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극은 중국 남부 저장성에서 기원한 전통극으로, 경극, 곤극 등과 함께 중국 4대 전통극으로 꼽힌다. 1906년경 농민들 사이에서 민요와 무용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1917년 상하이에 진출하여 서구 연극과 영화의 요소를 수용하며 발전했다. 특히 여성 배우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1920년대 이후 여성 배우가 주를 이루는 극으로 자리 잡았다. 중일전쟁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공산당의 지원을 받으며 번성했으나,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침체기를 겪었다. 21세기에는 중국 전통 연극 제2극종의 지위를 확보하며, 다양한 작품과 배우, 극단을 통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장성의 문화 - 퉁쯔단
    퉁쯔단은 중국 저장성 둥양시의 전통 음식으로, 남자아이의 소변으로 달걀을 삶아 독특한 맛을 내며 건강에 좋다는 믿음으로 섭취되어 왔다.
  • 저장성의 문화 - 용정차
    용정차는 중국 녹차의 일종으로, 청나라 황제에 의해 공차로 지정되었으며, 용의 움직임을 닮은 용정 우물 물을 사용하여 최고의 맛을 내며, 녹차의 황후로 불리고,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가지며, 비타민 C 등을 함유하고 위조품 구별이 중요한 차이다.
  • 중국의 연극 - 황매희
    황매희는 안후이성 안칭시에서 기원한 중국 전통 희곡 장르로, 순수하고 감동적인 표현과 다양한 역할, 독특한 음악적 특징을 가지며, 여러 극단과 교육기관을 통해 활발히 공연되고 인재가 양성되고 있다.
  • 중국의 연극 - 중국 연극
    중국 연극은 상나라 시대부터 시작된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경극으로 대표되는 전통과 화극과 같은 새로운 형태를 통해 혁신을 추구하며 발전해 왔다.
  • 연극 장르 - 도덕극
    도덕극은 인간 영혼의 갈등을 추상적 개념의 의인화된 등장인물로 표현하여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는 중세 유럽의 종교극에서 발전한 연극으로, 르네상스 시대 연극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사회에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 사회의 도덕적 문제에 대한 성찰 기회를 제공한다.
  • 연극 장르 -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과장된 감정, 극적인 줄거리, 선악이 분명한 인물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 장르로, 18세기 프랑스에서 음악 반주가 있는 연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월극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월극
한자 표기越劇
로마자 표기Yuèjù
별칭사오싱 희극
로마자 표기 (별칭)Shàoxīng xì
2016년 상하이 연극 아카데미 학생들의 서상기 공연. 빨간 옷을 입은 여배우는 남성 캐릭터를 연기하고 있다.
2016년 상하이 연극 아카데미 학생들의 서상기 공연. 빨간 옷을 입은 여배우는 남성 캐릭터를 연기하고 있다.
기원구반
가오후
양금
얼후
비파
산시엔
디즈
류친

운라
첼로와 같은 서양 악기
문화적 기원
악기
악기구반
가오후
양금
얼후
비파
산시엔
디즈
류친

운라
첼로와 같은 서양 악기

2. 역사

경극, 곤극, 천극과 더불어 중국 4대 전통극 중 하나인 월극은, 그 역사가 가장 짧아 2006년에 100주년 행사를 가졌다.[4] 1906년 절강성 농촌에서 시작된 월극은, 처음에는 '작은 노래와 노래 공연단'(小歌文书班)이라고 불리며 소박한 민중극으로 시작했다.[4]

1920년대 상하이에 진출하면서 서구 연극과 영화의 영향을 받아 여성 배우들이 등장하고 섬세한 감정 표현을 중시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1923년에는 여성 오페라 학원이 설립되어 여성 배우 양성에 힘썼고, 1930년대에는 절강성에 200여 개의 여성 오페라 학원이 생겨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5]

중일전쟁 시기에는 신문화운동의 영향을 받아 연출 방식과 내용 면에서 혁신을 꾀했다. 감독 중심 시스템을 도입하고, 루쉰의 소설을 각색하는 등 새로운 주제를 다루며 사회성을 강조했다.[6] 1946년 원쉐펀이 루쉰의 「축복(祝福)」을 각색한 「상림소(祥林嫂)」를 공연하여 '신월극의 기념비'라는 평가를 받았다.[11]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공산당의 지원을 받으며 전성기를 맞았으나,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탄압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다시 인기를 회복하여 현재는 중국 전통 연극 중 두 번째로 큰 극종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2. 1. 기원

월극은 중국 남부 절강성 농촌에서 기원되었다. 경극, 곤극, 천극과 더불어 4대 전통극 중 그 전통이 가장 짧아 2006년에 100주년 행사를 벌였다.[4]

1906년 이전, 월극의 전신은 이야기 노래였다. 처음에는 생현(嵊縣) 사람들을 위한 오락이었다. 가사는 대부분 농부들이 일하면서 나눈 대화에서 수집되었다. 청중은 일상생활을 생생하게 묘사한 이 발라드를 좋아했다. 제2차 아편전쟁은 상하이 근처 강남(江南) 지역에 위치한 생현의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생현 농부들이 생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그들은 이 민속 예술을 두 번째 수입원으로 바꾸기 시작했다.

수년에 걸쳐 가사가 축적되면서 월극의 기본적인 원천 자료가 축적되었고, 민속 음악은 점차 독자적인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공연자들은 또한 간단한 연기와 반주 악기를 민속 음악에 통합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점차 생현과 인근 현에서 잘 알려지게 되었다.

구전에 따르면, 월극은 1906년에 시작되었다.[4] 1906년 정월(正月) 말, 예술가들이 진원원(陈万元)의 집에 모였다. 이 예술가들은 보통 2~3명씩 공연을 했고, 이전에는 함께 공연한 적이 없었지만, 진원원과 다른 주민들은 그들에게 여러 개의 별개의 이야기 재연 대신 합동 공연을 하도록 권유했다.[4] 그리하여 첫 공연이 이루어졌다. 공연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주민들은 기뻐하며 이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원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현(縣)에서 그들을 초청하여 공연을 했다. 음악의 음색이 산곡(Shān Gē)과 비슷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 예술을 "작은 노래와 노래 공연단"(Xiao Gē Wén Shū Bān, 小歌文书班)이라고 불렀다. 이름의 "작은"이라는 말은 그 겸손한 민중적 기반을 나타내며, 그 지역의 "큰" 형식적인 오페라와 대조를 이룬다.

공연은 간소했다. 배우들은 종종 바쁜 농번기 사이에 공연을 하는 농민들이었다. 그들은 종종 의상이 없었고 소품도 거의 없었지만, 때때로 지역의 더 큰 오페라 공연단에서 간단한 의상을 빌리기도 했다. 반주는 희소했는데, 무대 밖 연주자가 연주하는 북 한 쌍과 나무 딱딱이만 있었다. 이로 인해 공연이 매우 이동성이 좋아져 공연단이 그 지역 전체에서 공연할 수 있었다. 오페라는 평이한 구어체를 사용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친근하고 인기가 있었다.[4]

1906년경 저장성(浙江省) 사오싱시(紹興市) 嵊州(시)|嵊州(시)]](嵊州市, 嵊県)에서 농민들 사이에서 행해지던 민요와 무용이 기원이라고 여겨진다. 1917년 상하이에 진출하여, 처음에는 유락장 등에서 공연 활동을 펼쳤고, 거기서 경극과 문명희(文明戯) 등의 요소를 흡수하여 단순한 민요와 무용에서 등장인물의 행동에 따라 복잡한 이야기를 표현하는 연극으로 발전했다.

2. 2. 상하이 진출과 발전

월극은 중국 남부의 절강성 농촌에서 기원되었으며, 경극, 곤극, 천극과 더불어 4대 전통극 중 역사가 가장 짧다.[4] 1906년 정월 말, 진원원(陈万元)의 집에 모인 예술가들이 합동 공연을 하면서 시작되었다.[4] 처음에는 '작은 노래와 노래 공연단'(小歌文书班)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겸손한 민중적 기반을 나타내는 이름이었다.[4]

'작은 노래와 곡 트룹'이 규모와 인기가 커지면서 상하이 극장에 진출했다. 독특하고 우아하며 부드러운 노래 스타일 덕분에 상하이에서 관객을 확보했다. 1916년에는 지역 문화를 반영하는 예술 작품으로서의 공연을 더 잘 나타내기 위해 소흥문희(紹興文戲)로 이름을 변경했다. 그러나 소흥문희가 사용한 노래 스타일과 반호(伴胡, ''banhu'') 바이올린(반주)은 상하이의 다른 더욱 세련된 오페라 장르와 비교하여 미발달되고 저속하여 명성과 인기를 잃었다.

생현(嵊縣)으로 돌아온 소흥문희 공연자들은 왕진수(王金水, 1879-1944)와 같이 공연과 노래 스타일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경극을 포함한 다양한 오페라 스타일의 정수를 흡수하여 사공창(四工腔)이라는 새로운 음높이를 만들어냈다. 또한, 노래 스타일과 음향 연습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을 발전시키고, 어르후(二胡, ''erhu'') 및 기타 후친(胡琴, ''huqins'')을 대체 반주 악기로 사용했다.

1920년대 경 상하이에 입성하여 서구 연극과 영화 등의 장르적 특성을 수입해 월극화시켰다. 여성 배우들을 출연시켜 섬세한 감정 처리에서도 두각을 보였다. 1923년부터 여성이 참여하기 시작했고, 이후 곤곡의 우아함도 받아들여 남성 후계자 부족으로 인해 거의 여성만으로 구성된 우아한 연극이 되었다.

1937년부터 1945년의 항일전쟁(일중전쟁) 중에는 전쟁의 영향으로 영화 제작과 수입이 감소하여 연극이 번성했고, 월극도 번영했다. 상하이에 진출했을 당시에는 사오싱 문희(紹興文戯) 등으로 불렸지만, 기원이 고대 오(越)나라 지역이기 때문에 1942년경부터 월극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2. 3. 여성 배우 중심의 극으로 변모

월극은 경극, 곤극, 천극과 더불어 4대 전통극 중 역사가 가장 짧아, 2006년에 100주년 행사를 가졌다.[5] 기존 전통극이 남성 배우들만 출연하던 관행을 깨고, 1920년경 상하이에 진출하여 서구 연극과 영화의 특징을 흡수, 여성 배우들을 출연시켜 섬세한 감정 처리에 강점을 보였다.

왕진수(Jinshui Wang)는 상하이의 예술 분위기에 깊은 인상을 받고 1923년 여성 오페라 학원(all girls opera class)을 열어 젊은 여성들을 유치했다. 그러나 첫 학원은 6년 만에 문을 닫았고, 여성 수습생들은 결혼을 위해 학원을 떠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 오페라 학원은 계속 설립되었고, 1930년대 초 절강성(Zhejiang Province)에는 약 200개의 학원과 2,000명의 학생이 있었다.[5]

1930년대 초 사오싱 사실주의 오페라(绍兴文戏)가 부상한 이유는 두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는 경제적 요인으로, 월가 붕괴 이후 상하이의 많은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여성들이 생계를 위해 오페라 수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둘째는 사오싱 사실주의 오페라의 공연 스타일이 여성의 성격에 잘 맞았기 때문이다. 당시 성현(嵊县) 신문에 따르면, 젊은 여성들은 무대에서 더 화려해 보였고, 사오싱 사실주의 오페라의 부드러운 특징은 여성의 연기를 통해 더 잘 표현되었다.

2006년 텔레비전으로 방영된 绍兴(Shaoxing) 오페라 경연 대회에서 한석중(Han Shizhong)을 연기하는 여성 참가자


2014년 상해극예술학원(Shanghai Theatre Academy) 학생들의 《유란지》(Yulan Ji) 공연


2014년 상해극예술학원(Shanghai Theatre Academy) 학생들의 《왕규배반귀영》(Wang Kui Betrays Guiying) 공연. 绍兴(Shaoxing) 오페라 남성 배우는 수가 적지만 존재한다.


상해(Shanghai) 천찬극장(Tianchan Theatre)에서 2014년 공연 중인 오케스트라. 양금(yangqin) 연주자, 여러 현악기(huqin) 연주자, 타악기 연주자, 첼리스트, 그리고 지휘자가 보인다.


1937년부터 1945년의 항일전쟁(일중전쟁) 중에는 전쟁으로 인해 영화 제작과 수입이 줄면서 연극이 번성했고, 월극도 함께 발전했다. 상하이에 진출했을 당시에는 사오싱 문희(紹興文戯) 등으로 불렸지만, 기원이 고대 오(越)나라 지역이기 때문에 1942년경부터 월극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46년 원쉐펀(袁雪芬)은 류호우성(劉厚生) 등 공산당 계열 연극인들의 지원을 받아 루쉰의 「축복(祝福)」을 각색한 「상림소(祥林嫂)」를 공연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은 남녀의 연애를 중심으로 공연해 온 월극이 사회성 강한 연극을 성공적으로 공연한 "신월극의 기념비"로 불린다.[11]

2. 4. 중일전쟁 시기

중일전쟁 시기 상하이의 월극 배우들은 신문화운동의 영향을 받아 신문학, 서구극, 영화 등에서 영감을 얻어 월극 공연을 개혁했다. 이들은 중국의 다른 형식과는 차별화된 독특한 오페라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6] 기존의 장면 구성 시스템 대신 감독 중심 시스템을 도입하여 배우의 역할 수행 방식을 결정했다. 등장인물의 성격과 심리 묘사에 중점을 두었으며, 루쉰의 소설 "설날 제사"《祝福》를 각색한 작품을 포함하여 새로운 주제의 오페라를 개발했다.[6]

1937년부터 1945년까지 이어진 항일전쟁(일중전쟁)은 영화 제작 및 수입 감소를 야기했고, 이는 연극의 번성으로 이어져 월극 또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상하이 진출 당시에는 사오싱 문희(紹興文戯) 등으로 불렸으나, 고대 오(越)나라 지역에서 기원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1942년경부터 월극으로 불리게 되었다. 1946년 원쉐펀은 류호우성 등 중국공산당 계열 연극인들의 지원을 받아 농촌 과부의 비극을 그린 루쉰의 「축복(祝福)」을 각색한 「상림소(祥林嫂)」를 공연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주로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루던 월극이 사회성 짙은 연극으로도 성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신월극의 기념비"로 평가받는다.[11]

2. 5.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월극은 중국공산당의 보호를 받아 크게 발전했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에 최고의 인기를 누렸으며, 이 기간 동안 극적 사실주의와 표현주의가 강조되었다.[6] 오늘날 월극의 고전 레퍼토리로 여겨지는 「홍루몽」, 「량산박과 축영대」, 「서상기」는 이 시기에 현재의 형태로 초연되었다. 또한 공산당과 중국 정부의 정치 방침을 선전하는 현대극도 창작되었다.

2. 5. 1. 문화대혁명 시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월극은 처음에는 중국공산당의 환영을 받았으나,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다른 전통 중국 예술 형식과 마찬가지로 공연이 금지되어 발전에 심각한 퇴보를 겪었다.[6] 1966년부터 1976년까지의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월극은 다른 무대 예술과 마찬가지로 박해를 받아 고난의 길을 걸어야 했다.[11]

2. 5. 2. 현대

중일전쟁 기간 동안 상하이의 월극 배우들은 신문화운동의 일부인 신문학, 서구 극 및 영화의 영향을 받아 월극 공연을 개혁하는 운동을 시작하여 중국의 다른 형식과는 현저히 다른 오페라를 만들었다.[6] 장면 구성 시스템 대신 감독 중심 시스템이 도입되어 배우가 어떻게 역할을 해야 하는지가 결정되었다. 등장인물의 성격과 심리를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게 되었고, 루쉰의 소설 "설날 제사"《祝福》을 각색한 작품을 포함하여 새로운 주제의 새로운 오페라가 개발되었다.[6]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월극은 처음에는 집권 중국공산당의 환영을 받았고,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에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 이 기간 동안 극적 사실주의와 표현주의가 강조되었다.[6] 그러나 문화대혁명 동안 다른 전통적인 중국 예술 형식과 마찬가지로 월극 공연은 금지되어 발전에 심각한 퇴보를 가져왔다. 1980년대 이후 월극은 새로운 오락 형태의 도전을 받으면서 다시 인기를 얻었다.

두 자매는 1964년에 제작된 사오싱 오페라 영화이다. 새로운 시대에 사오싱 오페라는 국가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포함되었다.[8]

1946년 원쉐펀은 류호우성 등 공산당 계열 연극인들의 지원을 받아 농촌 과부의 비극을 그린 루쉰의 「축복(祝福)」을 각색한 「상림소(祥林嫂)」를 공연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은 그동안 주로 남녀의 연애를 중심으로 공연해 온 월극이 성공적으로 사회성이 강한 연극을 공연한 것으로, "신월극의 기념비"라고 불린다.[11]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월극이 공산당의 보호를 받아 크게 발전했다. 오늘날 월극의 고전 레퍼토리로 여겨지는 「홍루몽」、「량산박과 축영대」、「서상기」는 1950년대~1960년대 전반에 현재의 형태로 초연되었다. 또한 공산당과 중국 정부의 정치 방침을 선전하는 현대극도 창작되었다.

1966년~1976년의 문화대혁명 중에는 다른 무대 예술과 마찬가지로 박해를 받고 고난의 길을 걸었고, 문화대혁명 종결 후인 1980년대에는 텔레비전의 보급 등으로 관객 이탈이 심했지만, 그 후에는 마오웨이타오 등 스타도 탄생하여 21세기 오늘날에는 중국 전통 연극 제2극종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3. 특징

월극(越劇)은 '작은 노래와 곡 트룹'이 규모와 인기가 커지면서 상하이 극장에 진출했다. 독특하고 우아하며 부드러운 노래 스타일 덕분에 다른 정치적이고 화려한 공연들과는 다르게 상하이에서 관객을 확보했다. 1916년 지역 문화를 반영하는 예술 작품으로서의 공연을 더 잘 나타내기 위해 이름을 소흥문희(紹興文戲, 병음: Shào Xīng Wén Xì)로 변경했다. 그러나 소흥문희가 사용한 노래 스타일과 반호(伴胡, ''banhu'') 바이올린(반주)은 상하이의 다른 더욱 세련된 오페라 장르와 비교하여 미발달되고 저속했다. 결과적으로 이 대도시에서 명성과 인기를 잃었다.

생현(嵊縣)으로 돌아온 소흥문희 공연자들은 왕진수(王金水, 1879-1944)와 같이 공연과 노래 스타일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예술가들은 상하이에서 보았던 경극(京劇)을 포함한 다양한 오페라 스타일의 정수를 흡수했다. 이 과정에서 사공창(四工腔, 병음: Sì Gōng Qiāng)이 이러한 융합의 놀라운 결과물이 되었다. 이 음높이는 여성이 남성 역할을 할 때 발생하는 부자연스러운 상태를 해결했기 때문에 특별하다. 소흥문희극단은 노래 스타일과 음향 연습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을 더욱 발전시켰다. 음악을 조정하기 위해 어르후(二胡, ''erhu'') 및 기타 후친(胡琴, ''huqins'')을 대체 반주 악기로 사용했다.

4. 주요 작품

월극의 주요 작품으로는 홍루몽, 양축, 서상기 등이 있다. 특히 1950년대 선보인 중국판 로미오와 줄리엣인 양축은 월극의 명성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7] 1964년에 제작된 사오싱 오페라 영화인 두 자매도 주요 작품 중 하나이다.[8]

이 외에도 「오녀배수」, 「추어」, 「정탐」등이 있으며,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는 셰익스피어 작품을 각색한 「제십이야」(십이야) , 「왕자복수기」(햄릿) 등도 상연되었다.[12]

5. 주요 배우

1947년 "십자매"라 불린 10명의 인기 배우들. 앞줄 왼쪽부터: 서천홍(徐天虹), 부권향(傅全香), 원학분(袁雪芬), 주수조(朱水照), 번뢰정(范瑞娟), 오소루(吳小樓). 뒷줄 왼쪽부터: 장구봉(張桂鳳), 소당귀(蕭埭桂), 서옥란(徐玉蘭), 인귀방(尹桂芳).


월극의 주요 배우는 다음과 같다.[5]

  • 원학분(袁雪芬)
  • 왕문정(王文娟)
  • 부권향(傅全香)
  • 려뢰영(呂瑞英)
  • 장운하(張雲霞)
  • 금채봉(金采鳳)
  • 기아선(戚雅仙)
  • 비춘방(畢春芳)
  • 번뢰정(范瑞娟)
  • 인귀방(尹桂芳)
  • 서옥란(徐玉蘭)
  • 로금화(陸錦花)
  • 주수조(朱水照)
  • 조지강(趙志剛)
  • 모위도(茅威濤)
  • 진리군(陳麗君)
  • 리운소(李雲霄)


1947년에는 "십자매"라 불리는 10명의 인기 배우들이 활동했다.

6. 주요 극단



유명한 극단으로는 사흥소백화월극단, 절강소백화월극단, 화동월극실험극단, 상해월극원 등이 있다.[12]

참조

[1] 뉴스 Into the Stronghold of Shaoxing Opera https://www.nytimes.[...] 1999-09-04
[2] 논문 Development of training and performativity in Shanghai YueJu 2012
[3] 웹사이트 People's Daily Online -- Yueju Opera: Century-old art http://en.people.cn/[...]
[4] 서적 Women Playing Men: Yue Opera and Social Change in Twentieth-Century Shanghai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5] 서적 The historical story of Yue Opera 越剧史话 上海文艺出版社
[6] 서적 Appreciating traditional Chinese opera New Star Press 2013
[7] 웹사이트 Hometown of Yueju Opera Marks 100th Anniversary http://www.china.org[...] China Daily 2006-04-06
[8] 웹사이트 越剧艺术教育现状及发展趋势研究 - 百度文库 https://wenku.baidu.[...]
[9] 웹사이트 越劇(百度百科) http://baike.baidu.c[...]
[10] 웹사이트 越劇 https://kotobank.jp/[...]
[11] 서적 越劇の世界
[12] 웹사이트 越劇-同人旅 http://www.dojintab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