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볼 (사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볼은 14세기 잉글랜드의 사제로,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며 순회 설교를 통해 농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흑사병과 백년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 속에서 존 위클리프의 사상을 따랐으며, 캔터베리 대주교와의 갈등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1381년 농민 반란 당시 켄트 반란군에 의해 풀려나 런던 블랙히스에서 설교를 했으며, 반란 진압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아담이 밭을 갈고 이브가 실을 자을 때, 누가 신사였는가?"라는 그의 설교는 유명하며, 후대에 급진주의자들의 영웅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로마 가톨릭 신부 - 몬머스의 제프리
    몬머스의 제프리는 아서 왕 전설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한 중세 작가이자 성직자이며, 《브리타니아 열왕사》, 《멀린의 예언》, 《멀린의 생애》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잉글랜드의 로마 가톨릭 신부 - 라야먼
    라야먼은 12세기 말 또는 13세기 초에 활동한 영국의 사제이자 시인으로, 아서 왕 전설에 영향을 미쳤으며, 《브루트》라는 중세 영어 시를 통해 영국의 신화적 역사를 다루었다.
  • 와트 타일러의 난 - 노스월셤 전투
    노스월셤 전투는 1381년 농민 반란 당시 헨리 레 데스펜서 주교가 이끄는 정부군이 제프리 리스터의 반란군을 격파한 전투이다.
  • 와트 타일러의 난 - 리처드 2세
    리처드 2세는 1377년부터 1399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왕으로, 친정 이후 전제적인 통치를 추구하다 헨리 4세의 반란으로 폐위되어 사망했으며, 예술과 문화를 후원한 그의 통치는 중세 후기 잉글랜드 정치적 격변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 롤라드파 - 존 위클리프
    존 위클리프는 14세기 영국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며 성경의 최고 권위를 주장하여 개신교 탄생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 롤라드파 - 위클리프 성경
    위클리프 성경은 14세기 존 위클리프와 추종자들이 라틴어 불가타를 영어로 번역하여 평신도들이 성경에 접근하도록 했으나, 교회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져 검열과 탄압을 받았고, 이후 영어 성경 번역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존 볼 (사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와트 타일러의 반란을 돕는 존 볼의 삽화 (1470년대)
와트 타일러의 반란을 돕는 존 볼의 삽화 (1470년대)
출생1338년경
사망1381년 7월 15일 (42-43세)
사망 장소세인트 올번스
직업사제 (1366년 이전), 방랑자 겸 선동가 (이후)
활동 시기14세기
국적잉글랜드인
출생지펠던, 에식스, 잉글랜드 왕국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이후 파문)
별칭켄트의 미치광이 신부
주요 활동와트 타일러의 난

2. 생애

존 볼은 콜체스터 근처 펠든 출신으로, 요크에서 사제 수업을 받은 후 노리치와 콜체스터 등지에서 활동했다. 당시 잉글랜드는 흑사병백년 전쟁으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겪고 있었고, 가혹한 인두세 부과로 농민들의 불만이 높았다.

볼은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아 사회 평등을 주장하는 급진적인 설교를 펼쳤다. 에식스주의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설교 활동을 했고, 이로 인해 캔터베리 대주교와 갈등을 빚어 여러 차례 투옥되고 파문당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교회 묘지 등에서 설교를 계속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남쪽을 바라보는 블랙히스의 현대 항공 사진


농민 반란이 시작된 직후, 볼은 켄트 반란군에 의해 감옥에서 풀려났다.[3] 그는 그리니치 남쪽의 농민 집회 장소인 런던 블랙히스에서 농민들에게 설교했다.

반란이 진압된 후, 볼은 코번트리에서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 1381년 7월 15일 잉글랜드리처드 2세 국왕 앞에서 교수·거세·사분오열 처형되었다. 그의 머리는 런던 브리지에 꽂혀 전시되었고, 그의 신체는 네 개의 다른 마을에 전시되었다.[3]

2. 1. 초기 생애

존 볼은 콜체스터 근처 펠든 출신의 윌리엄 볼과 조앤 볼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1352년 1월 30일 콜체스터 법정 기록에 따르면, 1350년에 성년이 되어 마을의 이스트와 웨스트 스톡웰 스트리트 사이 건물의 임대를 인정했다는 기록이 있다.[2] 그러나 이것이 농민 반란의 존 볼인지는 불분명하며, 다른 사람들은 이를 볼의 초기 삶을 재구성하려는 "추측성 시도"로 본다.[3]

볼은 요크에서 사제로 훈련을 받았으며, 토마스 왈싱엄에 따르면 자신을 "요크의 성 마리아 사제"라고 칭했다. 그는 나중에 노리치와 콜체스터로 이주했다. 당시 잉글랜드는 흑사병 이후 백년 전쟁으로 인해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인구는 질병으로 거의 절반으로 줄었고, 과로에 시달렸으며, 가혹한 인두세가 부과되었다.

볼은 1381년 농민 반란 당시 켄트메이드스톤에 수감되었다. 그의 성인 시절에 대한 기록은 종교적, 정치적 사회 질서에서 비롯된 적대적인 출처에서 나온다. 그는 존 위클리프의 교리를 설명하고, 특히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면서 본당이나 기존 질서와 연관 없이 떠돌이 설교자로서 상당한 명성을 얻었다고 한다. 그는 에식스주 애션, 빌러리케이, 에식스주 보킹, 에식스주 브레인트리, 크레싱 사원, 에식스주 데덤, 코그셜, 포빙, 골드행거, 그레이트 배도우, 리틀 헤니, 스티스티드, 그레이트 윌섬 등 여러 장소에서 급진적인 설교를 했다.

그의 발언은 캔터베리 대주교인 사임언 오브 서드버리와 충돌을 일으켰고, 그는 여러 차례 투옥되었다. 또한 파문된 것으로 보이며, 1366년에는 그가 설교하는 것을 듣는 것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은 그의 견해를 완화시키지도, 그의 인기를 감소시키지도 않았고, 그는 공식 예배 후 교구민들에게 교회 묘지에서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2. 2. 사상과 활동

존 볼은 요크에서 사제 훈련을 받았으며, 토마스 왈싱엄에 따르면 자신을 "요크의 성 마리아 사제"라고 칭했다. 그는 나중에 노리치콜체스터로 이주했다. 당시 잉글랜드는 흑사병백년 전쟁으로 인한 막대한 인명 피해와 과중한 세금으로 피폐해져 있었다. 인구는 질병으로 거의 절반으로 줄었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과로에 시달렸으며, 가혹한 인두세까지 부과되었다.[2]

볼은 존 위클리프의 교리, 특히 사회적 평등 사상을 설파하며 떠돌이 설교자로서 명성을 얻었다.[3] 그는 에식스주의 애션, 빌러리케이, 보킹, 브레인트리, 크레싱 사원, 데덤, 코그셜, 포빙, 골드행거, 그레이트 배도우, 리틀 헤니, 스티스티드, 그레이트 윌섬 등 여러 곳에서 급진적인 설교를 했다.[3]

그의 설교는 캔터베리 대주교 사임언 오브 서드버리와 갈등을 빚었고, 여러 차례 투옥되었다. 1366년에는 파문되어 설교가 금지되기도 했다.[3]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은 그의 신념을 꺾거나 인기를 떨어뜨리지 못했고, 그는 공식 예배 후 교회 묘지에서 사람들에게 연설을 계속했다.[3]

1381년 농민 반란이 일어나자 볼은 켄트 반란군에 의해 감옥에서 풀려났다.[3] 그는 그리니치 남쪽 런던 블랙히스에서 농민들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의 야외 설교를 했다.

이 설교는 당시 농노제와 영주의 무보수 노동권, 즉 ''부역''에 분노하던 하층민들의 불만을 대변한 것이었다.[3]

2. 3. 와트 타일러의 난



1381년 와트 타일러의 난이 일어나자 존 볼은 켄트 반란군에 의해 감옥에서 풀려났다.[4] 그는 그리니치 남쪽의 농민 집회 장소인 런던 블랙히스에서 야외 설교를 통해 자신의 사상을 설파하며 농민군의 사기를 북돋았다.[5][6]

그는 설교에서 "'''아담이 밭을 갈고 이브가 실을 자을 때, 누가 귀족(젠트리·영주)이었는가'''"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반란이 진압된 후, 볼은 코번트리에서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 1381년 7월 15일 잉글랜드리처드 2세 국왕 앞에서 교수·거세·사분오열 처형되었다. 그의 머리는 런던 브리지에 꽂혀 전시되었고, 그의 신체는 네 개의 다른 마을에 전시되었다.

3. 평가와 영향

존 볼은 사후 여러 세대에 걸쳐 다양하게 기억되고 재해석되었다. 역사학자 제임스 크로슬리에 따르면, 볼은 사망 후 4세기 동안 주로 부정적으로 묘사되었으나, 1790년대 이후 급진주의, 혁명, 사회주의,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부상했다. 그는 영국 역사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재조명되었고, 다양한 문학 작품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그의 사상과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상기시켰다.

존 볼의 유명한 구절인 "아담이 밭을 갈고 이브가 실을 자을 때, 누가 귀족이었는가?"는 평등 사회에 대한 열망을 상징하며 여러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햄릿에서 이 구절을 인용하여 아담 시대에는 귀족만이 존재했다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영국의 작곡가 시드니 카터는 존 볼을 기리는 노래를 작곡했으며, 이 노래는 여러 포크 음악가들에 의해 불리고 있다.[14] 2015년에는 Sweet Liberties 그룹이 국회의사당에서 이 노래를 공연하기도 했다.[15]

3. 1. 후대의 평가

역사학자 제임스 크로슬리(James Crossley)는 존 볼이 사망 후 4세기 동안 신학 서적, 연극, 시, 대중 역사에서 대체로 부정적으로 묘사되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1790년대 이후 존 볼은 급진주의자, 혁명가,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들의 영웅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국 역사에서 더 존경받는 인물이 되었고 소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되었다.[7]

존 볼은 존 가워의 ''복스 클라마티스'' 793행에서도 언급된다. 몰리는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

> 볼은 설교자, 예언자, 교사였고, 지옥의 영감에 의해,

> 모든 바보는 그의 학교에서 발전하여, 악마가 원하는 대로 가르침을 받았다.[8]


존 볼은 1593년 런던에서 출판된 익명의 연극 ''잭 스트로의 삶과 죽음''에 등장하는데, 이 연극은 농민 반란을 다룬다.

윌리엄 모리스는 "존 볼의 꿈"이라는 단편 소설을 썼으며, 이 소설은 1886년 11월부터 1887년 2월까지 ''Commonweal''에 연재되었고, 1888년에 책으로 출판되었다.[9]

윌리엄 모리스의 ''존 볼의 꿈''(1888)의 표지 삽화


존 볼은 애니 네이선 메이어의 역사 소설 ''가난한 사제 로버트 애니스''(1901)에 등장한다.[10] 플로렌스 컨버스의 소설 ''롱 윌''(1903)에서는 존 볼을 동정적인 인물로 묘사한다.[11]

레스터셔의 A5199 도로에는 셔스비와 허즈번즈 보스워스 사이에 "존 볼 언덕"이라고 구어적으로 불리는 가파른 언덕이 있다.

에식스 주 택스테드의 교구 교회에 있는 탑 예배당은 앵글로-가톨릭 사회주의 목사인 콘래드 노엘(1910–1942) 아래에서 존 볼에게 헌정되었다.

베드퍼드에 본부를 둔 무료 지역 신문인 ''The Bedfordshire on Sunday''는 "존 볼의 일기"라는 가상의 저널리스트가 쓰는 주간 칼럼을 게재하며, 신문사 사무실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담고 있다. 이 칼럼은 편집진의 모든 구성원이 작성한다.[12]

존 볼은 1954년 역사 소설 ''캐서린''에서 아냐 세톤에 의해 등장한다.

뉴베리 상을 수상한 2002년 소설 ''크리스핀: 지도 위의 십자가''에도 존 볼이 등장한다. 그는 평소처럼 사제였으며, 1381년 농민 반란에서 베어라는 인물을 돕고 있었다.

존 볼은 T. H. 화이트의 ''추방과 왕''에서 여러 번 언급되며, 특히 네 번째 책인 ''바람 속의 촛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마지막 장(14장)에서 아서 왕은 잉글랜드를 통합하지 못한 것에 대해 숙고한다. 아서 왕은 인류가 전쟁을 벌이게 만드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모르드레드의 쓰래셔의 전조로 존 볼의 "공산주의"를 언급한다.[13]

존 볼의 대사 "아담이 밭을 갈고 이브가 실을 자을 때, 누가 귀족이었는가?"는 재디 스미스의 2012년 소설 ''NW''의 표제로 사용되었으며, 이 소설은 런던 북서부의 의회 주택에서 자란 인물들을 따라간다.

햄릿 5막 1장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묘지기(첫 번째 광대)가 "아담이 밭을 갈고 이브가 실을 자을 때, 누가 귀족이었는가?"라는 구절을 약간 반대 의미로 논한다. 즉, 아담 시대에는 귀족 외에는 없었다.

>

> 첫 번째 광대: ... 자, 내 삽. 정원사, 도랑 파는 사람, 무덤 제작자 외에는 고대 귀족이 없습니다. 그들이 아담의 직업을 유지합니다.

>

> 두 번째 광대: 그가 귀족이었나?

>

> 첫 번째 광대: 그는 무기를 든 최초의 사람이었다.

>

> 두 번째 광대: 왜, 그는 아무것도 없었어.

>

> 첫 번째 광대: 뭐, 이교도인가? 성경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성경은 '아담이 팠다'고 말한다. 무기 없이 팔 수 있었겠는가?

>


영국의 작곡가 시드니 카터는 존 볼에 관한 동명의 노래를 썼고, 많은 아티스트들이 녹음했다.[14] '존 볼을 노래하라'는 The Young'uns, The Melrose Quartet를 포함한 영국의 포크 음악가들이 정기적으로 공연하며, 2015년에는 Sweet Liberties 그룹이 국회의사당에서 이 노래를 공연했다.[15]

4. 대중문화 속 존 볼

역사학자 제임스 크로슬리(James Crossley)는 존 볼이 그의 사후 4세기 동안 신학 서적, 연극, 시, 대중 역사에서 대체로 부정적으로 묘사되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1790년대 이후 볼은 급진주의자, 혁명가,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들의 영웅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국 역사에서 더 존경받는 인물이 되었고 소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되었다.[7]

존 볼은 존 가워의 ''복스 클라마티스'' 793행에서 언급되는데, 몰리는 이를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

> 볼은 설교자, 예언자, 교사였고, 지옥의 영감에 의해,

> 모든 바보는 그의 학교에서 발전하여, 악마가 원하는 대로 가르침을 받았다.[8]

존 볼은 1593년 런던에서 출판된 익명의 연극 ''잭 스트로의 삶과 죽음''에 등장하며, 이 연극은 농민 반란의 사건을 다룬다.

윌리엄 모리스는 "존 볼의 꿈"이라는 단편 소설을 썼으며, 이 소설은 1886년 11월부터 1887년 2월까지 ''Commonweal''에 연재되었고, 1888년에 책으로 출판되었다.[9]

존 볼은 애니 네이선 메이어의 역사 소설 ''가난한 사제 로버트 애니스''(1901)에 등장한다.[10] 또한 플로렌스 컨버스의 소설 ''롱 윌''(1903)에서 동정적인 인물로 묘사된다.[11]

레스터셔의 A5199 도로에는 셔스비와 허즈번즈 보스워스 사이에 "존 볼 언덕"이라고 구어적으로 불리는 가파른 언덕이 있다.

에식스 주 택스테드의 교구 교회에 있는 탑 예배당은 앵글로-가톨릭 사회주의 목사인 콘래드 노엘(1910–1942) 아래에서 존 볼에게 헌정되었다.

베드퍼드에 본부를 둔 무료 지역 신문인 ''The Bedfordshire on Sunday''는 "존 볼의 일기"라는 가상의 저널리스트가 쓰는 주간 칼럼을 게재하며, 신문사 사무실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담고 있다. 이 칼럼은 편집진의 모든 구성원이 작성한다.[12]

존 볼은 아냐 세톤의 1954년 역사 소설 ''캐서린''에 등장한다.

존 볼은 뉴베리 상을 수상한 2002년 소설 ''크리스핀: 지도 위의 십자가''에 등장했다. 그는 평소처럼 사제였으며, 1381년 농민 반란에서 베어라는 인물을 돕고 있었다.

존 볼은 T. H. 화이트의 ''추방과 왕''에서 여러 번 언급되며, 특히 네 번째 책인 ''바람 속의 촛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마지막 장(14장)에서 아서 왕은 잉글랜드를 통합하지 못한 것에 대해 숙고하며, 인류가 전쟁을 벌이게 만드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모르드레드의 쓰래셔의 전조로 존 볼의 "공산주의"를 언급한다.[13]

존 볼의 대사 "아담이 밭을 갈고 이브가 실을 자을 때, 누가 귀족이었는가?"는 재디 스미스의 2012년 소설 ''NW''의 표제로 사용되었으며, 이 소설은 런던 북서부의 의회 주택에서 자란 인물들을 따라간다.

윌리엄 셰익스피어햄릿 5막 1장에서 묘지기(첫 번째 광대)는 "아담이 밭을 갈고 이브가 실을 자을 때, 누가 귀족이었는가?"라는 구절을 약간 반대 의미로 논한다. 즉, 아담 시대에는 귀족 외에는 없었다.

> 첫 번째 광대: ... 자, 내 삽. 정원사, 도랑 파는 사람, 무덤 제작자 외에는 고대 귀족이 없습니다. 그들이 아담의 직업을 유지합니다.

>

> 두 번째 광대: 그가 귀족이었나?

>

> 첫 번째 광대: 그는 무기를 든 최초의 사람이었다.

>

> 두 번째 광대: 왜, 그는 아무것도 없었어.

>

> 첫 번째 광대: 뭐, 이교도인가? 성경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성경은 '아담이 팠다'고 말한다. 무기 없이 팔 수 있었겠는가?

영국의 작곡가 시드니 카터는 존 볼에 관한 동명의 노래를 썼고, 많은 아티스트들이 녹음했다.[14] '존 볼을 노래하라'는 The Young'uns, The Melrose Quartet를 포함한 영국의 포크 음악가들이 정기적으로 공연하며, 2015년에는 Sweet Liberties 그룹이 국회의사당에서 이 노래를 공연했다.[15]

참조

[1] 서적 Lollards and their influence in late medieval England Boydell Press 2003
[2] 문서 'A Colchester Rebel; A Short Study of John Ball – sometimes parochial Chaplin at St James'' Church, Colchester'
[3] 웹사이트 John Ball and the Peasants' Revolt https://www.cdamm.or[...] Critical Dictionary of Apocalyptic and Millenarian Movements 2021
[4] 인용
[5] 웹사이트 BBC: Voices of the powerless – readings from original sources http://www.bbc.co.uk[...]
[6] 인용
[7] 서적 Spectres of John Ball: The Peasants' Revolt in English Political History, 1381–2020 Equinox 2022
[8] 서적 English Writers (Volume 2, pt. 1) http://www.general-b[...] General Books LLC
[9] 서적 The Peasants’ Revolt of 1381 Springer 1983
[10] 서적 A Guide to British Historical Fiction G.G. Harrap 1912
[11] 서적 In Search of the Holy Grail: the Quest for the Middle Ages Hambledon Continuum 1981
[12] 웹사이트 John Ball's Diary http://www.bedfordsh[...] Local Sunday Newspapers 2011-07-18
[13] 문서 The Once and Future King
[14] 웹사이트 John Ball [Sydney Carter] https://mainlynorfol[...] 2015-12-01
[15] 웹사이트 Sweet Liberties Launch, Speaker's House, Palace of Westminster, 16th November http://www.folkradio[...] 2015-11-19
[16]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