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트 타일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트 타일러는 1381년 잉글랜드 농민 반란을 이끈 인물이다. 그의 출생 연도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1341년경으로 추정된다. 타일러는 켄트 군대의 지도자로, 인두세 부과에 대한 반발로 시작된 반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리처드 2세와 직접 협상했지만, 결국 런던 시장 윌리엄 월워스에 의해 살해당했다. 타일러의 죽음 이후 반란은 진압되었고, 그는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며, 여러 장소와 작품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와트 타일러의 난 - 존 볼 (사제)
존 볼은 14세기 잉글랜드의 사제이자 급진적인 설교가로,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며 떠돌이 설교자로 활동했고, 와트 타일러의 난 당시 설교로 유명했으며, 반란 후 처형되어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와트 타일러의 난 - 노스월셤 전투
노스월셤 전투는 1381년 농민 반란 당시 헨리 레 데스펜서 주교가 이끄는 정부군이 제프리 리스터의 반란군을 격파한 전투이다. - 잉글랜드의 반란자 - 존 볼 (사제)
존 볼은 14세기 잉글랜드의 사제이자 급진적인 설교가로,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며 떠돌이 설교자로 활동했고, 와트 타일러의 난 당시 설교로 유명했으며, 반란 후 처형되어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잉글랜드의 반란자 - 이사벨 드 프랑스 왕녀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와 나바라 여왕 잔 1세의 딸인 이사벨 드 프랑스 왕녀는 잉글랜드 왕비가 되어 남편의 총신들과 갈등하고 귀족들과 반목했으며, 로저 모티머와 연합하여 잉글랜드를 침공해 아들 에드워드 3세의 섭정으로 4년간 통치했다. - 잉글랜드의 혁명가 - 올리버 크롬웰
올리버 크롬웰은 잉글랜드 내전에서 의회파를 이끌고 잉글랜드 연방 수립에 기여했으며, 호국경으로 통치했으나 사후 부관참시를 당한 잉글랜드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 잉글랜드의 혁명가 - 존 볼 (사제)
존 볼은 14세기 잉글랜드의 사제이자 급진적인 설교가로,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며 떠돌이 설교자로 활동했고, 와트 타일러의 난 당시 설교로 유명했으며, 반란 후 처형되어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와트 타일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와트 타일러 |
| 출생일 | 1341년 1월 4일 (추정) |
| 출생지 | 켄트주 또는 에식스주, 잉글랜드 |
| 사망일 | 1381년 6월 15일 |
| 사망지 | 런던, 잉글랜드 |
| 국적 | 잉글랜드인 |
| 직업 | (미상) |
| 주요 활동 | 농민 반란 지도자 |
![]() | |
2. 생애
와트 타일러(Wat Tyler영어, ? ~ 1381년 6월 15일)는 1381년 잉글랜드에서 발생한 농민 반란의 지도자이다. 그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으며, '와트(Wat)'는 본명 '월터(Walter)'의 애칭으로 추정된다. 성씨 '타일러(Tyler)'는 그의 직업이 지붕 타일 기술자(tiler)였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여겨지나 확실하지는 않다.[1][2] 일부 역사가는 그가 프랑스와의 백년 전쟁에 참전했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1381년, 과중한 인두세 부과와 농노제 등 사회 구조에 대한 불만이 폭발하면서 농민 반란이 일어났다. 타일러는 이 반란에서 켄트 지역 반란군의 지도자로 부상하여, 런던으로 진격해 도시의 일부를 장악하고 리처드 2세와 직접 협상에 나섰다. 그는 농노제 폐지를 포함한 급진적인 사회 개혁을 요구했다.[3][4]
1381년 6월 15일, 스미스필드에서 리처드 2세와 두 번째 협상을 벌이던 중, 런던 시장 윌리엄 월워스를 포함한 왕의 측근들과의 충돌 과정에서 살해당했다.[10] 그의 죽음은 반란이 급격히 세력을 잃고 진압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13]
2. 1. 초기 생애
와트 타일러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의 출생 기록은 역사적 자료에 따라 다른데, 한 자료는 1341년 1월 4일[1], 다른 자료는 1320년경[1]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역사가는 그가 1341년경에 태어났다는 데 동의한다.그의 원래 이름은 "월터(Walter)"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와트(Watt)"는 고대 영어 이름 ''Watt''에서 유래했거나 '월터'의 애칭일 수 있다.[1] 그의 원래 성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타일러(Tyler)"라는 이름은 그의 직업이 지붕 타일 기술자(Roof tiler)였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여겨진다.[1][2]
그는 켄트 또는 에식스에서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농민 반란 이전에 그는 켄트의 다트포드와 메이드스톤, 당시 켄트 지역이었던 뎁트포드, 그리고 에식스의 콜체스터 등지에 살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2] 그는 급진적인 성직자였던 존 볼에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 일부 역사학자들은 타일러가 잉글랜드의 켄트 또는 에식스 출신으로, 프랑스 왕국과의 백년 전쟁에 참전했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2. 2. 농민 반란 (와트 타일러의 난)
1381년 5월, 성인 모두에게 부과된 4페니의 새로운 인두세는 농민 반란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반란의 근본 원인은 단순히 세금 문제에만 있지 않았다. 농민들은 농노제 폐지를 포함한 더 많은 자유와 사회 개혁을 요구했으며, 모든 노동자가 자신이 원하는 고용주 밑에서 일할 권리를 주장했다. 반란은 잉글랜드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나, 특히 에식스와 켄트 지역에서 그 기세가 거셌다. 이러한 움직임은 귀족과 부유한 종교 단체 등 당시 기득권 세력의 반대에 부딪혔다.[3] 많은 농민과 노동자들은 급진적인 사제 존 볼의 사상에 깊이 공감했다. 그는 아담과 이브의 후손으로서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고 설교하며, "아담이 땅을 파고 이브가 실을 잣을 때 / 그때 누가 귀족이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 기존 사회 질서에 도전했다.[4]와트 타일러가 어떻게 반란에 참여하게 되었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후대의 기록에 따르면, '존 타일러'라는 인물이 자신의 딸을 모욕한 인두세 징수원을 살해하면서 봉기가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으나[1][5][6], 이것이 와트 타일러 본인인지는 불분명하다. 분명한 것은 1381년 6월, 잉글랜드 전역의 반란군이 런던을 향해 조직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을 때, 와트 타일러는 켄트 지역 반란군의 지도자로 부상했다는 점이다.
타일러가 이끄는 켄트 반란군은 캔터베리를 점령한 뒤 런던 외곽의 블랙히스(Blackheath)를 거쳐 6월 13일, 런던 브리지를 건너 시내로 진입했다. 이 과정에서 캔터베리 대주교가 살해되기도 했다. 런던에 들어선 반란군은 법원 기록을 불태우고 감옥 문을 열었으며, 왕실 정부와 연관된 인물들을 살해하고 그들의 집을 약탈했다.[7][8] 상황이 심각해지자 당시 14세였던 리처드 2세는 6월 14일 마일 엔드(Mile End)에서 반란군 대표들을 만나 그들의 요구 조건을 수용하고 관련자 전원을 사면하겠다고 약속했다. 일부 반란군은 왕의 약속에 만족하여 흩어졌지만, 타일러와 그의 추종자들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계속 투쟁을 이어갔다.
이튿날인 6월 15일, 스미스필드(Smithfield)에서 왕 측과 두 번째 협상이 진행되던 중 타일러는 런던 시장 윌리엄 월워스에게 살해당했다. 지도자를 잃은 반란은 급격히 동력을 상실하고 곧 진압되었다.
2. 2. 1. 국왕과의 협상 및 죽음

1381년 6월 15일, 타일러와 그의 켄트 군대는 런던 외곽 스미스필드에서 리처드 왕을 만났다. 그곳에서 타일러는 왕과 직접 대화하며 자신의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 처음에는 타일러가 왕을 격의 없이 대하고, 리처드가 반군에게 "공정하게 허락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주겠다"고 동의하면서 회담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했다.[9]
그러나 곧 긴장이 고조되었다. 동시대 연대기 작가에 따르면, 타일러는 더위를 식히기 위해 물을 가져와 왕 앞에서 입을 헹구는 등 다소 거친 행동을 보였다고 한다. 왕의 시종인 존 뉴턴 경은 타일러를 "켄트의 가장 큰 도둑이자 강도"라고 부르며 모욕했다. 타일러는 뉴턴을 공격하려 했으나, 런던 시장인 윌리엄 월워스가 그를 제지하고 체포하려 했다.
타일러는 월워스를 단검으로 찌르려 했지만, 월워스는 갑옷 덕분에 목숨을 건졌다. 월워스는 칼로 타일러의 목과 머리를 베었고, 랄프 드 스탠디시 경(Sir Ralph de Standissh)으로 추정되는 왕의 다른 시종이 타일러를 다시 찔러 심각한 부상을 입혔다. 타일러는 말에서 떨어지기 전 약 약 27.43m를 더 이동했다.
혼란 속에서 부상당한 타일러는 빈민을 위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시장에 의해 발각되어 스미스필드로 다시 끌려와 공개적으로 처형되었다.[10] 타일러의 머리는 기둥에 꽂혀 도시를 거쳐 런던 브리지에 전시되었다.[9][11][12] 지도자의 죽음 이후, 그의 추종자들은 런던에서 쫓겨났고, 농민 반란 운동은 급격히 붕괴되었다. 이후 리처드 2세는 반군에게 했던 모든 양보 약속을 철회했고, 많은 반란 참여자들이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이것으로 반란은 사실상 종식되었다.[13]
3. 평가 및 영향
중세 이후 문학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와트 타일러의 묘사에 대한 문화사 연구는 스티븐 바스데오가 저술했으며, 그는 대중문화에서 타일러의 차용이 대부분 정치적 격동기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31]
3. 1. 문학과 예술에서의 묘사
존 고어는 14세기 시 "Vox Clamantis"에서 와트 타일러를 언급하며, 그의 목소리가 거칠고 라틴 시인에게서 말하는 기술을 배운 것 같다고 묘사했다.[14] 중세 이후 여러 작품에서 와트 타일러는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1730년 바솔로뮤 페어에서 처음 공연된 연극 "와트 타일러와 잭 스트로, 또는 폭도 개혁자들"의 주인공이었으며, 로버트 사우디는 1794년에 쓴 희곡 "와트 타일러, 극시"(1813년 출판)에서 그를 다루었다.와트 타일러를 주인공으로 한 최초의 소설은 Mrs. O'Neill의 "노예: 와트 타일러 시대의 이야기"(1833)이다. 피어스 이간 더 영거의 소설 "와트 타일러, 또는 1381년의 반란"(1841)은 차티스트 운동의 두 번째 단계가 절정에 달했을 때 출판된 급진적인 작품으로, 잉글랜드의 공화정 정부를 주장하며 타일러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15] 이 소설은 이후 요약 및 표절되어 "와트 타일러의 삶과 모험: 선하고 용감한 자"(1851)로 출판되기도 했다. 1867년에는 페니 드레드풀 연재 소설 "와트 타일러; 또는 왕과 견습공"이 "The Young Englishman's Journal"에 실렸고, 윌리엄 해리슨 에인스워스의 "메리 잉글랜드; 또는 귀족과 농노"(1874)에서도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반면, 찰스 디킨스의 "황폐한 집"(1853)에서는 레스터 경이 하층 계급에게 양보할 경우 발생할 문제의 예시로 타일러의 이름을 언급한다. 윌리엄 모리스는 소설 "존 볼의 꿈"(1888)에서 타일러를 동정적인 영웅으로 묘사했다.[16]
와트 타일러는 허먼 멜빌의 "레드번"[17]과 마크 트웨인의 "아서 왕 궁정의 코네티컷 양키"[18]에서도 언급된다. 윌리엄 민토의 역사 소설 "랄프 하델롯의 중재"(1888)에도 잠시 등장하며,[19] G. A. 헨티의 청소년 소설 "런던으로의 행진"(1897)에서는 타일러를 "음울하고 분개한" 선동가로 간략하게 묘사했다.[20] 플로렌스 컨버스의 소설 "롱 윌"(1903)은 긍정적인 모습의 와트 타일러를 그렸다.[21]
할코트 글로버의 1921년 연극 "와트 타일러"는 그를 봉건적 폭정에 맞선 동정적인 시위자로 해석하며, 존 볼의 설교에 의해 폭력으로 내몰린 인물로 묘사한다.[22] 윌리엄 하워드 우즈의 소설 "그레이브스엔드에서의 폭동"(1952)은 반란군과 당국 간의 전투에 초점을 맞추었다.[23] 찰스 E. 이스라엘의 소설 "그럼 그 신사는 누구였나?"(1963)는 용감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와트 타일러를 묘사했다.[24] 반면, 제인 레인의 소설 "여름 폭풍"(1976)은 타일러를 악당으로 그렸다.[25] 시몬 젤리치의 소설 "잭 스트로의 고백"(1991)에서는 타일러가 중심 인물로 등장하며,[26] 헨리에타 브랜포드의 어린이 소설 "불, 침대, 뼈"(1997)에도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나온다.[27] 멜빈 브래그의 역사 소설 "지금이 때" (2015)는 와트 타일러를 주인공으로 삼았다.[28]
음악 분야에서는 영국 작곡가 앨런 부시가 타일러의 삶을 다룬 오페라 "와트 타일러"를 작곡하여 1953년 라이프치히 오페라에서 초연했다.[29] 싱어송라이터 마틴 뉴웰은 1990년 앨범 "Number Thirteen"의 곡 "The Jangling Man"에서 와트 타일러와 농민 반란을 언급하며 이를 인두세 폭동과 연결지었다. 영국 포크 싱어송라이터 프랭크 터너는 2009년 앨범 "Poetry of the Deed"의 "Sons of Liberty"에서 스미스필드에서의 와트 타일러 협상을 언급하고, 2011년 앨범 "England Keep My Bones"의 "One Foot Before the Other"에서 다시 그의 이름을 언급했다.
임시 아일랜드 공화군 회원이자 단식 투쟁가였던 바비 샌즈는 투옥 중 쓴 시 "The Rhythm of Time"에서 "Wat the Tyler"와 그의 가난한 사람들을 언급하며 저항의 상징으로 사용했다.[30]
스티븐 바스데오는 와트 타일러의 문화사적 묘사를 연구하며, 대중문화에서 그가 차용되는 것은 주로 정치적 격동기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31]
3. 2. 대중문화
메이드스톤을 통과하는 A249 도로의 일부 구간은 그를 기리기 위해 "와트 타일러 웨이"로 명명되었다.[32]허트퍼드셔의 뉴게이트스트리트 빌리지에서 A1000로 이어지는 "타일러의 코즈웨이"는 그의 사후 수도에서 도망친 추종자들이 거쳐간 경로를 따라 명명되었다.
블랙히스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도로는 와트 타일러 로드라고 불린다.[32]
에식스에 있는 와트 타일러 컨트리 파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스윈던 자치구 의회 사무실은 와트 타일러 하우스에 있다.
와트 타일러와 1381년의 대반란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2015년 7월 15일 런던 스미스필드에서 공개되었다.
3. 3. 기념
메이드스톤을 지나는 A249 도로 일부 구간은 그를 기리기 위해 '와트 타일러 웨이'(Wat Tyler Wayeng)로 이름 붙여졌다.[32]허트퍼드셔 뉴게이트스트리트 마을에서 A1000 도로로 이어지는 '타일러스 코즈웨이'(Tyler's Causewayeng)는 와트 타일러 사후 런던에서 도망친 그의 추종자들이 지나간 길을 따라 이름 붙여졌다.
런던 블랙히스 서쪽 가장자리의 도로는 '와트 타일러 로드'(Wat Tyler Roadeng)라고 불린다.[32]
에식스에 있는 와트 타일러 컨트리 파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스윈던 자치구 의회 사무실은 '와트 타일러 하우스'(Wat Tyler Houseeng)에 자리 잡고 있다.
와트 타일러와 1381년 대반란을 기리는 기념비가 2015년 7월 15일 런던 스미스필드에서 공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edieval Period: Politics – Wat Tyler and the peasants' revolt
http://www.dartforda[...]
Kent County Council
2017-09-23
[2]
간행물
Tyler, Walter [Wat] (d. 1381)
http://www.oxforddnb[...]
2013-03-20
[3]
서적
Medieval England An Encyclopedia
Garland Publishing
[4]
서적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London and Its Environs Described. Vol. IV.
https://www.gutenber[...]
2020-01-08
[6]
서적
Tyler, Wat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English Peasants' Revolt, 1381
http://www.britannia[...]
2013-04-24
[8]
서적
The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The Death of Wat Tyler: (Y55) CAC
http://spartacus-edu[...]
2016-01-26
[10]
서적
The Survey of London
J.M.Dent
1598
[11]
서적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The Death of Wat Tyler (1381)
http://www.historygu[...]
2017-09-23
[13]
서적
The Encyclopedia of Revolutions and Revolutionaries: From Anarchism to Zhou Enlai
The Jerusalem Publishing House
[1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Medieval English Literature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서적
Now is the Time
Sceptre
2015
[29]
문서
[30]
웹사이트
The Rhythm of Time – Poem by Bobby Sands
https://www.poemhunt[...]
2007-01-03
[31]
문서
[32]
웹사이트
Wat Tyler, Lossenham project and Cuxton – a fascinating mix
https://blogs.canter[...]
2021-06-16
[3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dartforda[...]
2014-04-29
[34]
웹인용
Tyler, Walter [Wat] (d. 1381)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