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이야》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극으로, 난파된 쌍둥이 바이올라와 세바스찬,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일리리아의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바이올라는 남장을 하고 오시노 공작의 시종으로 일하며 올리비아 백작부인과 삼각관계를 형성한다. 작품에는 올리비아의 삼촌 토비 벨치 경, 그의 친구 앤드루 에이큐치크 경, 그리고 올리비아의 하인 말볼리오 등의 등장인물들이 등장하며, 이들의 갈등과 소동이 극을 이끌어간다. 작품은 젠더, 사랑, 사회적 계층, 연극성 등의 주제를 다루며, 1600년에서 1601년 사이에 쓰여 1623년 퍼스트 폴리오에 수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00년대 희곡 - 끝이 좋으면 다 좋아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끝이 좋으면 다 좋아》는 신분 차이와 사랑, 결혼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문제극으로, 헬레나가 버트럼과의 결혼을 위해 계략을 사용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결말에 대한 논쟁이 있는 작품이다. - 크로스드레싱을 소재로 한 작품 - 베니스의 상인
《베니스의 상인》은 바사니오가 포샤에게 구혼하기 위해 안토니오가 샤일록에게 돈을 빌리면서 안토니오의 살 1파운드를 베어가겠다는 조건으로 계약하여 갈등이 심화되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으로, 돈, 자비, 복수, 사회적 편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반유대주의 논란을 일으키는 샤일록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 크로스드레싱을 소재로 한 작품 - 당신 뜻대로
《뜻대로 하세요》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낭만 희극으로, 프랑스 궁정을 배경으로 아든 숲에서 권력을 잃은 공작과 도피자들의 사랑, 갈등, 화해를 그리며 로잘린드, 올랜도, 실리아, 자크 등의 주요 인물이 등장한다.
십이야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welfth Night, or What You Will |
장르 | 희극 |
배경 | 일리리아 |
언어 | 영어 |
작가 | 윌리엄 셰익스피어 |
창작 시기 | 1601년 ~ 1602년경 |
초연 | 1602년 2월 2일 |
발표 형태 | 출판 |
출판년도 | 1623년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오세아노 올리비아 바이올라 세바스찬 말볼리오 페스테 경 토비 벨치 앤드루 에이규칙 |
영화 | |
영화화 작품 | 1910년 십이야 (단편 영화) 1980년 십이야 (텔레비전 영화) 1988년 십이야 (애니메이션 영화) 1996년 십이야 (영화) |
기타 | |
원작 | 글리 인칸나티 |
2. 등장인물
- 바이올라 - 난파된 젊은 여성으로, 시종 세사리오로 변장한다.
- 세바스찬 - 바이올라의 쌍둥이 오빠. 안토니오는 그의 친구이다.
- 오시노 공작 - 일리리아의 공작. 올리비아에게 구혼한다.
- 올리비아 - 일리리아의 부유한 백작부인.
- 말볼리오 - 올리비아 가문의 집사.
- 마리아 - 올리비아의 시녀.
- 토비 벨치 경 - 올리비아의 삼촌.
- 앤드루 에이큐치크 경 - 토비 벨치 경의 친구.
- 페스테 - 올리비아의 하인이자 광대.
- 파비안 - 올리비아 가문의 하인.
- 발렌타인과 쿠리오 - 오시노 공작을 시중드는 신사.
- 선장 - 바이올라의 친구.
2. 1. 바이올라 (세자리오)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세자리오는 남장을 했을 때의 이름이다. 바이올라는 난파된 후 시종 세자리오로 변장한다.2. 2. 세바스찬
바이올라의 쌍둥이 오빠이다.[65] 안토니오는 세바스찬의 친구이다.[65]2. 3. 오시노 공작
오시노 공작은 일리리아의 공작으로, 바이올라가 섬기고 있으며, 올리비아에게 구혼한다.2. 4. 올리비아
올리비아는 일리리아의 부유한 백작 부인이다.[1]2. 5. 말볼리오
올리비아 가문의 집사이다.2. 6. 토비 벨치 경
올리비아의 숙부이다.[1]2. 7. 앤드루 에이큐치크 경
토비 벨치 경의 친구이자 어리석은 기사로, 올리비아에게 구애한다.2. 8. 마리아
올리비아의 시녀이다. 말볼리오를 골탕 먹이는 데 가담한다.2. 9. 페스테
올리비아의 하인이자 광대이다.[1]2. 10. 파비안
올리비아 집안의 하인이다.2. 11. 안토니오
세바스찬을 구출하고 돕는 선장이다.[1]3. 줄거리
쌍둥이 남매 세바스찬과 바이올라가 탄 배가 폭풍을 만나 일리리아 해안에 난파된다. 바이올라는 쌍둥이 오빠인 세바스찬과 헤어지고, 그가 죽었다고 생각하여 선장의 도움을 받아 세사리오라는 젊은 남자로 변장하고 오시노 공작의 시종이 된다. 오시노는 올리비아에게 구애 중이었으나, 올리비아는 오빠를 잃은 슬픔에 7년 동안은 그 누구도 만나지 않겠다고 선언한 상태였다. 오시노는 '세사리오'를 통해 올리비아에게 자신의 사랑을 전하려 하지만, 올리비아는 오히려 '세사리오'에게 반한다. 한편, 바이올라는 오시노를 사랑하게 되어, 바이올라는 오시노를, 오시노는 올리비아를, 올리비아는 세사리오(바이올라)를 사랑하는 삼각관계가 형성된다.[2]
올리비아의 거만한 집사 말볼리오를 속이기 위한 소동이 벌어진다. 올리비아의 삼촌 토비 벨치 경, 앤드루 에이큐치 경, 하인 마리아와 파비안, 광대 페스테는 말볼리오가 올리비아의 사랑을 받고 있다고 믿게 만들 음모를 꾸민다.[2]
이들은 밤늦게 술을 마시고 소란을 피우다 말볼리오에게 꾸지람을 듣고, 마리아는 올리비아의 필체를 흉내 낸 가짜 연애 편지를 써서 말볼리오를 골탕 먹인다. 말볼리오는 편지에 적힌 대로 올리비아가 싫어하는 옷차림을 하고, 올리비아 앞에서 이상한 행동을 하여 그녀를 경악하게 만든다. 결국 말볼리오는 미치광이 취급을 받고 어두운 방에 갇힌다.
한편, 바이올라의 쌍둥이 오빠 세바스찬은 안토니오에게 구조되어 일리리아에 도착한다. 앤드루 경은 세바스찬을 세사리오로 착각하고 공격하는 등 소동이 벌어지고, 올리비아는 '세사리오'로 오해한 세바스찬에게 결혼을 요청하여 둘은 비밀리에 결혼식을 올린다.
마침내 '세사리오'와 세바스찬이 모두 오시노와 올리비아 앞에 나타나고, 바이올라가 자신의 정체를 밝히면서 오해가 풀린다. 세바스찬과 바이올라는 재회하고, 오시노와 바이올라, 세바스찬과 올리비아는 각각 짝을 찾는다. 말볼리오는 자신을 골탕 먹인 이들에게 복수를 다짐하지만, 오시노는 파비안을 보내 그를 달랜다. 연극은 페스테가 부르는 노래로 막을 내린다.
3. 1. 난파와 변장
쌍둥이 남매 세바스찬과 바이올라는 배를 타고 가던 중 폭풍을 만나 바이올라는 일리리아 해안에 표류한다. 바이올라는 소식이 끊긴 오빠 세바스찬이 죽었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오빠와 똑같이 남장을 하고 시저리오라는 이름으로 일리리아 공작 오시노의 시종으로 일하게 된다.[2]
오시노는 백작의 딸 올리비아를 짝사랑했지만, 올리비아는 오빠의 상을 치르고 싶다는 이유로 오시노의 구애를 거절하고 있었다. 오시노는 자신의 시종이 된 시저리오(바이올라)를 마음에 들어하여 올리비아에게 자신의 마음을 전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한편, 바이올라는 은밀히 오시노를 짝사랑하고 있었기에 그 명령에 괴로워하지만, 시종으로서 임무를 수행한다. 오시노의 마음을 거절하던 올리비아는, 사신으로 온 시저리오에게 마음을 빼앗기고 만다. 그것을 눈치챈 바이올라는, 결실을 맺을 수 없는 자신을 향한 올리비아의 마음을, 오시노를 향한 자신의 마음과 겹쳐 슬퍼한다.
3. 2. 삼각관계
일리리아 해안에서 난파된 바이올라는 선장의 도움으로 세사리오라는 젊은 남자로 변장하여 오시노 공작의 시종이 된다. 오시노는 올리비아에게 열렬한 사랑을 고백하지만, 올리비아는 오빠를 잃은 슬픔에 7년간 누구와도 어울리지 않겠다고 선언한 상태였다. 오시노는 '세사리오'를 통해 올리비아에게 구애하지만, 올리비아는 오히려 '세사리오'에게 반하고 만다. 한편, 바이올라는 남장한 자신에게 사랑을 느끼는 올리비아의 마음과 오시노를 향한 자신의 마음을 겹쳐 보며 슬퍼한다. 이로 인해 바이올라는 오시노를 사랑하고, 오시노는 올리비아를 사랑하며, 올리비아는 세사리오(바이올라)를 사랑하는 복잡한 삼각관계가 형성된다.[2]3. 3. 말볼리오 소동
올리비아의 거만한 집사 말볼리오를 속이기 위해 올리비아의 삼촌 토비 벨치 경, 또 다른 구혼자인 앤드루 에이큐치 경, 하인 마리아와 파비안, 그리고 광대 페스테가 음모를 꾸민다. 그들은 말볼리오가 올리비아의 사랑을 받고 있다고 믿게 만들 계획을 세운다.[2]토비 경과 앤드루 경은 밤늦게 술을 마시며 흥청거리고, 이를 본 말볼리오가 그들을 꾸짖자, 토비 경은 "네가 덕이 있다고 해서 케이크와 에일이 더 이상 없을 거라고 생각하는가?"라고 말한다. 이에 마리아는 올리비아의 필체를 흉내 낸 가짜 연애 편지를 써서 말볼리오에게 복수할 계획을 제안한다.[2]
마리아가 쓴 편지에는 말볼리오에게 올리비아가 싫어하는 노란색 양말을 십자 모양으로 묶고, 하인들에게 무례하게 굴며, 올리비아 앞에서 계속 미소를 지으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토비 경, 앤드루 경, 파비안이 숨어서 지켜보는 가운데, 말볼리오는 편지를 발견하고 기뻐하며 편지의 지시대로 행동한다.[2]
말볼리오의 이상한 행동에 올리비아는 그가 미쳤다고 생각하고, 그를 골탕 먹이는 사람들에게 맡긴다. 말볼리오는 어두운 방에 갇히고, 페스테는 사제 행세를 하며 그를 조롱한다.[2]
3. 4. 세바스찬의 등장과 오해
올리비아에게 구혼하기 위해 앤드루 경은 토비 경의 꾐에 빠져 세사리오(바이올라)에게 결투를 신청한다. 하지만 세사리오와 앤드루 경은 둘 다 싸움을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이 결투는 세바스찬으로 오해받은 안토니오에 의해 중단된다. 오시노의 장교들은 안토니오를 체포한다.[2] 한편, 앤드루 경은 세바스찬을 세사리오로 착각하고 공격하여 싸움이 벌어지고, 올리비아는 이 소동을 목격하고 토비 경, 앤드루 경, 파비안을 꾸짖는다. 이후 올리비아는 '세사리오'로 오해한 세바스찬에게 결혼을 요청하고, 둘은 교회에서 비밀리에 결혼한다.[2]3. 5. 재회와 해결
세바스찬과 바이올라는 재회하고, 신분 착오 사건은 해결된다. 오시노는 바이올라와 결혼한다. (오시노가 바이올라에게: "그러나 다른 모습으로 당신을 보면, 오시노의 연인이자 그의 상상의 여왕"[2]) 안토니오는 석방된다. 파비안은 말볼리오에 대한 음모를 자백하고, 토비 경이 마리아와 결혼했다고 밝힌다. 말볼리오는 고문자들에게 복수를 맹세하고 물러나지만, 오시노는 파비안을 보내 그를 달랜다. 연극은 페스테가 부르는 노래로 끝난다.올리비아를 만난 오시노는 그녀에게 청혼하지만, 평소대로 거절당한다. 게다가 올리비아가 자신의 시동을 남편이라고 부르는 것을 듣고, 배신당했다고 생각한 오시노는 시저리오에게 격노한다. 억울한 바이올라는 그것을 부정하지만, 이번에는 올리비아가 배신당했다며 소리친다. 그런 말다툼 중에 세바스찬이 나타나, 일동은 놀란다. 바이올라와 세바스찬은 서로 신분을 확인하고, 헤어져 있던 남매라는 것을 알게 된다. 바이올라를 남자라고 생각하고 청혼했던 올리비아는 부끄러워하지만, 올리비아와 세바스찬은 서로 나쁘게 생각하지 않는다. 한편 오시노는 시저리오가 여자라는 것을 알고, 다시 청혼한다. 이렇게 두 쌍의 커플이 행복하게 탄생한다.
4. 작품 배경
일리리아는 셰익스피어의 희극 《십이야》의 배경으로, 극의 낭만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리리아는 로마 희극 《메나에크미》에서 암시되었을 수 있으며, 이 희극 역시 서로를 오해하는 쌍둥이를 소재로 한다. 셰익스피어의 초기 희곡 《헨리 6세 2부》에서도 일리리아는 해적의 근거지로 언급된다. 등장인물 대부분은 이탈리아어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일부 희극적인 인물들은 영어 이름을 사용한다. 특이하게도 "일리리아" 귀부인 올리비아는 영국인 삼촌 토비 벨치 경을 두고 있다.[3]
극 중에는 다른 영국의 암시도 나타난다. 비올라가 16세기 런던 뱃사공의 전형적인 외침인 "웨스트워드 호!"를 사용하는 것이나, 안토니오가 세바스찬에게 일리리아에서 묵을 최고의 장소로 "코끼리"를 추천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코끼리는 글로브 극장 근처에 있던 술집이었다).[4]
4. 1. 지리적 배경
일리리아는 발칸 반도 서부의 고대 지역으로, 아드리아 해 동부 해안(고대 일리리아에서 극과 관련된 유일한 부분)은 오늘날(북쪽에서 남쪽으로)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알바니아의 해안을 포함했다. 여기에는 설정으로 제안된 라구사 공화국의 도시 국가가 포함되었으며, 오늘날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로 알려져 있다.[3]4. 2. 시대적 배경
일리리아는 셰익스피어의 희극 《십이야》의 이국적인 배경으로, 극의 낭만적인 분위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일리리아는 서부 발칸 반도의 고대 지역으로, 해안(고대 일리리아에서 극과 관련된 유일한 부분인 아드리아 해 동부 해안)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오늘날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알바니아의 해안을 포함했다. 여기에는 설정으로 제안된 라구사 공화국의 도시 국가가 포함되었으며, 오늘날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로 알려져 있다.[3]
일리리아는 로마 희극 《메나에크미》에서 암시되었을 수 있으며, 이 희극의 줄거리 역시 서로를 오해하는 쌍둥이에 대한 내용이다. 일리리아는 셰익스피어의 초기 희곡 《헨리 6세 2부》에서도 해적의 근거지로 언급된다. 대부분의 등장인물 이름은 이탈리아어이지만, 몇몇 희극적 인물은 영어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상하게도 "일리리아" 귀부인 올리비아는 영국의 삼촌인 토비 벨치 경을 두고 있다.
극의 배경에는 비올라가 16세기 런던 뱃사공의 전형적인 외침인 "웨스트워드 호!"를 사용하는 것과, 안토니오가 세바스찬에게 일리리아에서 묵을 최고의 장소로 "코끼리"를 추천하는 것과 같이 다른 영국의 암시가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코끼리는 글로브 극장 근처에 있는 펍이었다).[4]
5. 주제
''십이야''는 젠더 정체성과 성적 매력을 탐구하는 작품으로, 남성 배우가 비올라 역을 맡음으로써 양성성과 성적 모호성에 대한 인상을 강화했다.[14] 일부 현대 학자들은 ''십이야''가 젠더 문제를 "특히 즉각적으로" 다룬다고 평가한다.[15]
올리비아가 1막 5장에서 "세자리오"(바이올라)와 처음 만났을 때 "코미디언입니까?"(엘리자베스 시대의 "배우")라고 묻고,[16] 바이올라는 "나는 내가 연기하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답한다.[17] 이는 "세자리오"(바이올라)의 역할을 보여주며, 연극성과 "연기"에 대한 이 작품의 여러 언급 중 하나로 여겨진다.
말볼리오를 괴롭히는 줄거리는 이러한 생각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파비안은 3막 4장에서 "만약 이것이 지금 무대에서 연기된다면, 나는 그것을 있을 법하지 않은 허구라고 비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한다.[18] 4막 2장에서 페스테(광대)는 말볼리오를 위해 "연극"에서 교구 목사인 서 토파스와 자신의 목소리를 번갈아 가며 두 역할을 연기하고,[19] 자신을 영국 도덕극의 "옛 부도덕"에 비유한다.[19] 페스테의 노래와 대화, 특히 5막의 마지막 노래에서는 영국 민속 전통의 영향들을 볼 수 있다.[20] 이 노래의 마지막 구절인 "그리고 우리는 매일 당신을 기쁘게 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는 여러 영국 민속극의 유사한 구절들을 반영한다.[21]
5. 1. 젠더 역할과 이성애 규범
셰익스피어 시대에는 여성 배우가 없었기 때문에, 청소년 소년들이 여성 역할을 연기했다. ''십이야''의 비올라와 같은 여장 남자 주인공들은 이러한 관습을 통해 남성성을 가장하는 여성 캐릭터의 다양한 변장술에서 유머를 창출했다.[12] 비올라의 여장은 그녀가 오시노와 올리비아 사이의 메신저나 오시노의 심복과 같이 일반적으로 남성에게 허용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비올라는 다른 셰익스피어 희곡의 여주인공들과 달리 변장을 통해 줄거리에 직접 개입하지 않고, "시간"이 줄거리를 해결하도록 맡기는 인물로 묘사된다.[13]''십이야''는 젠더 정체성과 성적 매력을 탐구하며, 남성 배우가 비올라 역을 맡음으로써 양성성과 성적 모호성에 대한 인상을 강화했다.[14] 일부 현대 학자들은 남성 배우와 비올라의 속임수가 더해진 ''십이야''가 젠더 문제를 "특히 즉각적으로" 다룬다고 본다.[15] 그들은 또한 여성이 불완전한 남성이라는 당시의 지배적인 과학 이론 때문에, 연극 속 젠더 묘사가 성별 간의 차이를 거의 구별할 수 없게 만들었다고 설명한다.[14]
셰익스피어 극에는 바이올라 외에도 이성장을 하는 히로인이 많았다. 셰익스피어 시대의 연극에서는 젊은 남성이 여성 역을 연기했고, 그러한 배우가 일시적으로 남성다운 척하는 여성 캐릭터로 분장함으로써 복잡한 변장에 유머의 요소가 결합되게 된다.[72] 바이올라는 이성장을 함으로써 오시노와 올리비아 사이의 사자를 맡거나, 오시노의 비밀을 아는 친구가 되는 등, 일반적으로 남성의 것으로 여겨지는 역할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게 된다. 그러나 바이올라는, 『뜻대로 하세요』의 로잘린드나 『베니스의 상인』의 포샤에 비하면, 남장을 통해 플롯에 직접 개입하는 일이 적고, "시간"에 플롯의 해결을 맡기고 있다.[73]
『십이야』는 젠더 정체성이나, 다양한 사람들이 성적으로 끌리는 모습을 탐구하고 있기 때문에, 남성 배우가 바이올라를 연기함으로써 양성성이나 성적인 모호함과 같은 요소가 강조되게 된다.[74] 이 때문에, 『십이야』는 셰익스피어 극 중에서도 매우 직접적으로 젠더 문제를 다룬 연극이라고 생각되기도 한다.[75] 『십이야』에서의 젠더 묘사는, 여성이 불완전한 남성이라는 초연 시대에 널리 퍼져 있던 과학관에서 비롯되었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76] 이 생각으로, 『십이야』의 캐스팅과 캐릭터에서 이성의 형제자매 사이에 구별이 안 된다고 설정된 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가와이 쇼이치로는 바이올라가 여장으로 등장하는 것이 초반의 난파 후 장면뿐인 것은, 여자 역할을 연기하는 배우가 상당히 성장했고, 가능한 한 남장으로 무대에 내보내는 것이 배역상 편리했을 것이라는 설을 제시하고 있다.[77]
올리비아가 제1막 5장에서 처음 시저리오(바이올라)를 만나는 장면에서 "코미디언인가요?" (엘리자베스 시대의 어법으로는 "배우인가요?"와 같은 의미이다)라고 묻는다.[78] 바이올라는 "저는 제가 연기하는 사람이 아닙니다"라고 대답하는데, 이 부분은 연극성이나 극중에서 "연기"하는 것에 대한 언급이다.[79]
5. 2. 사랑과 욕망
''십이야''는 젠더 정체성과 성적 매력을 탐구하며, 남성 배우가 비올라 역을 맡아 양성성과 성적 모호성에 대한 인상을 강화했다.[14] 일부 현대 학자들은 남성 배우와 비올라의 속임수가 더해진 ''십이야''가 젠더 문제를 "특히 즉각적으로" 다룬다고 믿는다.[15] 당시에는 여성이 불완전한 남성이라는 과학 이론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러한 믿음은 연극의 캐스팅과 캐릭터에 반영된 성별 간의 거의 구별할 수 없는 차이를 설명한다.[14]가와이 쇼이치로는 바이올라가 여장으로 등장하는 것이 초반의 난파 후 장면뿐인 것은, 여자 역할을 연기하는 배우가 상당히 성장했고, 가능한 한 남장으로 무대에 내보내는 것이 배역상 편리했을 것이라는 설을 제시하고 있다.[77]
5. 3. 사회적 계층과 질서
올리비아는 1막 5장에서 "세자리오"(바이올라)와 처음 만났을 때 "당신은 코미디언입니까?"라고 묻는다. (엘리자베스 시대의 "배우"라는 용어).[16] 바이올라의 대답 "나는 내가 연기하는 사람이 아니다"는 "세자리오"(바이올라)의 역할을 맡은 것을 요약하며, 연극성과 "연기"에 대한 이 작품의 여러 언급 중 하나로 여겨진다.[17] 말볼리오에 대한 음모는 이러한 생각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파비안은 3막 4장에서 이렇게 말한다. "만약 이것이 지금 무대에서 연기된다면, 나는 그것을 있을 법하지 않은 허구라고 비난할 수 있을 것이다".[18] 4막 2장에서 페스테(광대)는 말볼리오를 위해 "연극"에서 두 역할을 모두 연기하며, 지역 교구 목사인 서 토파스의 목소리와 자신의 목소리를 번갈아 가며 사용한다. 그는 자신을 영국 도덕극의 "옛 부도덕"에 비유하며 끝을 맺는다.[19] 페스테의 노래와 대화에서는 5막의 마지막 노래와 같이 영국 민속 전통의 다른 영향들을 볼 수 있다.[20] 이 노래의 마지막 구절인 "그리고 우리는 매일 당신을 기쁘게 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는 여러 영국 민속극의 유사한 구절들을 반영한다.[21]5. 4. 연극성과 현실
비올라는 셰익스피어의 여장 남자 주인공 중 한 명으로, 당시 셰익스피어 극장에서는 청소년 소년들이 여성 역할을 연기하는 관례가 있었다.[12] 이러한 여장은 비올라가 오시노와 올리비아 사이의 메신저 역할이나 오시노의 심복 역할과 같이 일반적으로 남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했다.[12] 하지만 비올라는 다른 셰익스피어 여주인공들과 달리 변장을 통해 줄거리에 직접 개입하지 않고, "시간"이 줄거리를 풀도록 내버려 둔다.[13]''십이야''는 젠더 정체성과 성적 매력을 탐구하며, 남성 배우가 비올라 역할을 맡음으로써 양성성과 성적 모호성에 대한 인상을 강화했다.[14] 일부 현대 학자들은 남성 배우와 비올라의 속임수가 더해진 ''십이야''가 젠더 문제를 "특히 즉각적으로" 다룬다고 본다.[15] 그들은 또한 젠더에 대한 묘사가 여성이 불완전한 남성이라는 시대의 지배적인 과학 이론에서 비롯되었다고 믿는다.[14]
올리비아가 1막 5장에서 "세자리오"(바이올라)와 처음 만났을 때 "당신은 코미디언입니까?"(엘리자베스 시대의 "배우")라고 묻고,[16] 바이올라는 "나는 내가 연기하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답하는데,[17] 이는 "세자리오"(바이올라)의 역할을 채택한 것을 요약하며, 연극성과 "연기"에 대한 이 작품의 여러 언급 중 하나로 여겨진다. 말볼리오에 대한 음모는 이러한 생각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파비안은 3막 4장에서 "만약 이것이 지금 무대에서 연기된다면, 나는 그것을 있을 법하지 않은 허구라고 비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한다.[18] 4막 2장에서 페스테(광대)는 말볼리오를 위해 "연극"에서 교구 목사인 서 토파스와 자신의 목소리를 번갈아 가며 두 역할을 연기한다.[19] 그는 자신을 영국 도덕극의 "옛 부도덕"에 비유하며 끝을 맺는다.[19] 페스테의 노래와 대화에서는 영국 민속 전통의 다른 영향들을 볼 수 있다.[20] 이 노래의 마지막 구절인 "그리고 우리는 매일 당신을 기쁘게 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는 여러 영국 민속극의 유사한 구절들을 반영한다.[21]
6. 집필 시기와 초연
《십이야》의 정식 제목은 《십이야, 혹은 당신이 원하시는 대로》(Twelfth Night, or What You Will)이다. 엘리자베스 시대에는 희곡에 부제를 붙이는 것이 유행했는데, 《베니스의 상인》의 다른 제목인 《베니스의 유대인》을 부제로 보는 경우를 제외하면, 《십이야》는 초판 발행 당시 부제가 붙은 유일한 셰익스피어 희곡이다.[12]
이 희곡은 1623년 퍼스트 폴리오에 수록되기 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 이전에는 이 극의 초연이 1601년 1월 6일 엘리자베스 1세의 궁정에서 열렸다고 여겨졌다. 이는 셰익스피어 학자 레슬리 핫슨이 1954년에 출간한 《'십이야'의 첫날 밤》에서 주장한 설로, 십이야 당일 그 장소에서 셰익스피어 극단이 공연한 기록이 있고, 당시 주빈이 등장인물과 같은 이름의 이탈리아 귀족 오시노 공작이었다는 점을 근거로 한다. 그러나 이 설은 공작이 자신과 같은 이름의 등장인물이 광대에게 조롱당하는 것을 보고 기뻐했을지, 그리고 공작의 방문 소식이 12월 25일에 전해졌는데 셰익스피어가 이 짧은 기간 안에 신작을 완성하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십이야》의 오래된 판본은 퍼스트 폴리오뿐이며 다른 판본은 없다. 하지만 이 텍스트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초연에서 출판까지 20년 정도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초연 당시의 대본이 아니라 공연을 거듭하면서 수정된 대본을 바탕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87]
- 오시노 공작이 중간에 백작으로 불린다.
- "나, 노래를 부를 수 있어"라고 말했던 바이올라가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 마리아가 말볼리오를 괴롭히려는 계획을 세울 때, 서 토비와 서 앤드루, 바보 세 명에게 말볼리오를 숨어서 보라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바보가 아닌 페이비언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88]
6. 1. 집필 시기 추정
이 희곡은 1600년에서 1601년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작품 속에서 그 시기에 일어난 사건들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런던 미들 템플에서 공부하던 법학도 존 매닝햄은 1602년 2월 2일 (캔들매스) 미들 템플의 강당에서 열린 공연을 묘사했는데, 이는 연말의 크리스마스 기간이 공식적으로 끝나는 날에 학생들을 초청하여 진행되었다.[11] 이것이 이 희곡의 첫 번째 기록된 공개 공연이었다. 희곡은 1623년 제1 폴리오에 수록되기 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존 매닝엄은 자신의 일기에 1602년 2월 2일 캔들마스에 《십이야》가 미들 템플에서 상연되었고, 학생들이 초대되었다고 기록했다.[84] 이것이 기록상 최초의 상연이므로, 이 이후에 희곡이 집필되었을 가능성은 없다.
집필 연대에 대해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1602년 초에는 상연할 수 있는 상태였다는 것과, 아무리 빨라도 1599년 이후에 쓰였다는 정도이다. 이는 같은 해에 출판된 에드워드 라이트(Edward Wright영어)의 영국 최초 세계 지도에 대한 언급이 3막 3장의 마리아의 대사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데이비드 비빙턴(David Bevington영어)은 1599년 집필 가능성을 시사했다. 게다가 영문학자 가와이 쇼이치로는 셰익스피어 작품을 패러디한 작자 미상의 《조심해》(''Look About You'', 1599년부터 1600년 집필, 1600년 출판)가 《십이야》를 모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이전, 즉 1599년이나 1600년이라고 주장했다.[85] 하지만 1601년 설도 널리 퍼져 있다. 연대에 대해 확정적인 말을 하는 것은 어렵다.[86]
6. 2. 초연 기록
이 희곡은 1600년에서 1601년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런던 미들 템플에서 법학을 공부하던 존 매닝햄은 1602년 2월 2일 (캔들매스) 미들 템플 강당에서 열린 공연을 묘사했는데, 이는 연말 크리스마스 기간이 공식적으로 끝나는 날에 학생들을 초청하여 진행된 것이었다.[11] 이것이 이 희곡의 첫 번째 기록된 공개 공연이었다. 이 희곡은 1623년 퍼스트 폴리오에 수록되기 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7. 각색 및 영향
《십이야》는 1601년 엘리자베스 1세가 이탈리아 외교관 오르시노 공작의 외교 임무 종료를 기념하기 위해 열었던 십이야 축제의 일환으로 공연을 위해 의뢰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22] 그러나 셰익스피어가 공연에 참석한 외교관의 이름을 희극의 주요 등장인물로 사용했을 가능성은 낮다는 반론도 있다.[23]
이 작품은 1618년 부활절 월요일과 1623년 성촉절 밤에 궁정에서 다시 공연되었다. 가장 초기의 공개 공연은 1602년 2월 2일(성촉절 밤) 미들 템플 홀에서 열렸다. 변호사 존 매닝햄은 일기에 플라우투스의 "오류의 희극"이나 "메나에크미"와 매우 유사하지만, 이탈리아어 "속이는 자들"과 가장 가깝다고 기록했다. 그는 특히 말볼리오 이야기에 즐거워했다.[24]
이 연극은 왕정복고 초기에 상연된 셰익스피어 작품 중 하나였다. 윌리엄 데버넌트 경의 각색본은 1661년에 상연되었으며, 토머스 베터턴이 토비 벨치 경 역을 맡았다. 새뮤얼 피프스는 이 연극을 "어리석은 연극"이라고 생각했지만, 1661년, 1663년, 1669년에 걸쳐 세 번 관람했다. 또 다른 각색본인 ''Love Betray'd, or, The Agreeable Disappointment''는 1703년 링컨 인 필즈 극장에서 상연되었다.[6]
17세기 말과 18세기 초에는 각색본만 무대에 올랐으나, 1741년 드루리 레인 극장에서 셰익스피어 원작 ''십이야''가 다시 상연되었다. 1820년에는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작곡하고 헨리 비숍이 음악을 맡은 오페라 버전이 상연되었다.
20세기와 21세기에도 ''십이야''의 영향력 있는 작품들이 무대에 올려졌다. 1912년에는 할리 그랜빌-바커에 의해, 1916년에는 올드 빅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1931년 릴리안 베일리는 사들러스 웰스 극장을 재개관하면서 랄프 리처드슨이 토비 경, 존 길구드가 말볼리오 역을 맡은 주목할 만한 작품을 선보였다. 올드 빅 극장은 1950년 페기 애슈크로프트가 비올라 역을 맡은 작품으로 재개관했다. 길구드는 1955년 셰익스피어 기념 극장에서 로렌스 올리비에가 말볼리오 역을, 비비안 리가 비올라와 세바스찬 역을 모두 맡는 작품을 연출했다. 브로드웨이에서 가장 오래 상연된 작품은 마거릿 웹스터가 연출한 1940년 작품으로, 모리스 에반스가 말볼리오 역, 헬렌 헤이즈가 비올라 역을 맡아 129회 공연되었다.
1984년 미니애폴리스의 거스리 극장에서 리비우 치울레이가 연출한 작품은 서커스 세계를 배경으로 하여 유쾌하고 카니발 같은 분위기를 강조했다. 셰익스피어 글로브 극장은 2002년 남성 배우들로만 구성된 공연을 제작했으며, 예술 감독 마크 라일런스가 올리비아 역을 맡았다. 스티븐 프라이는 2012~13년에 같은 작품이 재상연되었을 때 말볼리오 역을 맡았고, 이후 웨스트 엔드와 브로드웨이에서 매진되었다.[28]
20세기 후반, 여러 여배우들이 비올라 역을 맡아 성 역할에 대한 관객의 인식을 시험했다.[26] 1966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작품에서는 다이아나 리그가 비올라 역을 맡아 성 역할의 전복을 강조했다. 존 바턴의 1969년 작품은 도널드 신덴이 말볼리오, 주디 덴치가 비올라 역을 맡아 쇠퇴하는 사회를 보여주었다.[26]
말볼리오는 인기 있는 캐릭터이다. 이안 홀름, 사이먼 러셀 빌, 리처드 코더리, 패트릭 스튜어트, 데릭 제이코비, 리처드 윌슨,[27] 스티븐 프라이 등이 연기했다.
2017년 로열 국립 극장의 ''십이야''[29] 작품은 일부 역할의 성별을 바꾸어 탐신 그레이그가 말볼리아 역을 맡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30][31][32][33] 2017~18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애드리언 에드먼슨이 말볼리오, 카라 토인턴이 올리비아, 디니타 고힐이 비올라 역을 맡은 작품을 상연했다.[34]
''십이야''는 연극, 영화, TV 드라마, 라디오 드라마, 오페라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공연되었다.
7. 1. 한국에서의 각색
잉글랜드 왕정복고 시기에 《십이야》는 처음으로 재상연된 작품 중 하나였다. 1661년 윌리엄 다베넌트는 이 희곡을 각색하여 토마스 베터턴을 서 토비 벨치 역으로 기용했다. 새뮤얼 피프스는 이 각색 버전을 "바보 같은 연극"이라고 평가했지만, 1661년 9월 11일, 1663년 1월 6일, 1669년 1월 20일에 걸쳐 여러 번 관람했다. 1703년에는 《Love Betray'd, or, The Agreeable Disappointment》라는 또 다른 각색 작품이 링컨스 인 필즈에서 상연되었다.[66]17세기부터 18세기 초까지는 각색된 버전만 상연되었으나, 1741년 드루리 레인 극장에서 셰익스피어의 원작 《십이야》가 다시 상연되었다. 1820년에는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헨리 비숍의 음악을 사용하여 오페라 버전을 상연하기도 했다.
7. 1. 1. 연극
"남성 중심 사회"에서 독립을 추구하는 젊은 여성, "성 정체성 전복" 및 "동성 간의 끌림"과 같은 주제 때문에,[35] 특히 뮤지컬 극장에서 무대를 위한 여러 리메이크가 이루어졌는데, ''Your Own Thing''(1968), ''Music Is''(1977), ''All Shook Up''(2005), 그리고 엘비스 프레슬리와 듀크 엘링턴의 음악을 각각 사용한 ''Play On!''(1997)이 대표적이다. 작곡가 피트 밀스의 ''Illyria''(2002)도 또 다른 각색 작품으로, 미국 전역에서 정기적으로 공연되고 있다. 2018년, 퍼블릭 극장은 Shaina Taub의 오리지널 음악으로 ''십이야''의 뮤지컬 각색 작품을 워크숍하고 초연했으며, 그녀는 Feste역을 맡기도 했다.[36] 1999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이 연극을 ''Epiphany''로 각색하여 극장과 배우의 역할, 무대에 적용된 성 역할에 대한 더 명시적인 해설을 더했다(이 작품의 모든 역할을 여성이 연기한다는 사실로 인해 더 복잡해졌다).[37][38]현대 연극도 많이 있지만, 대부분 여전히 초기 근대 영어로 공연된다. 뉴멕시코주 산타페를 거점으로 하는 샤를르 르코크의 영향을 받은 극단인 시어터 그로테스코는 올시노 공작과 올리비아 부인의 하인들의 관점에서 이 연극의 현대적 버전인 ''그로테스코의 12번째 밤'' (2008)을 제작했다.[39][40] 이 각색은 계급주의, 그리고 리더십 없는 사회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있게 고찰한다. 뉴욕시에서는 "새로운 셰익스피어 극"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극단인 턴 투 플레시 프로덕션이 말볼리오에 초점을 맞춘 두 편의 연극을 개발했다. 하나는 시인 에밀리 C. A. 스나이더가 쓴 ''상속자들의 희극, 혹은 사기꾼들''로, 몰락한 말볼리오가 시라쿠스와 에페소스에서 두 쌍의 여성 쌍둥이를 쫓는 이야기를 담았다. 다른 하나는 시인 덩컨 플래스터가 쓴 ''말볼리오의 복수''로, ''십이야''의 퀴어 후속작이다.[41][42][43][44] 두 작품 모두 원래 아메리칸 셰익스피어 센터의 셰익스피어의 새로운 동시대인 프로그램을 통해 바드와 대화를 나누는 연극을 요청하는 공모전에 제출하기 위해 쓰여졌다.
《십이야》는 잉글랜드 왕정복고 시기에 처음으로 재상연된 작품 중 하나이다. 윌리엄 다베넌트는 1661년에 이 희곡을 각색했으며, 토머스 베터턴을 서 토비 벨치의 역으로 기용했다. 새뮤얼 피프스는 이 버전을 "바보 같은 연극"이라고 생각했지만, 1661년 9월 11일, 1663년 1월 6일, 1669년 1월 20일에 관극했다. 또 다른 각색 작품인 《Love Betray'd, or, The Agreeable Disappointment》가 1703년 링컨스 인 필즈에서 상연되었다.[66]
17세기부터 18세기 초까지는 각색본만 상연되었지만, 셰익스피어의 원작판 《십이야》가 1741년 드루리 레인 극장에서 재상연되었다. 1820년에는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오페라 버전을 상연했으며, 음악은 헨리 비숍이 담당했다.
7. 1. 2. 영화
- 1910년: 비타그래프 스튜디오는 플로렌스 터너, 줄리아 스웨인 고든, 마린 세이스가 출연한 무성 단편 영화 ''십이야''를 개봉했다.
- 1986년: 호주에서 제작된 영화 ''십이야''가 개봉되었다.
- 1996년: 트레버 넌이 각색하고 감독한 영화 ''십이야, 혹은 원하시는 대로''는 19세기를 배경으로 한다. 이모겐 스텁스가 바이올라, 헬레나 본햄 카터가 올리비아, 토비 스티븐스가 오시노 공작 역을 맡았다. 멜 스미스는 토비 경, 리처드 E. 그랜트는 앤드류 경, 벤 킹슬리는 페스테, 이멜다 스톤턴은 마리아, 나이젤 호손은 말볼리오 역으로 출연했다. 이 영화는 많은 코미디 소재가 단순한 드라마로 축소되어 비판받았다.[45]
- 1998년: ''셰익스피어 인 러브''에는 ''십이야''에 대한 여러 언급이 나온다. "바이올라"(기네스 팰트로)는 배우가 되기 위해 소년으로 변장하는 부유한 상인의 딸이다. 영화 후반부에서 엘리자베스 1세 (주디 덴치)는 셰익스피어(조셉 파인즈)에게 십이야 축제를 위한 코미디를 써달라고 부탁한다. 바이올라는 영화 마지막 장면에 셰익스피어가 ''십이야''의 여주인공에게 영감을 준 인물로 묘사된다. 난파된 연극의 시작 부분에 대한 오마주로, 이 영화는 정략결혼으로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 미국 식민지로 향하던 바이올라가 난파를 겪고 버지니아 해안에 도착하는 장면을 포함한다.
- 2001년: 디즈니 채널 오리지널 무비 ''모토크로스''는 모토크로스 경주 세계를 배경으로 이야기를 펼친다.
- 2004년: ''위커 파크''에서 로즈 번이 연기한 알렉스 캐릭터는 아마추어 연극 ''십이야''에서 바이올라 역을 맡는다.
- 2006년: ''쉬즈 더 맨''은 이야기를 현대 십대 코미디로 각색했다. 일리리아라는 명문 학교를 배경으로 하며, 연극의 주요 등장인물의 이름을 사용한다. 이야기는 축구 라이벌 관계에 초점을 맞추도록 변경되었지만, 꼬인 캐릭터 로맨스는 원작과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주인공 바이올라는 오빠 세바스찬인 척하며, 올리비아라는 소녀는 세바스찬으로 변장한 바이올라를 사랑하게 된다. 오시노 공작의 일리리아 축구팀 동료 두 명의 이름은 앤드루와 토비이다. 생략된 하위 플롯에 대한 언급으로, 잠시 화면에 등장하는 타란툴라에게 말볼리오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세바스찬의 전 여자친구 모니크는 발렌타인이라는 성을, 말썽꾸러기 맬컴은 페스테스라는 성을, 바이올라의 친구이자 헤어 스타일리스트인 폴은 안토니오라는 성을 받았다.
- 2018년: 아담 스메서스트가 각색하고 연출한 버전은 21세기를 배경으로 한다. 이 영화는 쉴라 아팀이 바이올라와 세바스찬 역을, 도미닉 콜먼이 앤드루 아큐치크 경 역을, 재커리 모모가 안토니오 역을, 사이먼 나가라가 토비 벨치 경 역을 맡았다.
7. 1. 3. 드라마
《십이야》는 뮤지컬 극장에서 여러 번 리메이크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Your Own Thing''(1968), ''Music Is''(1977), ''All Shook Up''(2005), ''Play On!''(1997) 등이 있다. 작곡가 피트 밀스의 ''Illyria''(2002)도 미국 전역에서 정기적으로 공연되고 있다. 2018년, 퍼블릭 극장은 Shaina Taub의 오리지널 음악으로 《십이야》의 뮤지컬 각색 작품을 초연했다.[36] 1999년에는 Takarazuka Revue에 의해 ''Epiphany''로 각색되기도 했다.[37][38]현대 연극도 많이 공연되지만, 대부분 초기 근대 영어로 공연된다. 시어터 그로테스코는 《그로테스코의 12번째 밤》(2008)이라는 현대적 버전을 제작했다.[39][40] 뉴욕시에서는 턴 투 플레시 프로덕션이 말볼리오에 초점을 맞춘 두 편의 연극을 개발했다.[41][42][43][44]
1937년, BBC 텔레비전 서비스는 30분 분량의 희곡 발췌본을 방송했는데, 이는 텔레비전에서 셰익스피어 작품이 공연된 최초의 사례이다.[46] 1957년에는 NBC가 ''Hallmark Hall of Fame''에서 컬러 버전으로 각색본을 선보였다.
이후 텔레비전 각색 작품은 다음과 같다.
- 1964년: 조지 맥코완 연출, 마사 헨리 주연 (캐나다)
- 1966년: 호주 텔레비전 버전
- 1969년: 영국 텔레비전 버전. 존 시첼과 존 덱스터 연출, 조앤 플로우라이트, 알렉 기네스, 랄프 리처드슨 출연
- 1980년: BBC 텔레비전 셰익스피어 시리즈. 펠리시티 켄달, 시네이드 큐색, 알렉 맥코웬, 로버트 하디 출연
- 1988년: 케네스 브래너 연출, 프란시스 바버, 리처드 브리어스 주연 (Thames Television)
- 1998년: 니콜라스 하이트너 연출, 헬렌 헌트, 폴 러드, 키라 세드윅, 필립 보스코 출연 (PBS)
- 2003년: 팀 서플 각색 및 연출, 다민족 배우 출연
영국 시리즈 ''Skins''의 에피소드 중 하나인 Grace는 《십이야》를 연기하는 주요 등장인물들을 다루었다.
《십이야》는 잉글랜드 왕정복고 시기에 처음으로 재상연된 작품 중 하나이다. 윌리엄 다베넌트는 1661년에 이 희곡을 각색했으며, 토마스 베터턴을 서 토비 벨치 역으로 기용했다. 새뮤얼 페피스는 이 버전을 "바보 같은 연극"이라고 생각했지만, 여러 차례 관극했다. 1703년에는 또 다른 각색 작품인 《Love Betray'd, or, The Agreeable Disappointment》가 상연되었다.[66]
1741년, 셰익스피어의 원작판 《십이야》가 재상연되었다. 1820년에는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오페라 버전을 상연했다.
7. 1. 4. 기타
"남성 중심 사회"에서 독립을 추구하는 젊은 여성, "성 정체성 전복" 및 "동성 간의 끌림"과 같은 주제 때문에,[35] 특히 뮤지컬 극장에서 무대를 위한 여러 리메이크가 이루어졌으며, 그중에는 ''Your Own Thing''(1968), ''Music Is''(1977), ''All Shook Up''(2005), 그리고 엘비스 프레슬리와 듀크 엘링턴의 음악을 각각 특징으로 하는 마지막 두 작품인 ''Play On!''(1997)가 있다. 또 다른 각색 작품으로는 작곡가 피트 밀스의 ''Illyria''(2002)가 있으며, 이 작품은 미국 전역에서 정기적으로 공연되고 있다. 2018년, 퍼블릭 극장은 Shaina Taub의 오리지널 음악으로, 그녀가 Feste역을 맡기도 한 ''십이야''의 뮤지컬 각색 작품을 워크숍하고 초연했다.[36] 1999년, 이 연극은 다카라즈카 가극단에 의해 ''Epiphany''로 각색되어, 극장과 배우의 역할, 그리고 무대에 적용된 성 역할에 대한 더 명시적인 해설을 더했다 (이 작품의 모든 역할을 여성이 연기한다는 사실로 인해 더 복잡해졌다).[37][38]현대 연극도 많이 있지만, 대부분 여전히 초기 근대 영어로 공연된다. 뉴멕시코주 산타페를 거점으로 하는 샤를르 르코크의 영향을 받은 극단인 시어터 그로테스코는 올시노 공작과 올리비아 부인의 하인들의 관점에서 이 연극의 현대적 버전을 제작했는데, 제목은 ''그로테스코의 12번째 밤'' (2008)이었다.[39][40] 이 각색은 계급주의, 그리고 리더십 없는 사회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있게 고찰한다. 뉴욕시에서는 "새로운 셰익스피어 극"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극단인 턴 투 플레시 프로덕션이 말볼리오에 초점을 맞춘 두 편의 연극을 개발했는데, 하나는 시인 에밀리 C. A. 스나이더가 쓴 ''상속자들의 희극, 혹은 사기꾼들''로, 몰락한 말볼리오가 시라쿠스와 에페소스에서 두 쌍의 여성 쌍둥이를 쫓는 이야기를 담았고, 다른 하나는 시인 덩컨 플래스터가 쓴 ''말볼리오의 복수''로, ''십이야''의 퀴어 후속작이다.[41][42][43][44] 두 작품 모두 원래 아메리칸 셰익스피어 센터의 셰익스피어의 새로운 동시대인 프로그램을 통해 바드와 대화를 나누는 연극을 요청하는 공모전에 제출하기 위해 쓰여졌다.
《십이야》는 잉글랜드 왕정복고 시기에 처음으로 재상연된 작품 중 하나이다. 윌리엄 다베넌트는 1661년에 이 희곡을 각색했으며, 토머스 베터턴을 서 토비 벨치의 역으로 기용했다. 새뮤얼 피프스는 이 버전을 "바보 같은 연극"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럼에도 1661년 9월 11일, 1663년 1월 6일, 1669년 1월 20일에 관극했다. 또 다른 각색 작품인 《Love Betray'd, or, The Agreeable Disappointment》가 1703년 링컨스 인 필즈에서 상연되었다.[66]
17세기부터 18세기 초까지는 각색본만 상연되었지만, 셰익스피어의 원작판 《십이야》가 1741년 드루리 레인 극장에서 재상연되었다. 1820년에는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오페라 버전을 상연했으며, 음악은 헨리 비숍이 담당했다.
7. 2. 세계 각국의 각색
''십이야''는 연극, 영화, TV 드라마, 라디오 드라마, 오페라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공연되었다.일부 학자들은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 이탈리아 외교관 오르시노 공작의 외교 임무 종료를 기념하기 위해 1601년 1월 6일 화이트홀 궁전에서 열었던 십이야 축제의 일환으로 공연을 위해 의뢰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22]
==== 연극 ====
존 매닝햄의 일기에 따르면, 십이야의 초기 공개 공연은 1602년 2월 2일(성촉절 밤) 미들 템플 홀에서 열렸다.[24] 매닝햄은 이 작품이 플라우투스의 "오류의 희극"이나 "메나에크미"와 매우 유사하지만, 이탈리아어 "속이는 자들"과 가장 가깝다고 언급했다. 특히 그는 말볼리오 이야기에 큰 흥미를 느꼈다.[24]
이 연극은 왕정복고 초기에 상연된 셰익스피어 작품 중 하나였다. 1661년 윌리엄 데버넌트 경의 각색본이 상연되었고, 토머스 베터턴이 토비 벨치 경 역을 맡았다. 새뮤얼 피프스는 이 연극을 "어리석은 연극"이라고 평가했지만, 1661년, 1663년, 1669년에 걸쳐 세 번 관람했다. 1703년에는 또 다른 각색본인 ''Love Betray'd, or, The Agreeable Disappointment''가 링컨 인 필즈 극장에서 상연되었다.[6]
17세기 말과 18세기 초에는 각색된 형태로만 무대에 올려졌으나, 1741년 드루리 레인 극장에서 셰익스피어 원작이 다시 상연되었다. 1820년에는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작곡하고 헨리 비숍이 음악을 맡은 오페라 버전이 공연되었다.
20세기와 21세기에도 여러 주목할 만한 작품들이 무대에 올려졌다. 1912년 할리 그랜빌-바커, 1916년 올드 빅 극장에서 공연이 있었다. 1931년 사들러스 웰스 극장 재개관 기념 공연에서는 랄프 리처드슨이 토비 경, 존 길구드가 말볼리오 역을 맡았다. 1950년 올드 빅 극장 재개관 공연에서는 페기 애슈크로프트가 비올라 역을 연기했다. 1955년 셰익스피어 기념 극장에서는 길구드 연출, 로렌스 올리비에가 말볼리오, 비비안 리가 비올라와 세바스찬 역을 맡았다. 1940년 브로드웨이 극장에서는 모리스 에반스가 말볼리오, 헬렌 헤이즈가 비올라 역을 맡아 129회 공연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1984년 거스리 극장에서는 리비우 치울레이 연출로 서커스 분위기를 강조한 작품이 공연되었다. 셰익스피어 글로브 극장은 2002년 남성 배우들로만 구성된 공연을 선보였으며, 예술 감독 마크 라일런스가 올리비아 역을 맡았다. 2012~13년에는 스티븐 프라이가 말볼리오 역을 맡은 재공연이 웨스트 엔드 극장과 브로드웨이 극장에서 매진되었다.[28]
20세기 후반, 여러 여배우들이 비올라 역을 맡아 성 역할에 대한 관객의 인식을 시험했다.[26] 1966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작품에서는 다이아나 리그가 비올라 역을 맡아 성 역할의 전복을 강조했다.[26] 존 바턴의 1969년 작품에서는 도널드 신덴이 말볼리오, 주디 덴치가 비올라 역을 맡아 쇠퇴하는 사회를 묘사했다.[26]
2017년 로열 국립 극장 작품에서는 일부 역할의 성별을 바꾸어 탐신 그레이그가 말볼리아 역을 맡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9][30][31][32][33] 2017~18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애드리언 에드먼슨이 말볼리오, 카라 토인턴이 올리비아, 디니타 고힐이 비올라 역을 맡은 작품을 상연했다.[34]
==== 영화 ====
- 1910년: 비타그래프 스튜디오(Vitagraph Studios)는 배우 플로렌스 터너(Florence Turner), 줄리아 스웨인 고든(Julia Swayne Gordon), 마린 세이스(Marin Sais)가 출연하는 무성 단편 영화 ''십이야''를 개봉했다.
- 1985년: 리사 고틀립(Lisa Gottlieb)이 감독한 ''저스트 원 오브 더 가이즈(Just One of the Guys)''는 현대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의 느슨한 각색이다.
- 1986년: 호주 제작 영화 ''십이야''
- 1996년: 트레버 넌(Trevor Nunn)이 각색하고 감독한 영화 ''십이야, 혹은 원하시는 대로''는 19세기를 배경으로 하며, 이모겐 스텁스(Imogen Stubbs)가 바이올라 역, 헬레나 본햄 카터(Helena Bonham Carter)가 올리비아 역, 토비 스티븐스(Toby Stephens)가 오시노 공작 역으로 출연한다. 이 영화에는 또한 멜 스미스(Mel Smith)가 토비 경 역, 리처드 E. 그랜트(Richard E. Grant)가 앤드류 경 역, 벤 킹슬리(Ben Kingsley)가 페스테 역, 이멜다 스톤턴(Imelda Staunton)이 마리아 역, 나이젤 호손(Nigel Hawthorne)이 말볼리오 역으로 출연한다. 많은 코미디 소재가 단순한 드라마로 축소되었으며, 이 영화는 이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45]
- 1998년: ''셰익스피어 인 러브(Shakespeare in Love)''에는 ''십이야''에 대한 여러 언급이 등장한다.
- 2001년: 디즈니 채널 오리지널 무비(Disney Channel Original Movie) ''모토크로스(Motocrossed)''는 모토크로스 경주 세계를 배경으로 이야기를 펼친다.
- 2004년: ''위커 파크''에서 로즈 번(Rose Byrne)이 연기한 알렉스 캐릭터는 아마추어 연극 ''십이야''에서 바이올라 역을 맡는다.
- 2006년: ''쉬즈 더 맨(She's the Man)''은 이야기를 현대 십대 코미디로 각색했다.
- 2018년: 아담 스메서스트(Adam Smethurst)가 각색하고 연출한 이 버전은 21세기를 배경으로 한다.
==== TV 드라마 ====
- 1937년 5월 14일, 런던의 BBC 텔레비전 서비스는 30분 분량의 희곡 발췌본을 방송했는데, 이는 텔레비전에서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공연된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 있다.[46]
- 1939년, 미셸 생-드니가 연출하고 페기 애시크로프트가 출연한 텔레비전용 희곡 전체가 제작되었다.
- 1957년, NBC가 미국 텔레비전의 ''Hallmark Hall of Fame''에서 각색본을 선보였는데, 모리스 에반스가 말볼리오 역을 다시 연기했다. 이것은 텔레비전에서 제작된 최초의 컬러 버전이었다.
- 1964년, 조지 맥코완이 연출하고 마사 헨리가 ''바이올라'' 역을 맡은 캐나다 텔레비전 버전이 있었다.
- 1966년, 호주 텔레비전 버전이 있었다.
- 영국 텔레비전을 위한 또 다른 버전은 1969년에 제작되었으며, 존 시첼과 존 덱스터가 연출했다.
- 1980년, 또 다른 텔레비전 각색이 이어졌다.
- 1988년, 케네스 브래너가 연출한 연극은 프란시스 바버가 바이올라 역을, 리처드 브리어스가 말볼리오 역을 맡았으며, Thames Television을 위해 각색되었다.
- 1998년, 니콜라스 하이트너가 연출한 링컨 센터 극장 작품이 PBS Live From Lincoln Center에서 방송되었다.
- 팀 서플이 각색하고 연출한 2003년 텔레비전 영화는 현재를 배경으로 한다.
- 영국 시리즈 ''Skins''의 에피소드 중 하나인 Grace는 십이야를 연기하는 주요 등장인물들을 다루었다.
==== 라디오 드라마 ====
캐슬린 네스빗이 BBC를 위해 각색한 ''십이야''는 영국 라디오에서 방송된 최초의 셰익스피어 희곡 전체였다. 1923년 5월 28일에 네스빗이 비올라와 세바스찬을, 제럴드 로렌스가 오시노를 맡아 공연했다.[47]
1937년에는 ''CBS 라디오 플레이하우스''에서 각색된 작품이 상연되었는데, 오손 웰스가 오시노를, 탤룰라 뱅크헤드가 비올라를 연기했다. 1년 후, 웰스는 자신의 머큐리 극단과 함께 제작한 작품에서 말볼리오 역을 맡았다.
BBC 라디오에서는 몇 편의 전체 각색 작품이 있었다.
- 1982년 BBC 라디오 4 방송
- 1993년 BBC 라디오 3 (카리브해 섬을 배경)
- 1998년 라디오 3
- 2012년 4월, BBC 라디오 3
==== 오페라 ====
1820년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작곡하고 헨리 비숍이 음악을 맡은 오페라 버전이 상연되었다.[6]
《십이야》를 기반으로 한 오페라: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의 미완성 오페라 《비올라》(1874, 1883–1884)
- 카렐 바이스의 《블리제니》(1892, 2차 버전 1917)
- 이반 이르코의 《베체르 트르지크랄로비》(1964)
- 얀 클루사크의 《드바나츠타 나츠》(1989)
7. 2. 1. 연극
존 매닝햄의 일기에 따르면, 십이야의 초기 공개 공연은 1602년 2월 2일(성촉절 밤) 미들 템플 홀에서 열렸다.[24] 매닝햄은 이 작품이 플라우투스의 "오류의 희극"이나 "메나에크미"와 매우 유사하지만, 이탈리아어 "속이는 자들"과 가장 가깝다고 언급했다. 특히 그는 말볼리오 이야기에 큰 흥미를 느꼈다.[24]이 연극은 왕정복고 초기에 상연된 셰익스피어 작품 중 하나였다. 1661년 윌리엄 데버넌트 경의 각색본이 상연되었고, 토머스 베터턴이 토비 벨치 경 역을 맡았다. 새뮤얼 피프스는 이 연극을 "어리석은 연극"이라고 평가했지만, 1661년, 1663년, 1669년에 걸쳐 세 번 관람했다. 1703년에는 또 다른 각색본인 ''Love Betray'd, or, The Agreeable Disappointment''가 링컨 인 필즈 극장에서 상연되었다.[6]
17세기 말과 18세기 초에는 각색된 형태로만 무대에 올려졌으나, 1741년 드루리 레인 극장에서 셰익스피어 원작이 다시 상연되었다. 1820년에는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작곡하고 헨리 비숍이 음악을 맡은 오페라 버전이 공연되었다.
20세기와 21세기에도 여러 주목할 만한 작품들이 무대에 올려졌다. 1912년 할리 그랜빌-바커, 1916년 올드 빅 극장에서 공연이 있었다. 1931년 사들러스 웰스 극장 재개관 기념 공연에서는 랄프 리처드슨이 토비 경, 존 길구드가 말볼리오 역을 맡았다. 1950년 올드 빅 극장 재개관 공연에서는 페기 애슈크로프트가 비올라 역을 연기했다. 1955년 셰익스피어 기념 극장에서는 길구드 연출, 로렌스 올리비에가 말볼리오, 비비안 리가 비올라와 세바스찬 역을 맡았다. 1940년 브로드웨이 극장에서는 모리스 에반스가 말볼리오, 헬렌 헤이즈가 비올라 역을 맡아 129회 공연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1984년 거스리 극장에서는 리비우 치울레이 연출로 서커스 분위기를 강조한 작품이 공연되었다. 셰익스피어 글로브 극장은 2002년 남성 배우들로만 구성된 공연을 선보였으며, 예술 감독 마크 라일런스가 올리비아 역을 맡았다. 2012~13년에는 스티븐 프라이가 말볼리오 역을 맡은 재공연이 웨스트 엔드 극장과 브로드웨이 극장에서 매진되었다.[28]
20세기 후반, 여러 여배우들이 비올라 역을 맡아 성 역할에 대한 관객의 인식을 시험했다.[26] 1966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작품에서는 다이아나 리그가 비올라 역을 맡아 성 역할의 전복을 강조했다.[26] 존 바턴의 1969년 작품에서는 도널드 신덴이 말볼리오, 주디 덴치가 비올라 역을 맡아 쇠퇴하는 사회를 묘사했다.[26]
2017년 로열 국립 극장 작품에서는 일부 역할의 성별을 바꾸어 탐신 그레이그가 말볼리아 역을 맡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9][30][31][32][33] 2017~18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애드리언 에드먼슨이 말볼리오, 카라 토인턴이 올리비아, 디니타 고힐이 비올라 역을 맡은 작품을 상연했다.[34]
7. 2. 2. 영화
''십이야''는 왕정복고 초기에 상연된 셰익스피어 작품 중 하나였다. 1661년 윌리엄 데버넌트 경의 각색본이 상연되었으며, 토머스 베터턴이 토비 벨치 경 역을 맡았다. 새뮤얼 피프스는 이 연극을 "어리석은 연극"이라고 생각했지만, 1661년 9월 11일, 1663년 1월 6일, 1669년 1월 20일에 세 번이나 보았다. 또 다른 각색본인 ''Love Betray'd, or, The Agreeable Disappointment''는 1703년 링컨 인 필즈 극장에서 상연되었다.[6]
17세기 말과 18세기 초에는 각색본만 무대에 올랐으나, 1741년 드루리 레인 극장에서 셰익스피어 원작 ''십이야''가 다시 상연되었다. 1820년에는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작곡하고 헨리 비숍이 음악을 맡은 오페라 버전이 상연되었다.
20세기와 21세기에도 ''십이야''의 영향력 있는 작품들이 무대에 올려졌다. 1912년에는 할리 그랜빌-바커에 의해, 1916년에는 올드 빅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1931년 릴리안 베일리는 사들러스 웰스 극장을 오랫동안 닫았다가 재개하면서 랄프 리처드슨이 토비 경, 존 길구드가 말볼리오 역을 맡은 주목할 만한 작품을 선보였다. 올드 빅 극장은 1950년(1941년 런던 블리츠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후) 페기 애슈크로프트가 비올라 역을 맡은 기억에 남는 작품으로 재개관했다. 1955년 셰익스피어 기념 극장에서는 길구드가 연출하고 로렌스 올리비에가 말볼리오 역을, 비비안 리가 비올라와 세바스찬 역을 모두 맡았다. 가장 오래 상연된 브로드웨이 작품은 마거릿 웹스터가 연출한 1940년 작품으로 모리스 에반스가 말볼리오 역, 헬렌 헤이즈가 비올라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129회 공연되어 다른 어떤 브로드웨이 작품보다 두 배 이상 긴 기간 동안 상연되었다.
1984년 미니애폴리스의 거스리 극장에서 리비우 치울레이가 연출한 작품은 전형적인 서커스 세계를 배경으로 하여 이 작품의 유쾌하고 카니발 같은 분위기를 강조했다.
처음 공연되었을 때 모든 여성 역할은 남성이나 소년이 연기했지만, 수 세기 동안 여성의 모든 역할을 여성이나 소녀가 맡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셰익스피어 글로브 극장의 런던 극단은 많은 주목할 만하고 매우 인기 있는 남성 배우들만으로 구성된 공연을 제작했으며, 2002년 시즌의 하이라이트는 글로브의 예술 감독 마크 라일런스가 올리비아 역을 맡은 ''십이야''였다. 이 시즌에 앞서 2월에는 같은 극단이 이 작품의 초연 4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같은 장소에서 공연을 했다. 스티븐 프라이는 2012~13년에 같은 작품이 재상연되었을 때 말볼리오 역을 맡았고, 이후 웨스트 엔드와 브로드웨이에서 매진 행렬을 이어갔으며, ''리처드 3세''와 레퍼토리 형식으로 공연되었다.[28]
20세기 후반에 많은 유명 여배우들이 비올라 역을 맡았으며, 그들의 연기는 관객이 고정관념적인 성 역할을 얼마나 잘 초월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점에서 해석되었다.[26] 이것은 때때로 작품이 통일감을 얼마나 재확인하는가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1947년 작품은 비올라 역의 44세 비아트릭스 레만을 필두로 전쟁 후 공동체가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서 재결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데 집중했다.[26] 1966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작품은 성 역할의 위반을 더욱 분명하게 활용하여 다이아나 리그가 연기한 비올라가 이전보다 훨씬 더 강렬한 매력을 공작에게 보였고, 궁정 전체는 특히 남성들 사이에서 더욱 육체적으로 과시적인 장소가 되었다.[26] 존 바턴의 1969년 작품은 도널드 신덴이 말볼리오 역을, 주디 덴치가 비올라 역을 맡았다. 그들의 연기는 매우 호평을 받았고 작품 전체는 쇠퇴해가는 사회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졌다.[26]
말볼리오는 무대 배우들에게 인기 있는 캐릭터이다. 그는 이안 홀름이 여러 번, 사이먼 러셀 빌(돈마 웨어하우스, 2002), 리처드 코더리 (2005), 패트릭 스튜어트(치체스터, 2007), 데릭 제이코비(돈마 웨어하우스, 2009), 리처드 윌슨 (2009),[27] 스티븐 프라이 (더 글로브, 2012)가 연기했다.[28]
2017년 로열 국립 극장의 ''십이야''[29] 작품은 페스테, 파비안(파비아로 변경), 특히 말볼리오(말볼리아로 변경)와 같은 일부 역할을 남성에서 여성으로 변경했으며, 탐신 그레이그가 말볼리아 역을 맡아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30][31][32][33] 그 결과 이 작품은 성 정체성뿐만 아니라 성적 취향도 다루었다.
2017~18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크리스토퍼 루스콤이 연출한 작품을 상연했다. 애드리언 에드먼슨이 말볼리오 역을, 카라 토인턴이 올리비아 역을, 디니타 고힐이 비올라 역을 맡았다.[34]
2022년, 올드 프루트 자르 프로덕션은 리버풀 로열 코트 극장에서 1980년대에서 영감을 받은 이 작품을 상연하여, 호화로운 저택의 귀족과 부인들을 난폭한 베니돔 바와 술에 취한 탈출로 대체하여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에게 셰익스피어를 소개했다.
7. 2. 3. TV 드라마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십이야''는 왕정복고 초기에 상연된 작품 중 하나였다. 윌리엄 데버넌트 경의 각색본은 1661년에 상연되었으며, 토머스 베터턴이 토비 벨치 경 역을 맡았다. 새뮤얼 피프스는 이 연극을 "어리석은 연극"이라고 생각했지만, 1661년 9월 11일, 1663년 1월 6일, 1669년 1월 20일에 세 번이나 보았다. 또 다른 각색본인 ''Love Betray'd, or, The Agreeable Disappointment''는 1703년 링컨 인 필즈 극장에서 상연되었다.[6]17세기 말과 18세기 초에 각색본으로만 무대에 올랐던 ''십이야''의 셰익스피어 원작은 1741년 드루리 레인 극장에서 상연되면서 부활했다. 1820년에는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작곡하고 헨리 비숍이 음악을 맡은 오페라 버전이 상연되었다.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영향력 있는 작품들이 무대에 올려졌다. 1912년에는 할리 그랜빌-바커에 의해, 1916년에는 올드 빅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릴리안 베일리는 1931년 사들러스 웰스 극장을 오랫동안 문을 닫았다가 재개하면서 랄프 리처드슨이 토비 경, 존 길구드가 말볼리오 역을 맡은 주목할 만한 작품을 선보였다. 올드 빅 극장은 1950년(1941년 런던 블리츠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후) 페기 애슈크로프트가 비올라 역을 맡은 기억에 남는 작품으로 재개관했다. 길구드는 1955년 셰익스피어 기념 극장에서 로렌스 올리비에가 말볼리오 역을, 비비안 리가 비올라와 세바스찬 역을 모두 맡는 작품을 연출했다. 지금까지 가장 오래 상연된 브로드웨이 작품은 마거릿 웹스터가 연출한 1940년 작품으로 모리스 에반스가 말볼리오 역, 헬렌 헤이즈가 비올라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129회 공연으로 다른 어떤 브로드웨이 작품보다 두 배 이상 긴 기간 동안 상연되었다.
1984년 미니애폴리스의 거스리 극장에서 리비우 치울레이가 연출한 기억에 남는 작품은 전형적인 서커스 세계를 배경으로 하여 이 작품의 유쾌하고 카니발 같은 분위기를 강조했다.
이 작품이 처음 공연되었을 때 모든 여성 역할은 남성이나 소년이 연기했지만, 수 세기 동안 여성의 모든 역할을 여성이나 소녀가 맡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셰익스피어 글로브 극장의 런던 극단은 많은 주목할 만하고 매우 인기 있는 남성 배우들만으로 구성된 공연을 제작했으며, 2002년 시즌의 하이라이트는 글로브의 예술 감독 마크 라일런스가 올리비아 역을 맡은 ''십이야''였다. 이 시즌에 앞서 2월에는 같은 극단이 이 작품의 초연 4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같은 장소에서 공연을 했다. 스티븐 프라이는 2012~13년에 같은 작품이 재상연되었을 때 말볼리오 역을 맡았고, 이후 웨스트 엔드와 브로드웨이에서 매진 행렬을 이어갔으며, ''리처드 3세''와 레퍼토리 형식으로 공연되었다.[28]
20세기 후반에 많은 유명 여배우들이 비올라 역을 맡았으며, 그들의 연기는 관객이 고정관념적인 성 역할을 얼마나 잘 초월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점에서 해석되었다.[26] 이것은 때때로 작품이 통일감을 얼마나 재확인하는가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1947년 작품은 비올라 역의 44세 비아트릭스 레만을 필두로 전쟁 후 공동체가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서 재결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데 집중했다.[26] 1966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작품은 성 역할의 위반을 더욱 분명하게 활용하여 다이아나 리그가 연기한 비올라가 이전보다 훨씬 더 강렬한 매력을 공작에게 보였고, 궁정 전체는 특히 남성들 사이에서 더욱 육체적으로 과시적인 장소가 되었다.[26] 존 바턴의 1969년 작품은 도널드 신덴이 말볼리오 역을, 주디 덴치가 비올라 역을 맡았다. 그들의 연기는 매우 호평을 받았고 작품 전체는 쇠퇴해가는 사회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졌다.[26]
말볼리오는 무대 배우들에게 인기 있는 캐릭터 선택이다. 그는 이안 홀름이 여러 번, 사이먼 러셀 빌(돈마 웨어하우스, 2002), 리처드 코더리 (2005), 패트릭 스튜어트(치체스터, 2007), 데릭 제이코비(돈마 웨어하우스, 2009), 리처드 윌슨 (2009),[27] 스티븐 프라이 (더 글로브, 2012)가 연기했다.[28]
2017년 로열 국립 극장의 ''십이야''[29] 작품은 페스테, 파비안(파비아로 변경), 특히 말볼리오(말볼리아로 변경)와 같은 일부 역할을 남성에서 여성으로 변경했으며, 탐신 그레이그가 말볼리아 역을 맡아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30][31][32][33] 그 결과 이 작품은 성 정체성뿐만 아니라 성적 취향도 다루었다.
2017~18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크리스토퍼 루스콤이 연출한 작품을 상연했다. 애드리언 에드먼슨이 말볼리오 역을, 카라 토인턴이 올리비아 역을, 디니타 고힐이 비올라 역을 맡았다.[34]
2022년, 올드 프루트 자르 프로덕션은 리버풀 로열 코트 극장에서 1980년대에서 영감을 받은 이 작품을 상연하여, 호화로운 저택의 귀족과 부인들을 난폭한 베니돔 바와 술에 취한 탈출로 대체하여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에게 셰익스피어를 소개했다.
7. 2. 4. 라디오 드라마
캐슬린 네스빗이 BBC를 위해 각색한 ''십이야''는 영국 라디오에서 방송된 최초의 셰익스피어 희곡 전체였다. 1923년 5월 28일에 네스빗이 비올라와 세바스찬을, 제럴드 로렌스가 오시노를 맡아 공연했다.[47]1937년에는 ''CBS 라디오 플레이하우스''에서 각색된 작품이 상연되었는데, 오손 웰스가 오시노를, 탤룰라 뱅크헤드가 비올라를 연기했다. 1년 후, 웰스는 자신의 머큐리 극단과 함께 제작한 작품에서 말볼리오 역을 맡았다.
BBC 라디오에서는 몇 편의 전체 각색 작품이 있었다.
- 1982년 BBC 라디오 4 방송에서는 알렉 맥코웬이 오시노를, 웬디 머레이가 비올라를, 노먼 로드웨이가 토비 벨치 경을, 앤드루 삭스가 앤드루 에이지칙 경을, 버나드 헵턴이 말볼리오를 연기했다.
- 1993년 BBC 라디오 3에서는 이 극을 (카리브해 섬을 배경으로) 각색하여 마이클 멀로니가 오시노를, 이브 매더슨이 비올라를, 이안 커버트슨이 말볼리오를, 조스 애클랜드가 토비 벨치 경을 연기했다. 이 각색본은 2011년 1월 6일 BBC 라디오 7 (현재 라디오 4 엑스트라)에서 다시 방송되었다.
- 1998년에는 라디오 3에서 또 다른 각색본이 나왔는데, 마이클 멀로니가 다시 오시노를, 조세트 시몬이 올리비아를, 니키 헨슨이 페스테를 연기했다.
- 2012년 4월, BBC 라디오 3는 샐리 에이븐스 연출로 폴 레디가 오시노를, 나오미 프레데릭이 비올라를, 데이비드 테넌트가 말볼리오를, 론 쿡이 토비 벨치 경을 연기한 버전을 방송했다.
7. 2. 5. 오페라
1820년 프레데릭 레이놀즈가 작곡하고 헨리 비숍이 음악을 맡은 오페라 버전이 상연되었다.[6]《십이야》를 기반으로 한 오페라로는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의 미완성 오페라 《비올라》(1874, 1883–1884), 카렐 바이스의 《블리제니》(1892, 2차 버전 1917), 이반 이르코의 《베체르 트르지크랄로비》(1964), 얀 클루사크의 《드바나츠타 나츠》(1989)가 있다.
8.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셰익스피어의 희극 '십이야'는 젠더, 사랑, 사회적 규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현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갈등과 해결 과정을 통해,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사회적 불평등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해 볼 수 있다. 특히, 남장을 한 주인공 비올라의 여정은 성별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다양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십이야'는 엘리자베스 시대의 연극적 관습을 통해 젠더 정체성과 성적 매력의 모호함을 탐구한다. 당시 여성 역할은 소년 배우들이 연기했고, 비올라와 같이 여성 캐릭터가 남성으로 변장하는 설정은 양성성과 성적 모호함에 대한 인상을 강화했다.[14] 이러한 설정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존재하는 성 역할 고정관념과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을 되돌아보게 한다.
또한, 작품 속 인물들의 계층 간 갈등은 오늘날 한국 사회의 불평등 문제를 연상시킨다.
8. 0. 1. 성 역할 고정관념과 다양성 존중
비올라는 셰익스피어의 여장 남자 주인공들 중 한 명이다. 셰익스피어 극장에서는 관례에 따라 청소년 소년들이 여성 역할을 연기했고, 여성 캐릭터가 남성으로 변장하는 다양한 방식에서 유머가 나왔다.[12] 비올라는 여장을 통해 오시노와 올리비아 사이의 메신저나 오시노의 심복과 같이 일반적으로 남성에게 허용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다른 셰익스피어 여주인공들과 달리 변장을 통해 줄거리에 직접 개입하지 않고, "시간"이 줄거리를 해결하도록 맡기는 인물로 남는다.[13]''십이야''는 젠더 정체성과 성적 매력을 탐구하며, 남성 배우가 비올라 역을 맡음으로써 양성성과 성적 모호함에 대한 인상을 강화했다.[14] 일부 현대 학자들은 ''십이야''가 젠더 문제를 "특히 즉각적으로" 다룬다고 믿는다.[15] 그들은 또한 젠더에 대한 묘사가 여성이 불완전한 남성이라는 시대의 지배적인 과학 이론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14] 이러한 믿음은 연극의 캐스팅과 캐릭터에 반영된 성별 간의 거의 구별할 수 없는 차이를 설명한다.
바이올라 외에도 셰익스피어 극에는 이성장을 하는 주인공들이 있다. 셰익스피어 시대 연극에서는 젊은 남성이 여성 역할을 연기했고, 그런 배우가 일시적으로 남성다운 척하는 여성 캐릭터로 분장함으로써 복잡한 변장에 유머가 더해졌다.[72] 바이올라는 이성장을 함으로써 오시노와 올리비아 사이의 사자 역할을 맡거나, 오시노의 비밀을 아는 친구가 되는 등, 일반적으로 남성의 것으로 여겨지는 역할을 자신의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바이올라는 뜻대로 하세요의 로잘린드나 베니스의 상인의 포샤에 비하면 남장을 통해 플롯에 직접 개입하는 일이 적고, "시간"에 플롯 해결을 맡긴다.[73]
''십이야''는 젠더 정체성이나 다양한 사람들이 성적으로 끌리는 모습을 탐구하기 때문에, 남성 배우가 바이올라를 연기함으로써 양성성이나 성적인 모호함과 같은 요소가 강조된다.[74] 이 때문에 ''십이야''는 셰익스피어 극 중에서도 매우 직접적으로 젠더 문제를 다룬 연극이라고 생각되기도 한다.[75] ''십이야''에서의 젠더 묘사는 여성이 불완전한 남성이라는 초연 시대에 널리 퍼져 있던 과학관에서 비롯되었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76] 이 생각으로 ''십이야''의 캐스팅과 캐릭터에서 이성의 형제자매 사이에 구별이 안 된다고 설정된 점을 설명할 수 있다. 바이올라가 연극 마지막에 오시노와 약혼하는 장면까지 계속 이성장을 하고 있는 것은 종종 바이올라와 오시노 사이의 호모에로틱한 관계 가능성에 대한 논의의 방아쇠가 되고 있다. 가와이 쇼이치로는 이에 대해, 바이올라가 여장으로 등장하는 것이 초반의 난파 후 장면뿐인 것은 여자 역할을 연기하는 배우가 상당히 성장했고, 가능한 한 남장으로 무대에 내보내는 것이 배역상 편리했을 것이라는 설을 제시하고 있다.[77]
올리비아가 제1막 5장에서 처음 시저리오(바이올라)를 만나는 장면에서 "코미디언인가요?" (엘리자베스 시대 어법으로는 "배우인가요?"와 같은 의미)라고 묻는다.[78] 바이올라는 "저는 제가 연기하는 사람이 아닙니다"라고 대답하는데, 이 부분은 연극성이나 극중에서 "연기"하는 것에 대한 언급이다.[79]
8. 0. 2. 계층 갈등과 사회적 불평등
Shakespeare영어의 희극 '십이야'는 젠더 정체성과 다양한 사람들이 성적으로 끌리는 모습을 탐구한다. 엘리자베스 시대에는 젊은 남성 배우가 여성 역할을 연기했기 때문에, 남성 배우가 바이올라를 연기함으로써 양성성과 성적인 모호함이 강조되었다.[74] 이러한 이유로 '십이야'는 셰익스피어 극 중에서도 젠더 문제를 매우 직접적으로 다룬 연극으로 평가받기도 한다.[75]'십이야'의 젠더 묘사는 여성이 불완전한 남성이라는 당시의 과학관에서 비롯되었다는 지적도 있다.[76] 바이올라가 연극 마지막에 오시노와 약혼하는 장면까지 남장을 유지하는 것은, 바이올라와 오시노 사이의 동성애적 관계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유발하기도 한다.[77] 가와이 쇼이치로는 바이올라가 여자 복장으로 등장하는 것이 초반 난파 장면뿐이라는 점을 들어, 여자 역할을 연기하는 배우가 성장하여 가능한 한 남장으로 무대에 내보내는 것이 배역상 편리했을 것이라는 설을 제시한다.[77]
올리비아가 제1막 5장에서 시저리오(바이올라)에게 "코미디언인가요?" (배우인가요?)라고 묻자,[78] 바이올라는 "저는 제가 연기하는 사람이 아닙니다"라고 답한다.[79] 이는 연극성과 극중 '연기'에 대한 언급이다. 말볼리오 괴롭히기 플롯은 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하며, 페이비언은 제3막 4장에서 "만약 지금 이것이 무대에 걸린 연극이라면,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불평할 겁니다"라고 말한다.[80] 제4막 2장에서는 광대 페스테가 성직자 토파스와 자신의 목소리를 번갈아 사용하며 2역을 연기하며 말볼리오를 조롱한다. 페스테는 자신을 잉글랜드 도덕극의 "옛 부도덕(악덕) 역"에 비유하며 마무리한다.[81] 잉글랜드 민속 전통의 영향은 페스테의 노래와 대사, 제5막의 마지막 노래 등에서 나타나며,[82] 노래의 마지막 가사는 잉글랜드 전통 연출의 대사를 직접 반영한다.[83]
참조
[1]
서적
Shakespeare's Theatre
Routledge & Kegan Paul
1983
[2]
웹사이트
Twelfth Night (Modern) :: Internet Shakespeare Editions
https://internetshak[...]
2024-06-08
[3]
간행물
The Settings of Shakespeare's Plays
http://hrcak.srce.hr[...]
1964-06
[4]
서적
Twelfth night, or, What you wi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5]
뉴스
Our English Homer, or, The Bacon–Shakespeare Controversy: A Lecture
[6]
서적
A Shakespeare Companion 1564–1964
Penguin
[7]
서적
The Sources of Ten Shakespearean Plays
T.Y. Crowell
[8]
간행물
What You Will: Double Predestination and the Plot of ''Twelfth Night''
http://sinestesieonl[...]
2023
[9]
서적
Shakespeare's Festive World: Elizabethan seasonal entertainment and the professional st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Shakespeare at the Guthrie: ''Twelfth Night''
1985-Autumn
[11]
간행물
Twelfth Night's "Notorious Abuse" of Malvolio: Shame, Humorality, and Early Modern Spectatorship
http://muse.jhu.edu/[...]
2012-11-17
[12]
서적
The Norton Shakespeare
https://archive.org/[...]
W.W. Norton
[13]
문서
Sexual Disguise and the Theatre of Gen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문서
Gender Trouble in Twelfth Night
[15]
문서
Introduction
Bedford/St. Martin's
[16]
문서
Lothian and Craik
[17]
문서
Shakespeare and the Idea of the Play
Chatto & Windus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Shakespeare and the Popular Tradition in the Theater: Studies in the Social Dimension of Dramatic Form and Functi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1]
문서
[22]
서적
The First Night of Twelfth Night
Macmillan
[23]
서적
Twelfth Night
Penguin
[24]
서적
Twelfth Night: Texts and Contexts
Bedford/St Martin's
[25]
간행물
Shakespeare at ''The Guthrie'': ''Twelfth Night''
1985-Autumn
[26]
서적
As She Likes It: Shakespeare's unruly heroines
Routledge
[27]
뉴스
Malvolio – the killjoy the stars love to play
https://www.theguard[...]
2012-11-17
[28]
뉴스
Stephen Fry's ''Twelfth Night'': This all-male affair is no one-man show
https://www.theguard[...]
2012-07-02
[29]
웹사이트
Twelfth Night – National Theatre
https://www.national[...]
2016-11-04
[30]
뉴스
Twelfth Night review – on high gender alert with Tamsin Greig
https://www.theguard[...]
2017-02-26
[31]
뉴스
Twelfth Night review – Tamsin Greig is brilliant in a show full of fun
https://www.theguard[...]
2017-02-23
[32]
뉴스
''Twelfth Night'', National's Olivier Theatre review: Tamsin Greig shines in a production otherwise at sea
https://www.telegrap[...]
2017-02-23
[33]
간행물
''Twelfth Night'' theatre review: Tamsin Greig brings dazzling comic brio to a gender-bending production
http://www.radiotime[...]
2017-02-23
[34]
웹사이트
Christopher Luscombe's production ''Twelfth Night''
https://www.rsc.org.[...]
[35]
문서
Glimpsing a 'Lesbian' Poetics in ''Twelfth Night''
Spring
[36]
뉴스
Review: In a Blissful Musical 'Twelfth Night' in Central Park, Song Is Empath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08-19
[37]
웹사이트
Epiphany (Star, 1999) Epiphany (Bow Shakespeare Series #8)
http://www.takarazuk[...]
takarazuka-revue.info
2010-12-11
[38]
간행물
Gender and homosexuality in Takarazuka theatre: Twelfth Night and Epiphany
https://www.ingentac[...]
2010-03
[39]
웹사이트
12th Night
https://www.theaterg[...]
2019-12-06
[40]
웹사이트
Performance Review: Grottesco's 12th Night at the Santa Fe Opera's Stieren Hall
https://alibi.com/ar[...]
2019-12-06
[41]
웹사이트
A work unfinishing: My Favorite Theater of 2017
https://aworkunfinis[...]
2017-12-28
[42]
웹사이트
Malvolio's Revenge
https://vimeo.com/34[...]
[43]
웹사이트
Malvolio's Revenge {{!}} New Play Exchange
https://newplayexcha[...]
2019-12-06
[44]
웹사이트
A Comedy of Heirors {{!}} New Play Exchange
https://newplayexcha[...]
2019-12-06
[45]
웹사이트
Twelfth Night: Or What You Will (1996)
http://www.fosteronf[...]
Foster on Film
2010-12-11
[46]
서적
British Television: An Illustrated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47]
웹사이트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http://bufvc.ac.uk/s[...]
2016-04-19
[48]
서적
Engelbert Humperdinck Werkverzeichnis
Dohr
2014
[49]
웹사이트
O mistress mine, where are you roaming? (Shakespeare) (The LiederNet Archive: Texts and Translations to Lieder, mélodies, canzoni, and other classical vocal music)
https://www.lieder.n[...]
2021-04-05
[50]
웹사이트
O Mistress Mine
https://www.gsarchiv[...]
2021-04-05
[51]
웹사이트
English Lyrics (Parry, Charles Hubert Hastings) - IMSLP: Free Sheet Music PDF Download
https://imslp.org/wi[...]
2021-04-05
[52]
웹사이트
3 Shakespeare Songs, Op.37 (Beach, Amy Marcy) - IMSLP: Free Sheet Music PDF Download
https://imslp.org/wi[...]
2021-04-05
[53]
서적
Fifty Modern English Songs
Boosey & Co
[54]
웹사이트
Album of 10 Songs (Barratt, Walter Augustus) - IMSLP: Free Sheet Music PDF Download
https://imslp.org/wi[...]
2021-04-05
[55]
웹사이트
O Mistress Mine
https://www.davidbar[...]
2020-09-20
[56]
웹사이트
The 50 Best Plays of All Time
https://www.timeout.[...]
2020-03-11
[57]
웹사이트
Michael Billington's 101 Greatest Plays of All Time
https://www.theguard[...]
2015-09-02
[58]
웹사이트
Best Shakespeare Productions
https://www.theguard[...]
2014-04-21
[59]
웹사이트
The best Shakespeare comedies
https://www.timeout.[...]
2016-10-12
[60]
문서
The Edwardians, Introduction p. xi, Virago Modern Classics, 1983.
[61]
웹사이트
मदनाची मंजिरी
https://www.aathavan[...]
[62]
문서
Thomson, Peter. Shakespeare's Theater.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83, p. 94. ISBN 0-710-09480-9.
[63]
문서
Torbarina, J. "The Setting of Shakespeare's Plays." Studia Romanica et Anglica Zagrabiensia, 17–18 (1964).
[64]
문서
Donno, Elizabeth Story, editor. Twelfth Night, or, What You Will. Update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p. 7.
[65]
서적
Our English Homer, or, The Bacon-Shakespeare Controversy: A Lecture
Johannesburg Times
[66]
서적
A Shakespeare Companion 1564–1964
Penguin
[67]
서적
The Sources of Ten Shakespearean Plays
T.Y. Crowell
[68]
문서
Laroque, François. Shakespeare's Festive World: Elizabethan Seasonal Entertainment and the Professional St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フランソワ・ラロック『シェイクスピアの祝祭の時空-エリザベス朝の無礼講と迷信』中村友紀訳(柊風舎、2007年)], p. 153.
[69]
문서
Laroque, p. 227.
[70]
문서
Laroque, p. 254.
[71]
논문
"Shakespeare at The Guthrie: ''Twelfth Night''"
1985
[72]
서적
The Norton Shakespeare
W.W. Norton
[73]
문서
"Sexual Disguise and the Theatre of Gen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
논문
"Gender Trouble in Twelfth Night."
[75]
서적
"Introduction."
Bedford/St. Martin's
[76]
논문
"Gender Trouble in Twelfth Night."
[77]
서적
ハムレットは太っていた!
白水社
[78]
문서
[79]
서적
Shakespeare and the Idea of the Play
Chatto & Windus
[80]
문서
[81]
문서
[82]
서적
Shakespeare and the Popular Tradition in the Theater: Studies in the Social Dimension of Dramatic Form and Functi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3]
문서
[84]
웹사이트
Twelfth Night's "Notorious Abuse" of Malvolio: Shame, Humorality, and Early Modern Spectatorship
http://muse.jhu.edu/[...]
Shakespeare Bulletin
2006-09-01
[85]
논문
"The Date of Twelfth Night"
[86]
문서
[87]
문서
[88]
문서
[89]
서적
Twelfth Night: Texts and Contexts
Bedford/St Martin's
[90]
서적
The First Night of Twelfth Night
Macmillan
[91]
논문
[92]
뉴스
Stephen Fry's Twelfth Night: this all-male affair is no one-man show
http://www.guardian.[...]
2012-10-01
[93]
서적
As She Likes It: Shakespeare's Unruly Heroines
Routledge
[94]
문서
[95]
문서
[96]
문서
[97]
뉴스
Malvolio – the killjoy the stars love to play
http://www.guardian.[...]
2009-10-20
[98]
논문
[99]
웹사이트
Epiphany (Star, 1999) Epiphany (Bow Shakespeare Series #8)
http://www.takarazuk[...]
takarazuka-revue.info
2010-12-11
[100]
웹사이트
NINAGAWA十二夜
http://www.kabuki-bi[...]
歌舞伎美人
2016-04-29
[101]
웹사이트
月組公演 『WELCOME TO TAKARAZUKA -雪と月と花と-』『ピガール狂騒曲』 | 宝塚歌劇公式ホームページ
https://kageki.hanky[...]
[102]
웹사이트
Twelfth Night: Or What You Will (1996)
http://www.fosteronf[...]
Foster on Film
2010-12-11
[103]
웹사이트
7 Teen Movies Based On Shakespeare That Would Make Him Roll Over In His Grave
https://www.huffpost[...]
ハフィントンポスト
2016-04-29
[104]
서적
British Television: An Illustrated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105]
서적
ウィンザーの陽気な女房たち
日本放送出版協会
1984-07-01
[106]
웹사이트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http://bufvc.ac.uk/s[...]
2016-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