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설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설교는 종교적 가르침을 전달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불교에서는 고대부터 설교가 행해졌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설교와 설경으로 나뉘어 발전했다. 기독교에서 설교는 예배나 집회에서 성경 해석을 통해 신학적,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는 행위이며, 성공회, 청교도, 개신교, 가톨릭 등 교파별로 설교 방식에 차이가 있다. 이슬람교에서는 꾸뜨바가 공개 설교를 위한 공식적인 자리로, 정보 전달과 규범 제시의 기능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설교 - 찰스 스퍼전
    찰스 스펄전은 "설교의 황태자"로 불리며 19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설교자 중 한 명인 영국의 침례교 목사이자 설교가로, 설교와 주석, 어록을 남기고 노예제 폐지 운동과 사회 개혁에 참여했으며 그가 설립한 스펄전 칼리지는 현재 영국에서 가장 많은 신학생이 재학 중인 신학교이다.
  • 설교 - 강해설교
    강해설교는 성경 본문 내용을 충실히 해석하고 설명하여 본문에 나타난 내용을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는 설교 방식으로, 종교 개혁 시대에 부활하여 현대 복음주의 설교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본문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본래 의미를 드러내는 데 집중한다.
설교
설교
개요
정의기독교에서 성직자가 종교적인 주제에 대해 행하는 연설이다.
목적청중에게 성경적, 신학적, 또는 도덕적 가르침을 전달하고 종교적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기원과 역사
고대 이스라엘설교는 고대 이스라엘에서 제사장이나 예언자들이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하던 것에서 유래한다.
유대교의 회당 예배에서 율법과 예언서의 말씀을 읽고 해석하는 전통에서 발전했다.
초기 기독교예수는 자신의 가르침을 설교를 통해 전달했으며, 초기 기독교 사도들도 설교를 통해 복음을 전파했다.
사도행전에 기록된 베드로의 설교나 바울의 선교 여행에서의 설교는 초기 기독교 설교의 중요한 예이다.
중세 시대교부들과 설교가들은 신학적 지식을 전파하고 기독교 신앙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레고리오 1세와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교부들은 설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중세 시대에는 설교가 교회의 전례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종교 개혁마르틴 루터와 장 칼뱅을 비롯한 종교 개혁가들은 설교를 통해 성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새로운 기독교 교리를 전파했다.
종교 개혁 이후 설교는 기독교 예배에서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설교의 요소
내용설교의 내용은 일반적으로 성경 본문 해석, 신학적 가르침, 도덕적 권면, 그리고 실제 삶에 적용 가능한 교훈을 포함한다.
설교자는 종종 이야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메시지를 설명하고 전달력을 높이기도 한다.
형식설교의 형식은 다양하며, 설교자의 신학적 배경, 문화적 맥락, 청중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설교는 대개 서론, 본론, 결론의 구조를 가지며,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구성된다.
전달 방식설교자는 청중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설교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설교자의 목소리, 몸짓, 태도 또한 설교의 중요한 요소이다.
현대 설교
변화현대 설교는 과거에 비해 더욱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설교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전달되고 있으며, 설교의 주제 또한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다루는 경향이 있다.
중요성설교는 여전히 기독교 예배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신앙생활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설교는 신자들의 영적 성장과 삶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관련 용어
강론넓은 의미에서 종교적 가르침을 전달하는 연설을 의미하며, 설교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설교자설교를 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목사, 신부, 전도사 등이 해당한다.
설교학설교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2. 불교

불교에서 설교는 부처의 가르침을 전하는 행위로, 법화라고도 불린다.[49] '설교(説教)' 또는 '설경(説経)'은 본래 법화의 의미뿐만 아니라, 예능의 한 영역을 의미하는 경우도 많다. 일본에서는 '설교'와 '설경' 두 가지 표기가 있으며, 부처의 가르침을 전하는 것을 설법이라고도 한다.

2. 1. 역사

일본에서는 6세기 불교 전래 이후 억양을 붙여 말하는 설교(설경)가 행해졌다.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에 걸쳐 안규원류(安居院流)와 관원 연간(1243년~1247년)에 온조사(園城寺)의 정원이 일으킨 미이데라류(三井寺流)가 절붙설교(창도)의 양대 유파로 성립했다.[50][51]

2. 2. 종류


  • '''설경''': 반주 악기를 연주하거나 춤을 곁들여 예능화된 형태이다. 설경절, 설경정루리 등이 있다.[52]
  • '''창도''': 예능화되지 않고 설교(법화)의 형태로 남은 것이다.[52] 6세기 불교 전래 이후 일본에서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에 걸쳐 나타난 안규원류(安居院流)와 1243년-1247년 관원(寛元) 연간에 온조사(園城寺)의 정원이 일으켰다고 전해지는 미이데라류(三井寺流)가 절붙설교(창도)의 양대 유파로 성립했다.[50][51]

2. 3. 쇠퇴와 영향

에도 시대에 절담설교(節談説教)는 민중의 오락이 되었고, 낭곡, 강담, 락고 등 근세 예능의 모체가 되었다. 이는 창도가 음운 억양의 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52]

설교자는 설교를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락고의 조상으로 일컬어지는 에도 시대 초의 안락암책전(安楽庵策伝)도 설교자 중 한 명이었다. 메이지 시대까지 설교자는 전국 각지의 설교소(説教所)를 순회하며 활동했다. 설교는 화예(話芸) 전반의 모체가 되었지만, 분화 과정에서 포교 순화의 관점에서 주류에서 소외되어 쇼와 이후 쇠퇴했다.[53]

2. 4. 한국 불교의 설교

한국 불교에서도 설교는 중요한 수행 방법 중 하나로 여겨진다. 고려 시대에는 왕실과 귀족뿐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불교의 가르침을 전파하기 위한 설교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조선 시대에는 억불 정책 속에서도 사찰을 중심으로 설교가 이어졌으며, 민간 신앙과 결합하여 독특한 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현대 한국 불교에서는 전통적인 강경(講經) 방식 외에도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춘 다양한 형태의 설교가 시도되고 있다.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설교자로는 조계종의 법정 스님을 들 수 있다. 법정 스님은 무소유 사상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불교적 가르침을 통해 삶의 지혜를 제시하는 설법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3. 기독교

기독교에서 설교는 일반적으로 예배나 집회에서 성경 해석을 통해 신학적,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는 행위이다. 성공회에서는 성서정과에 따른 복음서 말씀을 부제, 사제, 주교가 읽고 해석하는 설교를 하며, 주교의 면허를 받은 평신도도 설교할 수 있다.[54] 청교도들은 설교를 통해 하나님과 대면하고, 설교로 전해진 말씀을 하나님의 대언으로 인식했다. 윌리암 퍼킨스는 비신자와 신자에게 율법과 은혜의 설교를 구별하여 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다수 한국 개신교 교회는 예배에서 말씀을 중시하며, 설교는 성경 해석에 중점을 둔다. 몇몇 전통적인 개신교 교회에서는 말씀과 성만찬이 균형을 이루는 예배 양식을 갖고 있다.[56] 루터교회장로교가 그 예시이다.[57]

칼 하인리히 블로흐(Carl Heinrich Bloch)의 ''산상수훈'', 1877년


기독교 설교는 고전 웅변가들의 강연 전통을 일부 기반으로 했다.[5] 예수의 산상수훈은 가장 유명한 설교 중 하나로, 마태복음에 기록되어 있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베드로, 스데반 등의 연설이 기독교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설교는 초기 기독교부터 기독교 예배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모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도미니크 수도회와 프란체스코 수도회는 설교를 중시하는 대표적인 수도회였다.

설교학은 설교의 준비, 구성, 전달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3. 1. 용어

"설교"(Sermon영어)는 성직자가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원래 평신도가 인쇄된 사본을 읽는 것은 강론(homily영어)이었으나, 현대에는 구분 없이 사용된다.[6] 강론은 가톨릭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로, 성경 말씀을 설명하고 영적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해설이며,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다. 오리게네스가 대표적인 강론자이다.

복음주의에서 설교는 종종 "메시지"라고 불린다.[19][20][21] 메시지는 설교의 중심을 이루는 성경 진리의 해석과 현대적 적용을 가리킨다.

3. 2. 교파별 차이

개신교에서 널리 쓰이는 '설교'와 대비되는 용어로 가톨릭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가 '강론'이다. 그러나 가톨릭 교회에서도 '설교'라는 말을 쓸 때가 있는데, 대한민국에선 '도미니코회'라고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는 '설교자회'라는 수도회가 그러하다. '설교자회'는 그리스도의 말씀을 전하는 것(선교)을 주된 사명으로 하는 단체인데, '강론'이 아니라 '설교'를 통해서 복음을 전한다는 점에서 '설교'가 곧바로 '강론'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역사적으로 '설교'가 곧바로 '강론'을 의미하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다. '강론'이란 말이 '설교'와 구분되어 교회 안에서 쓰인 것은 2세기말 교부오리게네스에 의해서인데, 오리게네스는 '강론'을 성경 말씀을 설명하고 영적 차원으로 더 발전시키는 해설로서 형식적으로 기승전결에 구애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하였다.

현행 가톨릭 교회법전에는 “강론은 설교의 여러 형식 중에서 탁월한 것으로 전례의 한 부분”(제 767조 1항)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설교는 좀 더 다양한 형태의 것이고,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설교의 내용은 성경 말씀 해설이 아니라 도덕적인 가르침,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 삶에서 얻게 된 깨달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다. 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산상설교를 한 것, 카뮈의 '페스트'에서 신부가 페스트의 공포에 사로잡힌 오랑 시민을 상대로 성당에서 얘기를 한 것이 설교의 실례이다.

즉흥 설교(Extemporaneous preaching)는 설교의 정확한 어휘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광범위하게 준비하는 설교 방식이다. 주제, 기본 구조, 사용할 성경 구절은 모두 미리 결정되며, 설교자는 메시지를 철저하게 전달하는 데 필요한 세부 사항을 충분히 숙지하여 자세한 메모나 개요 없이도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찰스 스펄전(Charles Spurgeon)은 "즉흥 설교"를 설교자가 성경과 기도에 몰두하여 그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설교가 진행되는 순간에 적절한 단어만 찾으면 된다고 설명한다.[41] 헨리 웨어 주니어(Henry Ware Jr.)는 즉흥 설교 기술에 능숙해지려면 끊임없이 명심하고 모든 공부와 공부 방식 전체에서 이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다.

즉흥 설교는 암기 설교와는 다르게, 설교의 중요성 때문에 즉흥적이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19세기 후반에 침례교(특히 원시 침례교), 감리교, 유니테리언, 그리고 일부 장로교 설교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43][44][45] 이 방식을 사용한 유명한 설교자 중에는 찰스 해든 스펄전(Charles Haddon Spurgeon),[46] 찰스 그랜디슨 피니(Charles Grandison Finney), 피터 카트라이트(Peter Cartwright)가 있다.

3. 2. 1. 성공회

성공회에서는 성서정과에 나온 복음서 말씀을 부제, 사제, 주교가 읽는 성서독서와 성서 말씀을 성직자가 해석하는 설교, 그리스도의 거룩한 를 모시는 성만찬이 균형을 이루는 예배 양식을 갖고 있다. 성공회에서는 주교의 면허를 받은 평신도도 설교할 수 있다.[54] 교회력에 따라 성서 이야기가 배치된 성서정과를 사용하기 때문에, 성공회 설교자(부제, 사제, 주교, 주교의 면허를 받은 평신도)는 매주 교회력에 따른 설교를 한다. (감사성찬례)

3. 2. 2. 청교도

청교도에게 설교는 하나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기 위한 은혜의 방편이었다. 그들은 설교를 통해 하나님과 대면하였으며, 설교로 전해진 말씀이 곧 하나님의 대언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스테판 마샬은 "설교는 죄인의 마음으로 들어오는 구원열차"라고 설명하였다.[55] 윌리암 퍼킨스는 저서 "설교의 기술"에서 비신자와 신자를 구별하여 율법과 은혜의 설교를 구별하여 전할 것을 주장하였다. 비신자에게는 율법을 통하여 죄를 깨닫고 회심하도록 하고, 신자에게는 구원의 확신을 주는 은혜를 통하여 성화되는 성령의 사역을 강조하였다. 청교도는 존 칼빈의 신학의 영향으로 설교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특히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로렌스 차더톤, 윌리암 퍼킨스, 폴 베인즈, 존 프레스톤, 리차드 십스, 토머스 굿윈 등은 설교의 전성시대를 이루었다. 청교도의 이러한 설교에 대한 인식은 한국 장로교에 전래되어 현재의 기독교 전통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3. 2. 3. 개신교

대다수 한국 개신교 교회는 예배에서 말씀을 중시하므로 설교와 찬양을 중시한다. 개신교에서 설교란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한다는 것보다는 무엇이 올바르게 성경을 해석하는 것인지 설명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몇몇 전통적인 개신교 교회에서는 말씀과 성만찬이 균형을 이루는 예배 양식을 갖고 있다.[56] 그 실례로 루터교회에서는 성서정과에 나온 복음서 말씀을 목사가 읽고, 이를 해석하는 설교와 그리스도의 거룩한 몸과 피를 모시는 성만찬이 균형을 이루는 예배 양식을 갖고 있으며,[57] 장로교 창시자 장 칼뱅도 매주 성만찬을 집전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말씀 전파와 성만찬이 균형을 이루는 예배 양식을 주장했다.[56]

1968년, 설교단에서 설교하는 개혁파 목사

3. 2. 4. 로마 가톨릭

'강론'은 설교의 여러 형식 중에서 탁월한 것으로, 전례의 한 부분이다([1]). 강론은 성경 말씀 해설뿐 아니라 도덕적 가르침, 삶의 지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가 산상설교를 한 것, 카뮈의 '페스트'에서 신부가 페스트의 공포에 사로잡힌 오랑 시민을 상대로 성당에서 얘기를 한 것이 설교의 실례라고 할 수 있다.

개신교회에서 널리 쓰이는 '설교'와 대비되는 용어로 가톨릭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가 '강론'이다. 그러나 가톨릭 교회에서도 '설교'라는 말을 쓸 때가 있는데, 대한민국에선 '도미니코회'라고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는 '설교자회'라는 수도회가 그러하다. '설교자회'는 그리스도의 말씀을 전하는 것(선교)을 주된 사명으로 하는 단체인데, '강론'이 아니라 '설교'를 통해서 복음을 전한다는 점에서 '설교'가 곧바로 '강론'을 의미하지 않음을 발견하게 된다.

역사적으로 '설교'가 곧바로 '강론'을 의미하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다. '강론'이란 말이 '설교'와 구분되어 교회 안에서 쓰인 것은 2세기말 교부오리게네스에 의해서인데, 오리게네스는 '강론'을 성경 말씀을 설명하고 영적 차원으로 더 발전시키는 해설로서 형식적으로 기승전결에 구애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하였다.

3. 2. 5. 한국 개신교

청교도는 설교를 하나님이 죄인을 구원하는 은혜의 방편으로 여겼다. 이들은 설교를 통해 하나님과 대면하며, 설교로 전해지는 말씀이 곧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스테판 마샬은 "설교는 죄인의 마음으로 들어오는 구원열차"라고 설명하였다.[55] 윌리암 퍼킨스는 저서 "설교의 기술"에서 비신자와 신자를 구별하여 율법과 은혜의 설교를 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비신자에게는 율법을 통해 죄를 깨닫고 회심하도록 하고, 신자에게는 구원의 확신을 주는 은혜를 통해 성화되는 성령의 사역을 강조하였다. 청교도는 존 칼빈의 신학에서 설교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을 받았다. 특히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로렌스 차더톤, 윌리암 퍼킨스, 폴 베인즈, 존 프레스톤, 리차드 십스, 토머스 굿윈 등은 설교의 전성시대를 이끌었다. 이러한 청교도의 설교관은 한국 장로교에 전래되어 현재 개신교 전통에 큰 영향을 주었다.

3. 3. 유형


  • '''예화 설교''': 복음서에서는 예수가 일상생활을 소재로 한 예화를 사용해서 설교하였다고 설명한다.
  • '''수사학을 사용한 설교''': 바울과 교부들이 사용하였다. 특히 구약에 설명되어 있는 사건을 신약적 메시지로 설명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 '''교회력에 따르는 설교''': 장로교 일부 교단, 감리교, 루터교, 성공회, 천주교, 정교회에서 교회력에 따른 설교를 한다.
  • '''성서 강해''': 마틴 로이드 존스는 웨스트민스터 교회에서 사도행전을 주제로 강해설교를 하였다.
  • '''사도신경이나 니케아 신경 등의 기독교의 교리를 해설하는 설교'''
  • '''전기적 설교''': 성경의 특정 인물의 이야기를 성경 여러 구절을 통해 추적한다.
  • '''복음주의적 설교''': 종교의 기본적인 이야기(기독교에서는 복음)를 다시 이야기함으로써 듣는 사람들을 개종시키거나 이전 신앙으로 돌아오도록 이끈다.
  • '''권면적 설교''': 기독교에서는 복음에 근거한 삶으로의 회복을 촉구하는 윤리적인 삶으로의 회복을 촉구한다.
  • '''주제별 설교''': 현재의 관심사와 관련된 특정 주제에 관심이 있다.

3. 4. 전달 방식

설교는 준비 방식과 시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대본 설교''': 미리 준비한 대본을 참고하거나 암기하여 설교한다.
  • '''즉흥 설교'''(Extemporaneous preaching): 과하게 자세하지 않게, 때로는 준비 없이 설교하는 것을 말한다. 노트에 기본 윤곽과 참조를 적어 참고할 수 있다.
  • '''즉석 설교'''(Impromptu preaching): 미리 준비하지 않고 즉석에서 설교하는 것이다.
  • '''강해설교''': 성경 본문을 중심으로 해석하고 적용하는 설교이다.


즉흥 설교는 설교자가 사전 준비 없이 회중에게 권고하는 설교 기법이다. 성경 구절을 읽거나(임의로 선택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 성경적 언급 없이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18세기에 런던(London)의 집회에서 설교하는 퀘이커(Quaker) 여성 설교자


오늘날 즉흥 설교는 비계획적인 퀘이커교 신자들, 메노나이트 신자들, 그리고 일부 오순절교 신자들에 의해 실천되고 있다.

기독교에서 설교는 목사나 전도사 등이 일반적으로 예배 등 기독교 집회에서 행하는 성경 해석을 가리킨다. 그러나 단순히 성경을 해석하는 것만으로는 “성경 연구”라고 할 수 있어도 “설교”라고는 할 수 없다. 성경의 진리가 하나의 '''주제'''에 기반하여 메시지로서 말해질 때 “설교”라고 할 수 있다. 메시지란 그 설교의 중심을 이루는 성경 진리의 올바른 해석에 근거한 현대적 적용을 가리킨다.[1]

성경 해설과는 별개로 설교자의 단순한 의견 표명은 정확한 의미에서는 “설교”가 아니라 개인적 견해의 “강의”에 불과하다. 방법론에서는 수사학에서 가르치는 수법과 공통점이 있지만, 설교와 연설의 차이는 성경이 기초가 되어 그 진리가 적절히 해설·적용되었는지 여부이며, 그것이 이루어질 때만 “설교”라고 한다.[1]

4. 이슬람교

'''쿠트바'''(خطبة|쿠트바ar)는 이슬람교 전통에서 공개 설교를 위한 주요 공식적인 자리이다. 예를 들어, 문해율이 낮거나, 강한 공동 예배 습관, 제한적인 대중매체를 가진 사회나 공동체에서, 회중 네트워크를 통한 설교는 민간[31] 및 종교 당국 모두에게 중요한 정보적이고 규범적인 선전 기능을 할 수 있다.[30] 당국은 설교의 방식, 빈도, 면허, 인력 및 내용을 그에 따라 규제할 수 있다.[32][33][34]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SERMON https://www.merriam-[...] 2022-05-09
[2] 웹사이트 Preaching and Teaching by R.C. Sproul https://www.ligonier[...] 2024-09-11
[3] 웹사이트 Matthew 5-7 – King James Version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4] 웹사이트 Acts 2:14-40 – King James Version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5] 백과사전 preaching https://encyclopedia[...] The Great Soviet Encyclopedia 2018-11-21
[6] 서적 Biblical References in Shakespeare's Plays University of Delaware
[7] 서적 Theopoetry of the Psalms https://books.google[...] Clark International
[8] 서적 Latin Sermon Collections from Later Medieval England: Orthodox Preaching in the Age of Wyclif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Sermon on the Mount http://www.emersonke[...] 2015-07-13
[10] 서적 Polity, Practice, and the Mission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Abingdon Press 2006
[11] 서적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Charles Scribner's Sons
[12] 문서 Francis
[13] 문서 Francis
[14] 문서 Francis
[15] 문서 Francis
[16] 서적 Spurgeon's Sermons Baker
[17]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4-volume Set Routledge
[18] 웹사이트 Jonathan Edwards https://archive.org/[...]
[19] 서적 Generations of Praise: The History of Worship College Press
[20] 서적 Christian Worship: Its Theology and Practice B&H Publishing Group
[21] 웹사이트 The Digital Pulpit: A Nationwide Analysis of Online Sermons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9-12-16
[22] 서적 Music and the Broadcast Experience: Performance, Production, and Aud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UnCommon Preaching: An Alternative to the Lectionary Wipf and Stock Publishers
[24] 서적 La théologie à l'Université: statut, programmes et évolutions Editions Labor et Fides
[25] 서적 Dieu XXL, la révolution des mégachurches Éditions Autrement
[26] 서적 Aspirations for Modernity and Prosperity Casemate Publishers
[27] 서적 The Electronic Church in the Digital Age: Cultural Impacts of Evangelical Mass Media ABC-CLIO
[28] 서적 Sermons for all the Sundays in the year Dublin
[29] 웹사이트 Traditional Catholic Sermons http://www.tradition[...] 2022-04-26
[30] 서적 A Companion to the Literatures of Colonial America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2017-02-05
[31] 서적 Propaganda and the Tudor State: Political Culture in the Westcountry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17-02-05
[32] 서적 Preaching, Sermon and Cultural Change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2017-02-05
[3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Early Modern Serm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2-05
[34] 서적 Religion and Regulation in Indone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2-06
[35] 웹사이트 How Biblical is Expository Preaching? http://www.simonperr[...] 2011-04-13
[36] 웹사이트 Fast Sermons https://historyofpar[...] 2024-10-03
[37] 서적 A manual of homiletics and catechetics: the priest in the pulpit https://books.google[...] Benziger
[38] 서적 Back to the Sources: Reading the classic Jewish texts https://books.google[...] Summit Books
[39] 서적 A manual of homiletics and catechetics: the priest in the pulpit https://books.google[...] Benziger
[40] 서적 A Fire in the Bones, Reflections on African-American Religious History
[41] 서적 Lectures to my students : complete & unabridged. Ministry Resources Library, Zondervan Publishing House
[42] 서적 Lectures to my students : complete & unabridged. Ministry Resources Library, Zondervan Publishing House
[43] 서적 Sketch of Rev. Blackleach Burritt and related Stratford families : a paper read before the Fairfield County Historical Society, at Bridgeport, Conn., Friday evening, Feb. 19, 1892 http://www.worldcat.[...] M.D. Raymond
[44] 서적 The Family of Blackleach Burritt, Jr https://books.google[...] Gibson Brothers
[45] 서적 Biographical Sketches of the Graduates of Yale College with Annals of the College History https://archive.org/[...] Henry Holt & Company
[46] 서적 Lectures to my students : complete & unabridged. Ministry Resources Library, Zondervan Publishing House
[47] 웹사이트 sermon noun - Definition, pictures, pronunciation and usage notes Oxford Advanced American Dictionary at 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https://www.oxfordle[...] 2021-02-18
[48] 웹사이트 sermon https://dictionary.c[...] 2021-02-18
[49] 웹사이트 説法(セッポウ)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7-10-12
[50] 문서 釈(2011)pp.9-14
[51] 웹사이트 交感の宗教性-節談説教について http://www.hdever.co[...]
[52] 문서 五来(1988)pp.484-485
[53] 문서 昭和期の説教師として祖父江省念は名人として知られている。
[54] 서적 《내가 주님안에, 주님이 내 안에》성공회 미사해설 대한성공회 선교교육원
[55] 서적 Puritan papers https://www.worldcat[...] P & R Pub
[56] 서적 《믿음 그리고 행함》-28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57] 웹인용 중앙루터교회 부활절 예배 http://www.yesluther[...] 2008-05-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