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라가발루스 (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라가발루스는 시리아 에메사에서 숭배되었던 신으로, "산의 신"을 의미한다. 2세기에는 로마 제국 전역으로 숭배가 확산되었으며, 엘라가발루스 황제는 즉위 전 이 신의 사제였다. 황제는 엘라가발루스 신앙을 로마 종교와 통합하려 했으나, 그의 사후 칙령이 번복되면서 숭배는 에메사로 돌아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신 - 아우로라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의 여신 아우로라는 태양의 도래를 알리는 역할을 하며, 트로이 왕자 티토노스와의 사랑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묘사되어 새벽, 희망, 새로운 시작 등을 상징한다.
  • 로마 신 - 플루톤
    플루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부의 제공자"라는 의미를 가진 저승의 신으로, 하데스의 완곡한 이름으로도 불리며 지하 세계의 긍정적인 측면과 풍요를 상징하고, 로마 신화의 디스 파테르와 동일시되며, 그의 이름은 명왕성, 플루토늄 등 여러 과학 용어의 어원이 되었다.
  • 시리아의 역사 - 대진 (국가)
    대진은 중국에서 로마 제국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중국 역사 기록에 묘사되며 기독교와도 관련이 있다.
  • 시리아의 역사 - 아랍 연합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은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의 합의로 수립되어 카이로를 수도로 하였으나, 이집트의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리아가 반발하여 1961년 해체되었고, 이후 이집트는 1971년까지 국호를 유지했다.
엘라가발루스 (신)
개요
검은 원추형 돌
"신성한 엘-가발에게 바치는" 검은 원추형 돌
종류태양신
문화권시리아
숭배 지역에메사
상징검은 원뿔 모양의 돌
다른 이름엘-가발, 엘라가발
어원
엘-가발신 (El)
산 (Gabal)
의미산의 신
로마자 표기Elagabalus (엘라가발루스) 또는 Heliogabalus (헬리오가발루스)
언어별 표기히브리어: גבל (Gəbul)
아랍어: جبل (Jabal)
역사
기원에메사의 토착 태양신
로마 제국엘라가발루스 황제에 의해 로마로 전래
로마에서 숭배가 일시적으로 확산
쇠퇴엘라가발루스 황제 사후 숭배가 쇠퇴
숭배
형태검은 원뿔 모양의 돌로 표현 (아마도 운석)
신전에메사와 로마에 신전 존재
의식종교 의식과 축제 거행
인신공희 의혹 존재
역할도시의 수호신
관련 인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엘라가발루스)엘라가발루스 황제, 로마에 엘-가발 숭배를 도입
참고 문헌
학술 자료Edward Lipiński, "Elaha Gabal d'Émèse dans son contexte historique" (2011)
Irfan Shahid, "Rome and the Arabs" (1984)
Lenormant, Francois, Revue de l'Histoire des Religions (1881)
온라인 자료Herodian's Roman History, Book 5

2. 시리아 에메사 기원

엘라가발루스는 초기에 시리아의 에메사에서 숭배되었으며, 이곳에서는 아랍인 에메사 왕조가 사제 역할을 했다. 이 이름은 아랍어 "''Ilah al-Jabal''" ("إله الجبل")의 라틴어화된 형태로, "산의 신"을 의미한다.[4][5][6][7] 엘라가발루스는 에메사의 종교적 "주", 즉 바알이었다.[4] 이 신은 이름과 묘사 모두에서 아랍적 특징을 성공적으로 유지했다.[8]

이 신에 대한 숭배는 2세기에 로마 제국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 나갔고, 그리스인들은 그를 '''엘라가발로스'''(Ἐλαγάβαλος)로, 로마인들은 '''엘라가발루스'''로 숭배했다. 예를 들어, 현대 네덜란드의 우에르덴에서도 헌납 기록이 발견되었다.[9]

2. 1. 에메사에서의 숭배

엘라가발루스는 초기에 시리아의 에메사에서 숭배되었으며, 이곳에서는 아랍인 에메사 왕조가 사제 역할을 했다. 이 이름은 아랍어 "''Ilah al-Jabal''" ("إله الجبل")의 라틴어화된 형태로, "산의 신"을 의미한다.[4][5][6][7] 엘라가발루스는 에메사의 종교적 "주", 즉 바알이었다.[4] 이 신은 이름과 묘사 모두에서 아랍적 특징을 성공적으로 유지했다.[8]

이 신에 대한 숭배는 2세기에 로마 제국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 나갔고, 그리스인들은 그를 '''엘라가발로스'''(Ἐλαγάβαλος)로, 로마인들은 '''엘라가발루스'''로 숭배했다. 예를 들어, 현대 네덜란드의 우에르덴에서도 헌납 기록이 발견되었다.[9]

2. 2. 숭배의 확산

엘라가발루스는 초기에 시리아의 에메사에서 숭배되었으며, 이곳에서는 아랍인 에메사 왕조가 사제 역할을 했다.[4][5][6][7] 이 이름은 아랍어 "''Ilah al-Jabal''" ("إله الجبل")의 라틴어화된 형태로, "산의 신"을 의미한다. 엘라가발루스는 에메사의 종교적 "주", 즉 바알이었다.[4] 이 신은 이름과 묘사 모두에서 아랍적 특징을 성공적으로 유지했다.[8]

이 신에 대한 숭배는 2세기에 로마 제국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 나갔다. 그리스인들은 그를 '''엘라가발로스'''(Ἐλαγάβαλος)로, 로마인들은 '''엘라가발루스'''로 숭배했다. 현대 네덜란드의 우에르덴에서도 헌납 기록이 발견되었다.[9]

3. 로마 제국에서의 숭배

엘라가발루스 황제는 즉위 전 에메사의 세습 고위 사제였으며, 신의 이름을 따 엘라가발루스라고 불렸다.[10] 숭배의 대상인 배틸(baetyl)은 로마로 옮겨졌다.[10] 시리아 신은 솔로 알려진 로마의 태양신과 동일시되었고, 로마인들에게 솔 인빅투스(Sol Invictus, '정복되지 않는 태양')로 알려지게 되었다.[11]

팔라티노 언덕 동쪽에는 에메사 신전의 성석, 즉 검은 원뿔 모양의 운석을 모시기 위해 엘라가발리움이라는 신전이 세워졌다.[12] 헤로디아누스는 이 돌에 대해 "하늘에서 보내진 것처럼 숭배받았고, 돌에는 작은 돌기들과 표시들이 튀어나와 있었는데, 사람들은 그것이 태양을 거칠게 그린 그림이라고 믿고 싶어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것들을 그렇게 보기 때문이다."라고 기록했다.[13]

헤로디아누스는 또한 엘라가발루스가 원로원 의원들에게 북과 심벌즈 소리에 맞춰 그의 신의 제단 주위를 춤추는 모습을 강제로 보게 했다고 기록했으며,[12]하지 때마다 음식 분배로 대중에게 인기가 많았던 성대한 축제를 열었는데,[16] 그 기간 동안 그는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전차에 성석을 놓고 도시를 행진시켰다.[16]

헤로디아누스에 따르면 여섯 마리의 말이 끄는 전차가 신을 실어 날랐는데, 말들은 거대하고 흠잡을 데 없이 하얬으며, 값비싼 금 장식과 풍성한 장신구를 갖추고 있었다. 고삐를 잡는 자도, 전차에 타는 자도 없었다. 마치 신 자신이 마부인 것처럼 차량이 호위되었다. 엘라가발루스는 전차 앞에서 뒤로 달려 신을 바라보며 말의 고삐를 잡았다. 그는 이런 식으로 전 여정을 거슬러 올라가 그의 신의 얼굴을 쳐다보았다.[16] 이러한 헤로디아누스의 묘사는 에메세네 컬트가 바빌로니아의 아키투 축제에서 영감을 받았음을 강하게 시사한다.[14]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황제는 또한 로마와 시리아 종교를 그의 신의 지배 아래 통합하려 했고, 그는 그의 신을 유피테르보다 더 높이 두었으며,[15] 그의 아내로 아스타르테, 미네르바 또는 우라니아 또는 이 세 신의 조합을 지정했다.[16] 로마 종교에서 가장 신성한 유물들이 각 신전에서 엘라가발리움으로 옮겨졌는데, 여기에는 "키벨레(대모신)의 상징, 베스타의 불, 팔라디움, 살리이의 안킬레 방패, 그리고 로마인들이 신성하게 여기는 모든 것"이 포함되었다. 그는 또한 유대교, 사마리아기독교가 그의 신전으로 그들의 의식을 옮겨 "모든 형태의 숭배의 신비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선언한 것으로 알려졌다.[17]

헤로디아누스에 따르면, 222년에 황제가 살해된 후, 그의 종교적 칙령은 번복되었고, 엘라가발루스의 컬트는 에메사로 돌아갔다.[18]

3. 1. 엘라가발루스 황제와 숭배

엘라가발루스 황제는 즉위 전 에메사의 세습 고위 사제였으며, 신의 이름을 따 엘라가발루스라고 불렸다.[10] 숭배의 대상인 배틸(baetyl)은 로마로 옮겨졌다.[10] 시리아 신은 솔로 알려진 로마의 태양신과 동일시되었고, 로마인들에게 솔 인빅투스(Sol Invictus, '정복되지 않는 태양')로 알려지게 되었다.[11]

팔라티노 언덕 동쪽에는 에메사 신전의 성석, 즉 검은 원뿔 모양의 운석을 모시기 위해 엘라가발리움이라는 신전이 세워졌다.[12] 헤로디아누스는 이 돌에 대해 "하늘에서 보내진 것처럼 숭배받았고, 돌에는 작은 돌기들과 표시들이 튀어나와 있었는데, 사람들은 그것이 태양을 거칠게 그린 그림이라고 믿고 싶어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것들을 그렇게 보기 때문이다."라고 기록했다.[13]

헤로디아누스는 또한 엘라가발루스가 원로원 의원들에게 북과 심벌즈 소리에 맞춰 그의 신의 제단 주위를 춤추는 모습을 강제로 보게 했다고 기록했으며,[12]하지 때마다 음식 분배로 대중에게 인기가 많았던 성대한 축제를 열었는데,[16] 그 기간 동안 그는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전차에 성석을 놓고 도시를 행진시켰다.[16]

헤로디아누스에 따르면 여섯 마리의 말이 끄는 전차가 신을 실어 날랐는데, 말들은 거대하고 흠잡을 데 없이 하얬으며, 값비싼 금 장식과 풍성한 장신구를 갖추고 있었다. 고삐를 잡는 자도, 전차에 타는 자도 없었다. 마치 신 자신이 마부인 것처럼 차량이 호위되었다. 엘라가발루스는 전차 앞에서 뒤로 달려 신을 바라보며 말의 고삐를 잡았다. 그는 이런 식으로 전 여정을 거슬러 올라가 그의 신의 얼굴을 쳐다보았다.[16] 이러한 헤로디아누스의 묘사는 에메세네 컬트가 바빌로니아의 아키투 축제에서 영감을 받았음을 강하게 시사한다.[14]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황제는 또한 로마와 시리아 종교를 그의 신의 지배 아래 통합하려 했고, 그는 그의 신을 유피테르보다 더 높이 두었으며,[15] 그의 아내로 아스타르테, 미네르바 또는 우라니아 또는 이 세 신의 조합을 지정했다.[16] 로마 종교에서 가장 신성한 유물들이 각 신전에서 엘라가발리움으로 옮겨졌는데, 여기에는 "키벨레(대모신)의 상징, 베스타의 불, 팔라디움, 살리이의 안킬레 방패, 그리고 로마인들이 신성하게 여기는 모든 것"이 포함되었다. 그는 또한 유대교, 사마리아기독교가 그의 신전으로 그들의 의식을 옮겨 "모든 형태의 숭배의 신비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선언한 것으로 알려졌다.[17]

헤로디아누스에 따르면, 222년에 황제가 살해된 후, 그의 종교적 칙령은 번복되었고, 엘라가발루스의 컬트는 에메사로 돌아갔다.[18]

3. 2. 엘라가발리움 신전

엘라가발루스 황제는 즉위 전 엘라가발루스의 세습 고위 사제였으며, 시리아 신은 솔로 알려진 로마의 태양신과 동일시되어 솔 인빅투스로 불렸다.[10][11] 팔라티노 언덕 동쪽에는 에메사 신전의 성석, 즉 검은 원뿔 모양의 배틸(Baetylus)을 모시기 위해 엘라가발리움이라는 신전이 세워졌다.[12] 헤로디아누스는 이 돌이 하늘에서 보내진 것처럼 숭배받았고, 작은 돌기들과 표시들이 튀어나와 있었는데, 사람들은 그것이 태양을 거칠게 그린 그림이라고 믿었다고 기록했다.[13]

헤로디아누스는 엘라가발루스가 원로원 의원들에게 북과 심벌즈 소리에 맞춰 그의 신의 제단 주위를 춤추는 모습을 강제로 보게 했다고 기록했으며,[12]하지 때마다 음식 분배로 대중에게 인기가 많았던 성대한 축제를 열었다.[16] 그 기간 동안 그는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전차에 성석을 놓고 도시를 행진시켰는데, 여섯 마리의 거대하고 흠잡을 데 없이 하얀 말이 끄는 전차에는 값비싼 금 장식과 풍성한 장신구가 갖춰져 있었고, 고삐를 잡는 자도, 전차에 타는 자도 없이 마치 신 자신이 마부인 것처럼 차량이 호위되었다고 한다. 엘라가발루스는 전차 앞에서 뒤로 달려 신을 바라보며 말의 고삐를 잡았다고 한다.[16] 헤로디아누스의 묘사는 에메세네 컬트가 바빌로니아의 아키투 축제에서 영감을 받았음을 시사한다.[14]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황제는 로마와 시리아 종교를 그의 신의 지배 아래 통합하려 했고, 그의 신을 유피테르보다 더 높이 두었으며,[15] 그의 아내로 아스타르테, 미네르바 또는 우라니아 또는 이 세 신의 조합을 지정했다.[16] 로마 종교에서 가장 신성한 유물들이 각 신전에서 엘라가발리움으로 옮겨졌으며, 여기에는 "키벨레의 상징, 베스타의 불, 팔라디움, 살리이의 안킬레 방패, 그리고 로마인들이 신성하게 여기는 모든 것"이 포함되었다. 그는 또한 유대교, 사마리아기독교가 그의 신전으로 그들의 의식을 옮겨야 한다고 선언했다.[17] 헤로디아누스에 따르면, 222년에 황제가 살해된 후, 그의 종교적 칙령은 번복되었고, 엘라가발루스의 컬트는 에메사로 돌아갔다.[18]

3. 3. 종교 의식과 축제

엘라가발루스 황제는 원로원 의원들에게 북과 심벌즈 소리에 맞춰 엘라가발루스 신의 제단 주위에서 춤을 추게 했다.[12] 매년 하지에는 엘라가발루스 신을 기리는 성대한 축제가 열렸는데,[16] 이 축제는 음식 분배로 대중에게 인기가 많았다.[16] 축제 기간 동안 황제는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전차에 성석을 싣고 도시를 행진했다. 여섯 마리의 크고 흠 없는 흰색 말들이 전차를 끌었으며, 값비싼 금 장식과 풍성한 장신구로 꾸며져 있었다. 엘라가발루스는 전차 앞에서 뒤로 달리며 신을 바라보며 말의 고삐를 잡고, 신 자신이 마부인 것처럼 전 여정을 거슬러 올라갔다.[16] 헤로디아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이 축제는 바빌로니아의 아키투 축제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4]

3. 4. 종교 통합 시도와 반발

엘라가발루스 황제는 즉위 전 에메사의 세습 고위 사제였으며, 신의 이름을 따 엘라가발루스라고 불렸다.[10] 그는 로마와 시리아 종교를 엘라가발루스 신앙 아래 통합하려 했다.[15] 시리아 신은 솔로 알려진 로마의 태양신과 동일시되었고, 로마인들에게 솔 인빅투스('정복되지 않는 태양')로 알려지게 되었다.[11]

팔라티노 언덕 동쪽에는 에메사 신전의 성석, 즉 배틸(Baetylus, 검은 원뿔 모양의 운석)을 모시기 위해 엘라가발리움이라는 신전이 세워졌다.[12] 헤로디아누스는 그 돌에 대해 "이 돌은 하늘에서 보내진 것처럼 숭배받았고, 돌에는 작은 돌기들과 표시들이 튀어나와 있었는데, 사람들은 그것이 태양을 거칠게 그린 그림이라고 믿고 싶어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것들을 그렇게 보기 때문이다."라고 기록했다.[13]

thumb 주화에 새겨진 엘라가발루스(218–219년 AD, 안티오크 조폐창). 뒷면에는 ''Sanct Deo Soli Elagabal''(거룩한 태양신 엘라가발에게)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고, 에메사 신전의 성석을 실은 사두마차(quadriga, 네 마리) 금색 전차가 묘사되어 있다.]]

엘라가발루스는 엘라가발루스를 유피테르보다 높은 위치에 두고, 그의 배우자로 아스타르테, 미네르바, 우라니아 또는 이 세 신의 조합을 지정했다.[15][16] 로마 전통 신앙에서 가장 신성한 유물들, 즉 "키벨레의 상징, 베스타의 불, 팔라디움, 살리이의 안킬레 방패, 그리고 로마인들이 신성하게 여기는 모든 것"이 엘라가발리움으로 옮겨졌다.[17]

헤로디아누스는 엘라가발루스가 원로원 의원들에게 북과 심벌즈 소리에 맞춰 그의 신의 제단 주위를 춤추는 모습을 강제로 보게 했다고 기록했다.[12] 또한, 각 하지 때마다 음식 분배로 대중에게 인기가 많았던 성대한 축제를 열었는데,[16] 그 기간 동안 그는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전차에 성석을 놓고 도시를 행진시켰다. 헤로디아누스에 따르면, "여섯 마리의 말이 끄는 전차가 신을 실어 날랐는데, 말들은 거대하고 흠잡을 데 없이 하얬으며, 값비싼 금 장식과 풍성한 장신구를 갖추고 있었다. 고삐를 잡는 자도, 전차에 타는 자도 없었다. 마치 신 자신이 마부인 것처럼 차량이 호위되었다. 엘라가발루스는 전차 앞에서 뒤로 달려 신을 바라보며 말의 고삐를 잡았다. 그는 이런 식으로 전 여정을 거슬러 올라가 그의 신의 얼굴을 쳐다보았다."[16] 이러한 헤로디아누스의 묘사는 에메세네 컬트가 바빌로니아의 아키투 축제에서 영감을 받았음을 강하게 시사한다.[14]

엘라가발루스 황제는 유대교, 사마리아기독교 의식을 엘라가발리움으로 가져오려 했다.[17] 하지만, 222년에 황제가 살해된 후, 그의 종교적 칙령은 번복되었고, 엘라가발루스의 컬트는 에메사로 돌아갔다.[18]

3. 5. 엘라가발루스 사후

222년 엘라가발루스 황제가 암살된 후, 그의 종교적 칙령은 번복되었다.[18] 엘라가발루스 숭배는 에메사로 돌아갔다.[18]

4. 한국 종교사와의 비교 연구

참조

[1] 논문 Elaha Gabal d'Émèse dans son contexte historique https://www.jstor.or[...] 2011
[2] 서적 Rome and the Arabs Dumbarton Oaks
[3] 서적 The Crimes of Elagabalus: The Life and Legacy of Rome's Decadent Boy Emperor
[4]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Routledge 2016
[5] 간행물 The Journal of Juristic Papyrology
[6] 웹사이트 English-Arabic dictionary translation for "God" with transliteration of the Arabic equivalent: "ilah" https://en.bab.la/di[...]
[7] 웹사이트 English-Arabic dictionary translation for "mountain" with transliteration of the Arabic equivalent: "gabal" https://en.bab.la/di[...]
[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2,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An Early Dedication to Elagabal http://rambambashi.w[...]
[10] 서적 The Cult of Sol Invictus Brill
[11] 웹사이트 De Cultus van Sol Invictus: Een vergelijkende studie tussen keizer Elagabalus (218–222) en keizer Aurelianus (270–275) http://www.ethesis.n[...] University of Ghent 2007-08-07
[12] 웹사이트 Roman History V.5 https://www.livius.o[...] 2015-11-04
[13] 웹사이트 Roman History V.3 https://www.livius.o[...]
[14] 논문 The Last Wedge
[15] 웹사이트 Roman History LXXX.11 https://penelope.uch[...]
[16] 웹사이트 Roman History V.6 https://www.livius.o[...] 2015-11-04
[17] 웹사이트 Life of Elagabalus 3 https://penelope.uch[...]
[18] 웹사이트 Roman History VI.6 https://www.livius.o[...] 2007-08-20
[19] 논문 Sol Elagabalus
[20] 웹사이트 엘가발에게 바쳐진 초기의 헌사 http://rambambashi.w[...]
[21] 웹사이트 Roman History LXXX.11 http://penelope.uchi[...]
[22] 웹사이트 Roman History V.6 http://www.livius.or[...] 2007-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