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도스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르도스 문화는 기원전 6세기부터 서기 100년까지 오르도스 지역에서 번성한 유목 문화를 지칭한다. 이 문화는 '오르도스 청동'으로 대표되는 독특한 유물과 동물 문양 장식, 스키타이 예술과의 연관성, 흉노와의 관계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오르도스인들은 유라시아 스텝의 동쪽에 위치한 이란 민족으로 추정되며, 고고학적 증거는 백인종 특징을 나타낸다. 기원전 2세기부터 흉노의 지배를 받았으며, 한나라와의 전쟁을 통해 중국 역사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지 - 양주의 난
양주의 난은 184년 부패한 한나라에 저항하여 강족 세력이 양주에서 일으킨 반란으로, 한나라의 통치력 약화와 삼국 시대 도래의 계기가 되었다. - 인도유럽 고고문화 - 얌나야 문화
얌나야 문화는 기원전 3300년에서 2500년 사이에 폰토-카스피 스텝 지역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 문화로, 유목 생활을 하며 쿠르간 매장 방식을 특징으로 하고, 인도유럽어족의 확산과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 - 사카 - 파지리크 문화
파지리크 문화는 기원전 6세기부터 3세기까지 알타이 산맥 일대에서 번성한 유목 문화로, 동결된 매장지에서 다양한 유물과 함께 동아시아, 서방 스텝 유목민 등의 혼합된 유전적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사카 - 틸리아 테페
틸리아 테페는 기원전 1세기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무덤 유적으로, 헬레니즘, 스키타이, 인도,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은 다양한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며, 1990년대 분실되었다가 2003년 재발견되어 전시되었다.
오르도스 문화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오르도스 청동기 문화 |
시대 | 후기 신석기 시대 ~ 초기 청동기 시대 |
존속 기간 | 기원전 800년경 – 기원전 150년 |
주요 유적지 | 시마오 유적 |
이전 문화 | 주카이거우 문화 시마오 문화 쓰와 문화 시차 문화 |
이후 문화 | 한나라 |
지리 | |
위치 | 오르도스 고원 |
역사 | |
기원 | 신석기 시대 후기 |
시기 |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2세기 |
특징 | |
유물 | 동물 장식 청동기, 단검, 도끼, 칼, 장신구 |
경제 | 유목 생활, 청동기 제작 |
인종 | 스키타이 계통 |
관련 주장 | |
관련 가설 | 흉노-예니세이어족 가설과 관련 |
2. 역사적 배경
오르도스 고원은 풀, 덤불, 나무가 우거져 있었고, 강과 시내가 풍부하여 아시아 대초원에서 가장 좋은 목초지였다.[9][10]
기원전 6세기에서 2세기 사이, 북서부의 기마 유목민들이 이전에 주가구 문화와 스마오 문화가 있던 오르도스 지역을 점령했다가 흉노에게 쫓겨났다.[11] 일부 학자들은 이 기마 전술을 사용하는 유목민들이 중앙아시아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시기와 비슷한 기원전 4세기에 도착했다고 추정한다.[12] 이들은 간쑤 회랑을 통해 중앙아시아와 남부 시베리아에서 여러 차례 이동한 후 오르도스 지역에 정착했으며, 이 과정에서 월지와 교류했을 수 있다.[35]
이 시기는 전국 시대 동안 중국 조나라에 기마 전술이 도입된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중국인들은 이들을 '후'(胡, "유목민") 또는 '동호'(東胡 "동쪽 유목민")와 '림호'(林胡 "숲 유목민")라고 불렀다.[13][14]
2. 1. 초기 유목민과 흉노의 등장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2세기)
오르도스 고원은 풀, 덤불, 나무로 덮여 있었고, 풍부한 초지를 만들기에 충분할 만큼 많은 강과 시내로 물이 공급되었다.[9] 당시 이 지역은 아시아 대초원에서 최고의 목초지를 포함하고 있었다.[10]기원전 6세기에서 2세기 사이, 북서부의 기마 유목민들이 이전에 주가구 문화와 스마오 문화가 정착했던 오르도스 지역을 점령했다가 흉노에게 쫓겨났다.[11] 이들은 간쑤 회랑을 통해 중앙아시아와 남부 시베리아에서 여러 차례 이동한 후 오르도스 지역에 정착했으며, 이 과정에서 월지와 교류했을 수 있다.[35]
이 시기는 전국 시대 동안 중국 조나라에 기마 전술이 도입된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중국인들은 이들을 '후'(胡, "유목민") 또는 '동호'(東胡 "동쪽 유목민")와 '림호'(林胡 "숲 유목민")라고 불렀다.[13][14] 이들은 조나라 왕의 관심을 "말 위에서 활쏘기"(騎射 ''qíshé'')로 자극했다.[35] 3세기 말, 중국 기록은 동부 제국을 통합한 '후'와 흉노를 명확히 구분하기도 했지만, 다른 경우에는 흉노를 유목 민족을 통칭하는 용어인 '후' 민족으로 분류하기도 했다.[15]
이 문화에 대한 직접적인 역사 기록은 없지만, 한적 고전 기록을 통해 동시대 이 지역의 주민 집단과 정치 상황을 엿볼 수 있다. 오래전에는 이 지역에 거주한 목축민을 적이라고 통칭했다. 기원전 3세기에는 이 부근 서쪽에 월지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월지는 아마도 토하라어파 화자 계통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란어파 화자인 새 또는 사카 (스키타이) 계통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흉노는 기록상 기원전 3세기에 남하하여 오르도스에 나타났다. 이후 조와 진이 오르도스를 지배했지만, 기원전 209년 흉노에게 패했다. 흉노는 묵특 선우 아래에서 기원전 160년경 월지 영역까지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패배한 월지는 사카를 격파하고 서쪽으로 몰아냈지만, 이후 월지 자신도 중앙아시아로 쫓겨나게 된다. 흉노는 이 시기에 오르도스 지방을 정복하고 중국과 직접 접촉했다. 전한은 무제 시대에 흉노와의 전쟁을 시작하여 기원전 127년에 오르도스 지방을 정복했다.
2. 2. 월지와의 관계
기원전 6세기에서 2세기 사이, 북서부의 기마 유목민들이 오르도스 지역을 점령했다가 흉노에게 쫓겨났다.[11] 이들은 간쑤 회랑을 통해 중앙아시아와 남부 시베리아에서 여러 차례 이동한 후 오르도스 지역에 정착했으며, 이 과정에서 월지와 교류했을 수 있다.[35]한적 고전 기록을 통해 동시대 이 지역의 주민 집단과 정치 상황을 엿볼 수 있다. 기원전 3세기에는 이 부근 서쪽에 월지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월지는 아마도 토하라어파 화자 계통으로 추정되지만, 이란어파 화자인 새 또는 사카 (스키타이) 계통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흉노는 기원전 3세기에 남하하여 오르도스에 나타났다. 기원전 209년, 흉노는 조와 진을 격파하고 오르도스를 지배했다. 흉노는 다시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묵특 선우 치하인 기원전 160년경 월지의 영역으로 들어갔다. 패배한 월지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사카를 쫓아냈지만, 결국 월지 자신도 중앙아시아로 쫓겨났다. 이 시기에 흉노는 오르도스 지방을 정복하고 중국과 직접 접촉하게 되었다.[35]
2. 3. 흉노의 지배와 한나라와의 전쟁 (기원전 2세기 ~ 기원전 1세기)
흉노는 기록상 기원전 3세기에 남하하여 오르도스에 나타났다(다만 그 이전의 오르도스 문화의 유물도 흉노의 것으로 보는 설도 있다).[39][40] 그 후 조와 진이 오르도스를 지배했지만, 기원전 209년 흉노에게 패했다.[11] 흉노는 묵특 선우 아래에서 기원전 160년경 월지의 영역으로 들어가며 남쪽으로 세력을 뻗었다.[35] 패배한 월지는 사카를 깨고 서쪽으로 쫓아냈지만, 나중에는 월지 자신도 중앙아시아로 쫓겨나게 된다. 흉노는 이 시기에 오르도스 지방을 정복하고 중국과 직접 접촉했다.[35]흉노는 기원전 167년, 158년, 142년, 129년에 중국 영토로 수많은 파괴적인 약탈을 감행했다.
한-흉노 전쟁은 한 고조와 함께 시작되었고, 전한은 무제 시대에 흉노와의 전쟁을 시작하여 기원전 127년에 오르도스 지방을 삭방군으로 식민지화했다.[35] 이 원정 이전에는 흉노가 기원전 209년에 점령하기 전에 진과 조에 의해 이미 초기 군현이 설치되었다.
3. 오르도스 문화의 특징
오르도스 문화는 유라시아 스텝의 동쪽 끝자락, 월지의 바로 동쪽에 위치했으며, 주로 스키타이적인 특징을 보이며, 이란 민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19][20] 서쪽의 사정 문화, 신장의 사카 문화, 북동쪽의 상하가점 문화와 강한 유사성을 보인다.[22]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전 5세기까지는 수레를 기반으로 한 유목 문화를 보였으며, 청동 유물이 주를 이루었다.[33] 기원전 4세기부터는 기마 문화의 영향으로 은과 금을 사용한 유물이 등장하고, 수레 장식은 점차 사라졌다.[33]
기원전 4세기경, 부장품에 큰 변화가 생기면서 유목민의 주요 장례 유물이었던 전차가 말로 대체되고, 알타이나 북아시아 모티프에서 유래된 도상이 나타났다.[12] 금과 은이 주석을 입힌 청동을 대체했으며, 독수리 머리를 가진 금 사슴과 같은 새로운 스타일의 유물이 등장했다.[12] 이러한 변화는 북아시아와 시베리아 남부에서 온 기마 유목민들이 여러 차례 이동해 온 결과로 추정된다.[33]
이러한 유물들은 맹금류 머리를 가진 신화적 생물을 묘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흉노와 연관 짓기도 하지만, 당시 흉노는 이 지역에 없었고 이러한 디자인을 중국 북서부로 수입할 수 없었기 때문에, 흉노 이전의 유목민인 월지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34]
3. 1. 골격 유해와 유물
오르도스인들은 주로 그들의 골격 유해와 유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500년경부터 서기 100년까지의 오르도스 문화는 "오르도스 청동"으로 유명한데, 여기에는 칼, 무기, 텐트 기둥의 장식 꼭대기, 말 장비, 옷과 말 굴레를 위한 작은 판과 부속품 등이 포함된다. 이 유물들은 동물 문양 장식을 사용하여 서쪽 멀리 떨어진 지역의 스키타이 예술 및 중국 미술과 관계가 있다. 흉노와의 관계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동일하다고 보고 다른 학자들은 다르다고 본다.[16] 이 지역의 점진적인 사막화로 인해 많은 매장된 금속 유물들이 지표면에 나타났다.[17]오르도스는 잘 알려진 월지 바로 동쪽에 위치한 유라시아 스텝의 가장 동쪽에 있는 이란 민족으로 여겨지며, 월지 역시 인도유럽어족이다.[6][7] 고고학적 발견물에 나타난 사람들이 백인종 특징을 보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오토 J. 멩헨-헬펜에 의해 이미 언급되었고,[18] 야로슬라프 레베진스키는 오르도스 문화가 "스키타이적 친화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19][20] 다른 학자들은 그것을 월지[9] 또는 시베리아 원주민 (구체적으로, 예니세이족)과 연관시키고 있다.[8] 오르도스 스텝 전역에서 발견된 무기는 스키타이족과 사카족의 무기와 매우 유사하다.[9][21] 오르도스 문화는 서쪽의 사정 문화, 신장의 사카 문화, 북동쪽의 상하가점 문화와 강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22]
최근의 고고학적 및 유전적 데이터에 따르면 기원전 1천년기의 서부 및 동부 스키타이족은 독립적으로 기원했지만, 유럽 스텝 지역에서 동쪽으로 확산된 얌나야 관련 조상과 현대 북 시베리아의 하부 예니세이강에 가장 가깝게 대응하는 동아시아인 관련 구성 요소를 다양한 정도, 일반적으로 동부 스키타이족 사이에서 더 높게 결합한다.[23]
반면에 고고학적 증거는 이제 기원전 1천년기의 쿠르간 무덤과 ''동물 문양''으로 특징지어지는 스키타이 문화의 기원이 서부 스키타이족보다는 동부 스키타이족 사이에서 발견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경향이 있다. 동부 스키타이족의 쿠르간 (예: 투바의 알타이 쿠르간 아르잔 문화)이 서부 스키타이 쿠르간보다 더 오래되었고, ''동물 문양''의 요소는 기원전 10세기에 예니세이강과 현대 중국 지역에서 처음으로 증명되었다.[24] 동부 스키타이족에서 서부 스키타이족으로의 스키타이 문화의 급속한 확산은 기원전 1천년기 동안 스텝 전역에서 상당한 동서 유전자 흐름에 의해서도 확인된다.[23][24]
오르도스 지역의 동쪽 가장자리에 있는 마오칭거우 문화는 또한 "스키타이 문화"로 간주되며, 결국 기원전 3-2세기에 흉노의 시작과 함께 사라졌다.[25] 그들의 문화는 엄청나게 확장되었고, 중국 북동부에서 상하가점과 같은 이전 문화를 대체했다.[26]
기원전 3세기에서 1세기 사이에 북중국에서 흉노족 후원자들을 위해 금박을 입힌 은으로 만든 무릎 꿇은 말 모양의 벨트 장식이 제작되었다.[46] 동물 싸움 장면이 새겨진 벨트 버클은 주로 기원전 2세기에서 1세기 사이에 흉노족을 위해 북중국 공방에서 제작되었다. 이 판들은 초원의 예술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디자인은 틀 안에서 평평해지고 압축되었다.[46]
3. 2. 초기 청동 유물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5세기)
오르도스인들은 주로 그들의 골격 유해와 유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500년경부터 서기 100년까지의 오르도스 문화는 "오르도스 청동"으로 유명하다. 여기에는 칼, 무기, 텐트 기둥의 장식 꼭대기, 말 장비, 옷과 말 굴레를 위한 작은 판과 부속품이 포함되며, 동물 문양 장식을 사용하여 서쪽 멀리 떨어진 지역의 스키타이 예술 및 중국 미술과 관계가 있다.[16]오르도스는 잘 알려진 월지 바로 동쪽에 위치한 유라시아 스텝의 가장 동쪽에 있는 이란 민족으로 여겨지며, 월지 역시 인도유럽어족이다.[6][7] 고고학적 발견물에 나타난 사람들이 백인종 특징을 보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오토 J. 멩헨-헬펜에 의해 이미 언급되었고,[18] 야로슬라프 레베진스키는 오르도스 문화가 "스키타이적 친화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19][20] 오르도스 스텝 전역에서 발견된 무기는 스키타이족과 사카족의 무기와 매우 유사하다.[9][21]
-- | -- | -- | ||
기원전 6세기 마오칭거우에서 출토[27] | 오르도스 (기원전 5-4세기)[28][29][30] | 오르도스 (기원전 5-4세기)[28][29][30] | 오르도스 (기원전 5-4세기)[28][29][30] | 오르도스 문화 주변[31][32] |
기원전 6-5세기의 여러 오르도스 유물들은 말을 타는 기마 문화보다는 수레를 기반으로 한 유목 문화를 반영한다. 여기에는 유목 무덤에서 발굴된 수레 멍에 장식이 포함된다.[33] 사용된 재료는 청동이었으며, 기원전 4세기부터 등장한 은과 금은 기마 문화와 대조를 이룬다.[33] 수레 장식은 그 무렵 무덤에서 사라졌다.[33] 이 유물들은 아마도 오르도스 유목민들을 위해 진(秦) 이전 국가의 주조 공장에서 만들어졌을 것이다.[33]
동북아시아에서 오르도스 양식의 청동 단검 문화와 인접한 곳에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랴오닝식 청동 단검과 가느다란 청동 단검이 있다.[31] 오르도스 양식의 청동 단검의 영향을 받아 안테나식 청동 단검이 남만주, 한반도, 북 큐슈에 정착되었다.[31]
3. 3. 새로운 야금술과 양식의 도입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3세기)
기원전 4세기경, 부장품에 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12] 유목민에게 중요했던 장례 유물인 전차는 말로 대체되었다. 부장 유물의 도상은 알타이 또는 북아시아 모티프에서 유래한 것이 분명했다.[12] 이 시기의 새로운 도상이 오르도스 서쪽의 닝샤 남부와 간쑤 남동부에서 처음 나타났다는 사실은 이 기마 유목민들이 북아시아와 시베리아 남부에서 간쑤를 거쳐 여러 차례 이동해 왔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3]금과 은은 주석을 입힌 청동을 대체했다.[12] 오르도스 사막 남쪽에서 발견된 --은 오르도스 유목민이 도입한 새로운 "침입적 스타일"의 전형적인 예시이다.[12] "맹금류 머리 생물" 모티프는 파지릭 문화에서 더 일찍 기록되었으며, 기원전 7세기경부터 알려진 유라시아 상징 체계의 일부이며, 사카 묘지에서 확인되었다.[35] -- 또한 오르도스에서 발굴되었으며, 기원전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35] 과립 세공과 같은 새로운 기술 또한 유라시아 서쪽에서 도입되어 이후 중국에서 채택되었다.[35]
맹금류 머리 신화적 생물을 묘사하는 이러한 유물은 종종 흉노와 연관되지만, 흉노가 기원전 4세기에는 아직 이 지역에 없었고 이러한 디자인을 중국 북서부로 수입할 수 없었으며, 또한 이러한 스타일이 흉노의 도착 직후 사라졌기 때문에 이는 불가능하다.[34] 대신, 이는 당시 오르도스를 점령했던 흉노 이전의 유목민, 아마도 월지에게 귀속되어야 한다.[34]
4. 주변 민족과의 관계
오르도스 문화의 언어학적 기원과 특성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지역의 인구는 인도유럽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6] 그러나 오르도스 문화의 예술은 동쪽에 위치한 몽골어족의 유목 민족인 동호 (東胡|동호중국어)의 예술과 유사성을 보이며, 이 둘이 밀접한 관계를 맺었음을 시사한다.
오르도스인들은 전한 및 한족과 접촉했으며, 종종 전쟁을 벌였다고 전해진다. 오르도스 문화는 지리적으로 나중에 한족이 점령한 지역을 포함하며, 이 지역은 나중에 만리장성의 바로 북쪽, 그리고 황하의 최북단 갈고리를 가로지르는 지역을 포함한다.
오르도스 문화의 서쪽에는 또 다른 인도유럽 민족인 월지가 있었지만, 이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월지는 나중에 흉노와 우손에게 패배하여 서쪽으로, 즉 중국 밖으로 쫓겨났다고 전해진다. 월지의 하위 집단은 남중앙아시아로 이주하여 쿠샨 제국의 지배 엘리트를 형성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문화에 대한 직접적인 역사 기록은 없지만, 동시대 이 지역의 주민 집단과 정치 상황을 엿볼 수 있는 것으로 한적 고전의 기록이 있다. 오래된 시대에는 이 지역에 거주한 목축민을 적이라고 통칭했다. 기원전 3세기에는 이 부근 서쪽에 월지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월지의 계통은 아마도 토하라어파 화자 계통이지만, 이란어파 화자인 새 또는 사카 (스키타이)의 계통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흉노는 기록상 기원전 3세기에 남하하여 오르도스에 나타났다(다만 그 이전의 오르도스 문화의 유물도 흉노의 것으로 보는 설도 있다). 그 후 조와 진이 오르도스를 지배했지만, 기원전 209년 흉노에게 패했다. 흉노는 다시 남쪽으로 세력을 뻗어 묵특 선우 아래에서 기원전 160년경 월지의 영역으로 들어갔다. 패배한 월지는 사카를 깨고 서쪽으로 쫓아냈지만, 나중에는 월지 자신도 중앙아시아로 쫓겨나게 된다. 흉노는 이 시기에 오르도스 지방을 정복하고 중국과 직접 접촉했다. 전한은 무제 시대에 흉노와의 전쟁을 시작하여 기원전 127년에 오르도스 지방을 정복했다.
참조
[1]
서적
Inner Asia and the Spatial Politics of Empire: Archaeology, Mobility, and Culture Contact
http://ndl.ethernet.[...]
2015
[2]
서적
The World of the Huns: Studies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01-01
[3]
서적
The Silk Roa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eoul Selection
2016-07-18
[4]
서적
Inner Asia and the Spatial Politics of Empire: Archaeology, Mobility, and Culture Contact
http://ndl.ethernet.[...]
2015
[5]
문서
2007
[6]
문서
2016
[7]
문서
1992
[8]
웹사이트
The genetic and linguistic evidence for the xiongnu-yenisseian hypothesis
https://www.research[...]
2022-02-01
[9]
문서
2009
[10]
문서
2009
[11]
문서
2002
[12]
문서
2002
[13]
Shiji
Hereditary House of Zhao
https://ctext.org/sh[...]
[14]
Stratagems of the Warring States
King Wuling spends his day in idleness
https://jenniferdodg[...]
[15]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nemies: The Rise of Nomadic Power in East A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6]
비교
[17]
문서
2002
[18]
문서
1973
[19]
문서
2007
[20]
문서
2007
[21]
문서
2007
[22]
서적
Northern Frontier in Pre-Imperial China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https://www.academ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3]
간행물
Ancestry and demography and descendants of Iron Age nomads of the Eurasian Steppe
2017-03-03
[24]
간행물
Ancestry and demography and descendants of Iron Age nomads of the Eurasian Steppe
2017-03-03
[25]
서적
Masters of the Steppe: The Impact of the Scythians and Later Nomad Societies of Eurasia: Proceedings of a conference held at the British Museum, 27-29 October 2017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Publishing Ltd
2021-01-21
[2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Chapter 13THE NORTHERN FRONTIER IN PRE-IMPERIAL CHINA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7]
간행물
A SURVEY OF BRONZE AND EARLY IRON AGE TOOLS AND WEAPONS FROM NORTHERN MONGOLIA
https://www.academia[...]
2021-01-01
[28]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29]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30]
웹사이트
Finial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31]
문서
2020
[32]
문서
2019
[33]
문서
2002
[34]
문서
2002
[35]
문서
2002
[36]
서적
Global Connections: Volume 1, To 1500: Politics, Exchange, and Social Lif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3-16
[37]
서적
Atlas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8]
서적
The European Handbook of Central Asian Studies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21
[39]
문서
Shiji Vol. 81 "Stories about Lian Po and Lin Xiangru - Addendum: Li Mu"
https://zh.wikisourc[...]
[40]
웹사이트
Li Mu 李牧
http://www.chinaknow[...]
ChinaKnowledge.de - An Encyclopaedia on Chinese History, Literature and Art
2019
[41]
문서
Schuessler
2014
[42]
문서
Shiji Vol. 110 "Account of the Xiongnu"
https://zh.wikisourc[...]
[43]
문서
Lost Book of Shu, Explaining the King's Gatherings
https://ctext.org/lo[...]
[44]
문서
Shan Hai Jing, Classic of Regions Within the Seas: South
https://ctext.org/sh[...]
[45]
문서
Shiji Vol. 110 "Account of the Xiongnu"
https://zh.wikisourc[...]
[46]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47]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48]
간행물
A Study on the Scythian Buckle
https://www.koreasci[...]
2006
[49]
서적
Traders and raiders on China's northern frontier
https://archive.org/[...]
Seattle :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itution, in association with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