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엠마 머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엠마 머스크는 덴마크 오덴세 철강 조선소에서 건조된 컨테이너선으로, 2006년 8월 머스크 맥키니 몰러의 부인 엠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취역 당시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이었으며, 2013년에는 수에즈 운하에서 선수 스러스터 손상으로 인해 수리를 받았다. 엠마 머스크는 2011년 덴마크 국립 은행에서 기념 주화로 발행되었으며, 대한민국 대우조선해양에서 엠마 머스크와 같은 트리플-E 급 컨테이너선을 건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컨테이너선 - 머스크 트리플 E 급
    머스크 트리플 E급은 머스크 라인이 대우조선해양에 발주한 초대형 컨테이너선으로, 해운 시장 경쟁 심화와 유가 상승에 대응하여 연료 효율과 적재 능력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1세대와 2세대로 나뉜다.
  • 컨테이너선 - 머스크 맥키니 몰러 (선박)
    머스크 맥키니 몰러는 2013년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되어 운항을 시작한,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크고 효율적인 컨테이너선으로, 18,270 TEU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었으나, 크기와 트윈 엔진 사용으로 인해 완전히 적재되지 않으면 효율성이 감소했다.
  • 2006년 해양 사고 - USS 오리스카니 (CV-34)
    USS 오리스카니(CV-34)는 제2차 세계 대전 후반 건조된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현대화 개장을 통해 함재기 운용 능력을 향상시킨 후 퇴역, 현재는 멕시코만 해저에 침몰하여 다이버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가 되었다.
  • 2006년 해양 사고 - INS 하닛
    INS 하닛은 2006년 이스라엘-레바논 전쟁에서 헤즈볼라의 미사일 공격을 받아 손상되었으나 수리를 거쳐 실전 배치된 이스라엘 해군의 사르 5급 초계함이다.
  • 2006년 선박 - 209형 잠수함
    209형 잠수함은 서독에서 개발된 수출형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경제성과 운용 편의성을 갖추어 다양한 서브 타입으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급 잠수함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 2006년 선박 - SS-072 손원일
    손원일함(SS-072)은 대한민국 해군의 214급 잠수함 1번함으로, 손원일 제독의 이름을 사용하며, AIP 시스템을 탑재하여 장기간 잠수 작전이 가능하고,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되어 2007년 취역했으며, 다양한 무기를 탑재한 공격 능력을 갖추고 있다.
엠마 머스크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르후스에 정박 중인 엠마 머스크
오르후스에 정박 중인 엠마 머스크 (2006년 9월 5일)
선박 종류컨테이너선
선박 클래스E급 컨테이너선
선주몰러-머스크
운영사A. P. 몰러-머스크 그룹
선적항타르베크,
건조 조선소오덴세 스틸 조선소, 덴마크
기공2006년 1월 20일
진수2006년 5월 18일
취역2006년 8월 31일
상태운항 중
식별 번호ABS 선급 번호: 06151181
호출 부호: OYGR2

선박 제원
깊이(갑판 가장자리에서 용골까지)
추진 동력바르칠라 14RT-Flex96c + 캐터필러 9M32 5대
적재 용량
(냉동 컨테이너)
승무원13명 (최대 30명 수용 가능)
기타 정보
관련 선박


2. 역사

''엠마 머스크''(Emma Mærsk)는 덴마크의 오덴세 철강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4] 2006년 6월, 건조 중에 용접 작업으로 인해 상부 구조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다.[4] 화재는 거주 구역과 함교(bridge)로 빠르게 번져서 완공이 6~7주 지연되었다.

그녀는 2006년 8월 12일, 머스크 맥키니 몰러의 고(故) 부인인 엠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6년 8월 16일, 5척의 예인선이 ''엠마 머스크''를 덴마크 조선소에서 끌어내어 뒤로 끌어 바다로 향했다.[5] 2006년 9월 8일 02:00시에 오르후스에서 첫 항해를 시작하여 예테보리, 브레머하펜, 로테르담, 알헤시라스, 수에즈 운하를 거쳐 2006년 10월 1일 20:05시에 싱가포르에 도착했다. 다음 날 그녀는 선전의 옌톈, 고베, 나고야로 항해하여 2006년 10월 10일 요코하마에 도착했으며, 선전, 홍콩, 탄중 펠레파스, 수에즈 운하, 펠릭스토우, 로테르담, 브레머하펜, 예테보리를 거쳐 오르후스로 돌아와 2006년 11월 11일 16:00시에 도착했다.[6]

2008년에는 말레이시아와 스페인 사이의 항해를 다룬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시리즈 ''마이티 쉽스''의 한 에피소드에 등장했다.[7]

2011년, 덴마크 국립 은행은 그녀를 기념하기 위해 20 DKK 기념 주화를 발행했다.[8]

2013년 2월 1일 동쪽으로 항해하던 중, 그녀는 선미의 스러스터가 손상되었고 수에즈 운하에서 너무 많은 물을 들이켜 조종 불능 상태가 되었다. 예인선, 닻, 바람[9]은 그녀를 포트사이드로 데려가 13,500개의 컨테이너를 하역하고, 물을 빼고, 잠수부에 의해 조사를 받게 했다. 그녀는 침몰할 위험은 없었다.[10][11][12][13][14]

2013년 2월 15일, 머스크 라인은 그녀가 추가 평가 및 수리를 위해 예인되어 포트사이드를 떠날 예정이라고 확인했다.[15] 2월 25일 그녀는 시칠리아팔레르모 조선소에 도착했으며, 4개월 동안 머물 예정이었다.[16] 침수된 엔진은 분해, 수리 및 조립되었고,[17] 2013년 8월에는 2억 5천만 DKK(약 US$4,450만)의 수리를 거쳐 다시 운항하게 되었다.[19]

''엠마 머스크'' 프랑스 브레스트의 조선소에 정박

2. 1. 건조 및 명명

''엠마 머스크''(Emma Mærsk)는 덴마크의 오덴세 철강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4] 2006년 6월, 건조 중 용접 작업으로 인해 상부 구조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거주 구역과 함교(bridge)로 번져 완공이 6~7주 지연되었다.[4]

2006년 8월 12일, 머스크 맥키니 몰러의 사망한 부인 엠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8월 16일, 5척의 예인선이 ''엠마 머스크''를 덴마크 조선소에서 끌어내어 뒤로 끌어 바다로 향했다.[5] 9월 8일 02:00시에 오르후스에서 첫 항해를 시작하여 예테보리, 브레머하펜, 로테르담, 알헤시라스, 수에즈 운하를 거쳐 10월 1일 20:05시에 싱가포르에 도착했다. 다음 날 선전의 옌톈, 고베, 나고야로 항해하여 10월 10일 요코하마에 도착했으며, 이후 선전, 홍콩, 탄중 펠레파스, 수에즈 운하, 펠릭스토우, 로테르담, 브레머하펜, 예테보리를 거쳐 오르후스로 돌아와 11월 11일 16:00시에 도착했다.[6]

2. 2. 첫 항해 및 운항

엠마 머스크호의 정기 왕복 항로는 영국 해협, 지브롤터 해협수에즈 운하를 경유하여 북유럽과 극동 지역 사이를 운항한다.[6][43][44] 닝보, 샤먼, 홍콩 (서향), 옌톈 (서향), 알헤시라스 (서향), 로테르담, 브레머하펜, 알헤시라스 (동향), 옌톈 (동향), 홍콩 (동향), 닝보에 기항한다.[6][43][44] 2011년 4월에는 그단스크, 오르후스, 예테보리를 포함한 운항 일정을 가지고 있었다.[45]

2. 3. 주요 사건

2013년 2월 1일, 엠마 머스크는 동쪽으로 항해하던 중 수에즈 운하에서 스러스터 손상으로 조종 불능 상태가 되었다.[9] 예인선과 닻, 바람을 이용하여 포트사이드로 이동, 13,500개의 컨테이너를 하역하고 잠수부 조사를 받았다.[10][11][12][13][14] 침몰 위험은 없었다.[10]

2013년 2월 15일, 머스크 라인은 추가 평가 및 수리를 위해 엠마 머스크가 포트사이드를 떠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15] 2월 25일, 시칠리아팔레르모 조선소에 도착하여 4개월간 머물렀다.[16] 침수된 엔진은 분해, 수리 및 재조립되었고,[17] 2013년 8월, 2억 5천만 DKK(약 US$4,450만)의 수리 비용을 들여 운항을 재개했다.[19]

3. 특징

엠마 머스크는 취역 당시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으로, 총 톤수, 재화 중량 톤수, 길이, 폭 등 모든 면에서 이전의 컨테이너선을 크게 능가했다.[20] 전장은 397.71m로 선박 역사상 8번째로 길었으며(7번째까지는 모두 전장 400m를 넘는 유조선이었다), 폭은 56.4m(컨테이너 22열)로 기존 선박보다 10m 이상 넓어, 엠마 머스크에 맞는 갠트리 크레인을 갖춘 항만은 제한적이었다.[20] 주 기관의 단기 출력은 109,000마력으로, 선박에 탑재된 디젤 엔진 중 가장 강력했다.[20]

머스크 라인은 14톤 컨테이너를 완전히 적재했을 때 최대 11,000 20피트 컨테이너 단위(TEU)의 수송 능력을 보고했는데, 이는 당시 머스크 회사의 계산 방식에 따른 것이었다.[20] 이 선박은 취역 당시 다른 어떤 선박보다 약 1,400개 더 많은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었다.[21] 그러나 머스크는 수송 능력을 정의하는 표준 방식도 인정하며, 14,770 TEU라고 밝히고 있다.[22]

일반적인 계산에 따르면, 이 선박은 보고된 수치보다 훨씬 큰 13,500~15,200 TEU 사이의 수송 능력을 갖는다.[23][24] 공식 수치와 추정 수치의 차이는 머스크가 컨테이너선의 수송 능력을 무게(이 경우 14톤/컨테이너)로 계산하기 때문이다.[25] 즉, 11,000개 이상의 컨테이너[25] 중 1,000개는 냉동 컨테이너일 수 있다.[26] 다른 회사들은 무게와 관계없이 운송할 수 있는 최대 컨테이너 수에 따라 수송 능력을 계산하며, 이는 항상 머스크 방식보다 더 큰 수치이다. 2012년 현재, E 클래스는 여전히 최대 14톤 적재 능력으로 가장 크다. 마르코 폴로는 14톤 컨테이너 10,000개를 실을 수 있으며, 완전히 적재되지 않은 경우 16,020개를 실을 수 있다.[27][28]

엠마 머스크는 세계 최대 단일 디젤 엔진인 바르질라-슐처 14RTFLEX96-C 엔진으로 구동되며, 무게는 2,300톤이고 시간당 13,638 리터의 중유를 연소하여 80 MW의 출력을 낼 수 있다.[31][32][33] 경제적인 속도로 연료 소비량은 0.260 bs/hp·hour (6,284 L/hour)이다.[34]

배기열 회수 및 열병합 발전을 통해 환경 피해를 줄인다.[35] 일부 배기 가스는 엔진으로 반환되어 경제성을 높이고 배출량을 줄이며,[36] 일부는 피터 브라더후드 증기 터빈과 전기 발전기에 동력을 공급하는 증기 발생기를 통과한다. 이는 8.5 MW의 전기 출력을 생성하며, 주 엔진 출력의 약 12%에 해당한다. 이 증기의 일부는 선상 열원으로 직접 사용된다.[37][38] 5개의 디젤 발전기는 총 20.8 MW를 생산하며,[37] 총 전기 출력은 29 MW이다.[26] 두 개의 9 MW 전기 모터는 150 미터 주 프로펠러 축의 동력을 보강하며,[37] 이는 세계에서 가장 길다.[39]

두 개의 선수 및 두 개의 선미 스러스터는 항만 기동성을 제공하며, 두 쌍의 안정기 핀은 롤링을 줄인다.[37] 살생물제 대신 특수 실리콘 기반 페인트를 사용하여 따개비가 선체에 붙는 것을 막는다.[21] 이는 해양 오염을 방지하고 항력을 줄여 효율성을 높이며, 연간 1,200톤의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40] 이 선박은 구상 선수를 가지고 있다.

44 km/h에서 회전 직경은 1.5 km이다. 엔진은 선체 중앙에 가깝게 위치하여 선체의 강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용량을 최대화한다.[39] 선박이 20도 롤링할 때 브리지는 35미터 흔들린다.[41] 선박의 닻은 각각 29톤이고 각 체인 링크는 200kg이다.[42]

엠마 머스크와 같은 E-클래스 컨테이너선에는 에스텔 머스크, 엘레오노라 머스크, 에블린 머스크, 에바 머스크, 엘리 머스크, 에디스 머스크, 유진 머스크를 포함한 7척이 있다.

3. 1. 제원

엠마 머스크는 취역 당시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으로, 총 톤수, 재화 중량 톤수, 길이, 폭 등 모든 면에서 이전의 컨테이너선을 크게 능가했다.[20] 전장은 397.71m로 선박 역사상 8번째로 길었으며(7번째까지는 모두 전장 400m를 넘는 유조선이었다), 폭은 56.4m(컨테이너 22열)로 기존 선박보다 10m 이상 넓어, 엠마 머스크에 맞는 갠트리 크레인을 갖춘 항만은 제한적이었다.[20] 주 기관의 단기 출력은 109,000마력으로, 선박에 탑재된 디젤 엔진 중 가장 강력했다.[20]

머스크 라인은 14톤 컨테이너를 완전히 적재했을 때 최대 11,000 20피트 컨테이너 단위(TEU)의 수송 능력을 보고했는데, 이는 당시 머스크 회사의 계산 방식에 따른 것이었다.[20] 이 선박은 취역 당시 다른 어떤 선박보다 약 1,400개 더 많은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었다.[21] 그러나 머스크는 수송 능력을 정의하는 표준 방식도 인정하며, 14,770 TEU라고 밝히고 있다.[22]

일반적인 계산에 따르면, 이 선박은 보고된 수치보다 훨씬 큰 13,500~15,200 TEU 사이의 수송 능력을 갖는다.[23][24] 공식 수치와 추정 수치의 차이는 머스크가 컨테이너선의 수송 능력을 무게(이 경우 14톤/컨테이너)로 계산하기 때문이다.[25] 즉, 11,000개 이상의 컨테이너[25] 중 1,000개는 냉동 컨테이너일 수 있다.[26] 다른 회사들은 무게와 관계없이 운송할 수 있는 최대 컨테이너 수에 따라 수송 능력을 계산하며, 이는 항상 머스크 방식보다 더 큰 수치이다. 2012년 현재, E 클래스는 여전히 최대 14톤 적재 능력으로 가장 크다. 마르코 폴로는 14톤 컨테이너 10,000개를 실을 수 있으며, 완전히 적재되지 않은 경우 16,020개를 실을 수 있다.[27][28]

3. 2. 엔진 및 선체

엠마 머스크는 세계 최대 단일 디젤 엔진인 바르질라-슐처 14RTFLEX96-C 엔진으로 구동되며, 무게는 2,300톤이고 시간당 13,638 리터의 중유를 연소하여 80 MW의 출력을 낼 수 있다.[31][32][33] 경제적인 속도로 연료 소비량은 0.260 bs/hp·hour (6,284 L/hour)이다.[34]

배기열 회수 및 열병합 발전을 통해 환경 피해를 줄인다.[35] 일부 배기 가스는 엔진으로 반환되어 경제성을 높이고 배출량을 줄이며,[36] 일부는 피터 브라더후드 증기 터빈과 전기 발전기에 동력을 공급하는 증기 발생기를 통과한다. 이는 8.5 MW의 전기 출력을 생성하며, 주 엔진 출력의 약 12%에 해당한다. 이 증기의 일부는 선상 열원으로 직접 사용된다.[37][38] 5개의 디젤 발전기는 총 20.8 MW를 생산하며,[37] 총 전기 출력은 29 MW이다.[26] 두 개의 9 MW 전기 모터는 150 미터 주 프로펠러 축의 동력을 보강하며,[37] 이는 세계에서 가장 길다.[39]

두 개의 선수 및 두 개의 선미 스러스터는 항만 기동성을 제공하며, 두 쌍의 안정기 핀은 롤링을 줄인다.[37] 살생물제 대신 특수 실리콘 기반 페인트를 사용하여 따개비가 선체에 붙는 것을 막는다.[21] 이는 해양 오염을 방지하고 항력을 줄여 효율성을 높이며, 연간 1,200톤의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40] 이 선박은 구상 선수를 가지고 있다.

44 km/h에서 회전 직경은 1.5 km이다. 엔진은 선체 중앙에 가깝게 위치하여 선체의 강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용량을 최대화한다.[39] 선박이 20도 롤링할 때 브리지는 35미터 흔들린다.[41] 선박의 닻은 각각 29톤이고 각 체인 링크는 200kg이다.[42]

총 톤수, 재화 중량 톤수, 길이, 폭 모두가 이전의 컨테이너선을 크게 능가하여, 취역 당시에는 사상 최대의 컨테이너선이었으며, 397.71m의 전장은 선박 역사상 8번째 길이였다. 56.4m(컨테이너 22열)의 폭은 기존 선박보다 10m 이상 더 커서, 이에 맞는 갠트리 크레인을 갖춘 항만은 제한적이다.

또한, 주 기관의 단기 출력 109,000마력의 디젤 엔진은 선박에 탑재된 것 중 최강이다.

3. 3. 동형선

엠마 머스크와 같은 E-클래스 컨테이너선에는 에스텔 머스크, 엘레오노라 머스크, 에블린 머스크, 에바 머스크, 엘리 머스크, 에디스 머스크, 유진 머스크를 포함한 7척이 있다.

4.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우조선해양은 2011년 엠마 머스크와 같은 트리플-E 급 컨테이너선 10척을 발주 받았으며, 같은 해 6월 10척을 추가로 발주 받았다. 이는 대한민국의 선박 건조 기술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29][30] 트리플-E 급 선박은 18,000개의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는 대형 선박으로, 2013년에 첫 번째 선박이 인도되었다.[29][30]

5. 기타

5. 1. 기념 주화

덴마크 국립 은행은 2011년에 엠마 머스크를 기념하기 위해 20 DKK 기념 주화를 발행했다.[8]

5. 2. 미디어

참조

[1] 웹사이트 American Bureau of Shipping: Official Registry Number D4150 https://www.eagle.or[...] 2012-12-16
[2] 웹사이트 ABS Record: Emma Maersk http://www.eagle.org[...] American Bureau of Shipping 2009-07-23
[3] 웹사이트 Ebba Mærsk beats world record http://ing.dk/artike[...] 2010-05-28
[4] 블로그 The Secret Story Of Building The World’s Largest Container Ship http://shippinginsou[...] 2010-09-01
[5] 뉴스 The Megaships That Broke Global Trade https://www.wsj.com/[...] 2020-10-22
[6] 웹사이트 Sailing Schedule https://web.archive.[...] Maersk Line 2015-03-05
[7] 웹사이트 Mighty Ships https://web.archive.[...] CTV Global Media 2014-08-04
[8] 웹사이트 National Bank of Denmark issues commemorative coin for the Emma Mærsk https://web.archive.[...] National Bank of Denmark 2011-09-15
[9] 간행물 Here it comes http://www.maerskpos[...] Maersk Post 2013-06-01
[10] 웹사이트 Accident report https://web.archive.[...] 2018-06-20
[11] 웹사이트 Emma Maersk ship faces leakage in Suez Canal http://www.egyptinde[...] 2013-02-02
[12] 웹사이트 "Emma Mærsk" tog vand ind i Suez-kanalen http://www.business.[...] 2013-02-02
[13] 웹사이트 Såret Mærsk-gigant undersøges af dykkere http://www.business.[...] 2013-02-02
[14] 웹사이트 Kæmpe Mærsk-skib tager vand ind: Nu skal 13.500 containerne læsses af http://politiken.dk/[...] Politiken 2013-02-02
[15] 웹사이트 Emma Maersk: after immediate repairs, the onward journey begins http://www.maersklin[...] Maersk Line 2013-02-15
[16] 웹사이트 Arrivata a Palermo la Emma Maersk la portacontainer più grande del mondo http://palermo.repub[...] 2013-02-25
[17] 웹사이트 This is how the Emma Maersk bill will be settled https://shippingwatc[...] 2013-08-13
[18] 뉴스 Emma Maersk sails again http://shippingwatch[...] ShippingWatch 2013-08-01
[19] 뉴스 Here comes the bill for Emma Maersk http://shippingwatch[...] ShippingWatch 2013-08-13
[20] 보도자료 Namegiving of newbuilding L 203 https://web.archive.[...] Odense Steel Shipyard 2006-12-08
[21] 간행물 Overachievers We Love
[22] 웹사이트 Vessels http://www.maersklin[...] Maersk Line 2010-06-01
[23] 웹사이트 Big, bigger, biggest http://www.portofrot[...] Port of Rotterdam 2015-03-05
[24] 문서 Emma Maersk (PDF) http://www.axsliner.[...]
[25] 뉴스 Giant Christmas goods ship docks http://news.bbc.co.u[...] 2015-03-05
[26] 간행물 Logistics of building large ships http://www.dnv.com/i[...] Det Norske Veritas 2008-09-23
[27] 웹사이트 CMA CGM MARCO POLO http://www.container[...] 2012-11-06
[28] 웹사이트 The race among the world's biggest ships begins http://shippingwatch[...] 2012-11-06
[29] 뉴스 Maersk orders up to 30 of biggest container ships on trade http://www.businessw[...] 2011-02-21
[30] 웹사이트 E-class successor http://www.worldslar[...]
[31] 웹사이트 Wärtsilä RT-flex96C technical information http://www.wartsila.[...] 2011-11-23
[32] 웹사이트 Wartsila Sulzer RTA96-C / Engine page http://www.emma-maer[...]
[33] 웹사이트 The Largest And Most Powerful Diesel Engine in The World https://www.amusingp[...]
[34] 웹사이트 Emma Mærsk http://www.ship-tech[...]
[35] 간행물 Waste Heat Recovery (WHR): Fuel savings with less emissions http://www.wartsila.[...] Wärtsilä Corporation 2006-01-01
[36] 웹사이트 Emma Mærsk, information & data http://www.robse.dk/[...] 2011-02-26
[37] 뉴스 Distinctive ships 2006 http://www.allbusine[...] AllBusiness 2006-12-01
[38] 간행물 The world's most powerful Engine enters service http://www.wartsila.[...] Wärtsilä Corporation 2015-03-05
[39] 웹사이트 Emma Maersk - One decade on.... https://www.containe[...] 2019-04-01
[40] 웹사이트 Photo archive http://www.maersklin[...] 2015-03
[41] 웹사이트 Q&A with Captain of Emma Mærsk http://www.dr.dk/DR2[...] dr.dk 2007-02-20
[42] 웹사이트 Emma Maersk - the largest container ship in the world https://www.containe[...]
[43] 웹사이트 Emma Maersk trip 1006 schedule http://www.cargo-in-[...] 2010-08-31
[44] 웹사이트 Sailing schedules http://www.maersklin[...] 2010-08-31
[45] 웹사이트 Emma Mærsk schedules http://www.emma-maer[...] 2011-12-06
[46] 뉴스 Maersk orders largest, most efficient ships ever http://www.maersklin[...] 2011-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