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피아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피아드는 고대 올림픽에 근거한 4년 주기의 기년법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전 776년 올림픽 개최를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올림피아드는 올림픽 축제와 같은 기간을 의미했으며, 역사 기록과 시간 계산에 활용되었다. 근대 올림픽 부활 이후에는 올림픽 대회 자체를 의미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 올림픽과 올림픽 사이의 4년의 기간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한다. 또한, 스포츠 외의 다양한 분야의 국제 대회를 지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되며,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 컴퓨터 올림피아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올림픽 - 팡크라티온
    팡크라티온은 고대 그리스의 종합 격투 스포츠로, 레슬링과 복싱 기술을 결합하여 기원전 7세기에 발전하여 고대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현대에는 네오 팡크라티온으로 부활하여 종합격투기의 한 형태로 인정받고 있다.
올림피아드
어원
그리스어'Ὀλυμπιάς (Olympias)'
의미'올림포스의 것' 또는 '올림픽의 것'
정의
고대 그리스고대 올림픽 경기 대회가 열린 4년의 기간
현대 올림픽제1회 근대 올림픽이 열린 1896년부터 시작하여 4년 주기로 열리는 하계 올림픽 대회 개최 사이의 기간
기원
고대 올림피아드 시작기원전 776년
고대 올림피아드 종료393년
고대 올림피아드 기간4년
고대 올림픽 경기 개최 횟수293회
연도 계산
방법올림피아드 시작 연도(기원전 776년)를 기준으로 4년마다 계산
현재 올림피아드제33 올림피아드 (2024년 시작)

2. 고대 올림피아

올림피아드는 원래 하지 이후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보름달에 시작되었으나, 기원전 432년경 메톤 주기가 도입된 후에는 약간 다르게 결정되었다.[2] 각 올림피아드 내에서 시간은 1년, 2년, 3년, 4년으로 계산되었다. 고대 작가들은 때때로 올림피아드가 5년 동안 지속되었다고 묘사했지만, 이는 포괄적으로 계산했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각 올림피아드는 4년의 기간으로 구성되었다.[2] 예를 들어, 올림피아드 140의 첫해는 기원전 220년 여름에 시작되어 기원전 219년 중반까지 지속되었고, 기원전 216년 여름에 열린 대회는 올림피아드 141의 첫 해를 시작했다.[2]

"올림피아드"는 고대 올림픽(올림피아 축제)에 근거한 달력인 "올림피아 기원(올림피아 기)"("올림피아기" 또는 "올림픽력"이라고도 함)을 의미한다. 고대 그리스올림피아에서 제1회 고대 올림픽이 개최된 것으로 여겨지는 기원전 776년7월 8일을 기점으로 하여, 그 이후 4년마다 개최된 차기 올림피아 축제까지의 4년을 가리키는 기년법이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8세기 무렵부터 이를 기준으로 4년을 1단위로 삼아, 예를 들어 기원전 310년이라면 "올림피아드 제117회(제117 올림피아드) 제3년" 등으로 해를 세었다.

2. 1. 역사

히피아스는 올림픽 우승자(ολυμπιονίκεςgrc, '올림피오니케스') 목록을 처음으로 만든 작가였다. 그의 《올림픽 기록》(Ὀλυμπιονικῶν Ἀναγραφήgrc, '올림피오니콘 아나그라페')은 현재는 전해지지 않지만, 이후 모든 올림픽 연대기의 기초가 된 것으로 보인다.[2] 에라토스테네스 시대에는 코로이보스의 기원전 776년 승리에 대한 연대기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경기의 범(汎)헬레니즘적 성격, 규칙적인 일정, 개선된 우승자 목록 덕분에 그리스 역사가들은 올림피아드를 도시 국가의 다양한 달력에 의존하지 않고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사용했다. (예: 아테네인의 아테네 달력 참조). 이를 처음으로 일관되게 시도한 사람은 기원전 3세기의 타우로메니움의 티마이오스였다. 그러나 초기 역사적 사건에 대한 계산은 소급 적용되었기 때문에, 기원전 5세기 이전 사건에 대한 후대 역사가들의 일부 연대는 신뢰하기 어렵다.[3]

2세기에 트랄레스의 플레곤은 《올림피아드》라는 책에서 각 올림피아드의 사건을 요약했으며, 그 단편들이 비잔틴 작가 포티우스의 작품에 남아 있다.[3] 기독교 연대기 작가들은 그리스와 로마 역사와 성경 사건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이 그리스 연대기 시스템을 계속 사용했다. 3세기에 섹스투스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는 기원전 217년까지의 올림픽 우승자 목록을 편집했으며, 이 목록은 유세비우스의 《연대기》에 보존되어 있다.[4] 초기 역사가들은 특정 연도의 사건을 연대 측정하는 방법으로 올림픽 우승자들의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428년의 기록에서 "그것은 로도스의 도리에우스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한 올림피아드였다."라고 말한다.[5]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로마 건국을 기원전 752년과 751년에 해당하는 일곱 번째 올림피아드의 첫 해로 기록했고,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페르시아의 그리스 침공을 기원전 480년으로 기록했다. 제롬은 유세비우스의 연대기를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올림피아드 194년 3년째, 황제 아우구스투스 통치 42년으로 기록했으며, 이는 기원전 2년에 해당한다.[8]

3세기 동안, 경기에 대한 기록이 너무 빈약해서 역사가들은 261년 이후에도 4년마다 경기가 열렸는지 확신하지 못한다. 393년의 제293회이자 마지막 올림피아드까지는 몇몇 우승자가 기록되었다. 394년, 로마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올림피아의 경기를 이교도적인 것으로 금지했다. 4년 주기를 단순히 세는 것으로도 기록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5세기 중반에 올림피아드로 세는 것은 중단되었다.

원래 "올림피아드"는 고대 올림픽(올림피아 축제)에 근거한 달력인 "올림피아 기원(올림피아 기)"("올림피아기" 또는 "올림픽력"이라고도 함)을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올림피아(고대 그리스어 발음에 가까운 표기법으로는 "올륀피아")에서 제1회 고대 올림픽이 개최된 것으로 여겨지는 기원전 776년7월 8일을 기점으로 하여, 그 이후 4년마다 개최된 차기 올림피아 축제까지의 4년을 가리키는 기년법이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8세기 무렵부터 이를 기준으로 4년을 1단위로 삼아, 예를 들어 기원전 310년이라면 "올림피아드 제117회(제117 올림피아드) 제3년" 등으로 해를 세었다.

2. 2. 시간 계산 및 예시

각 올림피아드는 대회의 개최로 시작되었으며, 원래는 하지 이후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보름달에 시작되었다. 기원전 432년경 메톤 주기가 도입된 후, 대회의 시작은 약간 다르게 결정되었다. 각 올림피아드 내에서 시간은 1년, 2년, 3년 또는 4년으로 언급하여 계산되었다. 고대 작가들은 때때로 올림피아드가 5년 동안 지속되었다고 묘사하지만, 이는 포괄적으로 계산했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각 올림피아드는 4년의 기간으로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올림피아드 140의 첫해는 기원전 220년 여름에 시작되어 기원전 219년 중반까지 지속되었다. 올림피아드 140의 2년, 3년, 4년 이후, 기원전 216년 여름에 열린 대회는 올림피아드 141의 첫 해를 시작했다.

초기 역사가들은 특정 연도의 사건을 연대 측정하는 방법으로 올림픽 우승자들의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428년의 기록에서 "그것은 로도스의 도리에우스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한 올림피아드였다."라고 말한다.[5]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로마 건국을 기원전 752년과 751년에 해당하는 일곱 번째 올림피아드의 첫 해로 기록했다. 로마가 4월 21일에 건국되었는데, 이 날은 고대 올림픽 연도의 후반부에 해당하므로, 정확히는 기원전 751년이다. 디오니시우스는 저서 1권 75장에서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도시의 첫 번째 통치자인 로물루스는 일곱 번째 올림피아드의 첫 해에 통치를 시작했는데, 당시 아테네의 카롭스는 10년 임기의 아르콘으로 첫 해를 맞이했다."[6]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페르시아의 그리스 침공을 기원전 480년으로 기록했다. "칼리아데스가 아테네의 아르콘이었고, 로마인들은 스푸리우스 카시우스와 프로쿨루스 베르기니우스 트리코스투스를 집정관으로 임명했으며, 엘리스인들은 아스티알루스가 '스타디온'에서 우승한 일흔다섯 번째 올림피아드를 기념했다. 이 해에 크세르크세스 왕은 그리스를 상대로 원정을 시작했다."[7] 제롬은 유세비우스의 연대기를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올림피아드 194년 3년째, 황제 아우구스투스 통치 42년으로 기록했으며, 이는 기원전 2년에 해당한다.[8]

2. 3. 아놀림피아드

비록 올림픽 경기는 중단 없이 개최되었지만, 여러 차례 엘리스인 외의 다른 세력에 의해 개최되었다. 엘리스는 이러한 경기를 '아놀림피아드'(비올림픽)라고 선언했지만, 우승자는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3. 근대 올림피아드

근대 올림픽에서 '올림피아드'는 오랫동안 올림픽 대회 자체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현재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올림픽 사이의 4년이라는 기간을 가리키는 데 사용한다. 근대 올림피아드는 1896년 아테네 올림픽을 시작으로 4년 주기로 각 올림피아드에 번호를 붙여왔다. 예를 들어 제31회 올림피아드는 2016년에 시작하여 2019년에 끝났다.[26]

1932년 하계 올림픽 포스터에서 볼 수 있듯이, 초기에는 '올림피아드'라는 용어가 올림픽 대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동계 올림픽은 올림피아드 순번을 따르지 않고, 실제로 개최된 대회 횟수를 기준으로 순번을 매긴다.[27]

1916년 하계 올림픽제1차 세계 대전으로, 1940년 하계 올림픽1944년 하계 올림픽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개최되지 못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1년 연기되어 2021년에 개최되었다.

다음은 역대 올림피아드 개최 현황이다.

올림피아드첫 해마지막 해개최 도시국가
I (1회)18961899아테네Αθήνα|아티나el 그리스
II (2회)19001903파리Paris|파리프랑스어 프랑스
III (3회)19041907세인트루이스미국
IV (4회)19081911런던영국
V (5회)19121915스톡홀름스웨덴
VI (6회)19161919베를린독일
VII (7회)19201923앤트워프벨기에
VIII (8회)19241927파리Paris|파리프랑스어 프랑스
IX (9회)19281931암스테르담네덜란드
X (10회)19321935로스앤젤레스미국
XI (11회)19361939베를린독일
XII (12회)19401943도쿄일본
헬싱키핀란드
XIII (13회)19441947런던영국
XIV (14회)19481951런던영국
XV (15회)19521955헬싱키핀란드
XVI (16회)19561959멜버른오스트레일리아
XVII (17회)19601963로마이탈리아
XVIII (18회)19641967도쿄東京|도쿄일본어 일본
XIX (19회)19681971멕시코시티멕시코
XX (20회)19721975뮌헨서독
XXI (21회)19761979몬트리올캐나다
XXII (22회)19801983모스크바소련
XXIII (23회)19841987로스앤젤레스미국
XXIV (24회)19881991서울대한민국
XXV (25회)19921995바르셀로나스페인
XXVI (26회)19961999애틀랜타미국
XXVII (27회)20002003시드니오스트레일리아
XXVIII (28회)20042007아테네Αθήνα|아티나el 그리스
XXIX (29회)20082011베이징北京|베이징중국어 중국
XXX (30회)20122015런던영국
XXXI (31회)20162019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
XXXII (32회)20202023도쿄東京|도쿄일본어 일본
XXXIII (33회)20242027파리Paris|파리프랑스어 프랑스
XXXIV (34회)20282031로스앤젤레스미국
XXXV (35회)20322035브리즈번오스트레일리아


3. 1. 올림피아드와 올림픽

근대 올림피아드는 1896년 아테네에서 열린 제1회 올림픽을 시작으로, 4년 주기로 계산된다.[26] 올림피아드는 4년마다 돌아오는 해의 1월 1일에 시작하여 네 번째 해의 12월 31일에 끝난다.[9] 예를 들어, 제31회 올림피아드는 2016년 1월 1일에 시작하여 2019년 12월 31일에 끝났다.[26]

올림피아드는 원래 하계 올림픽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1932년 하계 올림픽 포스터에는 '제10회 올림피아드 대회를 향해'라는 문구가 사용되기도 했다.

하지만 동계 올림픽은 올림피아드 순번을 따르지 않고, 실제로 열린 대회 횟수만을 기준으로 순번을 매긴다.[27] 예를 들어, 1924년 동계 올림픽은 '제1회 동계 올림픽'으로, 1936년 동계 올림픽은 '제4회 동계 올림픽'으로 지정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대회가 취소된 기간을 건너뛰고 1948년 동계 올림픽은 '제5회 동계 올림픽'으로 지정되었다.[27]

올림피아드와 올림픽
구분설명
올림피아드4년 주기 (1월 1일 ~ 12월 31일), 하계 올림픽 기준 순번 계산[26]
하계 올림픽올림피아드 기간에 개최, 올림피아드 순번 사용
동계 올림픽올림피아드와 관계없이 개최된 대회 횟수 기준 순번 계산[27]



일부 매체에서는 동계 올림픽을 '동계 올림피아드'라고 칭하기도 하지만, 이는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28] IOC는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대해 올림피아드를 공식적으로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동계 올림픽의 순번은 올림피아드와 일치하지 않는다.

3. 2. 대회 중단 및 연기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16년 하계 올림픽(제6회 대회)이 중단되었다. 원래 독일 제국베를린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전쟁으로 인해 개최되지 못하고 제6회 대회는 결번 처리되었다.[18]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대회 중단
올림피아드서기경기 대회
개최 도시
비고
51912스톡홀름개최
6 1916베를린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대회 중단.
제6회 대회는 결번 처리.
71920안트베르펜개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0년 하계 올림픽(제12회 대회)과 1944년 하계 올림픽(제13회 대회)이 중단되었다. 1940년 대회는 원래 일본 제국 도쿄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이후 핀란드 헬싱키로 변경되었다가 결국 취소되었고, 1944년 대회는 영국 런던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었다. 두 대회 모두 결번 처리되었다.[21]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대회 중단
올림피아드서기경기 대회
개최 도시
비고
111936베를린개최
121940도쿄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대회 중단.
제12회 대회는 결번 처리.
131944런던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대회 중단.
제13회 대회는 결번 처리.
141948런던개최



올림픽 헌장 규정에는 올림픽이 연기될 수 있다는 예상이 없었으나, 2020년 하계 올림픽(제32회 대회)은 코로나19(COVID-19) 범유행으로 인해 1년 연기되어 2021년에 개최되었다. 이는 올림픽 역사상 최초의 연기 사례였다.[22] 이로 인해 올림픽 헌장의 해당 조항을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23]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대회 연기
올림피아드서기경기 대회
개최 도시
비고
31-12016리우데자네이루개최
32-12020도쿄코로나19 범유행으로 대회 연기.
32-22021도쿄제32회 대회로 개최
33-12024파리개최


3. 3. 문화 올림피아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보호하는 개념으로, 올림픽 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정의한 범위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문화 올림피아드의 규모는 올림픽 경기에 따라 크게 다르며, 때로는 올림피아드 전체 기간에 걸쳐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특정 기간에 집중되기도 한다.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은 1906년 파리에서 열린 특별 회의에서 올림픽 예술 경연대회의 원칙을 정립했으며, 첫 번째 공식 프로그램은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선보였다. 이 경연대회는 '뮤즈의 5종 경기'라고도 불렸는데, 건축, 음악, 문학, 조각, 회화의 5개 부문에서 예술가들이 작품을 선보이고 '예술' 메달을 놓고 경쟁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오늘날에는 그러한 경연대회가 없지만, 문화 올림피아드를 통해 문화적, 예술적 활동이 전시된다. 2010년 동계 올림픽의 경우 밴쿠버에서 문화 올림피아드 디지털 에디션을 선보였다. 2012년 올림픽에는 개최 도시 런던에서 런던 2012 페스티벌과 로열 셰익스피어 극단(RSC)이 제작한 세계 셰익스피어 페스티벌을 비롯한 다른 지역의 행사와 함께 광범위한 문화 올림피아드가 포함되었다.[14] 2016년 올림픽의 문화 올림피아드는 브라질의 경기 침체로 인해 축소되었으며, 프로그램은 발표되지 않았고, 카를라 카무라티 감독은 플래시몹과 같은 "비밀" 및 "즉흥적" 행사를 약속했다.[15] 2020년 하계 올림픽 도쿄를 위한 문화 행사가 계획되었지만[16], 일본의 팬데믹 제한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대신, 대체 가상 행사가 개최되었다.

4. 현대 올림피아

영어권에서는 올림픽을 나타내는 용어로 올림피아드가 사용되기도 하였다.[30] 영어 용어에서 올림피아드는 고대 그리스에서는 흔하지 않은 용법(대개 경기가 열리는 기간을 의미)으로, 게임 자체를 나타내는 데에도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17] 체코어슬로바키아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서는 올림피아드(olympiádacs)가 경기를 나타내는 올바른 용어이다. ''올림피아드''(''L'Olimpiade'')는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한 약 60개의 오페라의 이름이기도 하다.

4. 1. 다양한 분야의 올림피아드

현대에는 스포츠를 제외한 다른 분야에서의 국제 대회를 올림피아드라고 부르기도 한다.[30] 여기에는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가 포함되는데, 국제 지리 올림피아드,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 국제 법의학 올림피아드,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 등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국가 예선 시험(예: 미국 수학 올림피아드, 미국 법의학 올림피아드 또는 영국 언어학 올림피아드)도 포함된다.[17] 과학 올림피아드, 마인드 스포츠 올림피아드, 체스 올림피아드, 국제 역사 올림피아드, 컴퓨터 올림피아드와 같은 마인드 스포츠 행사도 이에 해당한다.[17] '올림피아드'는 최우수 참가자를 위한 정기적인 국제 대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반드시 4년의 기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17]

5. 고대와 근대의 차이

고대 올림픽에 근거한 달력인 "올림피아 기원(올림피아 기)"("올림픽력"이라고도 함)은 기원전 776년 7월 8일을 기점으로 4년마다 개최된 올림피아 축제까지의 4년을 가리키는 기년법이었다. 반면, 1896년 아테네에서 시작된 근대 올림픽은 같은 해 1월 1일을 "제1차 올림피아드"의 1년[18]으로 하는 "근대 올림피아드" 역년을 사용한다.

고대 올림피아드는 기원전 776년을 기준으로 1897년에 제669차 올림피아드가 시작되는 반면, 제1회 근대 올림픽은 1896년에 시작되어 두 올림피아드의 주기는 1년 차이가 난다. 더 정확하게는, 고대 올림피아드는 7월 8일, 근대 올림피아드는 1월 1일을 기점으로 하므로, '''근대 올림피아드 2년차 7월부터 고대 올림피아드의 1년차가 시작되어 거의 1년 6개월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본래 올림피아드 기원의 1년차에 개최된 근대 올림픽은 1년 연기된 제32회 도쿄 올림픽뿐이며, 이 대회는 제700회 고대 올림피아드의 첫날(2021년 7월 23일)에 개회식이 열렸다.[24][25]

참조

[1] 문서 Olympic Charter http://www.olympic.o[...]
[2] 논문 A Tall Order: Writing the Social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https://www.degruyte[...] B.G. Teubner 2012
[3] 서적 Bibliotheca http://www.tertullia[...] Terlullian
[4] 서적 Chronicle http://www.attalus.o[...] Attalus
[5] 서적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https://www.perseus.[...] Tufts
[6] 서적 The Roman Antiquities - Book 1 Chapters 72-90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1937
[7] 서적 The Library of History - Book XI Chapters 1-19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1946
[8] 서적 Chronological Tables http://www.attalus.o[...] Attalus
[9] 웹사이트 Olympic Charter https://stillmed.oly[...]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07-10
[10] 웹사이트 Olympic Games Chronology http://www.teamusa.o[...]
[11] 웹사이트 IOC, IPC, Tokyo 2020 Organising Committee and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 new dates for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Tokyo 2020 https://www.olympic.[...] 2020-03-30
[12] 웹사이트 Community Spirit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1-04-08
[13] 간행물 USOC Quadrennial Congressional Report http://assets.usoc.o[...] 2009-06
[14] 뉴스 World Shakespeare Festival tickets go on public sale https://www.bbc.com/[...] 2011-10-10
[15] 뉴스 Rio 2016: The 'secret' Cultural Olympiad https://www.bbc.com/[...] 2016-07-29
[16] 웹사이트
[17]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18] 문서 올림픽 헌장 규칙 6 부속 규칙
[19] 웹사이트 올림피아드란 무엇인가 - Kotobank https://kotobank.jp/[...]
[20] 웹사이트 기년법(きねんほう)이란 무엇인가 - Kotobank https://kotobank.jp/[...]
[21] 문서 올림픽 헌장 규칙 32
[22] 뉴스 도쿄 올림픽, 21년으로 연기. 역사상 처음, 아베 총리 제안에 IOC 합의-올 여름 개최는 단념 https://web.archive.[...] 시사통신사 2020-03-25
[23] 뉴스 도쿄 올림픽 연기 감염 방지에 불가피 https://web.archive.[...] 중일신문 도쿄본사 2020-03-24
[24] 뉴스 도쿄 올림픽 연기는 오히려 “달력대로”? 2021년은 “진정한 올림픽 해”이자 “700회째 기념” 고대 그리스 연구가 https://nlab.itmedia[...] ITmedia 2020-03-25
[25] 웹사이트 도쿄 올림픽 1년 연기→고대 그리스식으로는 “진정한 올림픽 해”이자 400년에 한 번 있는 기념일(추가: 2021년 7월 23일은 고대의 원단) https://togetter.com[...]
[26] 문서 올림픽 헌장 제6조
[27] 웹사이트 Olympic Games Chronology http://www.teamusa.o[...]
[28] 웹인용 Community Spirit http://www.olympic.o[...] 국제올림픽위원회 2011-04-08
[29] 뉴스 [마부작침] 28번째 올림픽, 31회 리우올림픽…3번의 차이는 왜? http://news.sbs.co.k[...] SBS 뉴스 2016-08-06
[30]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