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돌선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묵돌선우는 흉노의 지도자로, 기원전 209년 아버지 두만 선우를 몰아내고 선우의 자리에 오른 인물이다. 그는 명적(鳴鏑) 훈련을 통해 군사적 역량을 강화하고, 동호, 월지 등을 정복하여 흉노 제국의 기반을 다졌다. 묵돌은 한나라와의 백등산 전투에서 유방을 포위하는 등 흉노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흉노는 그의 통치 아래 강력한 유목 국가로 성장했다. 그는 흉노 제국을 건설하고 영토를 확장하여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튀르크 문화권에서는 메테 칸으로 칭송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74년 사망 - 유장 (회남여왕)
유장은 전한 고조와 조희 사이에서 태어나 여후의 손에 자랐으며, 뛰어난 완력과 오만함으로 문제를 겪다 반란 혐의로 유배 중 자결한 회남여왕이다. - 기원전 234년 출생 - 대 카토
대 카토는 로마 공화정 시대의 정치가, 군인, 작가로서, 전통적 가치를 옹호하며 헬레니즘 문화에 맞섰고, 제2차 포에니 전쟁 참전, 주요 공직 역임, 역사 및 농업 저술 활동을 통해 로마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카르타고는 멸망해야 한다"라는 발언으로도 유명하다. - 흉노의 선우 - 호한야선우
호한야선우는 흉노의 선우로서, 흉노 분열기에 한나라에 귀순하여 지원을 받아 흉노를 통일하고 한나라와의 우호 관계를 통해 흉노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 흉노의 선우 - 어부라
어부라는 후한 말 남흉노의 선우로, 흉노족 내분으로 낙양에 망명하여 용병으로 활동하다 195년 사망했으며, 그의 손자 유연은 한조를 건국했다.
묵돌선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모돈 |
칭호 | 선우 |
다른 이름 | 묵특 묵특선우 |
로마자 표기 | Maodun Chanyu |
통치 기간 | |
재위 기간 | 기원전 209년 - 기원전 174년 |
즉위 | 기원전 209년 |
이전 통치자 | 두만 |
후임 통치자 | 노상 |
생애 | |
출생일 | 기원전 234년경 |
사망일 | 기원전 174년 (59-60세) |
출생지 | 현재의 몽골 지역 |
사망 장소 | 알려지지 않음 |
가문 | |
왕조 | 연제씨 |
씨족 | 연제 |
아버지 | 두만 |
자녀 | 노상선우 |
흉노 제국 | |
지위 | 흉노 제국의 선우 |
중국어 표기 | |
한자 (정체) | 冒頓單于 |
한자 (간체) | 冒顿单于 |
병음 | Màodùn (Mòdú) Chányú |
고대 중국어 | *mauH-tuǝnH |
대안 | 사마천의 독법 묵돈 |
송기의 독법 | 묵독 |
몽골어 표기 | |
음역 | Modun Šan’juj |
2. 선우가 되기까지
묵돌은 아버지 두만 선우를 몰아내고 권력을 잡았다. 그는 소리나는 화살인 명적(鳴鏑)을 이용하여 부하들을 훈련시켰다. 자신이 활을 쏘는 표적을 향해 부하들도 모두 활을 쏘게 하였고, 이를 따르지 않는 자는 가차없이 처형했다. 자신의 명마와 아내를 쏘는 등 가혹한 시험을 통해 부하들의 절대적인 충성심을 확보했다.[8]
기원전 209년, 묵돌은 사냥터에서 아버지 두만 선우를 향해 활을 쏘았다. 부하들 또한 일제히 두만을 향해 활을 쏘았고, 묵돌은 선우가 되었다.[7]
2. 1. 출생과 초기 생애
묵돌은 두만 선우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진나라의 진시황이 만리장성을 쌓고 몽염에게 북방 수비를 맡겨 흉노에 대비하게 하였다. 진시황 사후 몽염이 권력 다툼으로 죽자, 두만 선우는 오르도스 지역을 회복하고 다시 이 일대를 누볐다.두만에게는 후궁이 낳은 어린 아들이 있었는데, 두만은 묵돌 대신 이 아들에게 뒤를 잇게 하기 위해 묵돌을 월지에 인질로 보냈다. 그리고 월지와 전쟁을 일으켜 묵돌을 죽이려 했다. 하지만 묵돌은 월지에게 살해당하지 않고, 오히려 월지의 명마를 훔쳐 흉노로 도망쳐 왔다. 이에 두만은 묵돌에게 좌현왕 작위를 내리고 1만 명의 기병 대장으로 삼았다. '용감한 자'라는 뜻을 가진 그의 이름도 이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7]
사마천의 기록에 따르면, 묵돌은 재능 있는 아이였지만, 두만 선우는 다른 첩의 아들이 후계자가 되기를 원했다.[7] 두만은 묵돌을 제거하기 위해 어린 묵돌을 월지에 인질로 보냈고, 보복으로 묵돌을 죽이도록 월지를 공격했다.[7] 묵돌은 빠른 말을 훔쳐 흉노로 돌아왔고, 흉노는 그를 영웅으로 환영했다.[7]
하지만 묵돌의 지위는 안정적이지 않았다. 이에 묵돌은 반란을 도모하였다. 묵돌은 소리나는 화살인 명적(鳴鏑)을 가지고 자신의 휘하에 있는 1만 기병을 훈련시켰다. 그는 자신이 어떤 표적을 향해 활을 쏘면 모두가 그 표적을 향해 활을 쏴야 한다고 가르쳤으며, 이를 어기고 쏘지 않는 자는 반드시 목을 베었다. 묵돌은 부하들의 충성심을 확인하기 위해 자신이 가장 아끼는 말, 자신이 가장 아끼는 부인을 쏘라고 명령했고, 주저하는 자들을 처형했다.[8]
2. 2. 권력 장악
묵돌은 진나라의 진시황이 죽고 몽염이 권력 다툼으로 죽은 뒤, 아버지 두만 선우가 오르도스 지역을 회복하면서 흉노의 유력한 후계자가 되었다. 그러나 두만은 후궁의 어린 아들을 후계자로 삼기 위해 묵돌을 월지에 인질로 보낸 후 월지를 공격했다. 묵돌은 월지에서 명마를 훔쳐 흉노로 도망쳤고, 두만은 묵돌에게 좌현왕 작위와 1만 기병의 대장 자리를 주었다.[7]묵돌의 지위는 불안정했기에, 묵돌은 반란을 계획하고 소리나는 화살인 명적(鳴鏑)을 이용해 부하들을 훈련시켰다. 그는 자신이 쏜 표적을 향해 부하들이 모두 활을 쏘게 했고, 따르지 않는 자는 처형했다. 자신의 명마와 애첩을 쏘는 시험을 통해 부하들의 충성심을 확인했다.[8]
기원전 209년, 묵돌은 사냥터에서 아버지 두만 선우를 향해 활을 쏘았고, 부하들도 일제히 두만을 향해 활을 쏘았다. 묵돌은 두만을 대신해 선우 자리에 올랐다.[7] 사마천의 기록에 따르면, 묵돌은 재능 있는 아이였지만, 두만 선우는 다른 첩의 아들을 후계자로 원했다.[7]
선우가 된 묵돌은 이복 동생, 계모, 자신을 지지하지 않는 흉노 관료들을 처형하며 권력을 강화했다.[7] 그는 사병들을 훈련시켜 "내가 우화살을 쏘면 즉시 같은 방향으로 화살을 쏘아라"라고 명령했고, 이를 어긴 자들은 모두 처형했다. 애마와 애첩을 쏘는 시험을 통과한 부하들을 통해 충성심을 확인한 후, 사냥에서 두만을 활로 쏘아 죽이고, 계모와 이복 동생 및 그 측근들을 모두 제거한 뒤 기원전 209년에 선우로 즉위했다.
3. 흉노 제국의 건설
묵돌은 동호를 격파하고 월지를 정복하는 등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흉노 제국을 건설하였다.
묵돌은 동호를 멸망시킨 후 서쪽의 월지를 정복하고, 남쪽으로는 누번과 백양을 병합하여 한나라와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기원전 202년, 한나라 고조 유방은 중국을 통일한 후 흉노를 견제하려 했으나, 한왕 신이 흉노에 투항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묵돌은 한왕 신의 도움을 받아 한나라를 공격했고, 백등산 포위전에서 한 고조를 포위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한나라는 흉노와 화친 조약을 맺고 매년 공물을 바치게 되었다.
기원전 176년, 묵돌은 효문제에게 편지를 보내 월지를 토벌하고 누란, 오손, 호게 등 26개국을 병합하여 북방을 통일했음을 알렸다.[34]
3. 1. 주변 정복
예로부터 흉노의 동쪽에는 동호가 있었다. 묵돌이 왕위에 오른 후, 동호는 견제를 시작했다. 동호의 왕은 묵돌에게 사신을 보내 흉노의 보물인 천리마를 요구했다. 일부 신하들이 반대했지만, 묵돌은 천리마를 선물로 주었다. 다시 동호의 왕은 묵돌의 애첩을 요구했고, 많은 신하들이 반대했지만 묵돌은 애첩을 선물로 주었다. 또다시 동호왕은 양국 경계에 있는 구탈지[32]를 요구했다. 한 신하가 "구탈지는 버려진 땅이니 주어도 좋고 주지 않아도 좋다"라고 했지만, 묵돌은 "토지는 국가의 근본이다. 어떻게 이를 줄 수 있겠느냐!"고 하며 동호를 공격해 크게 무찌르고 왕을 죽였다.동쪽의 동호를 무찌른 묵돌은 서쪽의 월지도 정복하고, 남쪽으로 한나라와의 경계 지대에 있는 누번과 백양을 병합하여 한나라와 맞서게 되었다. 묵돌 선우는 북쪽의 정령 등 다른 민족들을 굴복시키고, 기원전 203년에 월지를 격파했다.[8] 이러한 정복 이후 모든 흉노의 군주들은 그에게 복종했다.
이러한 승리로 묵돌은 중요한 무역로를 장악하여 흉노에게 막대한 수입을 제공했다.[8]

3. 2. 한나라와의 전쟁
기원전 202년, 한나라 고조 유방은 진나라 붕괴 이후 혼란스럽던 중국을 통일하였다. 고조는 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측근인 한왕 신을 북방에 배치하고 흉노 토벌을 명했으나, 한왕 신은 흉노와 화평을 시도했다. 고조가 이를 책망하자 한왕 신은 흉노로 투항해 버렸다.[33]한왕 신이 투항하자 묵돌은 그의 인도를 받아 대(代)의 땅을 공격해 산서성 동쪽의 평성에 이르렀다. 한 고조는 군대를 이끌고 평성까지 북상했으나, 묵돌은 한나라 군대를 백등산에서 7일간 포위하였다(백등산 포위전). 고조는 묵돌의 연지(선우의 왕비)에게 선물을 주어 포위를 풀고 장안으로 도망쳤다.[33]
이후 고조는 유경을 보내 다음 사항을 약속하였다.[33]
# 한 황실의 여인을 선우의 연지로 바친다.
# 매년 한은 흉노에게 솜, 비단, 술, 쌀 등을 바친다.
# 황제와 선우와의 사이에 형제의 맹약을 맺어 화친한다.
백등산 전투는 기원전 200년에 발발했다. 한나라의 한왕 신은 삭방군의 마읍에서 흉노에게 항복하고 한나라 영토를 침략하는 데 가담했다. 한 고조는 군대를 이끌고 그들을 공격하여 여러 차례 격파한 후 흉노를 후퇴시켰다. 이후 신은 조리를 조왕으로 세우고 고조를 상대로 남쪽으로 진격했으나 패배했다. 흉노가 자신의 제후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깨달은 고조는 32만 대군을 이끌고 북쪽으로 진격하여 그들과 맞섰다. 그러나 그의 군대는 추위를 막을 옷과 보급품 부족으로 고통받았고, 고조는 그들을 뒤에 남겨두고 4만 명의 병력만 이끌고 평성현으로 진격했다. 묵돌 선우는 기회를 틈타 4만 기병으로 도시를 포위하여 황제를 나머지 군대와 격리시켰다. 사마천은 그의 후궁이 황제를 탈출하도록 설득했다고 시사한다. 그러나 신의 보병이 제 시간에 도착하지 못했기 때문에 장기간의 포위 공격은 어쨌든 비현실적이었을 것이다. 선우의 얇아진 대열을 본 고조는 출격하여 포위를 뚫었다. 한나라의 지원군이 도착하자 흉노는 철수했다. 흉노에게 포로로 잡힐 뻔한 고조는 유목 민족인 적과 평화를 맺도록 설득당했다. 그는 "공주"를 선우에게 보내고(''화친'', 혼인 동맹) 비단, 술, 식량을 제공했다. 선우는 제안을 받아들여 고조 재위 기간 동안 소규모 약탈만 감행했다. 한나라는 황제의 딸을 보내는 것을 피하기 위해 흉노와 화친 혼인 동맹을 맺을 때마다 여러 번 "공주"로 잘못 표기된 무관한 평민 여성과 한나라 황실 가족 구성원을 보냈다.[7][9][10][11][12][13][14]
한왕 신 이후에도 노관이 유방을 배신하고 흉노로 들어간 바 있다.[33]
이후 한 고조가 죽고, 효혜제가 즉위하였다. 묵돌은 고조의 황후인 여태후에게 "나도 독신이고 그대도 독신이니 잘해보자"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여태후는 크게 노하여 흉노를 토벌하고자 하였으나, 주변에서 모두 고조의 예를 들어 만류하여 토벌을 취소하였다.[33]
3. 3. 월지 정벌과 제국 확장
기원전 176년 효문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묵돌은 우현왕에게 벌을 주어 서쪽의 월지를 토벌하게 하였다고 알렸다. 묵돌은 누란, 오손, 호게 및 그 인접 26개 국을 평정하여 흉노에 병합하였으며,[34] 이로서 유목민족은 하나로 통합되었고 북쪽 지방은 안정되었다고 전했다. 이후 월지는 대월지와 소월지로 나뉘었다.묵돌 선우는 적극적으로 영토를 보호하고 확장했다. 동쪽 이웃인 동호가 사람이 살지 않는 땅을 점령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자, 묵돌 선우는 그들을 공격했다. 기원전 208년까지 동호는 패배했고 그 잔당은 선비와 오환 부족으로 갈라졌다. 묵돌 선우는 북쪽의 정령과 다른 민족들을 굴복시키고, 기원전 203년에 월지를 격파하여, 흉노의 군주들은 그에게 복종했다.[8] 이러한 승리로 흉노는 중요한 무역로를 장악하여 막대한 수입을 얻게 되었다.
4. 죽음과 유산
기원전 176년 (효문제 시대), 묵돌과 효문제가 편지를 교환한 지 얼마 못 되어 묵돌은 죽고, 아들인 계육이 즉위하여 노상 선우라 칭하였다.
크리스토퍼 I. 베크위스는 어린 묵돌의 이야기가 어린 영웅이 버려지고, 퀘스트를 수행하며,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동료 집단을 얻고, 고국으로 돌아와 강력한 인물을 처치하고 왕이 되는 광범위한 민담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20]
묵돌의 이름은 오구즈 카간, 오구즈 튀르크의 전설적인 조상과 연관되어 왔다. 그 이유는 투르크-페르시아 전통(라시드 알 딘 하마디, 후세이니 이스파하니, 아부 알 가지 바하두르)의 오구즈 카간 전기가 중국 자료에 나오는 묵돌 전기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며(부자간의 갈등과 전자의 살해, 정복의 방향과 순서 등), 이는 야킨트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다.[21][22]
묵돌은 여러 튀르크어족에서 '''메테 칸'''(특히, 튀르키예어에서는 ''Mete Han'')으로도 알려져 있다.[26][27]
튀르키예 육군은 그의 통치 시작을 상징적인 창설일로 보고 있으며, 기원전 209년으로 주장한다.[28]
묵돌이 죽은 후에도 흉노는 동아시아 최대의 국가로 군림했지만, 전한 왕조가 안정되어 국가가 부유하게 되자, 경제제의 뒤를 이은 전한 7대 무제는, 묵돌이 가져온 흉노에 의한 전한에 대한 굴욕적인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대규모 대 흉노 전쟁을 시작했다. 잠시 일진일퇴가 계속되었지만, 전한의 위청과 곽거병이 흉노에게 대승을 거두었고, 결국 흉노는 더욱 깊은 곳으로 쫓겨나 약 60년 동안 이어진 융성도 막을 내렸다.
다만 그때까지 부족 단위의 약탈과 목축이 산업이었던 유목민에게, 국가라는 개념과 제국형 사회 시스템을 뿌리내리게 한 것은 매우 커서, 훗날의 몽골 제국(원)으로 이어지게 된다.
5. 평가
니콜라 디 코스모는 진나라가 오르도스 고원(황하가 굽이치는 지역)을 침략했을 때 흉노 연맹이 지도력 위기를 겪고 있었다고 설명한다. 묵돌은 진나라의 침략에 맞서 흉노의 군사화를 이끌었고, 중앙 집권화된 정치 구조를 만들어 제국을 세웠다. 묵돌의 성공에는 진나라의 빠른 멸망과 한나라 초기 한나라 왕 신과 같이 흉노와 손을 잡고 한나라를 공격할 가능성이 있는 독립적인 "왕국"들이 세워진 상황도 영향을 주었다. 한나라의 약한 국력은 묵돌과 그 후계자들이 귀족들에게 사치품과 주요 물품을 꾸준히 조공받을 수 있게 하였으며, 이러한 조공이 없었다면 흉노는 세력을 넓히고 유지하기 어려웠을 것이다.[19]
5. 1. 긍정적 평가
니콜라 디 코스모는 사건의 순서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진나라가 오르도스 고원(황하가 굽이치는 지역)을 침략한 사건은 흉노 연맹 내부의 지도력 위기와 동시에 일어났다. 묵돌은 진나라의 침략에 대응하여 흉노의 군사화 과정을 통해 제국을 가능하게 하는 새롭게 중앙 집권화된 정치 구조를 훌륭하게 만들었다. 그는 진나라가 급속히 멸망하고, 한나라가 처음에는 한나라 왕 신과 같이 흉노와 동맹을 맺어 한나라를 공격할 가능성이 높은 독립적인 "왕국"을 세웠다는 사실 덕분에 성공했다. 한나라의 약세는 묵돌과 그의 후계자들에게 귀족을 지원하는 사치품과 주요 물품의 꾸준한 공물을 제공했음을 의미했다. 그 공물이 없었다면 흉노는 통제를 확대하고 유지할 수 없었을 것이다.[19]5. 2. 부정적 평가
니콜라 디 코스모는 사건의 순서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오르도스 고원(황하가 굽이치는 지역)에 대한 진나라의 침략은 느슨한 흉노 연맹 내부의 지도력 위기와 동시에 일어났다. 묵돌은 진나라의 침략에 대응하여 흉노의 군사화 과정을 이용, 제국을 가능하게 하는 새롭게 중앙 집권화된 정치 구조를 훌륭하게 만들었다. 그는 진나라의 급속한 멸망과 한나라가 처음에는 한나라 왕 신과 같이 흉노와 동맹을 맺어 한나라를 공격할 가능성이 더 높은 독립적인 "왕국"을 세웠다는 사실에 힘입어 성공했다. 한나라의 약세는 묵돌과 그의 후계자들에게 귀족을 지원하는 사치품과 주요 물품의 꾸준한 공물을 제공했음을 의미했다. 그 공물이 없었다면 흉노는 통제를 확대하고 유지할 수 없었을 것이다.[19]6. 이름
그의 이름은 후한 시대 중국어로 *mǝk-tuən|묵두언중국어으로 재구성되었으며[3], 중세 중국어로는 mək-twən|묵두언중국어으로 재구성되었다.[4] 이 이름의 상고 중국어 발음은 이후에 증명된 중앙 유라시아 문화어 ''baɣatur''(영웅)의 친척인 외래어 ''*baɣtur''의 발음을 나타냈을 수 있다.[4] 제라드 클로슨에 따르면, 중국어로 외래어 ''-r''에 대해 ''-n''으로 표기된 ''bağatur''는 원래 거의 확실히 "흉노어" (흉노) 고유 명사였다.[5]
그의 이름은 또한 mək-tuən|묵두언중국어(; 사마정의 ''사기'' 주석에 따름)와 mək-duok|묵독중국어(; 송기의 ''한서'' 주석에 따름)으로 읽혔는데, 후자는 풀리블랭크(1999)에 따르면 음운론적으로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고 한다.[6]
7. 대중 문화
크리스토퍼 I. 베크위스는 어린 묵돌의 이야기가 어린 영웅이 버려지고, 퀘스트를 수행하며,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동료 집단을 얻고, 고국으로 돌아와 강력한 인물을 처치하고 왕이 되는 광범위한 민담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20]
묵돌의 이름은 오구즈 튀르크의 전설적인 조상인 오구즈 카간과 연관되어 왔다. 그 이유는 투르크-페르시아 전통(라시드 알 딘 하마디, 후세이니 이스파하니, 아부 알 가지 바하두르)의 오구즈 카간 전기가 중국 자료에 나오는 묵돌 전기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며(부자간의 갈등과 전자의 살해, 정복의 방향과 순서 등), 이는 야킨트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다.[21][22]
또 다른 추측은 묵돌의 이름을 헝가리인의 왕족 부족인 ''마자르''와 현재는 사라진 그들의 먼 친척인 마토르어와 연결한다.[23] 묵돌은 불가리아 칸 명부에 언급된 '''비흐툰'''이라는 이름과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그의 이름 冒頓(*mək-tuən)의 고대 중국어 발음과 일치하며, 그의 씨족 둘로는 흉노 지배 가문인 屠各 ''Tuge''(고대 중국어로 ''d'o-klâk'')와 일치한다.[24] 그의 이름이 요하네스 드 투로크의 ''크로니카 헝가로룸''에서 아틸라의 조상으로 베스투르로 나타난다는 주장이 있다.[25]
참조
[1]
웹사이트
Account of the Xiongnu A
https://ctext.org/ha[...]
Hanshu
[2]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nemies: the Rise of Nomadic Power in East Asian History
Cambridge UP
2002
[3]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Old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4]
서적
2009
[5]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e-Thirteenth-Century Turkish
[6]
간행물
The Peoples of the Steppe Frontier in Early Chinese Sources
https://hrcak.srce.h[...]
Migracijske teme
1999
[7]
서적
The Perilous Frontier
Basil Blackwell
[8]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nemies: The Rise of Nomadic Power in East A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10]
서적
Chinese Just War Ethics: Origin, Development, and Dissent
Routledge
2015
[11]
서적
Historical Records 史记: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Biographical General History Book in China
https://books.google[...]
DeepLogic
2019
[12]
서적
Savage Exchange: Han Imperialism, Chinese Literary Style, and the Economic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20
[13]
서적
Savage Exchange: Figuring the Foreign in the Early Han Dynas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5
[14]
서적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https://books.google[...]
X libris Corporation
2013
[15]
텍스트
[16]
텍스트
[17]
텍스트
[18]
텍스트
[19]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nemies: The Rise of Nomadic Power in East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Empires of the Silk Road
2009
[21]
서적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peoples in Central Asia in ancient times
[22]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Sünnu"
1968
[23]
서적
Die Matorische Sprache
Studia Uralo-Altaica
1997
[24]
서적
Die bulgarische Fürstenliste und die Sprache der Protobulgaren
https://books.google[...]
O. Harrassowitz
1955
[25]
웹사이트
Die Ahnentafel Attila's nach Johannes von Thurócz
http://www.mathnet.r[...]
Bulletin de l'Académie Impériale des Sciences de St.-Pétersbourg.
2016-12-29
[26]
서적
History of the Turkic Huns
Berikan Yayinevi
2012
[27]
서적
Asian Hunnic Empire
Komen Yayinlari
2012
[28]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Turkish Armed Forces
https://www.tsk.tr/S[...]
Republic of Turkey,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General Staff
[29]
웹사이트
Monument of Turkishness
http://www.kayseripi[...]
[30]
뉴스
The monument of Turkishness was opened to visitors (in Turkish)
https://www.turkgun.[...]
2020-09-02
[31]
서적
[32]
텍스트
[33]
텍스트
[34]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