 아르켈라우스 | |
기원전 210–209년 | 아이스크론[68] | |
기원전 209–208년 | 불명[69] | |
기원전 208–207년 | 불명 | |
기원전 207–206년 | 칼리스트라투스 | |
기원전 206–205년 | 판티아데스 | |
기원전 205–204년 | 디오도투스 | |
기원전 204–203년 | 아폴로도로스 | |
기원전 203–202년 | 프로크세니데스 | |
기원전 202–201년 | 디오니시우스 | |
기원전 201–200년 | 이소크라테스[70] | |
기원전 200–199년 | 니코폰 | |
기원전 199–198년 | [...]푸스 | |
기원전 198–197년 | 불명 | |
기원전 197–196년 | 앙킬루스 | |
기원전 196–195년 | 플레이스타이누스[71] | |
기원전 195–194년 | 불명 | |
기원전 194-193년 | 디오니시우스 | |
기원전 193–192년 | 파나르키데스 | |
기원전 192–191년 | 디오도투스 | |
기원전 191–190년 | 티무쿠스 | |
기원전 190–189년 | 데메트리우스 | |
기원전 189–188년 | 에우티크리투스 | |
기원전 188–187년 | 심마쿠스 | |
기원전 187–186년 | 테오크세누스 | |
기원전 186–185년 | 조피루스 | |
기원전 185–184년 | 에우폴레무스 | |
기원전 184–183년 | 카리클레스[71] | |
기원전 183–182년 | 헤르모게네스 | |
기원전 182–181년 | 티메시아낙스 | |
기원전 181–180년 | 히피아스 | |
기원전 180–179년 | 디오니시우스 | |
기원전 179–178년 | 메네데무스 | |
기원전 178–177년 | 필론 | |
기원전 177–176년 | [...]푸스 | |
기원전 176–175년 | 히파쿠스 | |
기원전 175–174년 | 소니쿠스 | |
기원전 174–173년 | 알렉산더 | |
기원전 173–172년 | 알렉시스 | |
기원전 172–171년 | 소시게네스 | |
기원전 171–170년 | 안티게네스 | |
기원전 170–169년 | 아프로디시우스 | |
기원전 169–168년 | 에우니쿠스 | |
기원전 168–167년 | 크세노클레스 | |
기원전 167–166년 | 니코스테네스 | |
기원전 166–165년 | 아카이오스 (?)[72] | |
기원전 165–164년 | 펠롭스 | |
기원전 164–163년 | 에우에르게테스 | |
기원전 163–162년 | 에라스투스 | |
기원전 162–161년 | 포세이도니우스 | |
기원전 161–160년 | 아리스토라스 | |
기원전 160–159년 | 티찬드루스 | |
기원전 159–158년 | 아리스타에무스[73] | |
기원전 158–157년 | 아리스타에크무스 | |
기원전 157–156년 | 안테스테리우스 | |
기원전 156–155년 | 칼리스트라투스 | |
기원전 155–154년 | 므네스테우스 | |
기원전 154–153년 | 불명 | |
기원전 153–152년 | 파이드리아스 | |
기원전 152–151년 | 안드레아스 (?)[74] | |
기원전 151–150년 | 젤레우쿠스 (?)[74] | |
기원전 150–149년 | 스페우시포스 (?)[74] | 제4차 마케도니아 전쟁이 시작되다 (기원전 150년). |
기원전 149–148년 | 리시아데스 (?)[74] | |
기원전 148–147년 | 아르콘 | |
기원전 147–146년 | 에피크라테스 | 로마 공화국이 그리스를 장악하다 |
3. 4. 로마 시대
로마 시대의 에포니모스 아르콘과 다른 관리 또는 주목할 만한 사건은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참조
[1]
인용
[2]
서적
Greece
[3]
인용
[4]
서적
Gods, Heroes and Tyrants: Greek Chronology in Chaos
[5]
서적
A Companion to Greek and Roman Historiography
John Wiley & Sons
[6]
서적
The Classical World
[7]
서적
The Family in Ancient Greece
[8]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Greece
[9]
서적
Constitution of Athens
[10]
인용
[1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Athens and Related Texts
https://books.google[...]
[12]
서적
Blair's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From the Creation to the Present Time, with Additions and Corrections from the Most Authentic Writers, Including the Computation of St. Paul, as Connecting the Period from the Exode to the Temple
https://archive.org/[...]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1844
[13]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14]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books.google[...]
[15]
서적
A Connection of Sacred and Profane History
https://archive.org/[...]
[16]
문서
Historicity of the Iliad
[17]
인용
[18]
서적
Universal 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19]
인용
1st century BC
[20]
서적
Blair's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https://archive.org/[...]
[21]
서적
The History of Herodotus: A New English Version, Ed. with Copious Notes and Appendices, Illustrating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Herodotus, from the Most Recent Sources of Information; and Embodying the Chief Results, Historical and Ethnographical, which Have Been Obtained in the Progress of Cuneiform and Hieroglyphical Discovery, Volume 3
https://books.google[...]
Appleton
1882
[22]
서적
A Skeleton Outline of Greek History: Chronologically Arranged
https://books.google[...]
[23]
서적
The Roman Antiquities, Volume 1
https://books.google[...]
[24]
서적
History of Ancient and Modern Greece
https://books.google[...]
[25]
인용
[26]
서적
Pausanias's Description of Greece, 4.5.3; Volume 3
https://books.google[...]
[27]
서적
Fasti Hellenici, the Civil and Literary Chronology of Greece, from the Earliest Accounts to the Death of Augustus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1834
[28]
서적
Chronological Tables of Universal History: Sacred and Profane, Ecclesiastical and Civil; from the Creation of the World, to the Year One Thousand Seven Hundred and Forty-three. With a Preliminary Discourse on the Short Method of Studying History; and a Catalogue of Books Necessary for that Purpose; with Some Remarks on Them, Volume 1
https://books.google[...]
A. Millar
1762
[29]
서적
Blair's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From the Creation to the Present Time, with Additions and Corrections from the Most Authentic Writers, Including the Computation of St. Paul, as Connecting the Period from the Exode to the Temple
https://archive.org/[...]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Paternoster Row.
1844
[30]
서적
Blair's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https://archive.org/[...]
[31]
논문
The Athenian Archons from Kreon to Hypsichides
https://www.jstor.or[...]
1948
[32]
논문
Athenian Archons
[33]
논문
Athenian Archons
[34]
논문
Athenian Archons
[35]
논문
The Fifth-Century Archon List
https://www.jstor.or[...]
1963
[36]
서적
Athenian Archons
[37]
논문
Greek inscriptions, 14-27
1939
[38]
논문
Was Kleisthenes of Pleisthenes Archon at Athens in 525 BC?
https://www.jstor.or[...]
2006
[39]
서적
Histories
https://books.google[...]
[40]
서적
Athenian Archons
[41]
서적
Athenian Archons
[42]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Muenchen: Beck'sche
1972
[43]
서적
Athenian Archons
[44]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45]
문서
Nine archons were appointed by lot by the tribes from 500 nominees chosen by the demes and that this was the method in the Archonship of Telesinus. See also the Areopagite constitution.
[46]
서적
Athenian Archons
[47]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Muenchen: Beck'sche
1972
[48]
뉴스
Calliades was archon in Athens, and the Romans made Spurius Cassius and Proculus Verginius Tricostus consuls, and the Eleians celebrated the Seventy-fifth Olympiad, that in which Astylus of Syracuse won the 'stadion.' It was in this year that king Xerxes made his campaign against Greece
[49]
서적
Aeschylus: the Suppliants
Copenhagen.
1980
[50]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51]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52]
간행물
Classical Philology
https://books.google[...]
[53]
서적
The Works of Xenophon: & II and Anabasis
https://books.google[...]
1890
[54]
서적
Thucydides (2.2) states that it began "in the 48th year of the priestess-ship of Chrysis at Argos, in the ephorate of Aenesias at Sparta, in the last month but two of the archonship of Pythodorus at Athens." Thucydides reports a solar eclipse that summer (2.28), which can be confidently dated to 3 August 431 BC.
431 BC
[55]
서적
Thucydides: Arguments. Peloponnesian War, Book III (cont'd.)-VI
https://archive.org/[...]
[56]
서적
Sophocles: The Oedipus Coloneus. 3d ed.
https://books.google[...]
1900
[57]
논문
Athenian Archons 347/6–48/7 B.C.
https://www.jstor.or[...]
1977
[58]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59]
논문
The Archons of Athens 300/299-228/7
https://www.jstor.or[...]
2009
[60]
문서
The order in which these three archons held their office is not yet clear. (Osborne, "Archons of Athens", p. 85 n. 14)
[61]
문서
This year is commonly attributed to "Gorgias" based on [[Pseudo-Plutarch]] (''Vitae Decem Oratorum'', 847D); however, Gorgias may be a corruption of the very rare name "Ourias" archon in 281/0 BC; Gorgias is thus a ghost. (Osborne, "Archons of Athens", p. 87 n. 21)
[62]
문서
Osborne notes that Pytharatus "is one of the very few archons of the 3rd century after the 290s to be securely dated on the basis of Olympiads and literary testimony." "Archons of Athens", p. 88 n. 26
[63]
문서
Osborne, "Archons of Athens", p. 90 n. 29
[64]
논문
A New List of Athenian Ephebes and a New Archon of Athens
https://www.jstor.or[...]
2007
[65]
논문
The Date of the Athenian Archon Thrasyphon
https://www.jstor.or[...]
2008
[66]
논문
The Athenian Archon Hoplon
https://www.jstor.or[...]
1988
[67]
문서
Thrasyphon is commonly dated to 221/0 BC based on a Magnesian inscription that allows his archonship to be dated to the fourth year of Olympiad 139; Osborne has argued that the correlation is not that exact and his archonship could fall in the first year of Olympiad 140. (Osborne, "The Date", pp. 85, 88)
[68]
서적
Athenian Archons
[69]
논문
A Revision of Hesperia, XLIII, 1974, 'A New Ephebic Inscription from the Athenian Agora'
https://www.jstor.or[...]
1976
[70]
문서
Unless otherwise noted, archons from 201/0 to 160/59 BC are taken from Osborne, "Archons of Athens"
[71]
논문
The Athenian Archon Pleistainos
https://www.jstor.or[...]
1994
[72]
서적
The Eponymous Archons
[73]
논문
The Eponymous Archons of Athens from 159/8 to 141/0 B. C.
https://www.jstor.or[...]
1988
[74]
서적
The Eponymous Archons
[75]
서적
Athenian Archons
[76]
논문
Deux inscriptions attiques inédites copiées par l'abbé Michel Fourmont (Parisinus Suppl. gr. 854)
http://www.persee.fr[...]
2005
[77]
서적
Greek and Roman
[78]
서적
Greek and Roman
[79]
논문
The Eponymous Officials of Greek Cities: I
https://www.jstor.or[...]
1990
[80]
서적
Roman Citizens
[81]
서적
Roman Citizens
[82]
논문
Das Archontat des Rhoemetalkas in Athen
https://www.jstor.or[...]
1876
[83]
문서
Or eponymous archon in 41/2
[84]
서적
Roman Citizens
[85]
서적
Roman Citizens
[86]
서적
Roman Citizens
[87]
서적
Roman Citizens
[88]
서적
Roman Citizens
[89]
논문
Greek Inscriptions
https://www.jstor.or[...]
1942
[90]
서적
Roman Citizens
[91]
논문
Die Familie des Titus Flavius Aklibiades
https://www.jstor.or[...]
1873
[92]
서적
Roman Citizens
[93]
서적
Roman Citizens
[94]
서적
Roman Citizens
[95]
서적
Roman Citizens
[96]
서적
Roman Citizens
[97]
서적
Roman Citizens
[98]
서적
Roman Citizens
[99]
서적
Roman Citizens
[100]
서적
Roman Citizens
[101]
간행물
An Athenian Archon List
[102]
서적
Roman Citizens
[103]
서적
Roman Citizens
[104]
서적
Roman Citizens
[105]
서적
Roman Citizens
[106]
서적
Roman Citizens
[107]
서적
Roman Citizens
[108]
서적
Roman Citizens
[109]
서적
Roman Citizens
[110]
서적
Roman Citizens
[111]
서적
Roman Citizens
[112]
서적
Roman Citizens
[113]
서적
Roman Citizens
[114]
서적
Roman Citizens
[115]
서적
Roman Citizens
[116]
서적
Roman Citizens
[117]
서적
Roman Citizens
[118]
서적
Roman Citizens
[119]
서적
Roman Citizens
[120]
서적
Roman Citizens
[121]
서적
Roman Citizens
[122]
서적
Roman Citizens
[123]
서적
Roman Citizens
[124]
서적
Roman Citizens
[125]
문서
After 265, the record is so fragmentary that "Unknown" is not indicated past this point.
[126]
서적
Roman Citizens
[127]
논문
Roman Emperors and Athens
https://www.jstor.or[...]
[128]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129]
인용구
[130]
서적
Greece
[131]
인용구
[132]
서적
Gods, Heroes and Tyrants: Greek Chronology in Chaos
[133]
서적
A Companion to Greek and Roman Historiograph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34]
서적
The Classical World
[135]
서적
The Family in Ancient Greece
[136]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Greece
[137]
문서
Constitution of Athens
[138]
문서
[13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Athens and Related Texts
https://books.google[...]
[140]
서적
Blair's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From the Creation to the Present Time, with Additions and Corrections from the Most Authentic Writers, Including the Computation of St. Paul, as Connecting the Period from the Exode to the Temple
https://archive.org/[...]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141]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142]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books.google[...]
[143]
서적
A Connection of Sacred and Profane History
https://archive.org/[...]
[144]
문서
Historicity of the Iliad
[145]
문서
헤로도토스 2.53
[146]
서적
Universal 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147]
문서
기원전 1세기 디오도로스 시쿨로스에 따르면
[148]
서적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https://archive.org/[...]
[149]
서적
The History of Herodotus: A New English Version, Ed. with Copious Notes and Appendices, Illustrating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Herodotus, from the Most Recent Sources of Information; and Embodying the Chief Results, Historical and Ethnographical, which Have Been Obtained in the Progress of Cuneiform and Hieroglyphical Discovery, Volume 3
https://books.google[...]
Appleton
1882
[150]
서적
A Skeleton Outline of Greek History: Chronologically Arranged
https://books.google[...]
[151]
서적
The Roman Antiquities, Volume 1
https://books.google[...]
[152]
서적
History of Ancient and Modern Greece
https://books.google[...]
[153]
문서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에 따르면
[154]
서적
Pausanias's Description of Greece, 4.5.3; Volume 3
https://books.google[...]
[155]
서적
Fasti Hellenici, the Civil and Literary Chronology of Greece, from the Earliest Accounts to the Death of Augustus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1834
[156]
서적
Chronological Tables of Universal History: Sacred and Profane, Ecclesiastical and Civil; from the Creation of the World, to the Year One Thousand Seven Hundred and Forty-three. With a Preliminary Discourse on the Short Method of Studying History; and a Catalogue of Books Necessary for that Purpose; with Some Remarks on Them, Volume 1
https://books.google[...]
A. Millar
1762
[157]
서적
Blair's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From the Creation to the Present Time, with Additions and Corrections from the Most Authentic Writers, Including the Computation of St. Paul, as Connecting the Period from the Exode to the Temple
https://archive.org/[...]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Paternoster Row.
1844
[158]
서적
Blair's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https://archive.org/[...]
[159]
간행물
The Athenian Archons from Kreon to Hypsichides
https://www.jstor.or[...]
1948
[160]
간행물
Athenian Archons
[161]
간행물
Athenian Archons
[162]
간행물
Athenian Archons
[163]
간행물
The Fifth-Century Archon List
https://www.jstor.or[...]
1963
[164]
간행물
Athenian Archons
[165]
간행물
Greek inscriptions, 14-27
1939
[166]
간행물
Was Kleisthenes of Pleisthenes Archon at Athens in 525 BC?
https://www.jstor.or[...]
2006
[167]
서적
Histories
https://books.google[...]
[168]
간행물
Athenian Archons
[169]
간행물
Athenian Archons
[170]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Muenchen: Beck'sche
1972
[171]
간행물
Athenian Archons
[172]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173]
문서
9명의 아르콘들은 데메스에서 선정된 500명의 후보들에서 추첨제로 하여 임명되며 이 방식은 텔레시노스 아르콘 때의 방식이었다. [[아레오파고스 헌법]] 참조.
[174]
간행물
Athenian Archons
[175]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Muenchen: Beck'sche
1972
[176]
서적
칼리아데스는 아테네의 아르콘이었고, 로마에선 [[스푸리우스 카시우스]]와 [[프로쿨루스 베르기니우스 트리코스투스 루틸루스|프로쿨루스 베르기니우스 트리코스투스]]가 집정관 자리에 올랐으며, 엘리스인들은 제75회 올림피아드를 거행했는데, 이 대회에서 시라쿠사의 아스틸로스가 ‘스타디온’을 우승했다. 이 해는 크세르크세스 왕이 그리스 원정을 벌인 해이기도 했다
[177]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178]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179]
웹사이트
Classical Philology
https://books.google[...]
[180]
웹사이트
The Works of Xenophon: & II and Anabasis
https://books.google[...]
1890
[181]
서적
투키디데스는 아르고스에 있는 여사제 크리시스가 48년째 일 때, 스파르타의 에포르가 아이네시아스일 때, 아테네에 임기 마지막 달이지만 두 번의 아르콘 직을 맡았던 피토도로스”일 때라고 하였다(2.2) 투키디데스는 여름에 있던 일식에 대해 언급했는데 (2.28), 이는 기원전 431년 8월 3일이라 확실히 추정될 수 있다.
Cornell University Press
1968
[182]
웹사이트
Thucydides: Arguments. Peloponnesian War, Book III (cont'd.)-VI
https://archive.org/[...]
[183]
웹사이트
Sophocles: The Oedipus Coloneus. 3d ed. 1900
https://books.google[...]
1900
[184]
논문
Athenian Archons 347/6–48/7 B.C.
https://www.jstor.or[...]
1977
[185]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186]
논문
The Archons of Athens 300/299-228/7
https://www.jstor.or[...]
2009
[187]
문서
Archons of Athens
[188]
문서
Archons of Athens
[189]
문서
Archons of Athens
[190]
문서
Archons of Athens
[191]
논문
A New List of Athenian Ephebes and a New Archon of Athens
https://www.jstor.or[...]
2007
[192]
논문
The Date of the Athenian Archon Thrasyphon
https://www.jstor.or[...]
2008
[193]
논문
The Athenian Archon Hoplon
https://www.jstor.or[...]
1988
[194]
문서
The Date
[195]
문서
Athenian Archons
[196]
논문
A Revision of Hesperia, XLIII, 1974, 'A New Ephebic Inscription from the Athenian Agora'
https://www.jstor.or[...]
1976
[197]
문서
Archons of Athens
[198]
논문
The Athenian Archon Pleistainos
https://www.jstor.or[...]
1994
[199]
문서
The Eponymous Archons
[200]
논문
The Eponymous Archons of Athens from 159/8 to 141/0 B. C.
https://www.jstor.or[...]
1988
[201]
문서
The Eponymous Archons
[202]
문서
Athenian Archons
[203]
논문
Deux inscriptions attiques inédites copiées par l'abbé Michel Fourmont (Parisinus Suppl. gr. 854)
http://www.persee.fr[...]
2005
[204]
서적
Greek and Roman
[205]
서적
Greek and Roman
[206]
논문
The Eponymous Officials of Greek Cities: I
https://www.jstor.or[...]
1990
[207]
논문
Das Archontat des Rhoemetalkas in Athen
https://www.jstor.or[...]
1876
[208]
문서
[209]
논문
Greek Inscriptions
https://www.jstor.or[...]
1942
[210]
문서
Greek Inscriptions
[211]
논문
Die Familie des Titus Flavius Aklibiades
https://www.jstor.or[...]
1873
[212]
논문
An Athenian Archon List of the Late Second Century after Christ
https://www.jstor.or[...]
1975
[213]
기타
An Athenian Archon List
[214]
기타
Athenian Archon List
[215]
기타
Athenian Archon List
[216]
기타
Athenian Archon List
[217]
서적
Greek and Roman Chronology
[218]
논문
Studies in the Chronology of Athens under the Empire
https://www.jstor.or[...]
1949
[219]
기타
Studies in the Chronology
[220]
문서
i.e. 'the more recent Marathonian'
[221]
논문
Review
https://www.jstor.or[...]
1948
[222]
문서
265년 이후로, 기록이 너무 파편적이기에 ‘알려지지 않음’은 이 시점 이후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223]
논문
Roman Emperors and Athens
https://www.jstor.or[...]
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