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변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웅변가는 설득력 있는 연설을 통해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의미한다. 어원은 라틴어 'orator'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로마에서는 정치인과 변호사의 중요한 기술이었다. 고대 그리스의 데모스테네스, 로마의 키케로 등이 대표적인 웅변가로 꼽힌다. 중세 시대에는 종교적 설교가 웅변의 중요한 형태였으며, 18~19세기에는 정치, 사회 개혁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세기에는 라디오와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웅변의 방식이 변화했으며, 윈스턴 처칠,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등이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설 -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은 정보를 전달하고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발표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표준 용어로 사용되며, 시각 자료 활용과 함께 기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 연설 - I Have a Dream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나는 꿈이 있다" 연설은 1963년 워싱턴 대행진에서 인종차별 철폐와 평등을 염원하며 행해졌으며, 시민권 운동의 전환점이 되어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고, 현재까지도 인종 평등의 상징으로 기념된다. - 수사학자 - 후안 루이스 비베스
후안 루이스 비베스는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전반에 걸쳐 활동한 스페인 학자이자 철학자, 교육 사상가로서, 인문주의적 관점에서 교육, 심리학, 사회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고 빈곤 구제에 대한 국가 책임과 정신 질환자에 대한 인도적 접근을 강조했다. - 수사학자 - 메나헴 베긴
메나헴 베긴은 이스라엘의 총리이자 이르군의 지도자로서 이스라엘 건국에 기여하고, 리쿠드를 이끌어 정권 교체를 이루었으며, 캠프 데이비드 협정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레바논 침공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한 인물이다.
| 웅변가 | |
|---|---|
| 주요 정보 | |
| 역할 및 특징 | |
| 분야별 웅변가 | |
| 유명한 웅변가 | |
| 기타 | |
2. 어원
웅변(Oratory)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orator'(연설자)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orare'(법정이나 집회에서 연설하다, 변론하다)에서 파생되었다.[1] 14세기경 영어에 도입되어 "대의를 위해 변론하거나 주장하는 사람"을 의미했으며, 15세기부터는 "공개 연설자"라는 현대적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
웅변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부터 중요한 기술로 여겨졌다. 특히 로마에서는 정치인과 변호사에게 필수적인 능력으로 간주되었으며, 그리스의 웅변술은 로마 웅변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부 대학교에서는 '웅변가'라는 직함이 의식 행사, 예를 들어 명예 학위 수여식에서 연설을 하는 사람에게 주어진다.
3. 역사
3. 1. 고대
고대 로마에서는 공개적으로 연설하는 기술(''Ars Oratoria'')이 특히 정치인과 변호사들이 갈고 닦던 전문적인 능력이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철학과 대부분의 과학 분야에서 그랬던 것처럼 여전히 이 분야의 대가로 여겨졌기 때문에, 로마의 유력 가문들은 종종 아들을 그리스의 유명한 스승 밑에서 이러한 과목을 공부하도록 보냈거나(젊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경우처럼), 그리스인 교사를 고용했다(유료 또는 노예로).
3. 2. 중세 및 근대
고대 로마에서는 공개적으로 연설하는 기술(''Ars Oratoria'')이 정치인과 변호사들이 갈고 닦던 전문적인 능력이었다. 로마의 유력 가문들은 종종 아들을 고대 그리스의 유명한 스승 밑에서 이러한 과목을 공부하도록 보내거나, 그리스인 교사를 고용했다.
젊은 혁명적 프랑스 공화국에서는 ''Orateur''(프랑스어로 "웅변가")가 입법의회에 대한 삼두정치의 위임된 구성원들의 공식 직함이었다.
19세기에는 마크 트웨인, 찰스 디킨스와 같은 웅변가, 역사가, 연설가들이 주요 대중오락 제공자였다.
설교 웅변가는 종종 성직자이며, 설교에서 능숙한 수사적 기술을 사용한 종교 설교를 쓰거나 전달하는 능력으로 유명한 기독교 저술가이다.
3. 3. 현대
20세기에는 라디오와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웅변의 방식과 영향력이 변화했다. 윈스턴 처칠,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등은 뛰어난 웅변으로 대중을 사로잡고 역사의 흐름을 바꾼 대표적인 인물이다.
4. 주요 웅변가
다음은 웅변 능력이나 유명한 연설로 잘 알려진 사람들의 목록이다. 대부분의 종교 지도자와 정치인들은 그 직책의 특성상 많은 연설을 할 수 있으며, 특정 문제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이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주요 웅변가로는 아리스토게이톤(Ἀριστογείτωνgrc)[1], '꿀처럼 달콤한 목소리'라는 별명을 가진 클라우디우스 아이리아누스(Claudius Aelianusla)[2], 시라쿠사의 코락스[3], 고르기아스[4], 아테네 출신 헤게시푸스, 아테네의 정치가 페리클레스, '황금 입'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그리스도교 설교가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로마 공화정 시대 기원전 121년경 도시 행정관(praetor urbanus)을 역임한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로마 독재관 율리우스 카이사르, 로마 공화정의 시인이자 웅변가 리키니우스 마케르 칼부스, 로마 공화정의 인물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퀸틸리아누스,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등이 있다.
18세기 이후 주요 웅변가들은 다음과 같다.
| 국가 | 인물 | 연설 |
|---|---|---|
| 영국 |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2] | |
| 영국 | 마거릿 대처 | 여성은 변하지 않는다 |
| 미국 |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2] | |
| 미국 | 더글러스 맥아더 (미 육군 대장) | 의회 고별 연설[2] |
| 미국 | 헨리 클레이[2] | |
| 미국 | 존 C. 캘훈[2] | |
| 미국 | 다니엘 웹스터[2] | |
| 미국 |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 | 금십자가 연설[2] |
| 미국 | 프레더릭 더글러스 | 자수성가한 사람들[2] |
| 미국 | 패트릭 헨리 | 자유를 달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2] |
| 미국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2] |
| 미국 | 소저너 트루스 | 나는 여자가 아니냐?[2] |
| 미국 | 말콤 X | 투표이냐, 총알이냐[2] |
| 미국 | 에이브러햄 링컨 | 게티즈버그 연설[2] |
| 미국 | 존 F. 케네디 | 취임 연설[2] |
| 미국 | 리처드 닉슨 | 체커스 연설 (부통령 재임 시절)[2] |
| 미국 | 로널드 레이건 | 고르바초프 씨, 이 벽을 허물어 버리세요![2] |
| 미국 | 버락 오바마 | 더욱 완벽한 연합 (연설)[2] |
| 미국 | 랠프 왈도 에머슨 | 미국의 학자[2] |
| 미국 | 루퍼스 초이트[2] | |
| 미국 | 로버트 G. 잉거솔[2] | |
| 미국 | 존 닐 | 여성의 권리에 관한 최초의 미국 웅변가[3][4] |
| 기타 | 샤를 드 골 (프랑스 자유군 장군; 이후 프랑스 대통령)[2] | |
| 기타 | 마누엘 L. 케손 (필리핀 대통령)[2] | |
| 기타 | 아돌프 히틀러 (나치 독일의 총통)[2] | |
| 기타 | 베니토 무솔리니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두체)[2] | |
| 기타 | 요제프 괴벨스 (나치 선전 장관)[2] | |
| 기타 | 자와할랄 네루 | 운명과의 만남[2] |
| 기타 | 넬슨 만델라 | 나는 죽을 준비가 되어 있다[2] |
| 기타 | 수카르노 | 인도네시아의 비난[2] |
일제 강점기에는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을 독려하는 웅변이 주를 이루었다. 해방 이후에는 정치, 사회 각 분야에서 다양한 주제의 웅변이 등장했다.
4. 1. 고대
아리스토게이톤(Ἀριστογείτωνgrc)[1]클라우디우스 아이리아누스(Claudius Aelianusla), '꿀처럼 달콤한 목소리'라는 별명을 가졌다.[2]
시라쿠사의 코락스[3]
고르기아스[4]
헤게시푸스, 아테네 사람
페리클레스, 아테네의 정치가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말 그대로 '황금 입'을 가진), 그리스도교 설교가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로마 공화정 시대 기원전 121년경 도시 행정관(praetor urbanus)
율리우스 카이사르, 로마 독재관
리키니우스 마케르 칼부스, 로마 공화정의 시인이자 웅변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로마 공화정의 인물
퀸틸리아누스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4. 2. 18세기 이후
| 국가 | 인물 | 연설 |
|---|---|---|
| 영국 |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2] | |
| 영국 | 마거릿 대처 | 여성은 변하지 않는다 |
| 미국 |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2] | |
| 미국 | 더글러스 맥아더 (미 육군 대장) | 의회 고별 연설[2] |
| 미국 | 헨리 클레이[2] | |
| 미국 | 존 C. 캘훈[2] | |
| 미국 | 다니엘 웹스터[2] | |
| 미국 |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 | 금십자가 연설[2] |
| 미국 | 프레더릭 더글러스 | 자수성가한 사람들[2] |
| 미국 | 패트릭 헨리 | 자유를 달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2] |
| 미국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2] |
| 미국 | 소저너 트루스 | 나는 여자가 아니냐?[2] |
| 미국 | 말콤 X | 투표이냐, 총알이냐[2] |
| 미국 | 에이브러햄 링컨 | 게티즈버그 연설[2] |
| 미국 | 존 F. 케네디 | 취임 연설[2] |
| 미국 | 리처드 닉슨 | 체커스 연설 (부통령 재임 시절)[2] |
| 미국 | 로널드 레이건 | 고르바초프 씨, 이 벽을 허물어 버리세요![2] |
| 미국 | 버락 오바마 | 더욱 완벽한 연합 (연설)[2] |
| 미국 | 랠프 왈도 에머슨 | 미국의 학자[2] |
| 미국 | 루퍼스 초이트[2] | |
| 미국 | 로버트 G. 잉거솔[2] | |
| 미국 | 존 닐 | 여성의 권리에 관한 최초의 미국 웅변가[3][4] |
| 기타 | 샤를 드 골 (프랑스 자유군 장군; 이후 프랑스 대통령)[2] | |
| 기타 | 마누엘 L. 케손 (필리핀 대통령)[2] | |
| 기타 | 아돌프 히틀러 (나치 독일의 총통)[2] | |
| 기타 | 베니토 무솔리니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두체)[2] | |
| 기타 | 요제프 괴벨스 (나치 선전 장관)[2] | |
| 기타 | 자와할랄 네루 | 운명과의 만남[2] |
| 기타 | 넬슨 만델라 | 나는 죽을 준비가 되어 있다[2] |
| 기타 | 수카르노 | 인도네시아의 비난[2] |
4. 3. 한국의 웅변가
한국의 경우, 일제 강점기에는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을 독려하는 웅변이 주를 이루었다. 해방 이후에는 정치, 사회 각 분야에서 다양한 주제의 웅변이 등장했다.참조
[1]
웹사이트
orator Definition of orator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
2018-06-05
[2]
서적
African American Orators: A Bio-Critical Sourcebook
Greenwood Publishing Group
[3]
서적
A Down-East Yankee From the District of Maine
https://catalog.hath[...]
A.J. Huston
[4]
서적
John Neal
Twayne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