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제씨는 흉노의 군주인 선우를 배출하는 중심 씨족으로, 흉노 지배 체제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을 가졌다. 연제씨는 선우 외에도 좌현왕, 좌우의 곡려왕 등 주요 관직을 배출했으며, 좌현왕은 황태자의 역할을 수행했다. 흉노는 후계 다툼으로 분열되었고, 남흉노는 허련제씨로 기록되었으나, 한나라와의 혼인 관계를 통해 한족화되어 유씨를 칭하며 한(전조)을 건국했다. 흉노의 선우는 연제씨에 의해 세습되었으며, 여러 분열과 재통합을 거쳐 다양한 선우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제씨 - 독고
    독고는 중국에서 기원하여 한국에서도 사용되는 성씨로, 흉노족에서 유래되었으며 수나라 황후 독고가라를 배출했고, 한국에서는 남원을 본관으로 하는 독고씨가 유서 깊은 가문이다.
연제씨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요
작위흉노 제국의 탱리고도선우
설립자불명
최후 통치자연제호주천
분가-
명칭
한국어연제
중국어 (정체)攣鞮氏
중국어 (간체)挛鞮氏
병음Luándī shì
로마자 표기Luan-di ssi
다른 표기攣鞮
虛連題氏
欒提氏

2. 흉노의 통치 구조

2. 1. 선우의 권력과 역할

2. 2. 연제씨와 흉노 지배 체제

흉노의 군주 호칭은 선우(單于)[10]라고 하며, 중국에서 말하는 황제에 해당한다. 연제씨(攣鞮氏)는 그 선우를 배출하는 흉노의 중심 씨족으로, 가장 세력과 권력을 가진 집단이었다. 연제씨에서는 군주인 선우 외에 좌현왕(투기왕), 좌우의 곡려왕, 좌우의 대장, 좌우의 대도위, 좌우의 대당호, 좌우의 골도후가 선출되었고, 국가의 대부분을 영유하며 국가의 중역을 담당했다. 이 중 좌현왕이 황태자의 역할을 맡았으며, 대개 좌현왕이었던 자가 다음 선우가 되었다. 그러나 부자 상속 또는 형제 상속 여부로 인해 후계 다툼이 자주 일어나 국정을 기울게 하는 일이 있었다. 흉노는 이러한 후계 다툼이 원인이 되어 48년 남북으로 분열되었다.[10] 분열 후, 남흉노의 씨족은 '''허련제씨'''(虛連題氏)로 기록되지만, 이후 남흉노의 조상인 묵돌선우 시대부터 흉노와 종실 사이에 혼인 관계가 있었던 것에 기인하여 한족풍의 유씨를 칭했다. 이로 인해 남흉노의 종실인 연제씨는 점차 한화되어 갔으며, 실제로 유연후한촉한의 후계자를 자칭하며 한(후의 전조)을 건국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허련제씨라는 이름은 완전히 소멸되었고, 이후 유씨로서 오호 십육국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10]

2. 3. 흉노의 주요 관직

3. 흉노의 역대 선우

흉노의 선우는 대대로 연제씨(虛連題氏)에 의해 세습되었다. "선우"라는 군주호가 두만 선우 이전부터 있었던 것인지, 두만 선우부터 칭하게 되었는지, 아니면 묵돌 선우부터 칭하게 되었는지는 불명확하다.

; 통일 시대

연제씨의 통일 시대 군주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두만 선우(재위: ? - 기원전 209년)
  • 묵돌 선우(재위: 기원전 209년 - 기원전 174년)… 두만의 아들
  • 노상 선우(재위: 기원전 174년 - 기원전 161년)… 묵돌의 아들
  • 군신 선우(재위: 기원전 161년 - 기원전 127년)… 노상 선우의 아들
  • 이치사 선우(재위: 기원전 127년 - 기원전 114년)… 노상 선우의 아들
  • 우곡려왕 선우(재위: 기원전 119년)
  • 오유 선우(재위: 기원전 114년 - 기원전 105년)… 이치사의 아들
  • 아 선우(재위: 기원전 105년 - 기원전 102년)… 오유의 아들
  • 구려호 선우(재위: 기원전 102년)… 이치사의 아들, 오유의 동생
  • 차제후 선우(재위: 기원전 102년 - 기원전 96년)… 이치사의 아들, 구려호의 동생
  • 호록고 선우(재위: 기원전 96년 - 기원전 85년)… 차제후의 아들
  • 호연제 선우(재위: 기원전 85년 - 기원전 68년)… 호록고 선우의 아들
  • 허려권거 선우(재위: 기원전 68년 - 기원전 60년)… 호연제 선우의 아들
  • 악연구제 선우(재위: 기원전 60년 - 기원전 58년)… 오유의 증손


; 분열 시대

기원전 58년 호한야 선우가 즉위한 후, 흉노는 여러 선우가 난립하는 분열 시대를 맞이했다. 호한야 선우는 동흉노를 다스렸으며, 그의 형인 질지 선우는 서흉노를 다스렸다.

도기 선우는 악연구제 선우의 종형으로 기원전 58년부터 기원전 56년까지 재위했다. 호게 선우는 호게왕으로 기원전 57년에 잠시 선우 자리에 있었다. 차려 선우는 호록고 선우의 조카로, 기원전 57년부터 기원전 56년까지 재위했다. 오자 선우는 기원전 57년기원전 56년에 걸쳐 잠시 선우 자리에 있었다.

윤진 선우는 도기 선우의 종제로, 기원전 56년부터 기원전 54년까지 재위했다. 이리목 선우는 도기 선우의 아우로, 기원전 49년에 잠시 선우 자리에 있었다.

; 재통일 시대

기원전 31년부터 46년까지 호한야 선우의 아들 6명이 차례로 선우 자리에 올랐다. 이들은 각각 복주루약제 선우(재위: 기원전 31년 - 기원전 20년), 수해약제 선우(재위: 기원전 20년 - 기원전 12년), 차아약제 선우(재위: 기원전 12년 - 기원전 8년), 오주류약제 선우(재위: 기원전 8년 - 13년), 오루약제 선우(재위: 13년 - 18년), 호도이시도고약제 선우(재위: 18년 - 46년)이다. 46년에는 호도이시도고약제 선우의 아들 오달제후가 선우가 되었다.

; 왕망이 책립한 선우

연제씨왕망11년에 걸쳐 책립한 선우들과 연관이 있다. 오루약제 선우와 관련된 인물들로는 순선우(조)와 그의 동생 순선우(등)이 있다. 18년부터 21년까지는 연제씨와 연척 관계에 있던 수복씨 출신의 우골도후인 수복선우(당)이 재위에 있었다.

; 남북 분열 시대

; 북흉노

포노 선우(蒲奴, 재위: 46년 - ?)는 호도이시도고약제 선우의 아들이자 오달제후의 동생이다.

우류 선우(優留, 재위: ? - 87년)가 그 뒤를 이었다.

북선우(명칭 불명)(재위: 88년 - ?)는 우류 선우와 이복 형제이며, 우현왕이었다.

어제견 선우(於除鞬, 재위: 91년 - 93년)는 북선우의 동생이다.

; 남흉노

  • 해락시축후제선우(재위: 48년 - 56년)는 오주류약제선우의 아들이다.
  • 욱건좌현왕선우(재위: 50년)는 북흉노 포노선우의 동생이다.
  • 구부우제선우(재위: 56년 - 57년)는 오주류약제선우의 아들이자 해락시축후제선우의 동생이다.
  • 이벌어려제선우(재위: 57년 - 59년)는 오주류약제선우의 아들이자 구부우제선우의 동생이다.
  • 해동시축후제선우(재위: 59년 - 63년)는 해락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다.
  • 구제거림제선우(재위: 63년)는 구부우제선우의 아들이다.
  • 호야시축후제선우(재위: 63년 - 85년)는 해락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자 해동시축후제선우의 동생이다.
  • 이도어려제선우(재위: 85년 - 88년)는 이벌어려제선우의 아들이다.
  • 휴란시축후제선우(재위: 88년 - 93년)는 해락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다.
  • 안국선우(재위: 93년 - 94년)는 이벌어려제선우의 아들이자 이도어려제선우의 동생이다.
  • 정독시축후제선우(재위: 94년 - 98년)는 해동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다.
  • 봉후(재위: 94년 - 118년)는 휴란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다.
  • 만씨시축후제선우(재위: 98년 - 124년)는 호야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다.
  • 오계후시축제선우(재위: 124년 - 128년)는 호야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자 만씨시축후제선우의 동생이다.
  • 거특약시축취선우(재위: 128년 - 140년)는 호야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자 오계후시축제선우의 동생이다.
  • 차뉴선우(재위: 140년)
  • 호란약시축취선우(재위: 143년 - 147년)
  • 이릉시축취선우(재위: 147년 - 172년)
  • 도특약시축취선우(재위: 172년 - 177년)
  • 호징선우(재위: 178년 - 179년)는 도특약시축취선우의 아들이다.
  • 강거선우(재위: 179년 - 188년)는 일족의 독고부 출신이다.
  • 지지시축후선우(재위: 188년 - 195년)는 강거의 아들이자 유표의 아버지이다.
  • 수복골도후선우(재위: 188년 - 189년)는 수복씨 출신이다.
  • 호주천선우(재위: 195년 - 216년)는 지지시축후선우의 동생이다.

3. 1. 통일 시대

연제씨의 통일 시대 군주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두만 선우(재위: ? - 기원전 209년)
  • 묵돌 선우(재위: 기원전 209년 - 기원전 174년)… 두만의 아들
  • 노상 선우(재위: 기원전 174년 - 기원전 161년)… 묵돌의 아들
  • 군신 선우(재위: 기원전 161년 - 기원전 127년)… 노상 선우의 아들
  • 이치사 선우(재위: 기원전 127년 - 기원전 114년)… 노상 선우의 아들
  • 우곡려왕 선우(재위: 기원전 119년)
  • 오유 선우(재위: 기원전 114년 - 기원전 105년)… 이치사의 아들
  • 아 선우(재위: 기원전 105년 - 기원전 102년)… 오유의 아들
  • 구려호 선우(재위: 기원전 102년)… 이치사의 아들, 오유의 동생
  • 차제후 선우(재위: 기원전 102년 - 기원전 96년)… 이치사의 아들, 구려호의 동생
  • 호록고 선우(재위: 기원전 96년 - 기원전 85년)… 차제후의 아들
  • 호연제 선우(재위: 기원전 85년 - 기원전 68년)… 호록고 선우의 아들
  • 허려권거 선우(재위: 기원전 68년 - 기원전 60년)… 호연제 선우의 아들
  • 악연구제 선우(재위: 기원전 60년 - 기원전 58년)… 오유의 증손

3. 2. 분열 시대

기원전 58년 호한야 선우가 즉위한 후, 흉노는 여러 선우가 난립하는 분열 시대를 맞이했다. 호한야 선우는 동흉노를 다스렸으며, 그의 형인 질지 선우는 서흉노를 다스렸다.

도기 선우는 악연구제 선우의 종형으로 기원전 58년부터 기원전 56년까지 재위했다. 호게 선우는 호게왕으로 기원전 57년에 잠시 선우 자리에 있었다. 차려 선우는 호록고 선우의 조카로, 기원전 57년부터 기원전 56년까지 재위했다. 오자 선우는 기원전 57년과 기원전 56년에 걸쳐 잠시 선우 자리에 있었다.

윤진 선우는 도기 선우의 종제로, 기원전 56년부터 기원전 54년까지 재위했다. 이리목 선우는 도기 선우의 아우로, 기원전 49년에 잠시 선우 자리에 있었다.

3. 3. 재통일 시대

기원전 31년부터 46년까지 호한야선우의 아들 6명이 차례로 선우 자리에 올랐다. 이들은 각각 복주루약제선우(재위: 기원전 31년 - 기원전 20년), 수해약제선우(재위: 기원전 20년 - 기원전 12년), 차아약제선우(재위: 기원전 12년 - 기원전 8년), 오주류약제선우(재위: 기원전 8년 - 13년), 오루약제선우(재위: 13년 - 18년), 호도이시도고약제선우(재위: 18년 - 46년)이다. 46년에는 호도이시도고약제선우의 아들 오달제후가 선우가 되었다.

3. 4. 왕망이 책립한 선우

연제씨는 왕망11년에 걸쳐 책립한 선우들과 연관이 있다. 오루이약제선우와 관련된 인물들로는 순선우(조)와 그의 동생 순선우(등)이 있다. 18년부터 21년까지는 연제씨와 연척 관계에 있던 수복씨 출신의 우골도후인 수복선우(당)이 재위에 있었다.

3. 5. 남북 분열 시대

; 북흉노

포노 선우(蒲奴, 재위: 46년 - ?)는 호도이시도고약제 선우의 아들이자 오달제후의 동생이다.

우류 선우(優留, 재위: ? - 87년)가 그 뒤를 이었다.

북선우(명칭 불명)(재위: 88년 - ?)는 우류 선우와 이복 형제이며, 우현왕이었다.

어제견 선우(於除鞬, 재위: 91년 - 93년)는 북선우의 동생이다.

; 남흉노

  • 해락시축후제선우(재위: 48년 - 56년)는 오주류약제선우의 아들이다.
  • 욱건좌현왕선우(재위: 50년)는 북흉노 포노선우의 동생이다.
  • 구부우제선우(재위: 56년 - 57년)는 오주류약제선우의 아들이자 해락시축후제선우의 동생이다.
  • 이벌어려제선우(재위: 57년 - 59년)는 오주류약제선우의 아들이자 구부우제선우의 동생이다.
  • 해동시축후제선우(재위: 59년 - 63년)는 해락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다.
  • 구제거림제선우(재위: 63년)는 구부우제선우의 아들이다.
  • 호야시축후제선우(재위: 63년 - 85년)는 해락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자 해동시축후제선우의 동생이다.
  • 이도어려제선우(재위: 85년 - 88년)는 이벌어려제선우의 아들이다.
  • 휴란시축후제선우(재위: 88년 - 93년)는 해락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다.
  • 안국선우(재위: 93년 - 94년)는 이벌어려제선우의 아들이자 이도어려제선우의 동생이다.
  • 정독시축후제선우(재위: 94년 - 98년)는 해동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다.
  • 봉후(재위: 94년 - 118년)는 휴란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다.
  • 만씨시축후제선우(재위: 98년 - 124년)는 호야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다.
  • 오계후시축제선우(재위: 124년 - 128년)는 호야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자 만씨시축후제선우의 동생이다.
  • 거특약시축취선우(재위: 128년 - 140년)는 호야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이자 오계후시축제선우의 동생이다.
  • 차뉴선우(재위: 140년)
  • 호란약시축취선우(재위: 143년 - 147년)
  • 이릉시축취선우(재위: 147년 - 172년)
  • 도특약시축취선우(재위: 172년 - 177년)
  • 호징선우(재위: 178년 - 179년)는 도특약시축취선우의 아들이다.
  • 강거선우(재위: 179년 - 188년)는 일족의 독고부 출신이다.
  • 지지시축후선우(재위: 188년 - 195년)는 강거의 아들이자 유표의 아버지이다.
  • 수복골도후선우(재위: 188년 - 189년)는 수복씨 출신이다.
  • 호주천선우(재위: 195년 - 216년)는 지지시축후선우의 동생이다.

3. 5. 1. 북흉노

포노 선우(蒲奴, 재위: 46년 - ?)는 호도이시도고약제 선우의 아들이자 오달제후의 동생이다.

우류 선우(優留, 재위: ? - 87년)가 그 뒤를 이었다.

북선우(명칭 불명)(재위: 88년 - ?)는 우류 선우와 이복 형제이며, 우현왕이었다.

어제견 선우(於除鞬, 재위: 91년 - 93년)는 북선우의 동생이다.

3. 5. 2. 남흉노


  • 해락시축후제선우(48년 - 56년)…오주류약제선우의 아들
  • 욱건좌현왕선우(재위: 50년)… 북흉노 포노선우의 동생
  • 구부우제선우(56년 - 57년)…오주류약제선우의 아들, 해락시축후제선우의 동생
  • 이벌어려제선우(57년 - 59년)…오주류약제선우의 아들, 구부우제선우의 동생
  • 해동시축후제선우(59년 - 63년)…해락시축후제선우의 아들
  • 구제거림제선우(63년)…구부우제선우의 아들
  • 호야시축후제선우(63년 - 85년)…해락시축후제선우의 아들, 해동시축후제선우의 동생
  • 이도어려제선우(85년 - 88년)…이벌어려제선우의 아들
  • 휴란시축후제선우(88년 - 93년)…해락시축후제선우의 아들
  • 안국선우(93년 - 94년)…이벌어려제선우의 아들, 이도어려제선우의 동생
  • 정독시축후제선우(94년 - 98년)…해동시축후제선우의 아들
  • 봉후(94년 - 118년)…휴란시축후제선우의 아들
  • 만씨시축후제선우(98년 - 124년)…호야시축후제선우의 아들
  • 오계후시축제선우(124년 - 128년)…호야시축후제선우의 아들, 만씨시축후제선우의 동생
  • 거특약시축취선우(128년 - 140년)…호야시축후제선우의 아들, 오계후시축제선우의 동생
  • 차뉴선우(140년)
  • 호란약시축취선우(143년 - 147년)
  • 이릉시축취선우(147년 - 172년)
  • 도특약시축취선우(재위: 172년 - 177년)
  • 호징선우(178년 - 179년)…도특약시축취선우의 아들
  • 강거선우(179년 - 188년)…일족의 독고부 출신
  • 지지시축후선우(188년 - 195년)…강거의 아들, 유표의 아버지
  • 수복골도후선우(재위: 188년 - 189년)…수복씨 출신
  • 호주천선우(195년 - 216년)…지지시축후선우의 동생

4. 흉노와 한나라의 관계

4. 1. 초기 흉노와 한의 관계

4. 2. 한무제의 흉노 정벌

4. 3. 흉노의 분열과 한나라로의 복속

5. 흉노의 후예

5. 1. 남흉노의 한화와 전조 건국

5. 2. 흉노의 유산과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Hanshu http://ctext.org/dic[...]
[2] 웹사이트 Hou Hanshu http://ctext.org/dic[...]
[3] 웹사이트 About the names of Chanyu family and branch tribes of Xiongnu https://www.research[...]
[4] 간행물 Name and Origin of Xueyantuo Tribe 2010
[5] 웹사이트 舊唐書/卷199下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https://zh.wikisourc[...] 2022-09-28
[6] 문서 “Early contacts of Turks and problems of Proto-Turkic reconstruction” https://kpfu.ru/port[...] 2014
[7] 서적 Materials on Sünnu history Science 1968
[8] 서적 Linguistic Mysteries of Ethnonyms in Inner Asia Lexington Books 2018
[9] 서적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peoples in Central Asia in ancient times"' 1851
[10] 문서 単于の正式名称は“撐犁孤塗單于”(とうりことぜんう)といい、匈奴語で“撐犁”は“[[天]]”、“孤塗”は“子”、“単于”は“広大なる姿”を意味す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