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사추리는 KBS가 제작한 역사 교양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대한민국의 주요 역사적 사건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여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국민들의 역사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1995년에는 정조의 한강 도하, 명성황후 시해 사건, 사육신 무덤, 북한산 왕궁 유적, 10.26 사건, 12.12 군사반란 등 현대사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내용을 다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역사 텔레비전 프로그램 - 차이나는 클라스
《차이나는 클라스》는 JTBC에서 다양한 분야 전문가를 초청해 지식 강연을 제공하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오상진, 이현이, 함은정, 이장준 등이 진행을 맡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역사 텔레비전 프로그램 -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은 KBS 1TV에서 1998년부터 2012년까지 방송된 역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한국사의 다양한 사건, 인물, 문화유산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했으며, 유인촌, 고두심, 한상권 등이 진행했고, 2021년에는 UHD 역사스페셜로 방송되었다. - 1994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긴급구조 119
긴급구조 119는 119 소방공무원들의 구조 활동을 다룬 프로그램으로, 1994년부터 1999년까지, 2003년에 방송되었으며 소방 관련 인식 개선에 기여했다. - 1994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마지막 승부
《마지막 승부》는 1994년 농구를 소재로 젊은이들의 열정, 우정, 사랑, 꿈을 그린 드라마로, 주요 인물들의 농구 경기와 갈등, 성장 과정, 그리고 라이벌 관계가 핵심 줄거리를 이루며 높은 인기를 얻었지만 제작 과정 및 주제가 표절 논란도 있었다. - 1996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제4공화국 (드라마)
《제4공화국》은 박정희 정권의 유신 체제 하 주요 사건들을 다룬 드라마로,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부터 5·18 광주 민주화 운동까지 다루며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 1996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장학퀴즈
1973년 MBC에서 시작하여 EBS로 옮겨 대한민국 최장수 퀴즈 프로그램이 된 《장학퀴즈》는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 방식과 특집 방송, 한중 청소년 교류 등을 통해 사랑받았으나 2024년 7월 종영 예정이다.
역사추리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프로그램 정보 | |
방송명 | 역사추리 |
방송 채널 | KBS1 |
방송 기간 | 1995년 9월 16일 ~ 1997년 2월 25일 |
방송 시간 | 매주 토요일 저녁 19:30 ~ 20:00 |
방송 분량 | 30분 |
방송 횟수 | 52부작 |
전편 | 역사의 라이벌 |
2. 기획 의도
KBS가 주도하여 제작한 '역사추적'은 우리나라 역사의 주요 사건들을 기존과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여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국민들의 역사 인식을 새롭게 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역사에 대한 자부심을 고취하고,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하는 교양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했다.
3. 방영 목록 (1995년 ~ 1997년)
3. 1. 1995년
1995년에는 정조의 한강 도하, 명성황후 시해, 사육신 무덤, 북한산 왕궁 유적, 10.26, 왕조실록 보관 방법, 을사조약의 문제점, 칠거지악, 12.12과 관련된 내용이 방영되었다. 특히, 10.26과 12.12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군부 세력의 권력 장악 과정을 심층적으로 다루어, 현대사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구체적인 방영 목록은 다음과 같다.
횟수 | 방송 일자 | 제목 |
---|---|---|
1 | 9월 23일 | 정조는 어떻게 한강을 건넜나? |
2 | 10월 7일 | 명성황후 시해의 진실 |
3 | 10월 14일 | 사육신 무덤은 왜 7기일까? |
4 | 10월 21일 | 북한산에도 왕궁이 있었다 |
5 | 11월 4일 | 대통령 주치의의 10.26 |
6 | 11월 11일 | 500년 왕조실록 어떻게 보관했나? |
7 | 11월 18일 | 을사조약 왜 무효인가? |
8 | 12월 2일 | 칠거지악, 실은 유명무실했다 |
9 | 12월 9일 | 특전사의 12.12 |
10 | 12월 12일 | 12.12 이것이 쟁점이다 |
11 | 12월 16일 | 최규하의 미스터리 - 15일간의 침묵 |
3. 1. 1. 1995년 방영 목록 상세
wikitable횟수 | 방송 일자 | 제목 |
---|---|---|
1 | 9월 23일 | 정조는 어떻게 한강을 건넜나? |
2 | 10월 7일 | 명성황후 시해의 진실 |
3 | 10월 14일 | 사육신 무덤은 왜 7기일까? |
4 | 10월 21일 | 북한산에도 왕궁이 있었다 |
5 | 11월 4일 | 대통령 주치의의 10.26 |
6 | 11월 11일 | 500년 왕조실록 어떻게 보관했나? |
7 | 11월 18일 | 을사조약 왜 무효인가? |
8 | 12월 2일 | 칠거지악, 실은 유명무실했다 |
9 | 12월 9일 | 특전사의 12.12 |
10 | 12월 12일 | 12.12 이것이 쟁점이다 |
11 | 12월 16일 | 최규하의 미스터리 - 15일간의 침묵 |
3. 2. 1996년
wikitable횟수 | 방송 일자 | 제목 |
---|---|---|
12 | 1월 13일 | 박여인 변사사건의 진상 |
13 | 1월 16일 | 삿갓 신드롬, 김삿갓은 한사람이 아니었다 |
14 | 1월 20일 | 과거길, 관광길 - 신이몽룡 출세기 |
15 | 1월 27일 |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죽은 까닭은? |
16 | 2월 3일 | 2백년의 비밀, 정조의 사인 보고서 |
17 | 2월 10일 | 조선은 성곽국가였다 |
18 | 2월 24일 | 서삼릉 태실에 얽힌 사연 |
19 | 3월 8일 | 김정호는 과연 여덟번 백두산에 올랐나? |
20 | 3월 15일 | 조선시대 코끼리가 귀양간 까닭은? |
21 | 3월 22일 | 세종의 비밀프로젝트, 조선의 역법을 만들라 |
22 | 3월 29일 | 최약방의 총소리, 최초의 필화사건 |
23 | 4월 5일 | 100년의 논쟁 광개토왕비의 비밀 |
24 | 4월 19일 | 1960년 4월, 왜 이기붕이 죽었나? |
25 | 4월 26일 | 신돈, 과연 그는 음탕한 승려였나? |
26 | 5월 3일 | 운현궁 솟을 대문, 뒤집혀 달린 까닭 |
27 | 5월 10일 | 4백년전 조선에도 사립대학이 있었다 |
28 | 5월 17일 | 80년 5월 광주 됙침사건의 진상 |
29 | 6월 14일 | 장보고의 꿈 |
30 | 7월 5일 | 이순신 죽음에 대한 3가지 의문 |
31 | 7월 12일 | 비밀지령! 동대문 밖에서 개봉하라 |
32 | 8월 9일 | 동학군 유해에 얽힌 의문들 |
33 | 9월 6일 | 임진왜란은 노예 전쟁이었나 - 1부 : 10만 조선인 포로의 행방을 찾아라 |
34 | 9월 13일 | 임진왜란은 노예 전쟁이었나 - 2부 : 나가사키에서 팔려간 조선인 노예들 |
35 | 9월 20일 | 정약전의 흑산도 리포터 자산어보 |
36 | 10월 4일 | 정조의 신도시 프로젝트, 수원성 |
37 | 10월 11일 | 정조가 자주 성 밖으로 나간 까닭은? |
38 | 10월 18일 | 조선조 마지막 비망록 낙선재 |
39 | 10월 25일 | 3년복이냐 1년복이냐 - 예송, 당쟁의 산물인가? |
40 | 10월 29일 | 조선시대 화가는 역사가였다 |
41 | 11월 5일 | 행주대첩, 행주치마의 승리인가? |
42 | 11월 12일 | 조선시대 임금 만들기 |
43 | 11월 19일 | 왕비를 알면 조선이 보인다 |
44 | 11월 26일 | 조선시대 죄와벌 - 곤장은 칠 수 없었다 |
45 | 12월 3일 | 허생이 떼돈 번까닭은? |
46 | 12월 10일 | 세종이 구구단을 외운 까닭은? |
47 | 12월 17일 | 조선기생 전공필수는 다섯과목이었다 |
3. 2. 1. 1996년 방영 목록 상세
wikitable횟수 | 방송 일자 | 제목 |
---|---|---|
12 | 1월 13일 | 박여인 변사사건의 진상 |
13 | 1월 16일 | 삿갓 신드롬, 김삿갓은 한사람이 아니었다 |
14 | 1월 20일 | 과거길, 관광길 - 신이몽룡 출세기 |
15 | 1월 27일 |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죽은 까닭은? |
16 | 2월 3일 | 2백년의 비밀, 정조의 사인 보고서 |
17 | 2월 10일 | 조선은 성곽국가였다 |
18 | 2월 24일 | 서삼릉 태실에 얽힌 사연 |
19 | 3월 8일 | 김정호는 과연 여덟번 백두산에 올랐나? |
20 | 3월 15일 | 조선시대 코끼리가 귀양간 까닭은? |
21 | 3월 22일 | 세종의 비밀프로젝트, 조선의 역법을 만들라 |
22 | 3월 29일 | 최약방의 총소리, 최초의 필화사건 |
23 | 4월 5일 | 100년의 논쟁 광개토왕비의 비밀 |
24 | 4월 19일 | 1960년 4월, 왜 이기붕이 죽었나? |
25 | 4월 26일 | 신돈, 과연 그는 음탕한 승려였나? |
26 | 5월 3일 | 운현궁 솟을 대문, 뒤집혀 달린 까닭 |
27 | 5월 10일 | 4백년전 조선에도 사립대학이 있었다 |
28 | 5월 17일 | 80년 5월 광주 됙침사건의 진상 |
29 | 6월 14일 | 장보고의 꿈 |
30 | 7월 5일 | 이순신 죽음에 대한 3가지 의문 |
31 | 7월 12일 | 비밀지령! 동대문 밖에서 개봉하라 |
32 | 8월 9일 | 동학군 유해에 얽힌 의문들 |
33 | 9월 6일 | 임진왜란은 노예 전쟁이었나 - 1부 : 10만 조선인 포로의 행방을 찾아라 |
34 | 9월 13일 | 임진왜란은 노예 전쟁이었나 - 2부 : 나가사키에서 팔려간 조선인 노예들 |
35 | 9월 20일 | 정약전의 흑산도 리포터 자산어보 |
36 | 10월 4일 | 정조의 신도시 프로젝트, 수원성 |
37 | 10월 11일 | 정조가 자주 성 밖으로 나간 까닭은? |
38 | 10월 18일 | 조선조 마지막 비망록 낙선재 |
39 | 10월 25일 | 3년복이냐 1년복이냐 - 예송, 당쟁의 산물인가? |
40 | 10월 29일 | 조선시대 화가는 역사가였다 |
41 | 11월 5일 | 행주대첩, 행주치마의 승리인가? |
42 | 11월 12일 | 조선시대 임금 만들기 |
43 | 11월 19일 | 왕비를 알면 조선이 보인다 |
44 | 11월 26일 | 조선시대 죄와벌 - 곤장은 칠 수 없었다 |
45 | 12월 3일 | 허생이 떼돈 번까닭은? |
46 | 12월 10일 | 세종이 구구단을 외운 까닭은? |
47 | 12월 17일 | 조선기생 전공필수는 다섯과목이었다 |
3. 3. 1997년
wikitable횟수 | 방송 일자 | 제목 |
---|---|---|
48 | 1월 7일 | 토정비결의 숨은 뜻은? |
49 | 2월 4일 | 명주실 진맥 - 조선의사를 다시 본다 |
50 | 2월 11일 | 조선시대 백과사전 - 지동설에서 말관상 보는 법까지 |
51 | 2월 18일 | 최초 공개, 조선시대 육아일기 |
52 | 2월 25일 |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은 언제인가? |
3. 3. 1. 1997년 방영 목록 상세
wikitable횟수 | 방송 일자 | 제목 |
---|---|---|
48 | 1월 7일 | 토정비결의 숨은 뜻은? |
49 | 2월 4일 | 명주실 진맥 - 조선의사를 다시 본다 |
50 | 2월 11일 | 조선시대 백과사전 - 지동설에서 말관상 보는 법까지 |
51 | 2월 18일 | 최초 공개, 조선시대 육아일기 |
52 | 2월 25일 |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은 언제인가? |
4. 평가 및 영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