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세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디세이아》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로, 총 12,109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트로이 전쟁 이후 고향으로 돌아가는 오디세우스의 모험을 다룬다. 이야기는 중간 부분부터 시작하여, 회상과 이야기 전달을 통해 이전 사건들을 묘사한다. 2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은 그리스 알파벳 문자와 대응한다. 이 서사시는 귀향, 시련과 극복, 환대, 복수, 신의 개입과 운명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서구 문학, 예술,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돼지를 소재로 한 작품 - 서유기
《서유기》는 현장 일행의 서역 구법 여행을 그린 16세기 중국 소설로, 불교, 도교, 유교 사상이 융합된 상상력 넘치는 이야기와 해학적인 문체로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저자는 오승은으로 알려져 있으나 논쟁 중이다. - 돼지를 소재로 한 작품 - 샬롯의 거미줄
E.B. 화이트의 아동 문학 작품 "샬롯의 거미줄"은 도살될 위기에 처한 돼지 윌버와 그를 구하려는 거미 샬롯의 우정을 통해 삶과 죽음, 순수, 변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이다. - 호메로스 - 일리아스
《일리아스》는 호메로스에 의해 쓰여진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로, 트로이 전쟁 막바지를 배경으로 아킬레우스의 분노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과 삶의 의미를 탐구한다. - 호메로스 - 호메로스 찬가
호메로스 찬가는 기원전 7세기에서 6세기 사이에 쓰여진 33편의 고대 그리스 찬가 모음집으로, 다양한 작가들이 신들을 찬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신화, 종교 의식, 신들의 기원 등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 오디세이아 - 아이네이스
《아이네이스》는 베르길리우스가 라틴어로 쓴 서사시로, 트로이 영웅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정착하여 로마를 건설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며,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강조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지니고 서구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디세이아 - 키클롭스 (사티로스극)
에우리피데스가 《오디세이아》를 바탕으로 쓴 사티로스극 키클롭스는 오디세우스가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에게 붙잡히는 이야기와 디오니소스를 숭배하지만 키클롭스의 노예가 된 실레노스와 사티로스들의 이야기를 코믹하게 결합하여, 호메로스의 서사를 재해석하고 당대 아테네 사회의 문제들을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디세이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제목 | 오디세이아 |
로마자 표기 | Odysseia |
그리스어 표기 | Ὀδύσσεια |
라틴어 표기 | Odyssea |
다른 뜻 | 오디세이 (동음이의) |
작품 정보 | |
저자 | 호메로스 |
원제 | Ὀδύσσεια |
원제 언어 | 고대 그리스어 |
번역가 | 조지 채프먼 외 다수, 호메로스 영어 번역 목록 참고 |
쓰여진 시기 | 기원전 8세기경 |
장르 | 서사시 |
운율 | 다크틸로스 육보격 |
행 수 | 12,109행 |
선행 작품 | 일리아스 |
위키문헌 | 오디세이아 |
관련 정보 | |
관련 신화 | 그리스 신화 |
등장인물 | 오디세우스, 텔레마코스, 페넬로페, 칼립소, 키르케, 폴리페모스 등 |
기타 정보 | |
참고 문헌 | *)odu/sseia |
어원 | odyssey |
2. 구성
호메로스의 서사시는 고대 그리스 문화의 구전 전통에서 비롯되었으며, '음유시인'들이 낭송하는 형태로 전승되었다. 기원전 8세기경 작품으로 성립되었으며, 기원전 6세기경 아테네에서 문자로 기록되어 현재의 24권 구성으로 편집되었다.[51] 각 권은 뮤즈에게 바치는 기도로 시작하며, 헥사메트론 운율로 이야기가 전개된다.[54]
Ἄνδρα μοι ἔννεπε, Μοῦσα, πολύτροπον, ὃς μάλα πολλὰ|Andra moi ennepe, Mousa, polytropon, hos mala polla...grc[55]
:저 남자의 이야기를 나에게 들려주세요, 뮤즈여, 많은 고난을 겪은 “저 남자”를……
“저 남자”는 오디세우스를 가리킨다. 오디세우스가 겪은 여러 고난의 여정 이야기를 나의 혀를 통해 들려주세요, 하고 뮤즈에게 기도하는 것이다. 즉, 뮤즈가 낭송자에게 깃들고, 이야기하는 사람은 사실 뮤즈라는 것이다.
3. 등장인물
3. 1. 오디세우스
이타케의 왕이자 트로이 전쟁의 영웅이다.[51] 뛰어난 지략과 용기를 지녔으며, 귀향을 향한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포세이돈의 분노를 사 이타케로 돌아갈 수 없게 된 오디세우스에게 다른 신들은 동정적이었다. 포세이돈이 아이티오피아의 연회에 가서 올림포스에 없는 틈을 타 아테나는, 대신 제우스에게 간청하여 오디세우스의 귀환을 허락받는다. 신들의 왕 제우스는 전령 헤르메스를 칼립소의 섬으로 보내 오디세우스를 출발시킨다. 하지만 그의 귀환을 달가워하지 않는 포세이돈은 오디세우스의 뗏목을 삼지창으로 파괴한다.[51] 며칠 후, 오디세우스는 해안에 표착하여 올리브 숲에서 잠이 든다.
난파한 오디세우스를 해안에서 구해준 것은 파이아케스족의 왕 알키노오스의 딸 나우시카아였다. 나우시카아 공주는 아버지인 알키노오스 왕에게 오디세우스를 안내한다. 다음 날은 공휴일이 되었고, 알키노오스 왕의 연회에서 오디세우스는 음유시인 데모도코스가 부르는 트로이 전쟁 이야기를 듣고, 몰래 눈물을 흘린다. 왕은 오디세우스의 신분을 묻는다.
텔레마코스가 이타케에 돌아오자, 아테나 여신은 오디세우스를 원래 모습으로 돌려놓는다. 오디세우스는 텔레마코스와 재회한다. 두 사람은 계략을 짜서 오디세우스가 죽었다는 거짓말을 한다. 아테나는 다시 오디세우스를 거지의 모습으로 만들고, 그는 도시로 돌아간다.
3. 2. 페넬로페
오디세우스의 아내로, 오랜 부재에도 불구하고 남편을 기다리며 정절을 지켰다. 수많은 구혼자들의 유혹을 물리치는 지혜로운 여인으로 묘사된다.[51]
이타케에서 안티노오스를 비롯한 구혼자들은 텔레마코스를 암살할 음모를 꾸몄다. 페넬로페는 전령에게서 이 음모를 전해 듣고 아테나에게 구원을 요청하는 기도를 올렸다.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집에서 특히 안티노오스를 비롯한 구혼자들에게 조롱을 당했다. 오디세우스는 페넬로페를 만나 크레타에서 오디세우스를 만났다고 말하며 그녀의 의중을 시험한다. 자세한 질문을 받자 그는 최근 테스프로티아에 있었고 그곳에서 오디세우스의 최근 방랑에 대한 것을 들었다고 덧붙였다. 오디세우스는 페넬로페와 오랫동안 이야기를 나누지만,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았다.
3. 3. 텔레마코스
텔레마코스는 다음 날 아침 시민회의를 열어 구혼자들이 이타케 성을 떠날 것을 요구하지만, 구혼자들의 두목 노릇을 하는 안티노오스는 이를 간단히 무시한다.[51] 텔레마코스는 또한 이타케 주민들에게 오디세우스의 생사 확인을 위한 여행에 필요로 하는 배 한 척을 마련해 주기를 간청하지만 거절당한다.[51] 실망한 텔레마코스에게 아테나가 오디세우스의 옛 친구인 멘테스의 모습으로 나타나 여행에 필요로 하는 배와 식량 등을 마련해 주리라 약속한다. 저녁이 되어 그는 아테나가 변신한 멘토르와 함께 어머니 페넬로페 몰래 스파르타로 떠난다.
필로스에 도착한 텔레마코스는 해안에서 네스토르를 만난다. 네스토르는 오디세우스의 아들에게 트로이 전쟁에 관해 이야기를 건네준 뒤, 오디세우스의 안부는 스파르타의 군주 메넬라오스에게 알아보라고 조언한다.
텔레마코스는 먼저 이타케 섬을 떠나 필로스에 도착하여, 용맹으로 이름 높은 네스토르 왕을 만난다. 왕은 마침 해신 포세이돈에게 제물을 바치는 제사 중이었지만, 여행 중인 젊은이를 기꺼이 맞이하여 의례에 참여시키고 환대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제우스가 여행자의 수호신이기도 했고, 스스로도 고난을 겪고 트로이 전쟁에서 귀국할 수 있었던 네스토르 왕은 텔레마코스를 환대했고, 텔레마코스 또한 의례를 다해 왕에게 답했다. 네스토르 왕은 트로이 전쟁이 9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많은 영웅들조차 잃게 했던 사실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 전쟁에서 전황을 타개하고 전쟁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 지략가 오디세우스였다며 칭찬하고, 전쟁이 끝나고 아카이아인 장수들의 대부분이 귀향길에 죽었다고 알린다.
하지만 정작 오디세우스의 행방은 네스토르 왕도 알 수 없었다. 네스토르 왕이 귀향길에 신들에 대한 제사를 소홀히 하여 여러 해난을 겪었던 일을 텔레마코스에게 이야기하고, 오디세우스의 생사에 대해서는 자신은 모르지만 해신의 노인(포세이돈과는 다른 해신)의 도움을 받았을 때, "오디세우스는 칼립소의 섬에 갇혀 있는 것 같다"는 전언을 들었다고 한다.
네스토르 왕은 귀향길의 고난과, 왕 중의 왕인 아가멤논 왕이 아이기스토스에게 살해당한 일을 이야기하고, 표류하는 동안 아가멤논의 원수를 갚겠다고 맹세했지만, 귀국했을 때, 아가멤논의 아들 오레스테스가 아버지의 원수를 훌륭하게 죽였다는 것을 텔레마코스에게 이야기한다. 이는 텔레마코스에게도 이를 본받아 젊은이여 대의를 이루라는 격려였지만, 텔레마코스는 "나는 그러한 중대한 일을 해낼 자신이 없다"며 약한 소리를 한다. 여기서 여신 아테나는 멘토스 왕의 모습을 빌려 약한 소리를 하는 텔레마코스를 질책한다. 네스토르 왕은 전우 오디세우스의 아들에게 힘을 빌려주고, 그의 아들들에게 텔레마코스를 돕도록 명령하며, 네스토르 왕의 아들들과 화려한 수레를 대동하여 스파르타의 메넬라오스 왕에게 보냈다.
아테나는 테레마코스에게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말한다.
텔레마코스가 이타케에 돌아오자, 아테나 여신은 오디세우스를 원래 모습으로 돌려놓는다. 오디세우스는 텔레마코스와 재회한다. 두 사람은 계략을 짜서 오디세우스가 죽었다는 거짓말을 한다.
3. 4. 안티노오스
안티노오스는 페넬로페에게 구혼하는 자들 중 한 명으로, 이타케에서 텔레마코스를 암살할 음모를 꾸미는 등 가장 악랄하고 폭력적인 인물이었다.[4] 그는 오디세우스의 재산을 탐내고 권력을 차지하려는 욕망을 드러냈다.
3. 5. 에우마이오스
(에우마이오스에 대한 내용은 제공된 원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6. 에우뤼클레이아
오디세우스의 유모이다. 오랜 세월이 흘렀음에도 오디세우스의 무릎에 난 상처를 보고 그를 알아본다.
3. 7. 멘토르 (또는 멘테스)
아테나는 오디세우스의 오랜 친구인 멘테스의 모습으로 나타나 텔레마코스에게 여행에 필요한 배와 식량 등을 마련해 주겠다고 약속한다.[1] 아테나는 멘토르로 변신하여 텔레마코스와 함께 페넬로페 몰래 스파르타로 떠난다.[1]
4. 줄거리
트로이 전쟁이 끝난 지 10년이 지났지만, 이타케의 왕 오디세우스는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칼립소의 섬에 갇혀 있었다. 신들은 오디세우스를 불쌍히 여겨 헤르메스를 칼립소에게 보내 그를 풀어주도록 명령하고, 아테나는 오디세우스의 아들 텔레마코스에게 아버지의 행방을 찾으러 가도록 격려한다.
오디세우스의 아내 페넬로페는 수많은 구혼자들에게 시달리고 있었다. 구혼자들은 오디세우스가 죽었다고 생각하고 그의 재산을 탕진하며 페넬로페에게 구혼했다.
Ὀδύσσειαgrc는 서사시로서 고대 그리스 문학 최고(最古)기에 해당하며, 기원전 8세기경 음유시인이 읊조리는 작품으로 성립하였다고 전해진다. 기원전 6세기경부터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하여 현재의 24권으로 구성된 서사시로 편집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 그리스 신화와 마찬가지로 『오디세이아』와 일리아스는 교양 있는 시민이 반드시 알아야 할 지식으로 여겨졌다. 오디세우스의 이야기는 "뮤즈에 대한 기원"으로 시작하여, 뮤즈[54]에게 "전해져야 할 이야기"를 간청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간청에 따라 뮤즈 여신이, 음유시인의 말을 통해 "어떤 영웅"의 이야기를 헥사메트론의 운율로 사람들에게 전한다.
다음날 공휴일이 되자, 알키노오스 왕의 연회에서 오디세우스는 음유시인 데모도코스가 부르는 트로이 전쟁 이야기를 듣고 몰래 눈물을 흘린다. 왕은 오디세우스의 신분을 묻는다.[1]
4. 1. 제1권 ~ 제4권: 텔레마코스의 여정

텔레마코스는 다음 날 아침 이타케 백성을 모아 구혼자들이 이타케 성을 떠날 것을 요구했지만, 구혼자들의 우두머리인 안티노오스는 이를 무시했다.[8] 텔레마코스는 이타케 주민들에게 아버지 오디세우스의 생사 확인을 위한 여행에 필요한 배를 마련해 달라고 간청했지만 거절당했다.[8]
실망한 텔레마코스에게 아테나가 오디세우스의 옛 친구인 멘테스의 모습으로 나타나 배와 식량 등을 마련해 주겠다고 약속한다.[8] 그날 저녁, 텔레마코스는 아테나가 변신한 멘토르와 함께 어머니 페넬로페 몰래 스파르타로 떠난다.[8]
필로스에 도착한 텔레마코스는 해안에서 네스토르를 만난다.[8] 네스토르는 트로이 전쟁에 대해 이야기하고, 오디세우스의 안부는 스파르타의 군주 메넬라오스에게 알아보라고 조언한다.[8]
메넬라오스의 성에서 텔레마코스는 환영받는다.[8] 헬레네는 텔레마코스가 오디세우스의 아들임을 알아본다.[8] 메넬라오스는 트로이 전쟁에서 오디세우스의 활약을 칭찬하고,[8] 이집트의 바다신 프로테우스에게서 들은 바로는 오디세우스가 오기기아 섬에 머물고 있다고 말해준다.[8] 한편 이타케에서는 안티노오스와 구혼자들이 텔레마코스를 암살할 음모를 꾸미고,[8] 페넬로페는 아테나에게 구원을 기도한다.[8]
4. 2. 제5권 ~ 제8권: 오디세우스의 탈출과 파이아케스족
Ὀδύσσειαgrc의 제5권부터 제8권까지는 오디세우스가 칼립소의 섬에서 탈출하여 파이아케스족의 섬에 도착하고, 그곳에서 환대를 받는 과정을 다룬다.제우스는 헤르메스를 칼립소에게 보내 오디세우스를 풀어주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칼립소는 제우스의 명령에 따라 오디세우스에게 뗏목을 만들 도끼를 주고 귀향 준비를 돕는다. 오디세우스는 뗏목을 타고 항해하던 중 포세이돈이 일으킨 풍랑을 만나지만, 바다의 요정 레이코테아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다.
그는 파이아케스족의 섬에 표류하여 숲에서 잠이 들고, 알키노오스 왕의 딸 나우시카아 공주에게 발견된다. 나우시카아는 오디세우스에게 먹을 것과 옷을 제공하고, 알키노오스 왕의 궁전으로 가는 길을 안내한다. 오디세우스는 아테나 여신의 도움으로 안개에 싸여 궁전에 들어가 알키노오스 왕과 아레테 왕비에게 자신의 사정을 이야기하고 도움을 청한다.
알키노오스 왕은 오디세우스를 환대하고 연회를 베푼다. 연회에서 음유시인 데모도코스가 트로이 전쟁에 대한 노래를 부르자,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과거를 떠올리며 눈물을 흘린다. 왕은 오디세우스의 신분을 묻고,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정체를 밝히며 그동안의 모험을 이야기하기 시작한다.[1]
4. 3. 제9권 ~ 제12권: 오디세우스의 모험담
다음 날 공휴일이 되자, 알키노오스 왕의 연회에서 오디세우스는 음유시인 데모도코스가 부르는 트로이 전쟁 이야기를 듣고 몰래 눈물을 흘린다. 왕은 오디세우스에게 정체를 묻는다.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정체를 밝히고, 트로이 함락 이후 겪었던 모험담을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 이스마로스: 오디세우스 일행은 트로이에서 출발하여 첫 번째 목적지인 이스마로스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키코네스족과 전투를 벌여 승리하지만, 많은 동료를 잃는다.
- 로토파고이족의 땅: 오디세우스 일행은 '로토스'라는 열매를 먹으면 고향에 돌아갈 생각을 잊게 만드는 로토파고이족의 땅에 도착한다. 오디세우스는 부하들을 강제로 배에 태워 섬을 떠난다.
- 키클롭스족의 땅: 오디세우스 일행은 외눈박이 거인 키클롭스족이 사는 섬에 도착한다. 그들은 키클롭스족의 동굴에 갇히고, 폴리페모스라는 거인에게 동료들을 잃는다. 오디세우스는 기지를 발휘하여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 하고 동굴에서 탈출한다. 이 사건으로 인해 오디세우스는 폴리페모스의 아버지인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분노를 사게 된다.
- 아이올로스 섬: 오디세우스 일행은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가 사는 섬에 도착한다. 아이올로스는 오디세우스에게 서풍을 제외한 모든 바람을 가둔 가죽 부대를 선물한다. 오디세우스의 부하들은 가죽 부대 안에 보물이 들어있다고 생각하여 몰래 열어보고, 그 바람에 배는 다시 아이올로스 섬으로 되돌아간다.
- 라이스트리곤족의 땅: 오디세우스 일행은 식인 거인족인 라이스트리곤족이 사는 섬에 도착한다. 라이스트리곤족은 오디세우스의 배 11척을 파괴하고, 오디세우스와 그의 남은 부하들은 겨우 탈출한다.
- 아이아이에 섬: 오디세우스 일행은 마녀 키르케가 사는 아이아이에 섬에 도착한다. 키르케는 오디세우스의 부하들을 돼지로 만들지만, 오디세우스는 헤르메스에게서 받은 약초 '몰리' 덕분에 마법에 걸리지 않는다. 오디세우스는 키르케를 설득하여 부하들을 다시 인간으로 되돌리고, 1년 동안 섬에 머문다. 키르케는 오디세우스에게 저승에 가서 예언자 테이레시아스의 조언을 구하라고 한다.
- 저승 방문: 오디세우스는 오케아노스를 건너 저승으로 간다. 그곳에서 오디세우스는 어머니 안티클레이아의 유령과 트로이 전쟁에서 죽은 여러 영웅들의 유령을 만난다. 또한, 예언자 테이레시아스를 만나 앞으로의 여정과 귀향에 대한 조언을 듣는다.
- 세이렌: 오디세우스 일행은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뱃사람들을 유혹하여 죽음에 이르게 하는 세이렌(들)의 섬을 지나간다. 오디세우스는 부하들의 귀를 밀랍으로 막고, 자신은 돛대에 묶어 세이렌의 유혹을 이겨낸다.
- 스킬라와 카리브디스: 오디세우스 일행은 여섯 개의 머리를 가진 괴물 스퀼라와 거대한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괴물 카리브디스 사이의 좁은 해협을 지나간다. 오디세우스는 여섯 명의 부하를 스킬라에게 잃지만, 배는 무사히 해협을 통과한다.
- 트리나키아 섬: 오디세우스 일행은 태양신 헬리오스의 소들이 사는 트리나키아 섬에 도착한다. 오디세우스는 테이레시아스와 키르케의 경고를 기억하고 부하들에게 헬리오스의 소를 잡아먹지 말라고 경고한다. 그러나 굶주림에 지친 부하들은 오디세우스가 잠든 사이에 소를 잡아먹고 만다. 헬리오스는 제우스에게 복수를 요청하고, 제우스는 번개를 내려 오디세우스의 배를 파괴한다. 오디세우스는 유일한 생존자가 되어 칼립소의 섬에 표류하게 된다.
4. 4. 제13권 ~ 제24권: 이타케 귀환과 복수



오디세우스는 알키노오스 왕에게서 마법의 배를 빌려 이타케로 귀환한다. 아테나는 그를 노인으로 변장시킨다.
아테나는 텔레마코스에게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말한다. 텔레마코스가 이타케에 돌아오자, 아테나 여신은 오디세우스를 원래 모습으로 돌려놓는다. 오디세우스는 텔레마코스와 재회한다. 두 사람은 계략을 짜서 오디세우스가 죽었다는 거짓말을 한다.
구혼자들은 오디세우스의 단련된 근육에 놀란다.
오디세우스는 페넬로페와 오랫동안 이야기를 나누지만,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는다. 옛날 유모인 에우뤼클레이아는 그의 무릎의 상처를 보고 그가 오디세우스임을 알아차린다.
아테나의 부추김에 따라 페넬로페는 구혼자들에게 오디세우스의 활을 이용한 활쏘기 시합으로 구혼 경쟁을 벌이도록 유도한다. 활시위를 걸고 화살을 도끼 열두 개의 칼날을 관통하는 자가 승자가 된다. 오디세우스가 시합에 참가하여 활시위를 걸고 화살을 도끼 열두 개의 칼날을 관통할 만큼 강인한 힘을 보여 승리한다. 그런 다음 누더기를 벗어던지고 다음 화살로 안티노오스를 죽인다. 오디세우스는 나머지 화살과 칼, 창을 사용하여 다른 구혼자들을 죽이고, 텔레마코스, 에우마이오스, 그리고 소치기 필로이티오스와 함께 싸운다. 전투가 끝난 후, 텔레마코스는 에우뤼클레이아가 페넬로페를 배신하거나 구혼자들과 성관계를 가졌다고 지목한 집안의 여종 열두 명을 처형한다.
오디세우스는 페넬로페에게 자신의 정체를 밝힌다. 페넬로페는 주저하지만 그가 땅에 뿌리내린 올리브 나무로 침대를 만들었다는 말을 듣고 그를 알아본다. 페넬로페는 그를 껴안고 함께 잠든다.
다음 날, 오디세우스는 아버지 라이에르테스의 농장으로 가서 자신의 정체를 밝힌다. 안티노오스의 아버지 에우페이테스가 이끄는 이타카 사람들이 구혼자들의 살해에 대한 복수를 하려고 농장으로 따라온다. 전투가 벌어지지만 아테나와 제우스에 의해 곧 중단된다.
5. 주요 주제
오디세이아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환대(크세니아), 귀향(노스토스), 시련과 극복, 복수, 신의 개입과 운명 등이 주요하게 다루어진다.
환대(크세니아)는 낯선 사람을 환대하는 그리스 문화의 중요한 덕목으로, 서사시 전반에 걸쳐 여러 사례가 등장한다.[12][13] 파이아케스인들은 오디세우스에게 음식, 잠자리, 선물, 안전한 귀향을 위한 항해를 제공하여 모범적인 손님 대접을 보여주었다.[13] 반면, 폴리페모스는 오디세우스를 마지막으로 먹겠다는 "선물"을 제시하며 나쁜 손님 대접의 예를 보여준다.[13] 칼립소 역시 오디세우스를 섬에 붙잡아 둠으로써 나쁜 손님 대접을 보여준다.[13] 또한 거지로 변장한 오디세우스에게 음식을 주지 않은 안티노오스는 관대함이 부족하여 왕의 자질이 부족함을 보여준다.
J. B. 하인스워스에 따르면, 손님과의 우정은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패턴을 따른다.[11]
단계 | 내용 |
---|---|
1 | 손님 도착 및 접대 |
2 | 손님에게 목욕을 시켜주거나 깨끗한 옷 제공 |
3 | 음식과 음료 제공 |
4 | 질문 및 오락 제공 |
5 | 잠자리 제공 및 휴식 |
6 | 선물 교환, 안전한 귀향 약속, 작별 |
손님을 원하는 것보다 더 오래 머물게 하지 않고, 손님이 머무는 동안 안전을 보장하는 것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12][10]
복수는 무너진 정의를 바로 세우고 이타케 왕국의 질서를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51] 오디세우스는 거지로 변장하여 구혼자들을 시험하고, 활쏘기 대회에서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 후 아들 텔레마코스와 함께 구혼자들을 모두 죽이고 불충한 하인들까지 처단하며 복수를 완성한다.[51]
신의 개입과 운명에서 신들은 인간의 삶과 오디세우스의 운명에 영향을 미치지만, 인간의 자유 의지와 선택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우스를 비롯한 올림포스 신들은 오디세우스를 귀향시키기로 결정하지만, 포세이돈은 아들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 한 오디세우스에게 원한을 품고 방해한다. 아테나는 제우스에게 간청하여 오디세우스의 귀환을 허락받고, 헤르메스를 통해 칼립소에게 오디세우스를 보내도록 하지만, 포세이돈은 삼지창으로 뗏목을 파괴한다.[51]
5. 1. 귀향 (노스토스)
오디세우스는 파이아키아인들에게 자신의 파란만장한 모험 이야기를 들려준다. 키코네스족 공격 실패 후 폭풍우로 항로를 이탈한 그는 로토스 식물을 먹는 자들의 땅에 도착한다. 로토스 열매를 먹은 부하들은 귀향을 잊고, 오디세우스는 강제로 그들을 배에 태워야 했다.[51]그 후 폴리페모스의 동굴에서 치즈와 고기를 발견하지만, 폴리페모스에게 붙잡혀 부하들을 잃는다. 오디세우스는 자신을 "아무도 아닌 자"라고 속이고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 한 후, 양의 배에 숨어 탈출한다.[51] 그러나 탈출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를 밝히고, 폴리페모스는 아버지 포세이돈에게 오디세우스가 10년간 방황하도록 저주를 내려달라고 요청한다.
아이올로스에게서 서풍을 제외한 모든 바람이 든 가죽 부대를 선물 받지만, 이타카가 눈앞에 보일 때 부하들이 부대를 열어 폭풍에 휘말린다.[51] 레스트리곤인들에게 배를 모두 잃고, 키르케의 섬 아이아이아에 도착한다. 키르케는 부하들을 돼지로 만들지만, 헤르메스에게서 받은 몰리라는 약초 덕분에 오디세우스는 마법에 걸리지 않는다. 키르케에게 부하들을 되돌려 놓으라고 강요하고, 1년간 함께 머문다.
키르케의 지시로 죽은 자들에게 제사를 지내고, 예언자 티레시아스에게서 헬리오스의 가축을 먹지 않으면 귀향할 수 있다는 예언을 듣는다.[51] 죽은 어머니 안티클레이아를 만나고, 트로이 전쟁에서 죽은 동료들과도 대화한다.

아이아이아로 돌아와 사이렌들의 땅을 지나간다. 오디세우스는 노래를 듣기 위해 돛대에 묶이고, 부하들은 밀랍으로 귀를 막는다. 여섯 머리 괴물 스퀼라에게 부하 여섯 명을 잃고, 카리브디스를 피해 항해한다.
트리나키아 섬에 상륙하지만, 부하들은 헬리오스의 신성한 소를 잡아먹는다. 헬리오스는 제우스에게 벌을 요구하고, 폭풍으로 오디세우스를 제외한 모두가 죽는다. 오디세우스는 오기기아에 표류하여 칼립소와 함께 지낸다.
파이아키아인들은 오디세우스에게 많은 보물을 주고, 밤에 이타카의 항구에 내려준다. 아테나는 그를 늙은 거지로 변장시키고, 보물을 동굴에 숨기게 한다. 오디세우스는 양치기 에우마이오스에게 환대를 받고, 자신의 허구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
텔레마코스는 스파르타에서 돌아와 오디세우스를 만난다. 오디세우스는 텔레마코스에게만 정체를 밝히고, 구혼자들을 죽일 계획을 세운다. 오디세우스는 거지 행세를 하며 집으로 돌아가고, 충실한 개 아르고스만이 그를 알아본다. 안티노오스를 비롯한 구혼자들에게 조롱당하고, 페넬로페를 만나 자신의 신분을 숨긴 채 그녀를 시험한다.
하녀 에우뤼클레이아가 발을 씻기다 오래된 상처를 보고 오디세우스를 알아보지만, 아테나가 페넬로페가 듣지 못하게 한다. 오디세우스는 에우뤼클레이아에게 비밀을 맹세시킨다.
5. 2. 시련과 극복
오디세우스는 파이아키아인들에게 자신의 모험담을 들려주었다. 키코네스족 공격 실패 후 폭풍우를 만나 표류하다 롯토스 식물을 먹는 자들의 섬에 도착했다. 그 열매를 먹은 부하들은 귀향을 잊었고, 오디세우스는 강제로 그들을 배에 태워야 했다.[8]
다음으로 폴리페모스의 동굴에서 치즈와 고기를 먹던 중, 폴리페모스에게 발각되어 동굴에 갇혔다. 오디세우스는 자신을 "아무도 아닌 자"라 속이고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 한 후, 양의 배에 숨어 탈출했다. 그러나 탈출 중 자신의 정체를 밝혀 폴리페모스의 아버지 포세이돈의 저주를 받아 10년간 방황하게 되었다.[8]
아이올로스에게서 서풍을 제외한 모든 바람이 든 부대를 선물받지만, 선원들이 금이 든 줄 알고 부대를 열어 폭풍에 휘말렸다. 식인종 레스트리곤인들에게 배를 모두 잃고, 키르케의 섬 아이아이아에 도착했다. 키르케는 부하들을 돼지로 만들었지만, 헤르메스가 준 몰리라는 약초로 오디세우스는 마법을 이겨냈다. 키르케의 유혹에 빠져 1년간 머문 후, 키르케의 지시로 죽은 자들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세상 서쪽 끝으로 갔다.[8]
티레시아스의 영혼에게서 헬리오스의 가축을 먹지 않으면 귀향할 수 있다는 예언을 듣고, 죽은 어머니 안티클레이아에게서 이타카의 상황과 구혼자들에 대해 들었다. 트로이 전쟁에서 죽은 동료들과도 대화했다.[8]
아이아이아로 돌아와 엘페노르를 묻고 키르케에게 조언을 들었다. 사이렌들의 땅을 지나갈 때, 오디세우스는 노래를 듣기 위해 돛대에 묶이고, 선원들은 밀랍으로 귀를 막았다. 여섯 머리 괴물 스퀼라에게 부하 여섯을 잃고, 소용돌이 카리브디스를 피했다.[8]
트리나키아 섬에서 선원들이 제우스의 폭풍으로 굶주려 헬리오스의 신성한 소를 잡아먹자, 헬리오스는 제우스에게 벌을 요구했다. 난파 후 오디세우스만 살아남아 오기기아에서 칼립소의 연인으로 남았다.
5. 3. 환대 (크세니아)
낯선 사람을 환대하는 것은 그리스 문화의 중요한 덕목이었다. 오디세우스는 서사시 전반에 걸쳐 여러 차례 크세니아(손님과의 우정) 사례를 접하는데, 이는 주인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고 어떻게 행동해서는 안 되는지를 보여주는 본보기가 된다.[12][13]파이아케스인들은 오디세우스에게 음식, 잠자리, 많은 선물, 그리고 안전한 귀향을 위한 항해를 제공함으로써 모범적인 손님 대접을 보여주었다. 이는 좋은 주인이 해야 할 일들이다.[13] 반면, 폴리페모스는 나쁜 손님 대접의 예를 보여준다. 그가 오디세우스에게 준 유일한 "선물"은 자신을 마지막으로 먹겠다는 것이었다.[13] 칼립소 역시 오디세우스가 자신의 섬을 떠나지 못하게 함으로써 나쁜 손님 대접의 전형을 보여준다.[13]
손님 대접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왕권이 관대함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왕은 관대한 주인이 될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재산에 대해 더 관대하다고 여겨진다.[13] 이는 오디세우스가 거지로 변장하여 구혼자 중 한 명인 안티노우스에게 음식을 구걸했을 때, 안티노우스가 그의 요청을 거절한 것을 통해 가장 잘 드러난다. 오디세우스는 안티노우스가 왕처럼 보일지라도 관대하지 않기 때문에 왕과는 거리가 멀다고 말한다.[13]
J. B. 하인스워스에 따르면, 손님과의 우정은 매우 구체적인 패턴을 따른다.[11]
1. 손님의 도착과 접대.
2. 손님에게 목욕을 시켜주거나 깨끗한 옷을 제공한다.
3. 손님에게 음식과 음료를 제공한다.
4. 손님에게 질문을 하고 주인이 오락을 제공해야 한다.
5. 손님에게 잠자는 곳을 제공하고, 손님과 주인 모두 밤을 위해 휴식을 취한다.
6. 손님과 주인은 선물을 교환하고, 손님은 안전한 귀향 여정을 허락받고, 손님은 떠난다.
손님과의 우정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손님이 원하는 것보다 더 오래 머물게 하지 않는 것과 손님이 주인의 집에 있는 동안 안전을 약속하는 것이다.[12][10]
5. 4. 복수
오디세우스의 복수는 단순한 개인적 원한을 넘어 무너진 정의를 바로 세우고 이타케 왕국의 질서를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51]오랜 방랑 끝에 고향 이타케로 돌아온 오디세우스는 아내 페넬로페에게 구혼자들이 몰려들어 왕궁의 재산을 축내고 왕위를 노리는 상황을 마주한다. 오디세우스는 거지로 변장하여 자신의 신분을 숨긴 채, 충성스러운 부하들과 함께 구혼자들을 처단할 계획을 세운다.
활쏘기 대회에서 구혼자들은 오디세우스의 강한 활을 아무도 당기지 못했지만, 거지로 변장한 오디세우스만이 활을 당겨 과녁을 맞히는 데 성공한다.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 오디세우스는 아들 텔레마코스와 함께 구혼자들을 모두 죽이고, 불충한 하인들까지 처단하며 복수를 완성한다.[51]
구혼자들은 오디세우스의 단련된 근육에 놀란다.
5. 5. 신의 개입과 운명
Οδύσσεια|오디세이아grc에서 신들은 인간의 삶에 개입하며, 오디세우스의 운명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인간의 자유 의지와 선택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제우스를 비롯한 올림포스 신들 대부분은 오디세우스를 고향 이타케로 돌려보내기로 결정한다. 포세이돈은 오디세우스에게 아들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 한 것에 대해 깊은 원한을 품고, 바닷길로 귀향하려는 오디세우스에게 온갖 고난을 안겨준다. 이로 인해 오디세우스의 귀향 여정은 고난으로 가득 차게 된다. 그러나 올림포스 신들은 오디세우스를 돕고, "옳은 행실을 하는 자"를 불쌍히 여겨 버리지 않는다.[51]
포세이돈의 분노로 이타케로 돌아갈 수 없게 된 오디세우스에게 다른 신들은 동정적이었다. 포세이돈이 아이티오피아에서 연회를 즐기느라 올림포스에 없는 틈을 타, 아테나는 제우스에게 간청하여 오디세우스의 귀환을 허락받는다. 제우스는 전령 헤르메스를 칼립소의 섬으로 보내 오디세우스를 출발시킨다. 하지만 포세이돈은 오디세우스의 귀환을 달가워하지 않아 뗏목을 삼지창으로 파괴한다.[51]
6. 한국 사회와의 연관성
Ὀδύσσεια|오뒷세이아grc는 가족, 귀환, 정의, 여성의 역할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한국 사회와 깊은 관련을 맺는다.
- 가족의 가치: 오디세우스 가족의 이야기는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가족 가치관과 연결된다. 페넬로페의 정절, 텔레마코스의 효심, 오디세우스의 헌신은 가족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 귀환의 의미: 핵심 주제인 νόστος|노스토스grc는 타지에서 생활하는 한국인들에게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귀환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오디세우스의 귀환은 아가멤논의 비극과 대비되어 성공적인 귀환의 조건을 제시한다.
- 정의와 질서: 오디세우스가 구혼자들에게 복수하고 질서를 회복하는 모습은 정의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여성의 역할: 페넬로페는 지혜와 인내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는 강인한 여성상을 보여주며, 이는 현대 한국 여성들에게 귀감이 된다.
6. 1. 가족의 가치
Ὀδύσσεια|오뒷세이아grc는 가족의 중요성과 유대감을 강조하는데, 이는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가치관과도 일맥상통한다.오디세우스의 아내 페넬로페는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수많은 구혼자들의 청혼을 거절하고 정절을 지켰다.[51] 오디세우스의 아들 텔레마코스는 아버지의 행방을 찾아 위험한 여행을 떠나는 등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존경심을 보여준다.
오디세우스가 10년간의 표류[51] 끝에 고향 이타케로 돌아와 가족과 재회하고, 부재중에 왕비 페넬로페에게 구혼한 남자들에게 복수하는[51] 이야기는 가족을 위한 헌신과 희생을 보여준다. 그림은 페넬로페가 구혼자들을 지연시키기 위해 계략을 꾸몄다는 것을 알게 되는 장면을 잘 묘사하고 있다.
오디세우스의 신원은 하녀 에우뤼클레이아가 그의 발을 씻기다 오래된 상처를 알아보면서 밝혀진다. 에우뤼클레이아는 페넬로페에게 거지의 진짜 신분을 말하려 하지만 아테나가 페넬로페가 듣지 못하도록 한다. 오디세우스는 에우뤼클레이아에게 비밀을 지킬 것을 맹세한다.
오디세우스가 사망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타케에서는, 페넬로페에게 40명의 구혼자들이 재산을 노리고 구애한 지 수년이 지났다. 텔레마코스는 어머니의 곤경과 오디세우스 가문의 궁핍한 처지를 구하고자 이타케 백성들을 모아 구혼자들의 부당한 행위를 호소한다. 그러나 텔레마코스의 호소는 동정을 얻었지만 곧 구혼자들의 비난에 묻히고, 그의 호소는 허무하게 끝났다. 이타케 백성들의 지지를 얻지 못한 텔레마코스는 결국 아버지의 행방을 찾는 희망이 희박한 위험한 여행을 결심한다. 이때 텔레마코스는 자신을 길러준 은혜를 말하면서도 오디세우스 저택에서의 횡포에 대해 정의가 실현될 것이라고 선언하며, 구혼자들에 대한 적대감을 표명한다. 구혼자들은 미래의 걱정거리가 될 텔레마코스를 제거하는 것도 의논하지만, 아테나 여신의 도움으로 텔레마코스는 무사히 아버지의 행방을 찾는 여정을 시작한다.
제우스는 푸른 하늘에 번개를 친다. 페넬로페는 오디세우스의 활을 들고 "이 강궁을 다룰 수 있는 자와 나는 결혼하겠다"고 선언한다. 구혼자들은 차례차례 시도하지만 실패하고, 그날이 아폴론의 축제였기에 제사를 지낸다. 오디세우스는 활로 화살을 12개의 도끼 구멍에 꿰어 넣는다.
6. 2. 귀환의 의미
νόστος|노스토스grc는 《오디세이아》의 중심 주제이다.[51] 쾰른 대학교의 안나 보나파치(Anna Bonafazi)는 호메로스에게 있어 노스토스는 "바다를 통해 트로이에서의 귀환"이라고 썼다. 아가타 손튼(Agatha Thornton)은 오디세우스 이외의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노스토스를 조사하여 《오디세이아》의 결말 이후에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아가멤논의 귀환과 오디세우스의 귀환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아가멤논은 귀환하자마자 아내 클리템네스트라와 그녀의 애인 아이기스토스에게 살해당한다. 아가멤논의 아들 오레스테스는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복수로 아이기스토스를 죽인다. 이러한 평행적 비교는 구혼자들의 죽음을 아이기스토스의 죽음과 비교하고, 텔레마코스에게 오레스테스를 본보기로 제시한다. 또한 오디세우스는 클리템네스트라의 배신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자신의 아내 페넬로페의 충성심을 시험하기 위해 변장하고 귀환한다. 나중에 아가멤논은 페넬로페가 오디세우스를 죽이지 않은 것을 칭찬한다. 오디세우스가 명성을 얻고 성공적인 귀환을 할 수 있었던 것은 페넬로페 덕분이다. 이러한 성공적인 귀환은 명성을 얻었지만 죽은 아킬레우스와, 성공적이지 못한 귀환으로 인해 죽은 아가멤논과는 대조적이다.오디세우스의 귀향은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생활하는 한국인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귀환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6. 3. 정의와 질서
오디세우스는 구혼자들을 물리친 후, 아내 페넬로페에게 자신의 정체를 밝힌다. 페넬로페는 처음에는 믿지 못했지만, 오디세우스가 올리브 나무로 만든 침대에 대한 비밀을 이야기하자 그를 알아본다. 두 사람은 재회의 기쁨을 나누며, 오디세우스는 그동안 겪었던 모험 이야기를 들려준다.[41]다음 날, 오디세우스는 아버지 라이에르테스를 찾아가 자신의 신분을 밝힌다. 그러나 구혼자들의 가족들이 복수를 위해 찾아오고, 이타카 사람들과 오디세우스 일행 사이에 전투가 벌어진다. 이 싸움은 아테나와 제우스의 중재로 곧 멈추게 된다.[41]
6. 4. 여성의 역할
Πηνελόπεια|페넬로페이아grc는 남편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으로 집을 비운 사이, 수많은 구혼자들의 청혼을 받으면서도 지혜와 인내로 정절을 지킨 여인으로 그려진다. 그녀는 구혼자들에게 오디세우스의 수의를 완성할 때까지 기다려달라고 요청하고, 밤마다 몰래 짜놓은 수의를 풀어 시간을 벌었다.[51] 이러한 모습은 단순한 순종적인 여성이 아니라,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려는 강인한 의지를 보여준다.페넬로페의 지혜는 오디세우스가 거지로 변장하여 돌아왔을 때 더욱 빛을 발한다. 그녀는 남편임을 확신하지 못하면서도, 오디세우스만이 알 수 있는 침대의 비밀을 통해 그를 시험한다. 오디세우스가 땅에 뿌리내린 올리브 나무로 침대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야 그를 남편으로 인정하고 포옹한다. 이는 페넬로페가 단순한 수동적인 인물이 아니라, 남편과의 관계에서도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혜로운 여성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페넬로페의 모습은 현대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지위가 과거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여성들이 가정과 사회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페넬로페의 지혜와 강인함은 현대 여성들에게 귀감이 되며,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가는 여성상을 제시한다. 또한, 페넬로페와 오디세우스의 관계는 부부간의 신뢰와 존중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건강한 가족 관계에 대한 논의를 촉발할 수 있다.
7. 영향
Ὀδύσσεια|오디세이아grc는 서구 문학, 예술,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많은 작품들이 Ὀδύσσεια|오디세이아grc를 모티프로 창작되었다. 제임스 조이스의 장편소설 율리시즈는 Ὀδύσσεια|오디세이아grc를 바탕으로 한 패러디 작품이다.[51]
- 율리시즈 (1954년 제작 이탈리아 영화) - 오디세이아의 영화화.
- 율리시즈의 눈동자 (1995년 제작 그리스 영화) - 오디세이아를 모티브로 한 영화.
- 우주전설 율리시즈 31 (1981년 제작 일·프 합작 TV 애니메이션) - 이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있다. 주인공의 이름은 율리시즈, 아들의 이름은 텔레마코스이다.
- 일본에 중세부터 전해 내려오며, 幸若舞 등에도 등장하는 설화에 백합약대신이 있다. 이것은 주인공 백합약이 전쟁에서 돌아오는 도중 가신들에게 배신당해 섬에 버려지고, 거기서 고생 끝에 귀환하는 이야기이다. 백합약은 귀가 후 자신의 아내에게 수작을 거는 남자들을 활로 쏘아 죽인다. 백합약대신은 오디세이아와 매우 유사하다(주인공의 이름도 오디세우스의 라틴어 이름인 "율리시즈"와 비슷하다). 그 때문에 백합약대신은 Ὀδύσσεια|오디세이아grc가 일본에서 각색된 것이라는 가설도 제기되었다. 유명한 제기자로는 坪内逍遥와 南方熊楠이 있다.
참조
[1]
서적
Odyssey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2]
문서
Ὀδύσσεια
[3]
문서
odyssey
[4]
논문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Odysseus' Apologoi
1989
[5]
서적
Geographica
[6]
웹사이트
The Geography of the Odyssey
https://www.laphamsq[...]
2019-02-27
[7]
웹사이트
Map of Odysseus' Journey
http://www.classics.[...]
[8]
웹사이트
Greek Myths & Greek Mythology
http://www.greekmyth[...]
2010
[9]
뉴스
From Carnage to a Camp Beauty Contest: The Endless Allure of Troy
http://www.theguardi[...]
2019-11-13
[10]
서적
The Homer Encyclopedia
2012
[11]
뉴스
Oldest Greek Fragment of Homer Discovered on Clay Tablet
https://www.smithson[...]
2018-07-11
[12]
뉴스
'Oldest known extract' of Homer's Odyssey discovered in Greece
https://www.reuters.[...]
2018-07-10
[13]
뉴스
Homer Odyssey: Oldest extract discovered on clay tablet
https://www.bbc.com/[...]
BBC News
2018-07-10
[14]
논문
A Bibliographical Guide to Teaching the Homeric Epics in College Courses
https://www.jstor.or[...]
1976
[15]
논문
George Chapman: Homer's Iliad, edited by Robert S. Miola; Homer's Odyssey, edited by Gordon Kendal
https://www.euppubli[...]
2018-07-01
[16]
서적
Bibliotheca Blandfordiensis. [A Catalogue.] 9 Fasc. (Catalogus Librorum Qui Bibliothecae Blandfordiensis Nuper Additi Sunt. 1814.).
https://books.google[...]
1814
[17]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10-25
[18]
서적
The Complete Critical Guide to Alexander Pope
https://www.worldcat[...]
Routledge
[19]
뉴스
Found in Translation: How Women are Making the Classics Their Own
https://www.theguard[...]
2017-07-07
[20]
잡지
A Translator's Reckoning With the Women of The Odyssey
https://www.newyorke[...]
2017-12-08
[21]
웹사이트
The Greatest Tale Ever Told?
https://www.bbc.com/[...]
2018-05-22
[22]
웹사이트
Odyssey
http://www.worldhist[...]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17-03-15
[23]
뉴스
Historically, men translated the Odyssey. Here's what happened when a woman took the job
https://www.vox.com/[...]
2017-11-20
[24]
서적
Anatomy of Wonder: A Critical Guide to Science Fiction
Libraries unlimited
2004
[25]
웹사이트
Sinbad the Sailor
https://www.britanni[...]
[26]
서적
The Book of the Thousand Nights and a Night Volume VI
https://ia801607.us.[...]
The Burton Club; Oxford
1885
[27]
백과사전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Bloomsbury Guides to English Literature: The Twentieth Century
Bloomsbury
[29]
뉴스
Review: Helen of Troy {{!}} Weight {{!}} The Penelopiad {{!}} Songs on Bronze
https://www.theguard[...]
2005-10-28
[30]
웹사이트
Margaret Atwood: A personal odyssey and how she rewrote Homer
http://www.independe[...]
2005-10-28
[31]
웹사이트
Circe by Madeline Miller review – myth, magic and single motherhood
http://www.theguardi[...]
2018-04-21
[32]
뉴스
'Circe' Gets A New Motivation
https://www.npr.org/[...]
[33]
뉴스
December's Book Club Pick: Turning Circe Into a Good Witch (Published 2018)
https://www.nytimes.[...]
2018-05-28
[34]
서적
Italian Cinema from the Silent Screen to the Digital Imag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35]
서적
World History On The Screen: Film And Video Resources:grade 10–12
https://books.google[...]
Walch Publishing
[36]
서적
Imagining Ancient Cities in Film: From Babylon to Cinecittà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2-11
[37]
웹사이트
Ulysses 31 [Ulysse 31]
http://omc.obta.al.u[...]
2024-06-08
[38]
서적
The Ancient Mediterranean Sea in Modern Visual and Performing Arts: Sailing in Troubled Waters
Bloomsbury Academic
[39]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
[40]
학술지
The Coens' O Brother, Where Art Thou? and Homer's Odyssey
https://muse.jhu.edu[...]
2007
[41]
웹사이트
'English Patient' Stars Juliette Binoche, Ralph Fiennes Will Reunite in 'The Return,' a Gritty Take on 'The Odyssey'
https://variety.com/[...]
2023-04-28
[42]
뉴스
Monteverdi's 'The Return of Ulysses'
https://www.npr.org/[...]
2007-03-23
[43]
서적
Operas in German: A Dictionary
Rowman & Littlefield
2020-10-03
[44]
웹사이트
The Iliad (from The Odyssey (Symphony No. 2))
https://www.alfred.c[...]
[45]
서적
Entrée ''Ulysse''
https://gallica.bnf.[...]
éditions Larousse
[46]
웹사이트
''Esiste uno stile Gallotta ?''
http://www.romaeurop[...]
[47]
웹사이트
Epic: The Troy Saga Passes 3 Million Streams in First Week of Release
https://www.broadway[...]
2024-11-30
[48]
웹사이트
Music Review: 'Epic: The Musical'
https://ndsuspectrum[...]
2024-11-30
[49]
서적
Achilles in Vietnam: Combat trauma and the undoing of character
Scribner
[50]
서적
Odysseus in America: Combat Trauma and the Trials of Homecoming
Scribner
[51]
서적
広辞苑 第五版
[52]
웹사이트
オデュッセイアとは
https://kotobank.jp/[...]
[53]
서적
ミュージカルの解剖学
春秋社
[54]
문서
[55]
문서
[56]
뉴스
『オデュッセイア』の日食の描写は歴史的事実の可能性、研究報告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8-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