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베르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베르뉴어는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 갈로-로망스어군, 오크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중세 시대에는 오베르뉴 지역의 트루바두르들이 고대 오크어로 작품을 썼지만, 14세기부터 오베르뉴어로 된 문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6세기 이후 프랑스어에 밀려났지만, 농촌 지역에서는 사용되었다. 현재 오베르뉴어는 퓌드돔주, 캉탈주, 오트루아르주, 알리에주의 일부 지역 등에서 사용되며,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구분된다. 오베르뉴어는 지역 주민들에게 어느 정도 이해되고 사용되지만,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오베르뉴어 작가, 시인, 작곡가들이 존재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크어 - 아란 방언
    아란 방언은 스페인 발다란 지역에서 사용되는 가스코뉴어의 하위 방언인 오크어의 방언으로,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카탈루냐의 공용어로서 특별한 지위를 갖고 보존 및 부흥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오크어 - 가스코뉴 방언
    가스코뉴 방언은 오크어 방언 또는 독립된 언어로 분류되며, 바스크어 기층의 영향을 받아 다른 옥시탕 방언과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 프랑스 남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 프랑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프랑스의 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오베르뉴어
언어 정보
이름오베르냐어
고유 이름Auvernhat
사용 국가프랑스
사용 지역오베르뉴 지역권 (피유드돔 현, 오트루아르 현, 알리에 현, 캉탈 현), 리무쟁 지역권의 지방 자치체
언어 사용자 수약 8만 명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
서로망스어군
갈로로망스어군
옥시타니아-카탈루냐어군
오크어
북부 오크어
ISO 639-3auv (퇴역), oci에 포함됨
글롯톨로그auve1239
링구아스피어51-AAA-gi

2. 분류

오베르뉴어는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 이탈로-서부 로망스어군, 갈로-이베리아어군, 갈로-로망스어군, 오크어군으로 분류된다.

3. 역사

오베르뉴 출신의 트루바두르로는 카스텔로자, 달피 달베르네, 몽주 드 몽토동, 베스케 드 클라르몽, 페이레 달베르네, 페이레 로지에, 폰스 드 카프듀엘 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오베르뉴 방언이 아닌, 당시 표준 문학어였던 고대 오크어로 작품을 썼다.[8]

오베르뉴어로 작성된 공식 문서는 1340년경부터 흔하게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1540년 프랑스어로 완전히 대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오베르뉴어가 공용어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된 시기는 1380년부터 1480년까지였다.[9] 1477년 몽페랑에서 처음 공연된 ''오베르뉴의 수난극''이라는 수난극이 있는데, 대부분 프랑스어로 쓰였지만 66줄 분량의 오베르뉴어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몽페랑에서는 이미 1388년에 공식적으로 프랑스어가 오베르뉴어를 대체한 상태였다. 프랑스어는 상류층의 언어로서 오베르뉴어를 점차 밀어냈지만, 오베르뉴어는 농촌 지역 공동체의 언어로 계속해서 명맥을 이어갔다.[10]

4. 지리적 분포

오베르뉴어는 프랑스 중남부의 오크어 방언 중 하나로, 주로 현재의 오베르뉴 레지옹(région)을 중심으로 사용되지만, 그 지리적 분포 범위가 행정 구역이나 역사적 오베르뉴 지역의 경계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오베르뉴어는 퓌드돔주 전역과 캉탈주[18], 오트루아르주, 알리에주 남부 등 오베르뉴 레지옹 내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며, 인접한 리무쟁 레지옹의 코레즈주 동부 일부와 론알프 레지옹의 루아르주 서쪽 일부 지역까지 확장되어 분포한다. 각 지역별 상세한 사용 현황과 언어학적 경계에 대한 논의는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4. 1. 주요 사용 지역



오베르뉴어의 실제 사용 지역 경계는 현재의 오베르뉴 레지옹 또는 역사적 오베르뉴 지역의 경계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으며,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 퓌드돔주 전체
  • 캉탈주의 대부분. 주로 생플루르와 모리아크를 중심으로 한다.[18] 오리야크와 피에르포르 칸톤은 랑그도크어의 한 형태인 '카를라데지앙' 방언을 사용하며, 이 지역의 오베르뉴어 활용은 표준 랑그도크어와 대체로 유사하다.
  • 오트루아르주의 대부분. 단, 이생조 지역은 비바로-알파인어를 사용한다.
  • 알리에주의 남쪽 절반, 또는 부르보네 지역으로 몽뤼송비시 근처이다. 물랭 쪽의 북쪽 절반은 전통적으로 프랑스어를 사용한다.
  • 리무쟁 레지옹의 동부 주변, 코레즈주의 행정 구역인 Bort-les-Orgues|볼레조르그프랑스어와 위셀 부근. 이곳은 오베르뉴 레지옹과 리무쟁 레지옹의 경계 지역에 해당한다.
  • 루아르주의 서쪽 지역에 있는 노리에타블 및 La Chamba|라샹바프랑스어 자치체.

4. 2. 상세 경계



오베르뉴어의 실제 사용 경계는 현재의 오베르뉴 레지옹(région)이나 역사적 오베르뉴 지역의 행정 경계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대략적인 분포는 다음과 같다.

  • 퓌드돔주 전체
  • 캉탈주 대부분: 주로 생플루르와 모리아크 주변 지역. 다만, 오리야크와 피에르포르(Pierrefort) 칸톤에서는 랑그도크어의 한 형태인 '카를라데지앙(Carladézien)' 방언이 사용되며, 이 지역 오베르뉴어의 동사 활용 등 일부 특징은 표준 랑그도크어와 유사하다.
  • 오트루아르주 대부분: 단, 이생조 지역은 비바로-알파인어 사용 지역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알리에주 남쪽 절반: 부르보네(Bourbonnais) 지역의 몽뤼송비시 근처까지 해당한다. 물랭을 포함한 북쪽 절반은 전통적으로 프랑스어 사용 지역이다.
  • 루아르주 서쪽 일부: 노리에타블(Noirétable) 및 라 샹바(La Chamba) 지역.


오베르뉴어의 경계를 설정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도 이견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피에르 보노[11][19]는 오베르뉴어를 독자적인 언어로 간주하며 특정 경계를 제시했지만, 로제 튈라[12][20] 등 다른 학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주요 경계 설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언어 및 방언 경계:'''

  • 프랑스어와의 경계:
  • 1: 라틴어 'pratus'(목초지)가 오크어프랑코프로방스어에서는 'pra'로 변한 반면, 프랑스어에서는 'pré'로 변했다.
  • 2: 라틴어 'nepos'(조카)가 오크어에서는 'nebot'으로 변한 반면, 프랑스어와 프랑코프로방스어에서는 'neveu'로 변했다. (지도에서 하늘색(fr)은 프랑스어, 보라색(frp)은 프랑코프로방스어 지역)
  • 마르슈 방언과의 경계:
  • 0: 북부 지역 단어 강세 패턴의 차이. 이는 크루아상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크어 방언인 마르슈 방언(지도에서 m)을 구분하는 특징 중 하나이다.
  • 북부/남부 오크어 경계:
  • 3: 'ca'와 'cha' 발음 차이. 이 경계선은 북부 오크어(리무쟁어(lm), 오베르뉴어, 비바로-알파인어(va), 마르슈 방언)와 남부 오크어(가스코뉴어, 랑그도크어(lg), 프로방스어)를 구분한다. 이 선은 캉탈주에서 아래 설명할 7번 기준선과 함께 오베르뉴어의 경계를 이룬다.
  • 비바로-알파인어와의 경계:
  • 4: 여성형 명사 어미 '-ada'에서 모음 사이의 'd'가 탈락하여 '-aa'가 되는 현상. 이는 오베르뉴어와 비바로-알파인어를 구분하는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비바로-알파인어는 1인칭 현재 직설법 동사 어미가 '-o'[u]로 끝나는 특징도 보이는데, 이 경계선도 거의 일치한다.)


'''오베르뉴어 내부 경계 및 특징:'''

다음 특징들은 오베르뉴어 전체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방언 경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 5, 6: 피에르 보노에 따르면 오베르뉴어의 핵심 특징에 해당하며 서쪽 경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5: 'èr' 발음이 [jaR] (또는 [ɛR]에 가깝게) 실현되는 지역.
  • 6: 'cl'이 [kʎ] 또는 [çʎ]로 구개음화되는 지역.
  • 7: 남동쪽 경계 설정 기준. 'dreita'와 'drecha'의 발음 대립이 나타난다.
  • 8: 남쪽 경계 설정 기준. 단어 'braç'(팔)의 복수형 발음이 단수형과 동일하여 관사로만 구분되는 특징.


대부분의 오크어 연구자들은 오베르뉴어의 남쪽 경계를 정의할 때 8번 기준보다는 7번 기준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내부 변이:'''

오베르뉴어 내부에서도 지역에 따른 변이가 존재한다.

  • 저지/고지 오베르뉴어: 가장 전통적인 구분 방식으로, [k], [p], [t] 앞에 오는 's' 발음의 차이(지도에서 9번 선)를 기준으로 나뉜다.
  • 로제 튈라가 정의한 저지 오베르뉴어(북부)는 지도에서 1번으로 표시된 연녹색 지역이다.
  • 로제 튈라가 정의한 고지 오베르뉴어(남부)는 지도에서 2번으로 표시된 옅은 황토색 지역이다. (일반적으로는 이보다 더 넓은 옅은 노란색 지역 전체를 고지 오베르뉴어로 보기도 한다.)
  • 북서부/북동부 오베르뉴어:
  • 북서부 오베르뉴어는 위의 5번과 6번 특징으로 정의될 수 있다.
  • 피에르 보노에 따르면, 북동부 오베르뉴어(5, 6번 지역 동쪽이면서 9번 선 북쪽)는 프랑스어의 음운론적 영향을 더 강하게 받은 특징을 보인다(마르슈 방언과 유사한 측면).

5. 하위 방언

오베르뉴어는 리무쟁어 및 비바르-알파인어와 함께 북부 오크어군 방언으로 가장 자주 분류된다.

오베르뉴어는 크게 북부 오베르뉴어와 남부 오베르뉴어의 두 가지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5. 1. 북부 오베르뉴어 (nord-auvergnat, bas-auvergnat)

북부 오베르뉴어(nord-auvergnat|노르-오베르냐fra 또는 bas-auvergnat|바-오베르냐fra)는 퓌드돔주와 알리에주(부르봉 지방), 그리고 브리우드 북쪽의 오트루아르주에서 사용된다. 알리에주 남부에서는 현지 북부 오베르뉴어가 프랑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오베르뉴어의 언어적 특징이 여전히 지배적이다. 프랑스어로의 이 전이 지역은 현지에서 le Croissant|르 크루아상fra이라고 불리며, 리무쟁어의 북부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5. 2. 남부 오베르뉴어 (sud-auvergnat, haut-auvergnat)

남부 오베르뉴어(sud-auvergnat|쉬도베르냐fra 또는 haut-auvergnat|오토베르냐fra)는 캉탈주, 오트루아르주(아르데슈주의 일부와 로제르주의 대부분도 포함)에서 사용된다.

6. 사용 현황 및 보존 노력

2006년 오베르뉴 지역에서 실시된 설문조사는 오베르뉴어의 사용 현황과 전반적인 생명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13][21]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오베르뉴 지역 주민들은 자신들이 사용하는 지역 언어를 주로 patois|파투아fra(78%)라고 지칭했다. 이 외에도 오베르냐어(10%), 오크어(8%), 부르보네어(5%), 랑그도크어(4%) 등 특정 문화적 정체성과 연결된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오크어(오베르뉴 지역 전체) 또는 오일어(알리에 북부)와 같은 지역 언어는 해당 지역에서 여전히 강한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다.

언어 능력에 대한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6년 오베르뉴 지역 언어 능력 설문 결과[13][21]
능력어느 정도 가능 (%)쉽게 또는 완벽히 가능 (%)합계 (%)
이해392261
구사301242
읽기191029
쓰기13417



이 결과는 오베르뉴어를 이해하거나 말할 수 있는 주민 비율은 비교적 높지만, 읽고 쓰는 능력은 현저히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구어 능력에 비해 문어 능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언어 학습은 주로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부모로부터 배웠다는 응답이 61%, 다른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배웠다는 응답이 50%에 달한 반면, 학교 교육을 통해 배웠다는 응답은 10%에 불과했다. 이는 공교육 시스템이 지역 언어 전승에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언어 전달이 주로 개인적인 노력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 언어 보존에 대한 주민들의 의지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게 지역 언어를 가르치지 않은 성인 중 40%가 이를 후회한다고 답했으며, 특히 35세 이하 젊은 층에서는 후회한다는 응답이 58%에 달했다. 지역 언어를 배우고 싶다는 응답 역시 높았으며, 특히 젊은 층(23%)에서 배우려는 의지가 강하게 나타났다. 학교 교육 과정에 지역 언어 학습을 포함해야 한다는 요구도 높게 나타났는데, 오트루아르(53%), 퓌드돔(51%), 캉탈(74%) 등 지역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자녀에게 지역 언어를 가르치고 싶다는 응답은 41%였으며, 이 역시 35세 이하 젊은 층(58%)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71%는 지역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는 데 찬성했으며, 35세 이하 젊은 층에서는 찬성 비율이 76%로 더 높았다.

지역 언어와 문화의 보존 및 발전을 위해 다양한 기관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응답자들은 지역 TV 채널인 프랑스 3 오베르뉴가 지역 언어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54%)고 답했다. 또한, 지역 당국(54%), 국가 교육부(43%), 문화부(42%), 그리고 지역 공동체가 오베르뉴 언어와 문화를 발전시키고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사회와 공공 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이 지역 언어 보존에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7. 오베르뉴어 작가 및 작품

오베르뉴어는 문학 작품, 시,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창작 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주요 작가들은 소설과 수필 등을 통해 오베르뉴어의 표현력을 보여주었으며, 시인들은 오베르뉴어 고유의 운율과 감성을 담은 시를 남겼다. 또한, 작곡가들은 오베르뉴 지방의 민요 등을 바탕으로 음악 작품을 만들기도 했다.

7. 1. 작가

오베르뉴어로 작품을 발표한 주요 작가는 다음과 같다.

7. 2. 시인

오베르뉴어를 사용한 주요 시인들은 다음과 같다.

  • 루이 델로스탈 (Louis Delhostal) (1877–1933)
  • 포콩 (Faucon): ''볼테르의 앙리아드, 포콩에 의해 부르레스크로 묘사됨'' (리옴, 1798년 출판), ''두 마리 자고새의 이야기''
  • 로이 젤레스 (Roy Gelles): ''추첨'' (시, 클레르몽, 1836년 출판), ''유능한 시장'' (클레르몽, 1841년 출판)
  • 카미유 간딜용 (Camille Gandilhon): ''무장한 사람들''
  • 라벨 (Ravel): ''풍경화'' (서사시)
  • 호안 데 카바나스 (Joan de Cabanas)

7. 3. 작곡가

조제프 캉틀루브 ([https://www.youtube.com/watch?v=mEnTJNKd2Po ''Chants D'Auvergne'': Vol. IV, No. 6: Lou Coucut 온라인, 2017])

참조

[1] 문서 e15|auv
[2] 웹사이트 Auvergnat
[3] 서적 Petit Futé Auvergne - 2017 Flammarion Groupe 2017
[4] 문서
[5] 서적 Huit siècles de littérature occitane en Auvergne et Velay éditions EMCC, Lyon 2015
[6] 서적 L'auvergnat de poche Assimil, Chennevières-sur-Marne 2002
[7] 문서
[8] 서적 The Troubadour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9] 서적 Dictionnaire d'ancien occitan auvergnat: Mauriacois et Sanflorain (1340–1540) De Gruyter 2009
[10] 논문 "The Passion of Occitan" https://books.google[...] 2011
[11] 간행물 Géographie linguistique. L'exemple de l'Auvergne 1973
[12] 간행물 Per una definicion d'un espaci occitan del centre-nòrd (auvernhat) Clermont-Ferrand 1981
[13] 웹인용 IFOP 2006 Survey http://www.ifop.com/[...] 2008-12-20
[14] 문서 e15|auv
[15] 서적 Petit Futé Auvergne - 2017 Flammarion Groupe 2017
[16] 서적 Grammaire générale de l'auvergnat à l'usage des arvernisants Cercle Terre d'Auvergne, Clermont-Ferrand 1992
[17] 서적 Grand dictionnaire général auvergnat-français Nonette Créer editions 2005
[18] 문서
[19] 간행물 Géographie linguistique. L'exemple de l'Auvergne 1973
[20] 간행물 Per una definicion d'un espaci occitan del centre-nòrd (auvernhat) Clermont-Ferrand 1981
[21] 웹인용 IFOP 2006 Survey http://www.ifop.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