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드는 이집트 상형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등에서 유래된 문자로,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페르시아 문자 등 다양한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히브리 문자에서는 자음 /j/ 또는 모음 /i/를 나타내며, 게마트리아에서 숫자 10을 의미하는 등 종교적인 의미도 지닌다. 아랍 문자에서는 단어 내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발음과 기능을 가지며, 페르시아 문자에서는 'ye'로 불린다. 이디시어에서는 모음과 이중 모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며, 유니코드에서도 각 문자에 해당하는 코드 포인트를 할당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브리 문자 - 고대 히브리 문자
    고대 히브리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에서 비롯되어 아람 문자와 현대 히브리 문자의 기원이 되었으며,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에서 널리 쓰이다 바빌론 유수 이후 아람 문자로 대체되었으나 사마리아 문자로 계승되어 고풍스러운 형태로 존속하기도 했다.
  • 히브리 문자 - 게마트리아
    게마트리아는 히브리어 알파벳에 숫자 값을 부여하여 단어나 구절의 수치적 의미를 해석하는 방법으로, 고대 아시리아에서 기원하여 유대교 카발라, 기독교 텍스트, 랍비 문학 등 다양한 종교 및 문화에서 활용되었으며, 여러 계산 방법과 다양한 언어에 적용된 사례가 있다.
  • 페니키아 문자 - 페니키아어
    페니키아어는 고대 페니키아인들이 사용한 셈어족 언어로, 현대 알파벳의 조상인 페니키아 문자를 통해 지중해 전역으로 전파되었으며, 특히 카르타고의 포에니어는 로마 시대까지 존속하며 베르베르어에 영향을 미쳤다.
  • 페니키아 문자 - 아람어
    아람어는 기원전 1000년경 아람인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셈어족 언어로, 신아시리아 제국의 공용어 채택으로 넓은 지역에 확산되었고, 예수의 언어이자 성경과 탈무드의 주요 언어이며, 현대에는 일부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 아랍계 문자 - 자위 문자
    자위 문자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해 14세기경 만들어져 말레이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브루나이 공식 문자이자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종교, 문화적으로 사용되는 문자 체계이다.
  • 아랍계 문자 - ز
    ز는 아랍 문자의 하나이며, 유니코드 1586 (0x632)에 해당하고 '자이'라고 불리며, 파슈토어에서 사용되는 유사한 형태의 문자 {{unicode|ẓ}} (ځ)도 존재하며, 아랍 문자 ر (r)과도 형태적으로 유사하다.
요드
문자 정보
이름요드
다른 뜻아이오딘
문자
화학 원소
구분페니키아 문자
아랍 문자
시리아 문자ܝ
히브리 문자י
아람 문자yod
고트 문자
페니키아 문자yodh
IPAj
숫자10
문자 체계 내 위치
이전 문자테트
다음 문자카프

2. 기원

요드는 이집트 상형 문자의 "손" 모양에서 유래되었으며, 원시 시나이 문자를 거쳐 셈족 언어의 문자로 발전하였다. 19세기 말 이전, 특히 레반트 지역에서는 야ʼ 문자가 두 개의 점 없이 쓰이기도 했다.[1]

2. 1. 이집트 상형 문자

요드는 이집트 상형 문자의 "손" 또는 *야드에서 유래되었다.

19세기 말 이전에는 야ʼ 문자는 두 개의 점 없이 쓰였는데, 특히 레반트 지역에서 그러했다.[1]

2. 2. 원시 시나이 문자

요드는 이집트 상형 문자의 "손" 또는 *야드에서 유래되었다.[1]

D36

19세기 말 이전에는 야ʼ 문자가 두 개의 점 없이 쓰였는데, 특히 레반트 지역에서 그러했다.[1]

3. 아랍 문자

아랍 문자에서 ي|yāʼ|야ar아랍 문자의 한 글자로, 단어 내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쓰이며, 경구개 근사음, 장모음, 이중 모음 등 여러 발음을 나타낸다.

ي|yāʼ|야ar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발음된다.


  • 자음: 경구개 근사음 로 발음되며, 보통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단모음 또는 장모음 앞에 온다.
  • 장모음: 로 발음되며, 단어 중간이나 끝에 온다. 별도 부호는 없지만, 일부 전통에서는 앞 글자에 카스라를 붙이기도 한다.
  • 장모음: 로 발음된다. 이는 많은 아랍어 방언에서 이중모음 가 단모음화된 결과이다.
  • 이중 모음의 일부: 로 발음된다. 별도 부호는 없지만, 일부 전통에서는 수쿤으로 표시한다. 앞 자음은 부호가 없거나 이중모음 첫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가질 수 있다.


ي|yāʼ|야ar함자의 "자리" 역할을 할 수 있다: ئar

ي|yāʼ|야ar는 접두사로 쓰여 단수 미완료상 동사의 표지로 사용되거나, 샤다와 함께 쓰여 명사를 형용사로 바꾸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

3. 1. 야 (ي)

ي|yāʼar (야)는 아랍 문자의 한 글자로, 단어 내 위치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

이 글자는 네 가지 방식으로 발음된다.

  • 자음: 경구개 근사음()으로 발음되며, 보통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단모음 또는 장모음 앞에 온다.
  • 장모음: ()으로 발음되며, 단어 중간이나 끝에 온다. 별도 부호는 없지만, 일부 전통에서는 앞 글자에 카스라를 붙이기도 한다.
  • 장모음: ()으로 발음된다. 이는 많은 아랍어 방언에서 이중모음()이 단모음화된 결과이다.
  • 이중 모음의 일부: ()로 발음된다. 별도 부호는 없지만, 일부 전통에서는 수쿤으로 표시한다. 앞 자음은 부호가 없거나 이중모음 첫 모음을 나타내는 فَتْحَة|fatḥaar 기호()를 가질 수 있다.


ي|yāʾar함자의 "자리" 역할을 할 수 있다: ئar

ي|Yāʾar는 아랍어에서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 접두사: 단수 미완료상 동사를 나타낸다. 예: ك-ت-ب|K-T-Bar ("쓰다")에서 파생된 يَكْتُب|yaktubar는 "그는 쓴다"를 뜻한다.
  • 샤다가 있는 ي|Yāʾar: 명사를 형용사로 바꾼다(نِسْبَة|nisbahar, 니스바). 예: مِصْر|Miṣrar (이집트) → مِصْرِيّ|Miṣriyyar (이집트의). مَوْضَوع|mawḍūʿar (문제, 객체) → مَوْضُوعِيّ|mawḍūʿiyyar (객관적). اِشْتِرَاك|ishtirākar (협력) → اِشْتِرَاكِيّ|ishtirākiyyar (사회주의자). 마지막()는 대개 또는 로 발음된다.


ي|yāʾar와 유사하지만 다른 형태는 أَلِف مَقْصُورَة|ʾalif maqṣūrahar (제한된/제약된 알리프)이며, 형태는 ىar이다. 이는 마지막 장모음()을 나타낸다.

3. 2. 알리프 막수라 (ى)

أَلِف مَقْصُورَة|ʾalif maqṣūrah|알리프 막수라ar는 ى| |ar 형태로, 와 유사하지만 점이 없는 글자이다. '제한된/제약된 알리프'라는 뜻을 가지며, 단어 끝에서 장모음 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알리프 막수라''는 아랍어에서 점이 없는 문자 ''야''이며,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그러나 이 문자는 아랍어에서 단어의 처음이나 중간에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함자가 있는 ''알리프 막수라''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3. 3. 페르시아 문자

페르시아 문자에서 해당 문자는 페르시아어 관례에 따라 'ye'라고 불린다. 고립형 및 종결형에서 이 문자는 점이 없으며(ی|예fa)는 아랍어 알리프 막수라와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페르시아-아랍어 'ye'는 표준 아랍어 문자와는 다른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에 위치한다. 컴퓨터에서 페르시아어 버전의 문자는 처음과 중간 형태에서 자동으로 두 개의 점과 함께 나타난다.

3. 3. 1. 페르시아어 예 (ی)

페르시아 문자에서 해당 문자는 일반적으로 페르시아어 관례에 따라 'ye'라고 불린다. 고립형 및 종결형에서 이 문자는 점이 없으며(ی|예fa)는 아랍어 알리프 막수라와 매우 유사하며, 더 정확하게는 이집트, 수단, 때로는 마그레브의 관례와 유사하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페르시아-아랍어 'ye'는 표준 아랍어 문자와는 다른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에 위치한다. 컴퓨터에서 페르시아어 버전의 문자는 처음과 중간 형태에서 자동으로 두 개의 점과 함께 나타난다: (یـ ـیـ ـی|예fa)

3. 3. 2. 카슈미르어 예 (ؠ)

카슈미르어에서는 점 대신 아래에 고리(ؠ)를 사용한다.[2]

3. 3. 3. 반환된 야 (ـے)

다양한 서체, 예를 들어 히자지체, 쿠피체, 나스타리크체에서는 마지막 ‘야’의 하강선이 오른쪽으로 굽은 특정 형태(ـے)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al-yāʾ al-mardūdah/al-rājiʿah|알야 알마르두다/알라지아ar ("반환된 ‘야’")라고 불리며,[2] 점이 두 개 있거나 없을 수 있다.[3]

우르두 문자에서는 이것을 바리 예(baṛī ye, "큰 예")라고 부르지만, /ɛː, eː/ 발음을 위해 사용되는 독립적인 문자이며 기본 예(‘초티 예’, choṭī ye, "작은 예")와는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이 문자는 유니코드에서 자체 코드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자의 초성 및 중성 형태는 다른 ‘예’와 다르지 않다(실제로 ‘바리 예’는 이러한 위치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4. 히브리 문자

히브리 문자에서 요드(יוֹד|요드he)는 자음 /j/ 또는 모음 /i/를 나타내며, 게마트리아에서 숫자 10을 의미한다.[4][5] 구어체로는 יוּד|유드he라고 한다.

4. 1. 요드 (י)

히브리어라시
문자
세리프산세리프고정폭 글꼴ייי
히브리어 요드 필기체
히브리어 요드 라시 문자



히브리어 표기: יוֹד|요드he[4][5], 구어체 יוּד|유드he

이 문자는 다양한 산세리프 글꼴에서 갈고리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성서 히브리어현대 히브리어에서 요드는 연구개 접근음을 나타낸다. 모음 보조 문자로써, 모음을 나타낸다.

게마트리아에서 요드는 숫자 10을 나타낸다.

접두사로서 미래 시제의 3인칭 단수(또는 바브를 접미사로 사용하여 복수)를 나타낸다.

접미사로서 1인칭 단수 소유를 나타낸다. 'av'(아버지)는 'avi'(나의 아버지)가 된다.

히브리어에서 "요드"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요오드는 아랍어로 يود 'yod'라고도 한다.

4. 2. 종교적 의미

게마트리아에서 요드는 숫자 10을 나타낸다.[6] 요드는 가장 작은 글자이므로, 많은 카발라적이고 신비한 의미가 부여된다.[6]

마태오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는 율법의 반명제에서 "한 획이나 한 점이라도 율법에서 결코 없어지지 아니하고 다 이루리라"라고 언급했다. 여기서 '한 획' 또는 '한 점'은 요드를 가리킨다. 요드는 그 크기와 마테르 렉티오니스로서의 위치 때문에 필사자들이 종종 간과하기도 했다.

현대 히브리어에서 "요드의 끝"이라는 구절은 작고 사소한 것을 의미하며, "요드의 끝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은 작은 세부 사항에 대해 꼼꼼하고 세심한 사람을 의미한다.

두 개의 요드는 신의 이름인 아도나이를 나타내며, 음역 표기에서 테트라그라마톤과 마찬가지로 아도나이의 모음으로 쓰인다.

4. 3. 이디시어

이디시어[7]에서 요드는 고유 단어의 여러 맞춤법 용도로 사용된다.

전통적인 맞춤법과 YIVO 맞춤법에서 이디시어의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 차용어는 원어와 동일하게 표기된다. 소련 맞춤법에서는 다른 이디시어 단어처럼 음성적으로 쓰여진다.

5. 문자 인코딩

문자 인코딩
문자유니코드 코드 포인트
히브리 문자 요드U+05D9
아랍 문자U+064A
페르시아 문자U+06CC
시리아 문자 유드U+071D
사마리아 문자 유트U+0809
우가리트 문자 요드U+1038A
제국 아람 문자 요드U+10849
페니키아 문자 요드U+10909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Greece, 1300 to 30 BC John Wiley & Sons 2014
[2] 서적 The Arabic manuscript tradition: a glossary of technical terms and bibliography: supplement https://books.google[...] Brill 2008
[3] 서적 Encyclopædia Iranica 2015-10-03
[4] 웹사이트 Morfix.mako.co.il http://morfix.mako.c[...]
[5] 웹사이트 Fileformat.info https://www.fileform[...] 2018-03-21
[6] 웹사이트 Inner.org http://www.inner.org[...] 2004-11-06
[7] 서적 College Yiddish YIVO Institute for Jewish Research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