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산드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마케도니아 왕국의 지배권을 장악한 인물이다.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버지 안티파트로스를 변호하기 위해 처음 역사에 등장했으며, 섭정 자리를 두고 폴리페르콘과 대립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안티고노스와 동맹을 맺고 폴리페르콘과 전쟁에서 승리한 후, 알렉산드로스의 어머니 올림피아스를 처형하고, 알렉산드로스 4세와 록사나를 암피폴리스에 감금했다. 기원전 305년, 스스로 마케도니아의 왕임을 선언했으며, 테살로니키, 카산드레이아 등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등 헬레니즘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 기원전 297년 수종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왕조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티파트로스 왕조 - 에우헤메로스
에우헤메로스는 신화를 역사적 사건의 반영으로 해석하는 유헤메리즘 사상의 창시자로, 신들이 원래 왕, 영웅, 정복자였다는 주장을 담은 『신성한 역사』를 통해 종교적 믿음에 대한 자연주의적 관점을 제시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철학자이다. - 고대 테살로니키 -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는 바울로가 데살로니가 교회에 보낸 서신으로, 초기 기독교 문서로 여겨지며 교인들의 믿음과 사랑에 대한 감사, 재림에 대한 소망,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권면을 담고 있고 저작성 논란이 있다. - 고대 테살로니키 -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데살로니가후서는 바울과 실루아노, 디모데가 저자로 명시된 신약성경의 서신으로, 그리스도의 재림, 불법한 자의 출현, 게으른 생활에 대한 훈계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진정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카산드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카산드로스 |
로마자 표기 | Kassandereu |
그리스어 표기 | Κάσσανδρος |
왕위 | |
왕국 | 마케도니아 왕국 |
통치 기간 | 기원전 305년 – 기원전 297년 |
이전 통치자 | 알렉산드로스 4세 |
다음 통치자 | 필리포스 4세 |
가문 | |
왕가 | 안티파트로스 왕조 |
아버지 | 안티파트로스 |
배우자 | 테살로니케 |
자녀 | 필리포스 4세 알렉산드로스 5세 안티파트로스 1세 |
출생과 사망 | |
출생 | 기원전 355년경 |
사망 | 기원전 297년 |
사망 장소 | 펠라 |
기타 정보 | |
종교 | 고대 그리스 종교 |
2. 생애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마케도니아의 왕이 된 인물이다.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왕궁에 처음 나타나 아버지 안티파트로스를 변호했다. 아버지에게 섭정 후계자로 지목받지 못하자 프톨레마이오스, 안티고노스와 연합하여 섭정에 대항해 선전포고를 했고, 그리스 도시 국가들을 점령했다. 또한 필리포스 3세의 아내 에우리디케와 동맹을 맺었다.[47]
기원전 316년에는 올림피아스를 처형하고,[47] 기원전 310/309년에는 록사나와 알렉산드로스 4세를 독살했다.[16]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복누이 테살로니카와 결혼하여 왕족과 연을 맺고,[6] 안티고노스 1세에 대항하기 위해 프톨레마이오스 1세, 리시마쿠스와 동맹을 맺었다.[47] 기원전 301년 입소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 1세가 패사하면서 마케도니아를 장악했으나,[28] 기원전 297년 수종으로 사망했다.[28]
카산드로스는 문학적인 왕이었지만, 지나친 야망으로 폭정을 일삼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파괴되었던 테베를 복구하고, 테르마를 테살로니카로 개칭했으며, 포티다에아의 폐허 위에 카산드레이아라는 신도시를 건설했다.[6]
2. 1. 초기 생애
카산드로스는 마케도니아의 유력 귀족이자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충실한 부하였던 안티파트로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마케도니아의 리케이온에서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이때 알렉산드로스 대왕, 헤파이스티온, 프톨레마이오스, 리시마코스 등과 함께 교육받았다.[7] 그의 가족은 아르게아스 왕조와 먼 친척 관계였다.[8]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바빌론 궁정에 처음 등장하여 아버지 안티파트로스를 변호했다.[41] 일각에서는 카산드로스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독살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으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9] 유스티누스는 안티파트로스의 지시로 카산드로스가 왕을 독살했다고 명확히 언급했다.[42]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에게 현지인들이 구도하는 모습을 보고 웃음을 터뜨렸는데, 분노한 알렉산드로스가 카산드로스의 머리카락을 잡고 벽에 머리를 찧게 했다. 이 사건으로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에 대한 강한 공포를 갖게 되었고, 훗날 알렉산드로스의 동상 앞을 지날 때마다 몸을 떨며 현기증을 느꼈다고 한다.[41]
2. 2. 디아도코이 전쟁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제국의 권력 분배를 둘러싼 혼란이 발생했다. 기원전 323년 바빌론 회의에서 카산드로스는 카리아 총독 및 근위대장으로 임명되었고,[43][44] 기원전 321년 트리파라디소스 군회에서는 카리아 총독 및 천인대장 (재상급 관직)이 되었다.[45]기원전 319년, 아버지 안티파트로스가 사망하면서 제국 섭정직을 폴리페르콘에게 넘겨주자, 카산드로스는 이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46] 카산드로스는 프톨레마이오스, 안티고노스, 리시마코스 등과 동맹을 맺고 폴리페르콘에 대항하여 세력을 확장했다.[47] 아테네를 장악하고, 폴리페르콘의 함대를 격파하는 등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 기원전 317년에는 스스로 섭정을 선언했다.[51]
2. 3. 마케도니아 통치
카산드로스는 기원전 319년 아버지 안티파트로스가 죽으면서 섭정직을 폴리페르콘에게 넘기자 이에 불만을 품었다.[14] 그는 안티고노스, 프톨레마이오스, 리시마코스와 동맹을 맺고 폴리페르콘과 전쟁을 벌였다. 함대를 파괴하고 아테네를 장악했으며, 기원전 317년에 스스로 섭정을 선언했다.[6] 그 해 올림피아스가 필리포스 3세를 공격하자, 카산드로스는 퓌드나에서 그녀를 포위하여 기원전 316년 봄에 함락시키고 올림피아스를 살해했다. 그리고 알렉산드로스 4세와 록사나를 암피폴리스에 감금했다.[6]그 해,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복 누이인 테살로니케와 결혼하여 아르게아드 왕조와 ബന്ധ을 맺었다.[6] 또한 테살로니키, 카산드레이아를 건설하고 테베를 재건하여 자신의 권위를 강화했다.[6] 기원전 314년부터 310년까지 서쪽과 북쪽으로 원정하여 마케도니아의 세력을 확장했지만, 지역 통치자들에게 쫓겨나기도 했다. 카산드로스는 필리포스 2세의 전통에 따라 패배한 적들을 재정착시키고 새로운 도시 주변의 무역을 장려하며 통치를 굳건히 했다.[6][15] 기원전 310년 또는 그 다음 해,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4세와 록사나를 비밀리에 독살했다.[16]
기원전 309년, 폴리페르콘이 마케도니아의 헤라클레스를 내세우자, 카산드로스는 폴리페르콘에게 뇌물을 주고 헤라클레스를 살해하게 했다.[17][18] 이후 카산드로스의 지위는 안전해졌고, 기원전 305년에 스스로 왕을 선언했다.[19]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이는 기원전 306년 살라미스 해전에서 승리한 안티고노스가 왕을 칭한 것에 대한 반응이었다.
기원전 307-304년, 카산드로스는 아테네와 4년 전쟁을 벌였다.[20] 기원전 304년, 안티고노스는 아들 데메트리오스를 보내 아테네를 지원하게 했다.[21] 데메트리우스는 카산드로스를 중앙 그리스에서 몰아내고 코린토스 동맹을 결성했다.[22] 기원전 303-302년 겨울, 카산드로스는 평화를 위해 안티고노스와 협상했지만 결렬되었다.[23] 카산드로스는 리시마코스, 프톨레마이오스, 셀레우코스와 동맹을 재결성하고,[23] 기원전 302년 초, 장군 프레펠라오스를 아시아-마이너의 안티고노스 영토로 진격하는 리시마코스에게 합류시켰다.[23] 카산드로스는 테살리아로 진격하여 데메트리우스의 마케도니아 진격을 막았다.[23] 데메트리우스가 테살리아를 침공하자, 카산드로스는 전투를 피하고 진지를 요새화했다.[24] 기원전 302년 봄, 안티고노스는 시리아에서 아시아-마이너로 진격하여 리시마코스를 몰아냈다.[26] 데메트리우스가 떠나자, 카산드로스는 형제 플레이스타르쿠스와 함께 군대 일부를 아시아-마이너로 보냈다.[27] 기원전 301년, 입소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가 사망하면서 카산드로스는 마케도니아를 장악하게 되었다.[28] 그러나 기원전 297년, 수종으로 사망했다.[28]
2. 4. 죽음
기원전 301년, 안티고노스가 입소스 전투에서 패사하면서 카산드로스는 마케도니아의 확고한 지배자가 되었다.[28] 그러나 그는 이 지위를 오래 누리지 못하고 기원전 297년 수종으로 사망했다.[28]카산드로스의 사후, 그의 왕조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그의 아들 필리포스는 자연사했고, 다른 아들들인 알렉산드로스와 안티파트로스는 어머니와 함께 왕위 다툼을 벌였다.[28] 알렉산드로스가 그의 형제에 의해 공동 왕위에서 쫓겨나자, 데메트리오스 1세가 알렉산드로스의 요청을 받아들여 안티파트로스를 몰아내고 알렉산드로스 5세를 살해한 뒤 안티고노스 왕조를 세웠다.[28] 안티파테르 2세와 같은 나머지 안티파트리드 가문 사람들은 왕위를 되찾지 못했다.[28]
3. 평가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후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마케도니아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가족들을 잔혹하게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했다는 비판을 받는다.[32][33] 특히 알렉산드로스 4세, 록사나, 헤라클레스를 독살하고, 올림피아스가 마케도니아 의회에 의해 살해되도록 방치한 점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테살로니키, 카산드레이아를 건설하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파괴되었던 테베를 재건하는 등 헬레니즘 도시 발전에 기여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35][36][40] 그는 테르마를 자신의 아내 이름을 따 테살로니키로 다시 짓기도 했다.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유명하다.[9] 아리아노스는 카산드로스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조각상 앞을 지날 때마다 기절할 뻔했다고 기록했다.[29]
카산드로스는 다른 디아도코이들처럼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자신을 연결하는 왕실 도상학을 차용했다.[34]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선례를 따라 동전 한 면에 사자 가죽 망토를 입은 자신이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모습을 새겼다.[37][38]
4. 기타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몹시 증오했지만, 그의 여동생이자 자신의 아내인 테살로니카와의 사이는 원만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도시 테르마를 아내의 이름을 따 테살로니키로 개명하고, 포티다이아의 폐허 위에 카산드레이아를 건설했다.[55]
참조
[1]
서적
'The Age of Alexander: Nine Greek lives'
[2]
백과사전
Cassander
https://www.britanni[...]
2014
[3]
백과사전
Cassander
https://www.britanni[...]
2014
[4]
서적
Universal Biography
[5]
웹사이트
Cassander
http://virtualreligi[...]
American Theological Library Association
2018-06-13
[6]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Wiley-Blackwell
2010
[7]
서적
"Who's who in the age of Alexander the Great: prosopography of Alexander's empire"
[8]
웹사이트
Ptolemaic Dynasty - Affiliated Lines: The Antipatrids
http://www.tyndaleho[...]
[9]
서적
Alexander the Great
2004
[10]
서적
Antipater's dynasty
Pen & Sword Military
2019
[11]
서적
Antipater's dynasty
Pen & Sword Military
2019
[12]
서적
The library, books 16-20dPhilip II, Alexander the Great, and the successo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13]
서적
Antigonos the One-Eyed and the Creation of the Hellenistic State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12-31
[14]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ellenistic Age
2007
[15]
서적
The library. Books 16-20 : Philip II, Alexander the Great, and the success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16]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Wiley-Blackwell
2010
[17]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ellenistic Age
2007
[18]
서적
The library. Books 16-20 : Philip II, Alexander the Great, and the success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19]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ellenistic Age
2007
[20]
서적
Diadochen
[21]
서적
Antigonos the One-Eyed
[22]
서적
Antigonos the One-Eyed
[23]
서적
Antigonos the One-Eyed
[24]
서적
Antigonos the One-Eyed
[25]
서적
Antigonos the One-Eyed
[26]
서적
Antigonos the One-Eyed
[27]
서적
Antigonos the One-Eyed
[28]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http://www.perseus.t[...]
2022-05-25
[29]
서적
Anabasis of Alexander Or, the History of the Wars and Conquests of Alexander the Great.
http://worldcat.org/[...]
Forgotten Books
2019
[30]
서적
Alexander the Great
2004
[31]
서적
Antipater's dynasty : Alexander the Great's regent and his successors
Pen & Sword Military
2019
[32]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ellenistic Age
2007
[33]
서적
Antipater's dynasty : Alexander the Great's regent and his successors
Pen & Sword Military
2019
[34]
간행물
An Ill-defined Rule: Cassander's Consolidation of Power
https://revistes.uab[...]
2019
[35]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ellenistic Age
2007
[36]
서적
Antipater's dynasty : Alexander the Great's regent and his successors
Pen & Sword Military
2019
[37]
서적
After Alexander: the time of the Diadochi (323-281 bc)
Oxbow Books
2013
[38]
서적
Alexander and the Hellenistic kingdoms: coins, image and the creation of identity the Westmoreland collection [exhibition, Museum of Ancient cultures, Macquarie university, opened on the 23rd of November 2007 at the start of the Second Biennal conference of the Numismatic association of Australia... to the 21 November 2008]
Numismatic association of Australia
2007
[39]
웹사이트
Hellenistic Coin Portraits
http://www2.lawrence[...]
1996
[40]
서적
Antipater's dynasty : Alexander the Great's regent and his successors
Pen & Sword Military
2019
[41]
문서
プルタルコス, 「アレクサンドロス」, 74
[42]
문서
ユスティヌス, XII. 14
[43]
문서
ibid, XIII. 4
[44]
문서
フォティオス, cod. 92
[45]
문서
ディオドロス, XVIII. 39
[46]
문서
ibid, XVIII. 48
[47]
문서
ibid, XVIII. 49, 54
[48]
문서
ibid, XIX. 11
[49]
문서
ibid, XIX. 35
[50]
문서
ユスティヌス, XIV, 5
[51]
문서
ディオドロス, XIX. 36
[52]
문서
ibid, XIX. 49
[53]
문서
ibid, XIX. 50, 51
[54]
문서
ユスティヌス, XIV, 6
[55]
문서
ディオドロス, XIX. 52
[56]
문서
ディオドロス, XIX. 53, 54
[57]
문서
ibid, XIX. 57
[58]
문서
ユスティヌス, XV. 1
[59]
문서
ディオドロス, XIX. 60
[60]
문서
ibid, XIX. 63
[61]
문서
ibid, XIX. 64
[62]
문서
ibid, XIX. 67, 68
[63]
문서
ibid, XIX. 74
[64]
문서
ibid, XIX. 78
[65]
문서
ユスティヌス, XV, 2
[66]
문서
ユスティヌス, XV, 1
[67]
문서
ユスティヌス, XVI, 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