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푸에르토리코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에르토리코는 하계 올림픽에 1948년 런던 대회부터, 동계 올림픽에는 1984년 사라예보 대회부터 참가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총 12개의 메달(금 2, 은 2, 동 8)을 획득했으며, 테니스, 육상, 복싱, 레슬링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푸에르토리코 선수단
올림픽 정보
NOCPUR
NOC 명칭푸에르토리코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푸에르토리코 올림픽 위원회 (스페인어)
올림픽 참가 횟수하계
메달 집계
금메달2
은메달2
동메달8
총 메달 수12
메달 순위92
관련 정보
참고 자료월스트리트 저널 기사
푸에르토리코 스포츠 깃발
푸에르토리코, 주 지위 및 올림픽
빌보드 기사

2. 하계 올림픽

푸에르토리코는 1948년 런던 올림픽부터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으며,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당시 미국의 보이콧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으로 참가하는 등 꾸준히 선수단을 파견해왔다. 현재까지 총 12개의 메달(금 2, 은 2, 동 8)을 획득했다.[6]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테니스 선수 모니카 푸이그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하며 푸에르토리코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안겼고,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육상 선수 재스민 카마초-퀸이 여자 100m 허들에서 두 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푸에르토리코가 단일 대회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것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2012년 런던 올림픽, 2024년 파리 올림픽으로 각각 2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종목은 복싱으로 총 6개의 메달(은 1, 동 5)을 따냈다.

'''대회별 메달 집계'''

대회명
1948 런던0011
1952 헬싱키0000
1956 멜버른0000
1960 로마0000
1964 도쿄0000
1968 멕시코시티0000
1972 뮌헨0000
1976 몬트리올0011
1980 모스크바0000
1984 로스앤젤레스0112
1988 서울0000
1992 바르셀로나0011
1996 애틀랜타0011
2000 시드니0000
2004 아테네0000
2008 베이징0000
2012 런던0112
2016 리우데자네이루1001
2020 도쿄1001
2024 파리0022
합계[6]22812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합계
복싱0156
레슬링0112
육상1023
테니스1001
합계22812


2. 1. 1948년 런던 올림픽

푸에르토리코는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총 9명의 선수가 8개 종목에 출전했으며, 선수단은 육상 3명, 복싱 3명, 사격 2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대회에서 후안 에반젤리스타 베네가스는 복싱 밴텀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푸에르토리코 올림픽 역사상 첫 메달을 안겼다. 베네가스는 예선에서 이집트, 캐나다, 아일랜드 선수들을 차례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헝가리의 티보르 치크에게 패배했다. 하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스페인의 알바로 비센테를 꺾고 값진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2. 2. 1952년 헬싱키 올림픽

푸에르토리코는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 두 번째로 하계 올림픽 참가를 했다. 이 대회에는 육상, 농구, 복싱, 펜싱, 사격 종목에 총 21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특히 농구 종목에서는 올림픽 첫 출전으로 불가리아필리핀을 상대로 경기를 치른 끝에 종합 9위를 기록했다. 복싱에서는 3명의 선수가 푸에르토리코를 대표하여 출전했지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 3. 1956년 멜버른 올림픽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 푸에르토리코는 10명의 선수로 구성된 선수단을 파견하여 사격과 육상 두 종목에 참가했다. 푸에르토리코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지만, 선수들은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2. 4. 1960년 로마 올림픽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푸에르토리코는 육상, 농구, 복싱, 펜싱, 사격, 역도, 레슬링 7개 종목에 27명의 선수를 파견했다.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푸에르토리코 선수들은 귀중한 경험을 쌓았다. 농구팀은 이미 강팀으로 자리 잡았지만, 어려운 경쟁 끝에 종합 순위 13위를 기록했다. 복싱팀은 여러 선수들이 후반 라운드까지 진출하며 잠재력을 보여주었지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이번 올림픽은 푸에르토리코가 역도레슬링 종목에 처음 참가한 대회로,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서 섬의 대표성을 넓혔다.

2. 5. 1964년 도쿄 올림픽

1964년 도쿄 올림픽에는 육상, 농구, 권투, 펜싱, 사격, 역도를 포함한 7개 종목에 32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비록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농구팀이 조별 예선에서 강팀 유고슬라비아를 상대로 승리하며 4위에 오르는 성과를 거두었다. 권투팀 역시 여러 선수가 8강에 진출하는 등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펜싱, 사격, 역도 종목에 참가하여 다양한 스포츠 분야에서 푸에르토리코를 대표했다.

2. 6.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는 58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육상, 농구, 복싱, 사이클, 펜싱, 유도, 사격, 역도, 레슬링, 요트 등 다양한 종목에 출전했다. 복싱 종목에서는 여러 선수가 후반 라운드까지 진출하며 실력을 보여주었으나 메달 획득에는 이르지 못했다. 농구팀은 9위를 기록하며 경쟁력을 유지했다. 특히 이번 대회는 푸에르토리코가 유도, 레슬링, 요트 종목에 처음으로 참가한 대회로, 스포츠 참여 분야를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2. 7. 1972년 뮌헨 올림픽

푸에르토리코 선수단은 1972년 뮌헨 올림픽에 육상, 농구, 복싱, 사이클, 펜싱, 유도, 사격, 수영, 역도, 레슬링, 요트 등 11개 종목에 걸쳐 59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이 대회 기간 중 뮌헨 참사라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지만, 푸에르토리코 선수단은 대회 참가를 이어갔다. 복싱 종목에서는 여러 선수가 8강에 진출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메달 획득에는 이르지 못했다. 농구 대표팀은 최종 6위를 기록하며 해당 종목에서의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대회는 푸에르토리코가 올림픽 수영 종목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참가 종목을 확대한 대회이기도 하다.

2. 8.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푸에르토리코에게 중요한 대회였다. 역대 최대 규모인 80명의 선수단이 12개 종목에 참가했다. 특히 카르멘 밀라그로스 벨레스 베가(Carmen Milagros Vélez Vega)는 푸에르토리코 여성 최초로 올림픽에 참가하여 섬의 스포츠 역량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복싱 라이트 플라이급에 출전한 올란도 말도나도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푸에르토리코에 28년 만의 메달이자 통산 두 번째 올림픽 메달을 안겼다. 비록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농구 대표팀은 전체 9위를 기록했으며, 육상, 펜싱, 사격, 유도 종목에서도 인상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2. 9.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미국이 주도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보이콧에도 불구하고, 푸에르토리코는 참가를 결정하여 육상, 복싱, 유도, 사격 등 4개 종목에 15명의 선수로 구성된 소규모 선수단을 파견했다. 비록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정치적으로 민감했던 이 대회에 참가한 결정은 푸에르토리코의 스포츠 정신과 올림픽 운동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특히 복싱 종목에서는 여러 선수들이 후반 라운드까지 진출하며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2. 10.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푸에르토리코에게 중요한 대회였으며, 총 51명의 선수가 13개 종목에 출전했다. 푸에르토리코 선수단은 이 대회에서 복싱 종목에서 두 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루이스 오르티스는 라이트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푸에르토리코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가 되었고, 아리스티데스 곤잘레스는 미들급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또한, 농구 대표팀이 처음으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여 6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에서의 복싱 성과는 푸에르토리코 올림픽 역사에서 복싱 종목의 중요성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2. 11. 1988년 서울 올림픽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푸에르토리코는 11개 종목에 52명의 선수를 파견했다. 푸에르토리코는 육상, 펜싱, 유도, 사격과 같은 종목에서도 선수들을 출전시켰으며, 이들 중 일부는 해당 종목의 후반 라운드까지 진출했다. 선수단의 활약은 푸에르토리코가 올림픽 복싱에서 강자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주었다.

2. 12.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는 1976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인 75명의 선수단을 13개 종목에 파견했다. 복싱 웰터급에 출전한 아니발 산티아고 아세베도는 1988년 대회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농구 대표팀은 당시 '드림팀'으로 불리던 강력한 미국 대표팀과 경기를 치렀으나 아쉽게 패배했다. 푸에르토리코는 이 대회에서 처음으로 탁구와 배드민턴 종목에 선수를 출전시키며 올림픽 참가 종목의 다양성을 넓혔다.

2. 13.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에는 69명의 푸에르토리코 선수단이 참가하여 16개 종목에서 경쟁했다. 특히 복싱에서는 다니엘 산토스가 웰터급 동메달을 획득하며 푸에르토리코의 올림픽 복싱 성과에 기여했다. 남자 배구 대표팀은 이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하여 종합 11위를 기록했으며, 농구 대표팀은 10위에 올랐다. 육상 종목에서도 여러 선수가 결승에 진출하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2. 14. 2000년 시드니 올림픽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푸에르토리코는 12개 종목에 선수 29명을 파견했다. 푸에르토리코는 이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지는 못했지만, 선수들은 다양한 종목에서 좋은 기량을 선보였다. 특히 복싱팀은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였음에도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는데, 이는 올림픽에서 푸에르토리코가 복싱 메달을 따지 못한 이례적인 경우였다. 푸에르토리코는 이 대회에서 요트, 수영, 탁구 등 여러 종목에 참여하며 다양한 스포츠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 의지를 보여주었다.

2. 15.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푸에르토리코는 15개 종목에 걸쳐 43명의 선수단을 파견했다. 푸에르토리코 농구팀은 메달을 획득하지는 못했지만, 미국 "드림팀"을 92-73으로 꺾고 올림픽 농구 역사에 남을 만한 순간을 만들었다. 복싱팀 역시 선전했지만 메달권에는 진입하지 못했다. 이번 올림픽은 푸에르토리코가 태권도, 사격 등 다양한 종목에 참여하여, 국제 무대에서 섬의 성장하는 스포츠 영향력을 보여준 계기가 되었다.

2. 16.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푸에르토리코는 8개 종목에 걸쳐 22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이전 대회보다 축소된 규모의 선수단을 파견했다.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복싱, 육상, 레슬링 종목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여자 레슬링 팀이 처음으로 올림픽에 출전한 것은 푸에르토리코에게 의미 있는 성과였다. 반면, 푸에르토리코의 전통적인 강세 종목 중 하나인 농구 팀이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해당 종목에서는 선수를 파견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가 선수들은 모든 경기에서 끈기와 투지를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2. 17. 2012년 런던 올림픽

2012년 런던 올림픽은 푸에르토리코에게 역대 가장 성공적인 올림픽 중 하나였다. 푸에르토리코는 8개 종목에 25명의 선수단을 파견했는데, 이는 푸에르토리코가 파견한 역대 최연소 팀이었다.

푸에르토리코는 이 대회에서 두 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이메 에스피날은 남자 자유형 레슬링 84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푸에르토리코의 올림픽 레슬링 역사상 첫 메달을 안겼다. 이는 푸에르토리코의 역대 두 번째 올림픽 은메달이기도 했다.

또한, 하비에르 쿨슨은 남자 400m 허들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푸에르토리코의 육상 종목 첫 올림픽 메달이라는 의미있는 기록이었다. 쿨슨은 메달 획득뿐만 아니라 꾸준한 기량으로 세계적인 허들 선수로 인정받았다.

이 외에도 푸에르토리코 선수들은 복싱, 유도, 사격, 수영, 탁구 등의 종목에 참가했으며, 대부분의 선수들이 각자의 경기에서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비록 추가 메달 획득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은메달과 동메달 획득으로 푸에르토리코 선수단의 전반적인 활약은 성공적으로 평가되었다.

2. 18.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2016년 리우 올림픽 금메달 획득 2년 후 모니카 푸이그 인터뷰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은 푸에르토리코에게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안겨준 중요한 대회였다. 푸에르토리코 선수단은 15개 종목에 40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세계 무대에 그 역량을 선보였다.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는 테니스 선수 모니카 푸이그가 거둔 역사적인 금메달이었다. 당시 세계 랭킹 34위였던 푸이그는 여자 단식 결승전에서 세계 랭킹 2위인 독일의 안젤리크 케르버를 세트 스코어 2-1(6-4, 4-6, 6-1)로 꺾고 정상에 올랐다. 이 금메달은 푸이그 개인의 영광일 뿐만 아니라, 푸에르토리코가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획득한 금메달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푸이그의 금메달 외에도, 리우 올림픽은 푸에르토리코의 젊은 탁구 유망주인 아드리아나 디아스와 브라이언 아파나도르가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를 밟은 대회이기도 했다. 이들은 선수단 내에서 가장 어린 선수 그룹에 속했으며, 푸에르토리코 탁구의 밝은 미래를 보여주었다.

또한 푸에르토리코 선수들은 복싱, 육상, 유도, 수영 등 다양한 종목에 참가했다. 비록 추가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여러 선수들이 각자의 종목에서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며 국제 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한편, 과거 여러 올림픽에 참가했던 푸에르토리코 농구팀은 2016년 올림픽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테니스에서 역사적인 첫 금메달이 나오면서 푸에르토리코 국민들에게 큰 자부심과 기쁨을 안겨주었다.

2. 19. 2020년 도쿄 올림픽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2021년에 개최된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푸에르토리코는 15개 종목에 37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섬의 재능이 다양하게 확장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개회식에서는 탁구 선수 아드리아나 디아스와 브라이언 아파나도르가 푸에르토리코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다. 두 선수 모두 인상적인 기량을 선보였으며, 디아스는 여자 단식에서 3라운드까지 진출하여 푸에르토리코에서 탁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번 올림픽의 가장 눈에 띄는 순간은 육상 여자 100m 허들 종목에서 재스민 카마초-퀸이 거둔 놀라운 성과였다. 카마초-퀸은 푸에르토리코 역사상 두 번째 올림픽 금메달이자 육상 종목 최초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녀는 준결승에서 12.26초의 기록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고, 결승에서는 12.37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카마초-퀸의 승리는 푸에르토리코 국민들에게 큰 자부심을 안겨주었고, 올림픽 스포츠에서 푸에르토리코의 명성을 더욱 높이는 데 기여했다.

또한, 푸에르토리코는 복싱, 유도, 사격, 수영 등 다양한 종목에 참가하여 수많은 선수들이 대회 후반 단계까지 진출했다. 비록 푸에르토리코가 더 많은 메달을 획득하지는 못했지만, 다양한 종목에서 푸에르토리코 선수들의 참여는 섬의 경쟁력과 세계적인 수준의 우수성을 향한 헌신을 계속해서 보여주었다.

2. 20. 2024년 파리 올림픽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육상 선수 재스민 카마초-퀸과 레슬링 선수 세바스티안 리베라가 공동 기수를 맡았다. 푸에르토리코 선수단은 이 대회에서 총 2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984년 로스앤젤레스 및 2012년 런던 대회와 함께 역대 최다 메달 획득 타이기록을 세웠다.

3. 역대 메달 집계

푸에르토리코는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부터 꾸준히 참가하여 메달을 획득해왔다. 동계 올림픽에도 참가하였으나 아직 메달은 없다. 대회별 메달 집계는 아래와 같다.

'''하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


3. 1. 종목별 메달 집계

푸에르토리코 선수단이 하계 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종목은 복싱으로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테니스 여자 단식에서는 모니카 푸이그가 푸에르토리코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순위
육상102370
테니스100120
복싱015652
레슬링011251
합계2281292



아리스티데스 곤잘레스(붉은색)가 1984년 하계 올림픽 복싱 미들급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모습.

3. 2.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푸에르토리코는 하계 올림픽에서 총 12개의 메달(금 2, 은 2, 동 8)을 획득했다.[6]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대회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2012년 런던 올림픽, 2024년 파리 올림픽으로 각각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복싱 종목에서 6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가장 많은 메달을 딴 종목이 되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테니스 여자 단식에서 모니카 푸이그가 푸에르토리코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안겨주었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메달이름대회종목세부 종목
동메달후안 베네가스1948 런던복싱남자 밴텀급
동메달올란도 말도나도1976 몬트리올복싱남자 라이트 플라이급
은메달루이스 오르티스1984 로스앤젤레스복싱남자 라이트급
동메달아리스티데스 곤잘레스1984 로스앤젤레스복싱남자 미들급
동메달아니발 아세베도1992 바르셀로나복싱남자 웰터급
동메달다니엘 산토스1996 애틀랜타복싱남자 웰터급
은메달하이메 에스피날2012 런던레슬링남자 자유형 84kg
동메달하비에르 컬슨2012 런던육상남자 400m 허들
금메달모니카 푸이그2016 리우데자네이루테니스여자 단식
금메달재스민 카마초-퀸2020 도쿄육상여자 100m 허들
동메달재스민 카마초-퀸2024 파리육상여자 100m 허들
동메달세바스티안 리베라2024 파리레슬링남자 자유형 65kg


참조

[1] 웹사이트 Star and Stripes: Puerto Rico's Own Olympic Dreams https://www.wsj.com/[...]
[2] 웹사이트 Puerto Rico - Sport Flags https://www.crwflags[...]
[3] 웹사이트 Puerto Rico, Statehood, and the Olympics https://www.pr51st.c[...] 2021-07-28
[4] URL https://www.washingt[...] 2024-08
[5] 간행물 Rio Olympics 2016: Puerto Rican Anthem Played for First Time for Monica Puig's Win https://www.billboar[...]
[6] 웹사이트 Team Puerto Rico - Profile {{!}} Tokyo 2020 Olympics https://olympics.com[...] 2021-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