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국의 대일 선전포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의 대일 선전포고는 1941년 12월 8일, 일본이 사전 경고 없이 영국령 말라야, 싱가포르, 홍콩을 공격하자 이루어졌다. 영국은 미국보다 먼저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으며, 윈스턴 처칠 수상은 주일 영국 대사에게 일본 정부에 전쟁 상태임을 통보하도록 지시했다. 처칠은 일본의 공격을 국제법 위반으로 규정하고, 주영국 일본 대사에게 전달할 서한을 작성했다. 영국은 의회의 동의 없이 전쟁을 선포할 수 있는 헌법적 전통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전포고 - 일본의 대미영 선전포고
    일본의 대미영 선전포고는 1941년 12월 8일 일본 천황의 조서를 통해 발표되었으며, 미국과 영국에 전쟁을 선포하고 동아시아 안정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아시아 침략을 정당화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 선전포고 - 미국의 대일 선전포고
    미국의 대일 선전포고는 1941년 12월 8일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일본의 진주만 공격에 대응하여 의회에 선전포고를 요청하여 이루어졌으며, 의회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가결되어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41년 영국 - 영국 본토 항공전
    영국 본토 항공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이 영국 본토 상륙 작전을 위해 1940년 7월부터 10월까지 영국 공군 부대 섬멸을 목표로 벌인 공중전으로, 영국은 더우딩 시스템을 통해 맞서 싸워 독일의 침공 계획을 좌절시키고 연합군의 반격 발판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 1941년 영국 - 일본의 대미영 선전포고
    일본의 대미영 선전포고는 1941년 12월 8일 일본 천황의 조서를 통해 발표되었으며, 미국과 영국에 전쟁을 선포하고 동아시아 안정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아시아 침략을 정당화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 1941년 군사사 - 제2차 세계 대전 연표 (1941년)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연표는 유럽, 북아프리카 전선 전투, 독소전쟁 시작, 미국의 참전 등 전황에 큰 영향을 미친 주요 사건들을 시간 순서대로 기록한 것이며, 특히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미국이 참전하면서 전쟁이 전 세계적인 규모로 확대되었다.
  • 1941년 군사사 - 필리핀 전역 (1941년~1942년)
    필리핀 전역 (1941년~1942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필리핀을 침공하여 점령한 일련의 전투로, 미국 극동 육군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이 승리하여 필리핀을 점령하고 만행을 저지른 사건이다.
영국의 대일 선전포고
선전포고 정보
사건명영국의 대일 선전 포고
날짜1941년 12월 8일
장소영국
원인진주만 공격
관련 전쟁제2차 세계 대전
교전국영국
일본 제국
영국의 수반윈스턴 처칠
선언 내용
선언 시점일본의 미국과 영국에 대한 공격 이후
선언 이유일본의 무력 침공에 대한 대응
선언 방식하원 연설을 통해 발표
선언 이후
즉각적인 영향영국령의 즉각적인 참전
군사적 영향싱가포르 등 태평양 전역에서의 전투 시작
정치적 영향대일 전선 형성 및 연합국 강화

2. 배경

1939년 9월, 영국은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에 따라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3] 일본 제국은 1936년 독일과 방공 협정을 체결하고, 1940년에는 독일-이탈리아-일본 삼국 동맹을 맺으며 추축국 진영에 가담했다.[7] 일본은 중일 전쟁을 일으켜 중화민국을 침략하면서 미국, 영국 등 연합국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과의 협상을 통해 일본이 미국을 공격할 경우 즉각 선전포고를 할 것을 약속했다.[3][7]

3. 결정 및 통보

1941년 12월 7일 저녁(현지 시각), 영국 정부는 일본군이 선전포고나 조건부 선전포고 최후통첩과 같은 사전 경고 없이 말라야 해안 상륙을 시도하고 싱가포르, 홍콩을 폭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10] 윈스턴 처칠 수상은 이 소식을 접하고 루스벨트 대통령미국 의회에 대일 선전포고를 요청하는 절차를 밟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영국 외무 장관 앤서니 이든은 독소전으로 나치 독일을 공동의 적으로 싸우게 된 소련의 수도 모스크바로 이동 중이었기 때문에, 처칠이 외무를 겸임하고 있었다.[6]

처칠은 주일 영국 대사에게 일본 제국 정부에 양국 간 전쟁 상태가 존재함을 통보하도록 지시했다.[10] 또한 주영 일본 대사에게 전달할 서한을 작성했는데, 이 서한에서 처칠은 일본의 행위를 "국제법, 특히 일본과 영국이 모두 서명한 적대행위 개시에 관한 제3차 헤이그 협약 제1조를 노골적으로 위반한 명분 없는 공격"이라고 규정했다.[10]

처칠은 훗날 이 서한에 대해 "어떤 사람들은 이 의례적인 방식을 좋아하지 않았다. 하지만 결국 사람을 죽여야 할 때 예의를 갖추는 데는 아무런 비용이 들지 않는다."라고 회고했다.[2][6]

영국은 미국보다 9시간 먼저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다.[3][7] 이는 일본이 말라야, 싱가포르, 홍콩을 공격했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영국은 미국과 달리 전쟁 선포에 의회의 동의를 받을 필요가 없는 헌법적 전통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영국 내각은 의회와 상의 없이 전쟁을 선포할 수 있었고, 따라서 더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었다.[3][7]

4. 처칠의 서한

윈스턴 처칠 수상이 주영국 일본 대사에게 보낸 서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4][8]

12월 7일 저녁, 영국 국왕 폐하 정부는 일본군이 선전포고나 조건부 선전포고가 담긴 최후통첩 없이 사전 경고 없이 말라야 해안에 상륙을 시도하고 싱가포르홍콩을 폭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4][8]

이는 국제법, 특히 일본과 영국 모두가 당사국인 제3차 헤이그 협약 제1조를 명백히 위반한 무자비하고 부당한 침략 행위였다.[4][8] 따라서 도쿄 주재 영국 대사는 영국 국왕 폐하 정부를 대신하여 일본 제국 정부에 영국과 일본 두 나라 사이에 전쟁 상태가 존재함을 알리도록 지시받았다.[4][8]

4. 1. 한국의 관점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2] 서적 The Second World War, Vol. 3: The Grand Alliance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Company 1950
[3] 간행물 The U.S. At War, The Last Stage https://web.archive.[...] Time 1941-12-15
[4] 웹사이트 PRIME MINISTER'S DECLARATION. https://api.parliame[...] 1941-12-08
[5] 서적
[6] 간행물 LIFE magazine https://books.google[...] 1954-09-27
[7] 간행물 The U.S. At War, The Last Stage https://web.archive.[...] Time 1941-12-15
[8] 뉴스 Official Report, House of Commons, 8 December 1941, 5th series, vol. 376, cols 1358–1359 https://api.parliame[...] 1941-12-08
[9] 간행물 The U.S. At War, The Last Stage https://web.archive.[...] 타임 1941-12-15
[10] 뉴스 Official Report, House of Commons, 8 December 1941, 5th series, vol. 376, cols 1358–1359 http://hansard.millb[...] 1941-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