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1600m 이어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자 1600m 이어달리기 세계 기록은 1969년 소련이 3분 47초 4로 처음 수립한 이후, 여러 차례 경신되었다. 1969년에는 영국, 프랑스, 서독, 동독 등이 기록 경쟁을 벌였으며,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동독이 3분 22초 95로 우승하며 세계 기록을 세웠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동독은 3분 19초 23으로 우승했고, 1980년대 초반까지 여자 1600m 이어달리기를 지배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소련이 3분 15초 17의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고, 이 기록은 현재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상 경기 세계 기록 추이 -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는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여자 육상 100m 달리기 세계 기록의 변천사를 다루며, 1988년 플로렌스 그리피스 조이너가 세운 기록은 도핑 문제와 기록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 - 육상 경기 세계 기록 추이 - 남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남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1912년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10초 6을 최초 공인한 이후 여러 선수들에 의해 경신되었으며, 2009년 우사인 볼트가 9초 58의 기록으로 현재까지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카이트서핑
카이트서핑은 연과 보드를 사용하여 바람의 힘으로 물 위를 활강하는 수상 스포츠로,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여자 1600m 이어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
---|
2. 1969년 이후 세계 기록
1969년 이후 여자 1600m 이어달리기 세계 기록은 여러 차례 경신되었다. 초기에는 소련, 영국, 프랑스, 서독 등이 경쟁하며 기록을 단축시켰다. 1970년대 초반부터 동독이 강세를 보이며 여러 차례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동독은 3분 23초 0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에도 동독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1982년 아테네 대회, 1984년 에르푸르트 대회에서 계속해서 세계 기록을 경신하며 독주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소련이 3분 15초 17의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고, 이 기록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1]
2. 1. 세계 기록 목록
기록 | 자동 기록 | 팀 | 국가 | 개최지 | 날짜 | 참가자[2] |
---|---|---|---|---|---|---|
3:47.4 | 모스크바 | 소련ru | 모스크바 | 1969-05-30 | 류보프 피노게노바, 타티야나 메드베데바, 타마라 보이텐코, 올가 클라인 | |
3:43.2 | 라트비아 | 소련ru | 민스크 | 1969-06-01 | 릴리타 자게레, 안나 둔다레, 잉그리다 베르벨레, 사르미테 슈툴라 | |
3:37.6 | 영국 | 런던 | 1969-06-22 | 제니 파우지, 폴린 앳우드, 자넷 심슨, 릴리안 보드 | ||
3:34.2 | 프랑스 | 프랑스프랑스어 | 콜롬브 | 1969-07-06 | 미셸 몽베, 엘리안 자크, 니콜 뒤클로, 콜레트 베송 | |
3:33.9 | 서독 | 서독de | 피레아스 | 1969-09-19 | 크리스타 체케이, 안제 글라이히펠트, 잉게 에크호프, 크리스텔 프레제 | |
3:30.8 | 3:30.82 | 영국 | 피레아스 | 1969-09-20 | 로즈메리 스털링, 팻 로우, 자넷 심슨, 릴리안 보드 | |
3:30.8 | 3:30.85 | 프랑스 | 프랑스프랑스어 | 아테네 | 1969-09-20 | 베르나데트 마르탱, 니콜 뒤클로, 엘리안 자크, 콜레트 베송 |
3:29.3 | 3:29.28 | 동독 | 동독de | 헬싱키 | 1971-08-15 | 리타 큔, 잉겔로레 로세, 헬가 자이들러, 모니카 체르트 |
3:28.8 | 동독 | 동독de | 콜롬브 | 1972-07-05 | 다그마어 캐슬링, 리타 큔, 모니카 체르트, 브리깃 로데 | |
3:28.5 | 3:28.48 | 동독 | 동독de | 뮌헨 | 1972-09-09 | 다그마어 캐슬링, 리타 큔, 헬가 자이들러, 모니카 체르트 |
3:23.0 | 3:22.95 | 동독 | 동독de | 뮌헨 | 1972-09-10 | 다그마어 캐슬링, 리타 큔, 헬가 자이들러, 모니카 체르트 |
3:19.2 | 3:19.23 | 동독 | 동독de | 몬트리올 | 1976-07-31 | 도리스 말레츠키, 브리깃 로데, 엘렌 슈트레이트, 크리스티나 브레머 |
3:19.04 | 동독 | 동독de | 아테네 | 1982-09-11 | 키르스텐 시몬, 사비네 부쉬, 다그마어 뤼브삼, 마리타 코흐 | |
3:15.92 | 동독 | 동독de | 에르푸르트 | 1984-06-03 | 게지네 발터, 사비네 부쉬, 다그마어 뤼브삼, 마리타 코흐 | |
3:15.17 | 소련 | 소련ru | 서울 | 1988-10-01 | 타티야나 레도프스카야, 올가 나자로바, 마리야 피니기나, 올가 브리즈기나 |
2. 1. 1. 초기 기록 (1969년 ~ 1972년)
1969년 5월 30일, 모스크바ru에서 소련(류보프 피노게노바, 타티야나 메드베데바, 타마라 보이텐코, 올가 클라인)팀이 3분 47초 4로 첫 기록을 세웠다.[2] 이후, 같은 해 6월 1일 민스크에서 소련(릴리타 자게레, 안나 둔다레, 잉그리다 베르벨레, 사르미테 슈툴라)팀이 3분 43초 2로 기록을 경신했다.[2] 6월 22일, 런던에서 영국(제니 파우지, 폴린 앳우드, 자넷 심슨, 릴리안 보드)팀이 3분 37초 6으로 다시 한번 기록을 단축했다.[2]1969년 7월 6일, 콜롬브에서 프랑스(미셸 몽베, 엘리안 자크, 니콜 뒤클로, 콜레트 베송)팀이 3분 34초 2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2] 9월 19일, 피레아스에서 서독(크리스타 체케이, 안제 글라이히펠트, 잉게 에크호프, 크리스텔 프레제)팀이 3분 33초 9를 기록했다.[2] 바로 다음 날인 9월 20일, 피레아스에서 영국(로즈메리 스털링, 팻 로우, 자넷 심슨, 릴리안 보드)팀과 아테네에서 프랑스(베르나데트 마르탱, 니콜 뒤클로, 엘리안 자크, 콜레트 베송)팀이 모두 3분 30초 8을 기록하며 공동 세계 기록을 세웠다.[2]
1971년 8월 15일, 헬싱키에서 동독(리타 큔, 잉겔로레 로세, 헬가 자이들러, 모니카 체르트)팀이 3분 29초 3으로 기록을 경신했다.[2] 1972년 7월 5일, 콜롬브에서 동독(다그마어 캐슬링, 리타 큔, 모니카 체르트, 브리깃 로데)팀은 3분 28초 8로 다시 한번 세계 기록을 단축했다.[2]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동독 대표팀은 계속해서 기록을 경신했다. 9월 9일 준결승에서 다그마어 캐슬링, 리타 큔, 헬가 자이들러, 모니카 체르트가 3분 28초 5를 기록했고,[2] 다음 날인 9월 10일 결승에서 같은 선수들이 3분 23초 0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2]
2. 1. 2. 동독의 독주 (1976년 ~ 1984년)
동독de은 1976년 7월 31일 몬트리올에서 열린 1976년 하계 올림픽 여자 1600m 이어달리기 결선에서 3분 19초 23을 기록하며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2] 이 기록은 도리스 말레츠키, 브리깃 로데, 엘렌 슈트레이트, 크리스티나 브레머가 달성했다. 이후 동독은 1982년 9월 11일 아테네에서 열린 대회에서 3분 19초 04, 1984년 6월 3일 에르푸르트에서 3분 15초 92를 기록하며 자신들의 세계 기록을 계속해서 경신했다.[2]기록 | 팀 | 국가 | 날짜 | 개최지 | 참가자 |
---|---|---|---|---|---|
3:19.23 | 동독 | 동독de | 1976년 7월 31일 | 몬트리올 | 도리스 말레츠키, 브리깃 로데, 엘렌 슈트레이트, 크리스티나 브레머 |
3:19.04 | 동독 | 동독de | 1982년 9월 11일 | 아테네 | 키르스텐 시몬, 사비네 부쉬, 다그마어 뤼브삼, 마리타 코흐 |
3:15.92 | 동독 | 동독de | 1984년 6월 3일 | 에르푸르트 | 게지네 발터, 사비네 부쉬, 다그마어 뤼브삼, 마리타 코흐 |
2. 1. 3. 소련의 기록 경신과 현재 (1988년 ~ 현재)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소련 대표팀(타티야나 레도프스카야, 올가 나자로바, 마리야 피니기나, 올가 브리즈기나)은 1600m 이어달리기에서 3분 15초 17의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1] 이 기록은 현재까지 깨지지 않고 있으며,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이 기록을 깨기 위해 도전했지만 아직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3. 대한민국 400m 계주 기록
주어진 원본 소스에 대한민국 여자 400m 계주 기록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이 부분은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원본 소스에 정보가 없기 때문에 내용을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13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Daegu 2011. (Part 5 of 5)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13-03-12
[2]
웹사이트
Sportrekorde
http://www.rekorde-i[...]
2016-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