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메키 미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메키 미요시는 일본에서 나이트클럽 가수로 경력을 시작하여 미국으로 건너가 배우와 가수로 활동한 일본계 미국인이다. 1957년 영화 《사요나라》에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며, 아시아인 최초로 연기 부문 아카데미상을 받았다. 1950년대부터 미국에서 앨범을 발매하고 뮤지컬과 영화에 출연했으며, 1969년부터 1972년까지 텔레비전 시리즈 《에디의 아빠 길들이기》에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타루시 출신 - 고바야시 마사키
일본의 영화 감독 고바야시 마사키는 전쟁과 사회의 어두운 면을 비판하는 영화들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구로사와 아키라 등과 교류하며 일본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타루시 출신 - 교고쿠 나쓰히코
교고쿠 나쓰히코는 1963년 홋카이도 출생의 일본 소설가이자 그래픽 디자이너로, 『우부메의 여름』으로 데뷔하여 '백귀야행' 시리즈, '항설백물어' 시리즈 등 독특한 추리 스타일과 직접 디자인한 책으로 유명하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하고 소설 외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일본의 여자 뮤지컬 배우 - 미야모토 카나코
미야모토 카나코는 1989년 이바라키현 출생의 일본 여성 성우이자 가수로, 초등학교 때부터 연기 수업을 받고 2007년 애니메이션 주제가로 데뷔하여 프리큐어 시리즈 음악과 다양한 애니메이션 성우로 활동하며, 건강 문제로 활동을 중단한 후 복귀, 결혼과 출산 후에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일본의 여자 뮤지컬 배우 - 오기노메 요코
오기노메 요코는 1980년대 후반 유로비트풍 음악으로 인기를 얻은 일본 가수 겸 배우로, 대표곡 "댄싱 히어로 (Eat You Up)"와 "버블 댄스" 바이럴 현상으로 재조명되었으며, 일본 레코드 대상 금상 수상 및 홍백가합전 출연, 결혼과 육아 후 데뷔 30주년 기념 활동 재개 등의 활동을 했다. - 일본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일본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쇼 코스기
쇼 코스기는 1980년대 닌자 영화 시리즈로 미국에서 닌자 붐을 일으킨 일본계 미국인 배우이자 무술가이며, 가라테 등 다양한 무술에 능통하고 쇼 코스기 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우메키 미요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본명 | 우메키 미요시 |
다른 이름 | 낸시 우메키 |
출생일 | 1929년 5월 8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홋카이도 오타루시 |
사망일 | 2007년 8월 28일 |
사망지 | 미국 미주리주 리킹 |
국적 | 일본 미국 |
직업 | 가수, 배우 |
활동 기간 | 1953년–1972년 |
결혼 및 가족 정보 | |
배우자 | Frederick Winfield "Wynn" Opie(1958년 결혼, 1967년 이혼) Randall Firevod Hood(1968년 결혼, 1976년 사별) |
자녀 | 1명 |
수상 | |
수상 내역 |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
주요 작품 | |
주요 작품 | 사요나라 기쁜 눈물 전략 도둑 작전 |
2. 초기 생애 및 일본 활동
홋카이도 오타루시에서 9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철강 공장을 소유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낸시 우메키'''라는 예명으로 나이트클럽 가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10] 초창기에는 가부키 연극과 미국 팝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2]
2. 1. 출생 및 가족
홋카이도 오타루시에서 9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철강 공장을 소유했다.[2]2. 2. 일본에서의 가수 활동 (1945-1955)
홋카이도 오타루시에서 9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철강 공장을 소유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낸시 우메키라는 예명으로 나이트클럽 가수로 경력을 시작했다.[10] 그녀는 초창기에 전통적인 가부키 연극과 미국 팝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2]오타루 미도리가오카 고등여학교 (현재 삿포로 야마노테 고등학교의 기원)를 졸업한 후, 종전 직후부터 지역 병원장 부인에게 영어를 배웠다.[18] 18세에 오디션을 보았는데, 심사원은 트롬본 연주자 모리 토오루였다.[19] 무대에서 재즈를 부르자 미군들이 "낸시, 낸시"라고 환호했는데, 이는 그들이 좋아했던 유명 만화 낸시에 등장하는 8살 주인공을 닮았기 때문이었다.[20]
상경 후, 오빠가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을 점령한 연합군의 통역을 했던 관계로 캠프에서 재즈를 부르게 되었다.[21] 진주군의 장교 클럽의 연예 담당이었던 나가시마 타츠지가 미국의 영어곡을 부를 수 있는 가수로 우메키의 오빠를 고용했을 때, 여동생이 더 잘 부른다는 말을 듣고 낸시 우메키라는 예명으로 클럽에 출연하게 된 것이 계기라고 한다.[22] 1950년대 일본 재즈 가수의 선구자로서 스미다 타카시 & 식스나 레이먼드 콩데의 게이 셉텟 등의 재즈 밴드에서 인기를 얻었으며[21], 나이트 클럽과 무대에서 활약했다. 『청춘 재즈 아가씨』(1953), 『재즈 온 퍼레이드 1954년 도쿄 신데렐라 아가씨』(1954) 등의 뮤지컬 영화에도 출연했다.[16]
일본에서 가수 활동을 하는 동안, 미요시는 다음과 같은 노래들을 녹음했다.
1952년에 두 곡의 다른 일본어 노래가 녹음되었다.
1955년 머큐리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다음과 같은 45 rpm 싱글을 녹음했다.
- "How Deep Is the Ocean/Why Talk" (1955)[11]
- "The Little Lost Dog/The Story You're About to Hear Is True" (1956)[11]
3. 미국 활동 (1955-1972)
우메키 미요시는 1945년 이후 일본에서 국외로 이주한 이세이였다. 그녀는 영화 ''사요나라''(1957)에서 카츠미 역으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했고, 브로드웨이 뮤지컬과 1961년 영화 ''꽃 피는 북''에서 메이 리 역을 맡았으며, 텔레비전 시리즈 ''에디의 아버지와의 데이트''에서 리빙스턴 부인 역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1955년, 음악 공부를 위해 미국으로 건너간[16] 우메키 미요시는 외국인 연예인 섭외 담당자였던 나가시마의 조언으로[22] 미국을 활동 무대로 옮겼다. 1956년에는 CBS 텔레비전의 《아서 고드프리 쇼》에 기모노 차림으로 출연하여 영어 노래를 불러 화제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머큐리 레코드에서 LP 앨범 《Miyoshi Umeki: Miyoshi Sings for Arthur Godfrey》를 발표,[23] 영어와 일본어를 섞어 일본과 미국의 곡을 불렀다. 1958년에는 같은 레이블에서 두 번째 앨범 《Miyoshi》도 발표했다.
이후, 여러 텔레비전 버라이어티 쇼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3. 1. 미국 진출과 초기 활동

우메키 미요시는 1950년부터 1954년까지 RCA 빅터 재팬에서 음반을 녹음했고, 영화 ''세이슌 자즈 무스메''에 출연했다.[2] 주로 미국 재즈 스탠다드를 일본어와 영어로 부분적으로 부르거나, 두 언어 중 하나로만 불렀다. 이 기간 동안 그녀가 불렀던 노래는 "It Isn't Fair", "Sentimental Me", "My Foolish Heart", "With A Song In My Heart", "Again", "Vaya con Dios", "(How Much Is) That Doggie in the Window?", "I'll Walk Alone" 등이었다. 1955년 미국으로 이주한[2][10] 그녀는 ''아서 고드프리 탤런트 스카우트''에 출연하여 한 시즌 동안 시리즈 정규 멤버로 활동했고, 머큐리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여러 싱글과 두 개의 앨범을 발매했다.[2] 조슈아 로건 감독은 고드프리의 프로그램에 출연한 그녀를 보고 ''사요나라''에 캐스팅했으며, 우메키 미요시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이는 연기 부문에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최초의 아시아인이다.[3]
3. 2. 할리우드에서의 성공 (1957-1960년대)
1957년, 말론 브란도 주연의 영화 《사요나라》에 다카미 요시코와 함께 출연하여 스크린 데뷔를 했다. 이 영화에서 카츠미 역을 연기하여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24] 이는 동양인 배우로서는 최초의 아카데미상 수상이었으며, 미국과 영국 이외의 배우가 여우조연상을 수상한 것도 처음이었다.[25] 우메키 미요시는 이 영화를 통해 연기 부문에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최초의 아시아인이 되었다.[3]
같은 해 남우조연상에는 하야카와 셋슈 (《콰이강의 다리》)가 후보로 올랐지만, 수상자는 《사요나라》에서 우메키 미요시의 상대역이었던 레드 버튼스였다.[26]
1958년, 버라이어티 쇼 ''지젤 매켄지 쇼''에 두 번 출연하여 "How Deep Is the Ocean"을 불렀다. 같은 해, 브로드웨이 초연작 ''꽃 피는 북''에서 메이 리 역을 맡아 토니상 뮤지컬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3][5] 진 켈리가 연출한 이 쇼는 2년간 공연되었다. ''타임''지의 표지 기사는 "그녀의 예술의 따뜻함은 일종의 평온한 마법을 만들어낸다"고 언급했다.[2] 1961년, 유니버설 스튜디오가 제작한 이 뮤지컬의 영화 각색판에도 출연했다.[10] ''꽃 피는 북''으로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올랐다.
이후 1962년까지 ''해피를 찾아서''(1961), ''수평선 하사관''(1962), ''타미코라는 소녀''(1963) 등 세 편의 영화에 더 출연했다.
3. 3. 《에디의 아빠 길들이기》 (1969-1972)
우메키 미요시는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에디의 아버지와의 데이트''에 가정부 리빙스턴 부인 역으로 출연하여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올랐다.[6] 이 시리즈가 끝난 후, 우메키 미요시는 연기에서 은퇴했다.[6]4. 은퇴 이후의 삶
우메키 미요시는 1958년 텔레비전 감독 프레데릭 윈필드 "윈" 오피와 결혼했으나 1967년에 이혼했다.[1][2] 1964년 아들 마이클 H. 오피를 낳았고, 1968년 랜들 후드와 결혼하여 그가 아들을 입양해 마이클 랜들 후드가 되었다.[7] 부부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사업체를 운영했으나, 랜들 후드는 1976년에 사망했다.[3]
이후 우메키는 캘리포니아주 셔먼 오크스에서 미주리주 리킹으로 이사하여 아들 가족과 함께 지냈다. 2007년 8월 28일, 78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했다.[10]
4. 1. 사업가로의 변신
우메키 미요시는 다음 음반에 참여했다.음반명 | 발매사 | 연도 |
---|---|---|
꽃 피는 북소리(브로드웨이 오리지널 캐스트) | 소니 레코드 | 1958 |
꽃 피는 북소리(영화 사운드트랙) | 데카 레코드 | 1961 |
우메키 미요시가 부른 곡은 다음과 같다.
- "수억 개의 기적"
- "난 여기서 좋아질 거야"
- "나랑 결혼하지 마세요"
- "결혼 행진곡/수억 개의 기적"
4. 2. 개인적인 삶과 죽음
우메키 미요시는 1958년에 텔레비전 감독 프레데릭 윈필드 "윈" 오피와 결혼했으나 1967년에 이혼했다.[1][2] 1964년에는 아들 마이클 H. 오피를 낳았다.[2][28] 1968년 랜들 후드와 결혼했으며, 그는 아들을 입양하여 마이클 랜들 후드(1964년 2월 11일 ~ 2018년 8월 27일)로 개명했다.[7][29] 부부는 로스앤젤레스에 기반을 둔 사업체를 운영하며 영화 스튜디오와 대학교 영화 프로그램에 편집 장비를 대여했다.[2][28] 랜들 후드는 1976년에 사망했다.[3][30]우메키의 아들 마이클 후드는 경찰 서장이었다.[8] 우메키는 수년 동안 캘리포니아주 셔먼 오크스에서 살다가 아들과 그의 가족(손자 3명 포함)과 가까이 지내기 위해 미주리주 리킹으로 이사했다. 미요시 후드로 알려진 그녀는 2007년 8월 28일, 78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했다.[10][31] 마이클은 리킹에서 경찰관으로 근무했으며, 2018년 8월 27일에 5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2]
5. 수상 및 후보
연도 | 상 | 부문 | 후보작 | 결과 | 참고 |
---|---|---|---|---|---|
1957 | 아카데미상 | 여우조연상 | 사요나라 | 수상 | [12] |
1957 | 골든 글로브상 |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 사요나라 | 후보 | [13] |
1961 | 골든 글로브상 | 영화 뮤지컬/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 | 플라워 드럼 송 | 후보 | |
1970 | 골든 글로브상 | TV 부문 여우조연상 | 에디의 아빠 길들이기 | 후보 | |
1959 | 토니상 | 뮤지컬 여우주연상 | 플라워 드럼 송 | 후보 | [14] |
5. 1. 아카데미상
1957년, 말론 브란도 주연의 영화 《사요나라》에서 다카미 요시코와 함께 스크린 데뷔했다. 이 영화의 연기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24] 이는 동양인 배우로서는 최초의 아카데미상 수상이었으며, 여우조연상을 미국과 영국 이외의 배우가 수상한 것도 처음이었다.[25]한편, 이 해의 남우조연상에는 역시 일본인인 하야카와 셋슈 (《콰이강의 다리》)가 노미네이트되었지만, 수상자는 《사요나라》에서 미요시의 상대역이었던 레드 버튼스였다.[26]
5. 2. 골든 글로브상
연도 | 상 | 부문 | 후보작 | 결과 | |
---|---|---|---|---|---|
1957 | 골든 글로브상 |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 사요나라 | [13] | |
1961 | 골든 글로브상 | 영화 뮤지컬/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 | 플라워 드럼 송 | [13] | |
1970 | 골든 글로브상 | TV 부문 여우조연상 | 에디의 아빠 길들이기 | [13] |
5. 3. 토니상
연도 | 상 | 부문 | 후보작 | 결과 |
---|---|---|---|---|
1959 | 토니상 | 뮤지컬 여우주연상 | 플라워 드럼 송 | 후보 |
1958년 개막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플라워 드럼 송』에 출연한 우메키 미요시는 토니상 뮤지컬 부문 최우수 여우상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1961년에 영화화되었을 때에도 무대와 같은 역할을 연기했다.[16]
6. 출연 작품
우메키 미요시는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1957년 영화 사요나라에서 카츠미 역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골든 글로브상 여우조연상 후보에도 올랐다. 1961년에는 플라워 드럼 송에서 메이 리 역을 맡아 골든 글로브상 뮤지컬 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6. 1. 영화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53 | 청춘 재즈 아가씨(Seishun Jazz musume) | 가수 | |
1956 | Around the World Revue | 낸시 우메키 | "Universal Musical Short 2655: Around the World Revue"로도 알려짐 |
1957 | 사요나라 | 카츠미 |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 골든 글로브상 여우조연상 후보 |
1961 | 해피를 울려라 | 하루에 | |
1961 | 플라워 드럼 송 | 메이 리 | 골든 글로브상 뮤지컬 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 |
1962 | 수평선 하사관(The Horizontal Lieutenant) | 아키코 | |
1962 | 타미코라는 소녀(A Girl Named Tamiko) | 에이코 |
6. 2. 텔레비전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55 | 아서 고드프리 앤 히스 프렌즈 | 본인 | 고정 출연자 |
1957 | 페리 코모 쇼 | 본인 | 1회 출연 |
1958–1961 | 다이나 쇼어 쉐비 쇼 | 본인 | 1958년 에피소드 #2.32 1960년 에피소드 #4.16 에피소드 #5.17 |
1958 | 왓츠 마이 라인? | 본인 – 미스터리 게스트 | 1958년 5월 11일 에피소드 #414 |
1958 | 테네시 어니 포드 쇼 | 본인 | 에피소드 #2.25 |
1958 | 빙 크로스비의 화이트 크리스마스: 올스타 쇼 | 본인 | "It Might as Well Be Spring" 에피소드 |
1959 | 쉐비 쇼룸 스타링 앤디 윌리엄스 | 본인 | 에피소드 #2.2 |
1959 | 토스트 오브 더 타운 | 가수 | |
1961 | 여기가 할리우드 | 본인 | 1961년 12월 27일 방영분 |
1961–1962 | 도나 리드 쇼 | 키미 | "게이샤 소녀" (1961) 및 "알로하, 키미" (1962) 에피소드 |
1962 | 앤디 윌리엄스 쇼 | 본인 | 1962년 10월 11일 방영분 1962년 12월 13일 방영분 |
1962 | 홀마크 명예의 전당 | 로터스 블로섬 | "8월의 달차집" 에피소드 |
1962 | 샘 베네딕트 | 스미코 마츠이 | "아무도 없는 인형을 위한 눈물" 에피소드 |
1963 | 로하이드 | 나미 | "게이샤의 사건" 에피소드 |
1963 | 닥터 키다레 | 하나 시게라 | "한 맑고 밝은 목요일 아침" 에피소드 |
1964 | 버크의 법 | 메리 로터스 버드 링 | "종이 용을 죽인 사람은 누구인가?" 에피소드 |
1964 | 버지니안 | 김 호 | "용의 미소" 에피소드 |
1964 | 미스터 에드 | 아코 테나카 | "평화 봉사단에서 에드" 에피소드 |
1964 | 셀러브리티 게임 | 본인 | 1964년 4월 19일 방영분 |
1969 | 여왕과 나 | 일본 신부 | "지참금" 에피소드 |
1969–1972 | 에디의 아버지의 연애 | 리빙스턴 부인 | 66개 에피소드 |
1971 | 이것이 당신의 인생 | 본인 | 빌 빅스비 출연 |
1971 | 펫 세트 | 본인 | 1971년 6월 30일 방영분 |
1971 | 머브 그리핀 쇼 | 본인 | 1971년 3월 29일 방영분 |
1972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에게 경의를 | 본인 |
참조
[1]
뉴스
Obituary: Miyoshi Umeki
https://www.independ[...]
independent.co.uk
2023-11-13
[2]
뉴스
Actress Miyoshi Umeki, 78, Dies of Cancer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7-09-05
[3]
뉴스
Oscar winner Miyoshi Umeki dies at 78
https://www.usatoday[...]
2007-09-05
[4]
웹사이트
A Single Heart Can Transform a Nation
https://artsandcultu[...]
Smithsonian's National Portrait Gallery
2023-05-31
[5]
웹사이트
Miyoshi Umeki
https://www.ibdb.com[...]
[6]
간행물
Why did Miyoshi Umeki, the only Asian actress to ever win an Oscar, destroy her trophy?
http://ew.com/awards[...]
2018-02-22
[7]
뉴스
Miyoshi Umeki, first Asian to win an Oscar, dies
http://afp.google.co[...]
2007-09-06
[8]
웹사이트
Sgt. Michael Randall Hood obituary
https://foxfh.net/tr[...]
Fox Funeral Home
2023-11-12
[9]
뉴스
Obituary: Michael Randall Hood
https://foxfh.net/tr[...]
foxfh.net
2023-11-13
[10]
뉴스
Miyoshi Umeki, 78, Actress Who Won an Oscar in '57, Dies
https://www.nytimes.[...]
2007-09-06
[11]
웹사이트
Miyoshi Umeki
https://masterworksb[...]
2022-12-25
[12]
웹사이트
The 30th Academy Awards (1958)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1-08-21
[13]
웹사이트
Miyoshi Umeki
https://www.goldengl[...]
Golden Globe Awards
2024-12-11
[14]
웹사이트
1959 Tony Awards
https://www.tonyawar[...]
Tony Awards
2024-12-11
[15]
문서
外部リンクに映像
[16]
웹사이트
"「ザ・ブロードウェイ・ストーリー」VOL.22『フラワー・ドラム・ソング』の奇蹟"
https://spice.eplus.[...]
SPICE
2020-07-10
[17]
웹사이트
MIYOSHI HOOD - Houston Herald
https://houstonheral[...]
Houston Herald
2020-07-10
[18]
웹사이트
小樽出身のジャズ歌手・ナンシー梅木 13 - そば会席 小笠原
http://www.ogasawara[...]
そば会席 小笠原
2020-07-10
[19]
문서
戦後も『スイング・ジャーナル誌』の読者人気ランキングでトップだったトロンボーンの第一人者。北海道には戦後短い期間だけ滞在した。
[20]
서적
札幌事件簿
北海道新聞社
1986
[21]
웹사이트
ナンシー梅木 プロフィール ビクターエンタテインメント
https://www.jvcmusic[...]
ビクターエンタテインメント
2020-07-10
[22]
뉴스
The Untold Story Of How Star Started Oscar Trail
https://news.google.[...]
The Evening Independent
1963-06-19
[23]
웹사이트
JET SET ONLINE SHOP
https://www.jetsetre[...]
JET SET
2020-07-10
[24]
문서
外部リンクに映像
[25]
웹사이트
濱口竜介監督が史上初の作品賞候補に! アカデミー賞の歴代日本人ノミニーたちを振り返り
https://www.elle.com[...]
ELLE
2020-07-10
[26]
논문
ハリウッド女優・高美衣子に聞く─ 『サヨナラ』(1957年)に主演して ─
http://id.nii.ac.jp/[...]
都留文科大学
[27]
웹사이트
ナンシー梅木を偲んで〜日本人唯一のオスカー女優が残した歌声と足跡
http://www.tapthepop[...]
TAPthePOP
2020-07-10
[28]
뉴스
Actress Miyoshi Umeki, 78, Dies of Cancer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7-09-05
[29]
뉴스
Miyoshi Umeki, first Asian to win an Oscar, dies
http://afp.google.co[...]
2007-09-06
[30]
뉴스
Oscar winner Miyoshi Umeki dies at 78
https://www.usatoday[...]
2007-09-05
[31]
뉴스
Miyoshi Umeki, 78, Actress Who Won an Oscar in '57, Dies
https://www.nytimes.[...]
2007-09-06
[32]
웹사이트
Obituary of SGT. Michael Randall Hood Fox Funeral Home
https://foxfh.net/tr[...]
2021-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