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연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연극은 상 왕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무당의 춤과 노래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형태와 발전을 거쳤다. 주 왕조 시대에는 전문 연예인이 등장했고, 한나라 시대에는 레슬링 쇼와 연회가 유행했다. 육조 시대에는 가면극과 노래, 춤을 결합한 드라마가 발전했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궁중에 내교방을 설치하여 연극을 장려했다. 송, 금, 원나라 시대에는 잡극이 성행했고, 원나라 시대에는 원곡이 확립되었다. 명, 청나라 시대에는 곤극과 지방극이 발전했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곤극이, 청나라 시대에는 경극이 인기를 얻었다. 20세기 이후에는 서구 연극의 영향을 받아 화극이 등장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시대에는 모델극이 창작되었다. 현대 중국 연극은 전통적인 경극, 지방극, 화극으로 대표되며, 현대 세계의 영향으로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연극 - 월극
월극은 중국 저장성에서 기원한 전통극으로, 여성 배우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서구 연극과 영화의 요소를 수용하며 발전하여 중국 4대 전통극으로 꼽힌다. - 중국의 연극 - 황매희
황매희는 안후이성 안칭시에서 기원한 중국 전통 희곡 장르로, 순수하고 감동적인 표현과 다양한 역할, 독특한 음악적 특징을 가지며, 여러 극단과 교육기관을 통해 활발히 공연되고 인재가 양성되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중국 연극 |
---|
2. 역사
중국 연극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다양한 시대와 왕조를 거치며 발전해 왔다.
상나라(기원전 16세기?–기원전 1046년경) 시대에는 무당들이 비를 기원하며 춤을 추는 의식이 있었는데, 이것이 중국 연극의 초기 형태 중 하나로 여겨진다.[1] 주나라(기원전 1046년경 – 기원전 256년)에는 전문적인 연예인들이 궁정에서 활동하며 춤, 노래, 연기 등을 선보였다.[5]
공자를 중심으로 하는 유교는 음악 철학을 집대성하여 '악론(樂論)'을 체계화했다. 이는 <예기>의 <악기(樂記)>편에 기록되었으며, 연극을 정치적, 윤리적 이상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보았다. '예악(禮樂)' 사상은 오랫동안 중국, 한국, 일본의 예술에 영향을 미쳤다. 유교는 아악(雅樂)을 선(善)으로, 속악(俗樂)을 악(惡)으로 규정했는데, 이는 연극에 대한 관념을 왜곡시키기도 했다.
수나라 때는 악(樂)을 아악과 속악으로 나누었고, 당나라 때는 속악의 비중이 커져 궁중에 내교방(內敎坊)을 설치하여 속악을 담당하게 했다. 당 현종은 '이원(梨園)'이라는 예능 기관을 설립하여 연극 예능을 장려하고 보급했다.
하지만, 하위 섹션에서 언급된 내용과 같이, 당나라 시대까지의 연극은 현대적인 연극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2. 1. 초기 역사 (상나라 ~ 당나라)
중국 연극은 상나라(기원전 16세기?–기원전 1046년경)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갑골문 기록에는 무당들이 비를 기원하는 춤을 추었다는 내용이 있으며,[1] ''서경''에는 무속 신앙의 춤과 노래가 언급되어 있다.[2] 주나라(기원전 1046년경 – 기원전 256년) ''초사''의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4세기 또는 3세기에 초나라에서 무당들이 음악과 의상을 갖춰 공연을 했다고 한다.[3] 일부 학자들은 ''시경''의 시가 초기 또는 중기 주나라의 궁정 춤에 수반된 노래 가사일 수 있다고 추정한다.[4]주나라 왕실뿐만 아니라 여러 고대 국가에서도 무용수, 음악가, 배우를 포함하는 전문 연예인들을 고용했다. 초기의 궁정 배우들은 익살극, 춤, 노래, 코미디를 공연하는 광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5] 이 시기의 유명한 배우 중 한 명은 유맹(優孟) 또는 맹광대(孟光大)로, 초 장왕(재위 기원전 613–591년)을 섬긴 거인이었다. 그는 초나라의 전(前) 재상인 손숙오의 가난한 아들을 만난 후, 손숙오의 말과 행동을 흉내 내는 데 1년을 보냈다고 한다. 마침내 그는 연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초 장왕을 설득해 손숙오의 아들에게 토지를 하사했다.[6][7]
사마천의 ''사기''에는 공자(기원전 551–479년)가 대무(大武舞)에 대해 설명하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기원전 1046년경 주 무왕이 상나라를 무너뜨리고 주공과 소공의 도움을 받아 주나라를 건국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대무는 완전한 이야기를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상징성으로 가득했는데, 공자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8]

한나라(기원전 206년–서기 220년) 시대에는 각저희(角觝戲)라고 불리는 레슬링 쇼가 유행했으며, 한 무제(재위 기원전 141–87년) 시대에 소위 "백희"(百戲) 중 하나가 되었다. 이것은 관람 스포츠였을 가능성이 높지만, 문헌적 증거와 고고학적 증거 모두 공연자들이 정해진 역할을 맡아 줄거리에 따라 공연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레슬러들이 재연한 이야기 중 하나는 호랑이와 "동해 황공"(東海黃公)이라는 마법사 사이의 전투였다.[9] 허난성 신미시 대호정에서 발견된 한나라 시대의 벽화는 이 시대에 연예인들이 고위 관료의 집에서 연회를 열었음을 보여준다.[10]
초기 형태의 중국 연극은 후자오 왕조(319–351)에서 유래된 ''참군희''(參軍戲, 또는 보좌관극)이다.[11][12][13] 초기 형태는 부패한 관리인 ''참군''(參軍) 또는 부관을 회색매(蒼鶻)라는 광대가 조롱하는 두 명의 배우만 등장하는 단순한 코미디극이었다.[11] ''참군희''의 등장인물들은 후대의 중국 오페라의 고정된 역할 범주, 특히 희극적인 추(丑) 캐릭터의 선구자로 여겨진다.[14]
육조 시대에는 다양한 노래와 춤을 결합한 드라마가 발전했다. 북제 시대에는 가면극인 대면(大面, "마스크"를 의미하며 대면 代面이라고도 하며, 란링왕 蘭陵王이라고도 함)이 가면을 쓰고 전투에 임했던 고장공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15][17] 또 다른 극으로는 아버지를 죽인 호랑이를 찾아 나서는 슬픔에 잠긴 아들의 이야기를 다룬 서역의 가면극 ''발두''(撥頭, 钵头라고도 함)가 있다.[16] 술에 취한 남편에게 학대받는 아내의 이야기를 다룬 ''답요랑''(踏謡娘)은 처음에는 남자가 여자로 분장하여 공연했다.[17][18] 이 노래와 춤을 결합한 드라마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단순하지만, 이는 중국에서 가장 초기의 뮤지컬 극 작품으로 여겨지며, 더 정교한 후대의 중국 오페라의 전조가 되었다.[17][19]
2. 2. 송, 금, 원나라 시대
송나라 시대에는 당나라의 참군희(參軍戱)를 이어받아 잡극(雜劇)이 성행하였다. 잡극은 임기응변의 넌센스와 코믹을 위주로 한 즉흥희극으로, 이탈리아의 '코메디아 델 아르테'와 비슷하다. 왕국유의 <송원희곡사(宋元戱曲史)>에 따르면, 송대 연극은 골계희(滑稽戱), 잡희소설(雜戱小說), 악곡(樂曲)으로 나뉘며, 특히 노래(詞)를 중요시했다. 노래에 춤이 따르는 것을 전답(傳踏) 또는 전답(轉踏)이라 불렀고, 1곡 이상을 편곡한 것을 제궁조(諸宮調) 또는 잠사라고 했다. 잡극은 배역이 처음에는 두 명이었으나, 나중에는 7종류로 늘어났고, 레퍼토리도 280종이나 되었다. 잡극의 희곡적 구성은 염단(艶段) 1절, 정잡극(正雜劇) 2절, 잡분(雜扮) 1절의 4절 4막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훗날 원나라 희곡에 계승되었다. 이 밖에 북을 반주 악기로 하여 노래하는 고자사(鼓子詞)도 있었는데, 조덕린(趙德麟)의 <상조접연화사(商調蝶戀化詞)> 등은 중국 근대 희곡의 기초를 이루었다고 평가받는다.

12세기경에는 중국 오페라를 의미하는 희곡(戲曲, xìqǔ)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송나라 시대 연극은 당나라 불교 전통인 변문(變文, bianwen)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변문은 승려들이 불교 사상을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했지만, 송나라 시대에는 대중적인 엔터테인먼트가 되었다. 목련구모(Mulian Rescues His Mother)와 같은 불교 이야기가 연극의 주제가 되었으며, 목련 이야기는 최초의 중국 대형 드라마였다.[20] 둥제위안(董解元, Dong Jieyuan)의 서상기 제궁조(The Romance of the Western Chamber Zhu Gongdiao)는 변문에서 만들어졌다.
남송 시대에는 난시(南戲, nanxi) 또는 희문(戲文, Xiwen)이라 불리는 형태의 연극이 원저우(Wenzhou)에서 발전했다. 난시는 정해진 길이와 완전한 서사를 가졌고, 배우들은 말과 노래로 공연했다.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대본 중 하나는 남송 시대 작품인 장협장원(The No. 1 Scholar Zhang Xie)이다. 송나라 시대에는 단(旦, 여성), 생(남성), 경(净), 추(clown)와 같은 전문 배역이 등장했다.
북방의 금나라에서도 잡극이 성행했으며, 원본(院本)이라고 불렸다. 원본은 훗날 원나라 희곡에 영향을 주었는데, 예를 들어 동(董)이라는 사람의 <서상추탄사>는 왕실보의 <서상기(西廂記)>의 원본이 되었다.

중국 연극은 원나라 시대에 확립되었다. 원나라 사람들은 비문화적이었지만, 고전의 법칙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예술 형태로 희곡을 발전시켰다. 당시 저명한 극작가로는 관한경, 왕실보, 마지위안, 백박 등이 있다. 관한경의 작품 중 다수가 남아 있으며, 두아원(The Injustice to Dou E)이 대표적이다. 왕실보는 서상기(Romance of the Western Chamber)를 썼고, 마지위안의 대표작은 한궁추(Autumn in Han Palace)이며, 기준상은 조씨고아(The Orphan of Zhao)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원나라 잡극의 구절은 중국 문학의 중요한 형태 중 하나인 원곡, yuanqu)으로 여겨진다. 원나라의 잡극은 전곡이 4단(4척)으로 이루어지며, 1척은 같은 장단과 운(韻)을 사용한다. 등장인물 가운데 노래를 부르는 배우가 주인공이며, 그 밖의 배우는 대사만을 읊는다. 이 형식은 오늘날의 경극이 계승하고 있다.
2. 3. 명, 청나라 시대
명나라 시대에는 남곡이 다시 인기를 얻었으며, 곤극이 발전하여 중국 연극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21] 명나라 희곡 작가들은 대부분 교육을 받았고 비교적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졌으며, 전기 작품은 주로 학자들에 의해 창작되었다.[23] 위량보는 항저우 인근 해염과 강서성 의양의 곡조를 개량하여 곤산 곡조를 만들었고, 그는 종종 피리를 사용했던 남희 리듬과 현악기를 선호했던 북방의 잡극을 결합했다. 최초의 곤극 오페라인 《세사기》(浣紗記, 《환사기》)는 곤산 곡조를 사용한 양진옥에 의해 만들어졌다. 곤극은 문화의 우아한 부분으로 여겨졌고, 학자들에 의해 장려되었으며, 따라서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명나라 시대에는 남부의 의양 곡조가 곤극과 융합되어 널리 퍼졌다. 의양 곡조는 정해진 형식이 없고, 더 자유분방하고 흥미로웠기 때문에 지역 계층에게 더 매력적이었고, 지역 음악 스타일과 쉽게 융합되어 수많은 지방 오페라에서 많은 높은 음조의 곡조를 만들어냈다. 또 다른 중요한 발전은 북서부에서 두 개의 구절 구조와 박자 기반 악기 편성을 갖춘 섬서 오페라의 등장으로, 반강 (板腔)이라고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음악 스타일을 도입했다. 이 확산은 명나라를 멸망시킨 섬서 반란군 이자성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이후 청나라 시대의 경극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명나라 시대(1368-1644) 동안 중국 연극은 관객에 따라 궁정, 사회 엘리트, 일반 대중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24] 명나라 궁정은 오페라를 즐겼으며, 명나라 황제들은 일반적으로 궁정 내에서 음악적 오락을 유지했다.[25] 그러나 명나라 연극은 이전 왕조인 원나라보다 자유가 적었다.[26] 원나라와 송나라 초기에 일부 희곡에는 황제의 역할이 포함될 수 있었지만,[27] 명나라 황제 홍무제는 배우들이 황실 구성원, 고위 관리 또는 존경받는 인물을 흉내내는 것을 금지했다.[27] 비록 이러한 제한이 공공 극장에서 일반 대중을 위해 공연하는 오페라 극단에 의해 항상 준수된 것은 아니었지만.[28]

사설 극단은 명나라 시대에 두드러지게 등장했으며, 정부 관리, 부유한 상인, 환관은 사설 극단을 관리하여 사유지에 지어진 무대에서 손님을 즐겁게 하거나 지위의 상징으로 삼을 수 있었다.[29][30] 명나라 말기 여성 기생인 마상란은 사설 극단을 소유한 유일한 여성으로 알려져 있다.[31] 사설 극단을 개발하는 것은 엄청난 투자를 의미했다. 소유주는 먼저 가난한 가정이나 노예 가구, 공연 학교에서 외모에 더 중점을 두고 잠재적인 배우를 선택하고, 이들에 대한 추가 훈련에 투자했다.[32][33][34] 극단 지도자는 은퇴한 배우를 고용하여 배우를 가르칠 수 있으며, 일부는 훈련된 배우였다.[35] 배우들은 노래, 춤, 역할 연기 기술에 대해 엄격한 훈련을 받았으며, 이는 8년이나 걸릴 수 있다.[24][36] 배우들은 매우 숙련되었지만 명나라 사회에서는 낮은 지위로 간주되었으며, 이성애 및 동성애 모두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37]
청나라 시대에는 경극이 인기를 얻었다. 경극은 다양한 오페라 스타일에서 발전했다. 1790년, 여러 지방의 극단이 건륭제의 즉위 55주년을 기념하여 베이징에서 공연을 펼쳤다. 곤극, 박극, 이황 멜로디 등 다양한 선율 패턴으로 오페라를 공연한 휘극 극단이 가장 인기를 끌었다. 양쯔강과 한수이를 따라 인기 있던 한극 역시 인기를 얻었고, 휘극과 한극의 혼합으로 경극이 탄생했다. 경극은 곤극에서 많은 이야기를 물려받았지만, 일반 대중에게 인기가 있었던 박극과 같은 다른 오페라 스타일이 그 발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에는 '''이어'''(李漁, 李笠翁)가 특히 활약했다. 그는 저장성 난지(浙江省 蘭谿) 사람으로, 희곡 <풍쟁오(風箏誤)> 외에 9편을 수록한 저작집 <입옹십종곡(笠翁十種曲)>은 모두 희극이다. 희극이 적은 당시의 중국 연극으로는 희소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이 밖에 왕부지(王夫之), 오위업(吳偉業) 등의 작가도 있으나 홍승(洪昇), 공상임(孔尙任)의 두 사람이 역사에 남는 작가라고 하겠다.
'''홍승'''(1645 -1704)은 첸탕(錢塘) 사람으로, <장생전(長生殿)>은 그의 대표작이다. 초연 때는 마침 국장(國葬)의 기간이었으므로 불경죄에 몰렸으나 그의 작품 생명은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전 4권 50절(折), 즉 4막 50장의 작품이다. 당나라 현종과 양귀비의 이야기로, 양귀비가 죽은 후 현종은 그녀의 꿈을 꾸고 도사(道士)의 인도로 월궁전(月宮殿)에 이르러 두 사람은 영원히 맺어진다고 하는 줄거리로서 아름다운 묘사와 변화가 풍부한 무대전환 등으로 호평을 받았다.
'''공상임'''(1648-1718)은 산둥 취푸(山東 曲阜) 사람으로 공자(孔子)의 자손 <도화선(桃花扇)>은 그가 심혈을 기울인 걸작인 동시에 중국 고전극 가운데에서 불멸의 명작이라고 하겠다. 1699년의 작품으로 전 42장(場)으로 되어 있다. 기녀(妓女) 이향군(李香君)과 청년 후방역(侯方域)의 사랑에 명조(明朝)의 정치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로망과 사실(事實)·허실(虛實)이 교묘하게 교차하는 특이한 사극이라고 하겠다. 작자는 지금까지의 전기물(傳奇物)과는 달리 대사에 중점을 두고 가사에도 유기적인 필연성을 고려하는 등, 희곡적 체재를 충분히 계산하여 작극(作劇)한, 말하자면 오늘날의 전형적인 희곡이라고 하겠다.
이 밖에 전기작가로서는 장사전(蔣士銓)의 <홍설루구종곡(紅雪樓九種曲)>, 계복(桂馥)의 <후사성원(後四聲猿)>, 서위(舒位)의 <병생관수소보(甁笙館修簫譜)> 등이 있다.
한편, 이 시기에 지방에 그때까지 산재했던 지방극, 예컨대 익양강, 진강(秦腔), 방자강, 서피강(西皮腔), 이황강(二黃腔) 등이 융성하였고, 특히 서피와 이황은 안휘(安徽)를 중심으로 활약했던 연극인이 북경에 들어옴으로써 도시적으로 세련되어 중국 연극의 주류적 존재가 된 경극으로 집대성되었다.
2. 4. 현대 (20세기 이후)
20세기 초, 서구 드라마와 연극의 영향으로 비가극적인 연극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서구 드라마가 1850년 중국에서 서구 거류민들에 의해 처음으로 상연된 상하이는 현대 중국 연극의 발상지였다. 세인트 존스 칼리지 학생들은 1899년에 최초의 현대 중국 연극인 ''관장추스''(官场丑事|관장추스중국어)를 공연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00년 난양 대학 학생들은 육군자(六君子)와 의화단 운동을 소재로 한 연극 등 당대 사건을 바탕으로 한 3편의 연극을 무대에 올렸다. 학생 연극은 화극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차오 위, 홍 선, 가오 싱젠과 같은 저명한 극작가들이 캠퍼스에서 기량을 연마하기 시작했다.[42] 초기에 제작된 가장 중요한 연극 중 하나는 차오 위의 뇌우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시대에는 정부가 연극 개선을 위한 특별 부서를 설치했다. 전국에서 수많은 오페라와 "모델극"으로 지정된 오페라가 공연되는 첫 번째 전국 오페라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 오페라는 수정되었고,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모델극이 창작되었다. 첫 번째 모델극은 ''지취웨이후산''(Taking Tiger Mountain by Strategy)이었다. 문화 대혁명 시대에 모델극이 극장을 독점했다. 그러나 문화 대혁명 이후 전통적인 형태가 부활했고, 규제가 완화되면서 서구 연극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연극도 무대에 오르기 시작했다.
3. 고전극
중국의 고전극은 경극으로 대표되며, 각 지역에는 다양한 지방극이 존재한다. 또한, 현대에는 화극(話劇)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연극도 등장했다. 중국 연극은 서구의 '시론(詩論)'과는 달리 '악론(樂論)'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으며, 이는 공자를 중심으로 한 유학자들의 음악 철학을 담은 <예기>의 <악기(樂記)>편에 기록되어 있다.
송나라 시대에는 연극과 음악을 포함하는 대중적인 연극이 발전하기 시작했고, 12세기경에는 중국 오페라를 의미하는 용어인 희곡(戲曲, xìqǔ)이 이 새로운 형태의 연극 엔터테인먼트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 송나라 시대 연극은 당나라의 불교 전통인 변문(變文, bianwen)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는데, 이는 말과 노래를 섞어 불교 사상을 문맹의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승려들이 사용했지만, 송나라 시대에 대중적인 엔터테인먼트가 되었다. 서사 민요와 이야기 형식은 송나라의 드라마에 영향을 미쳤다. 목련구모(Mulian Rescues His Mother)와 같은 불교 이야기가 연극의 주제가 되었으며, 목련에 관한 이야기는 최초의 중국 대형 드라마였다.[20] 둥제위안(董解元, Dong Jieyuan)의 서상기 제궁조(The Romance of the Western Chamber Zhu Gongdiao) (나중에 왕실보에 의해 서상기(Romance of the Western Chamber)로 각색됨)는 변문에서 만들어졌다.
남송 시대에는 난시(南戲, nanxi) 또는 희문(戲文, Xiwen)이라고 불리는 형태의 연극이 지역 민속 관습과 음악 형식을 바탕으로 원저우(Wenzhou)에서 발전했다. 이는 정해진 길이와 완전한 서사를 가지며, 배우들은 말과 노래로 공연했다. 난시는 남송 시대에 널리 퍼졌고, 연극 엔터테인먼트는 수도인 임안(현재의 항저우(Hangzhou))에서 번성했다.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대본 중에는 남송 시대의 작품인 장협장원(The No. 1 Scholar Zhang Xie)이 있다. 송나라 시대에는 단(旦, dàn, 여성), 생(生, 남성), 경(净,) 및 추(丑, clown)와 같은 전문 배역이 등장했으며, 대본은 등장인물의 이름보다는 단 또는 생과 같은 배역을 언급했다.
잡극(雜劇, zaju)이라고 알려진 형태의 연극이 송나라와 금나라 시대에 발전하기 시작했다. 송나라와 금나라의 잡극은 소규모의 희극 형태의 연극이었으며, 자체적인 독립적인 발전을 이룬 원나라의 잡극과는 구별되었다. 음악은 송나라와 금나라의 잡극에서 부수적인 요소였으며, 서사가 불완전했다.
잡극은 개봉(Kaifeng), 뤄양(Luoyang) 및 임안과 같은 주요 도시에서 원나라 시대의 지배적인 연극 형태가 되었다. 원나라의 잡극은 남쪽 형식의 난시와 구별하기 위해 북곡(北曲)이라고 불렸다. 원나라의 잡극은 서곡과 함께 4~5막 구조를 가진 더욱 정교한 형태가 되었다. 각 막은 다른 궁조(gongdiao)를 기반으로 한 음악 작품이다. 이는 궁정 또는 지방 정부 관리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기생들에 의해 공연되었다. 잡극은 주된 남성(생)과 여성(단) 인물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노래하는 기생들이 주요 남성 또는 여성 인물을 연기했지만, 일부는 남성 배우에 의해 독점적으로 연기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성 및 여성 배역의 하위 범주(예: 주연 및 조연, 젊은, 노인 또는 코믹 역할)도 등장했다.
이 시대의 가장 잘 알려진 극작가로는 관한경(그의 작품 중 다수가 남아 있으며, 두아원(The Injustice to Dou E) 포함), 왕실보(서상기(Romance of the Western Chamber)를 썼음), 마지위안(그의 대표작은 기준상(조씨고아(The Orphan of Zhao)로 가장 잘 알려짐), 백박이 있다. 원나라 잡극의 구절은 중국 문학의 중요한 형태 중 하나인 원곡, yuanqu)으로 여겨진다.
남곡은 고명처럼 뛰어난 작가가 나와 한때 융성했으나 그 후 쇠퇴하여 명나라 시대를 맞아 다시 인기를 되찾았으며, 북곡보다 오히려 남곡이 위세를 떨쳤다. 명말(明末)의 쿤산(崑山)이나 타이창(太倉)의 위양보, 양진어 같은 사람이 나와 남곡을 집약 대성시켰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남곡을 곤극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희곡 각본을 이 시대부터 전기(傳奇)라고 불렀으며, 명대 초기의 4대 전기에는 영헌왕의 <형서기(荊敍記)>, 시혜의 <배월정(拜月亭)>(幽閨記), 서신의 <살구기(殺狗記)>, 작자 불명의 <유지원(劉知遠)>(白兎記)이 있다. 중기(中期)에서는 왕구사의 <도보유춘(杜甫遊春)>, 양진어의 <완사기(浣紗記)>가 저명하며, 심경, 탕현조에 의해 남곡의 재흥이 초래되어 희곡 문학의 융성기를 맞이했다.
원대침(? -1646)도 탕현조 다음가는 명나라 시대의 대표 작가이다. 그는 <연자전(燕子箋)>을 비롯하여 <춘등미(春燈謎)>, <쌍금방(雙金傍)>, <모니합(牟尼合)>, <충효환(忠孝環)> 등의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청나라 초기에는 이어(李漁, 李笠翁)가 활약했으며, <입옹십종곡(笠翁十種曲)>은 그의 희곡 <풍쟁오(風箏誤)> 외에 9편을 수록한 저작집이다. 이 밖에 왕부지, 오위업 등의 작가도 있으나 홍승, 공상임의 두 사람이 역사에 남는 작가이다.
홍승(1645 -1704)은 <장생전(長生殿)>이라는 대표작을 남겼다. 공상임(1648-1718)의 <도화선(桃花扇)>은 중국 고전극 가운데 불멸의 명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밖에 전기 작가로서는 장사전의 <홍설루구종곡(紅雪樓九種曲)>, 계복의 <후사성원(後四聲猿)>, 서위의 <병생관수소보(甁笙館修簫譜)> 등이 있다.
3. 1. 경극
건륭 말년(1795) 곤곡(崑曲)의 뒤를 이어 발생한 전통극 중 하나인 경극은 창(唱)·염(念)·주(做)·타(打)의 4요소를 갖추고 있다. '창'은 노래, '염'은 대사, '주'와 '타'는 동작과 연기에 해당한다.등장 인물에는 생(生)·단(旦)·정(淨)·축(丑) 등 정해진 배역이 있다. '생'은 선생(先生)·서생(書生)에서 온 말이고, '단'은 여역(女役), '정'은 장사와 같은 호쾌(豪快)한 역, '축'은 골계(滑稽)와 해학(諧謔)역이다. '생'에는 노생(老生)·무생(武生)·소생(小生)·홍생(紅生) 등의 구별이 있고, '단', '정', '축' 역에도 각각 구별이 있다.
경극 배우로는 '노생'의 명우 청창겅(程長庚), 탄진페이가 있고, '단'역에는 매란방, 정연추 등이 유명했다. 현역 배우로는 탄진페이의 손자(孫)로 '노생'역의 탄푸잉(譯富英), '소생'역의 위안스하이(袁世海), '축'역의 샤오창화(簫長華) 등이 일류 명배우로 알려져 있다.
경극의 각본 중에는 역사소설을 각색한 <삼국연의(三國演義)>, <수호전(水滸傳)>, <서유기(西遊記)>, <홍루몽(紅樓夢)> 등이 있다. 문화대혁명 이전에는 마먀오보(馬小波) 등에 의한 경극 개량운동이 일어났고, 문화대혁명 이후에는 역사극은 자취를 감추고, <홍등기(紅燈記)>, <사가병(沙家浜)>, <기습백호단(奇襲白虎團)>, <지취위호산(智取威虎山)>등 현대를 소재로 한 경극 작품이 생겼다.
청나라 시대에 경극이 인기를 얻었다. 경극은 다양한 오페라 스타일에서 발전했다. 1790년, 여러 지방의 극단이 건륭제의 즉위 55주년을 기념하여 베이징에서 공연을 펼쳤다. 곤극, 박극, 이황 멜로디 등 다양한 선율 패턴으로 오페라를 공연한 휘극 극단이 가장 인기를 끌었다. 양쯔강과 한수이를 따라 인기 있던 한극 역시 인기를 얻었고, 휘극과 한극의 혼합으로 경극이 탄생했다.[20] 경극은 곤극에서 많은 이야기를 물려받았지만, 일반 대중에게 인기가 있었던 박극과 같은 다른 오페라 스타일이 그 발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베이징에 우후죽순 생겨난 찻집에서는 경극을 공연했다. 야부(雅部, "우아한 드라마")로 불리는 곤극의 인기는 화부(花部, "화려한 드라마")로 통칭되는 경극을 포함한 다양한 오페라와의 경쟁으로 인해 쇠퇴했다.
3. 2. 지방극
중국 각지에는 다양한 지방극이 존재하며, 각 지역의 특색을 담고 있다. 현재 가장 유력한 지방극으로는 남방의 월극(越劇)과 북방의 평극(評劇)이 있다.[20] 월극은 저장성 성셴 지방 부근의 민속예능에서 발달했으며, 고전극의 구속을 받지 않고 자유로운 형식으로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작품이 많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양산백과 축영대〉, 〈서상기〉 등이 있다.[20] 평극은 허베이성 지둥 지방의 민속예능에서 발생했으며, 자유로운 형식으로 표정이 밝고 가사가 쉬운 것이 특징이다. 주요 레퍼토리로는 〈진향련〉, 〈유교아〉 등이 있으며, 영화로도 널리 알려졌다.[20]그 밖에도 유명한 지방극으로는 허베이성의 허베이 방쯔(河北榜子), 산둥성의 여극(呂劇), 산시성의 진극(晋劇), 허난성의 예극(豫劇), 산시성의 진강(秦腔), 안후이성의 휘극(徽劇), 장쑤성의 소극(蘇劇), 상하이의 호극, 푸젠성의 민극, 광시 좡족 자치구의 계극(桂劇), 쓰촨성의 천극(川劇), 윈난성의 전극, 구이저우성의 검극, 내몽골 자치구의 이인대(二人擡) 등이 있다.[20]
3. 3. 명·청시대 이후의 연극
남곡은 고명처럼 뛰어난 작가가 나와 한때 융성했으나 그 후 쇠퇴하여 명나라 시대를 맞아 다시 인기를 되찾았으며, 북곡보다 오히려 남곡이 위세를 떨쳤다. 명말(明末)의 쿤산(崑山)이나 타이창(太倉)의 위양보, 양진어 같은 사람이 나와 남곡을 집약 대성시켰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남곡을 곤곡(崑曲)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또한 희곡 각본을 이 시대부터 전기(傳奇)라고 불렀다. 영헌왕의 <형서기(荊敍記)>, 시혜의 <배월정(拜月亭)>(幽閨記), 서신의 <살구기(殺狗記)>, 작자 불명의 <유지원(劉知遠)>(白兎記)을 명대 초기의 4대 전기라 하고, 중기(中期)에서는 왕구사의 <도보유춘(杜甫遊春)>, 양진어의 <완사기(浣紗記)>가 저명하나 심경, 탕현조에 의해 남곡의 재흥이 초래되어 희곡 문학의 융성기를 맞이했다.
원대침(? -1646)도 탕현조 다음가는 명나라 시대의 대표 작가이다. 마침 영국에서는 셰익스피어가 죽은 해로 그는 진사가 되어 병부상서(兵部尙書)로 임관되었으나 탐관오리가 되었으며 인간적으로는 평이 별로 좋지 않았다. 그러나 작가로서는 <연자전(燕子箋)>을 비롯하여 <춘등미(春燈謎)>, <쌍금방(雙金傍)>, <모니합(牟尼合)>, <충효환(忠孝環)> 등의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특히 <연자전>은 유명하며 42장(場)으로 되어 있다. 한 마리의 제비가 중매하여 두 남녀가 맺어진다는 이야기로 당시는 자주 상연되었다고 전한다.
이 시기도 전기 작가의 활동은 활발했다. 그 초기에는 이어(李漁, 李笠翁)가 특히 활약했다. 그는 저장성 난지(浙江省 蘭谿) 사람으로, 진사는 되지 못했으나 글재주가 능하여 소설, 평론 등을 집필, <입옹일가언집(笠翁一家言集)> 등을 저술하였는데, 그보다 희곡이 더 유명했다. <입옹십종곡(笠翁十種曲)>은 그의 희곡 <풍쟁오(風箏誤)> 외에 9편을 수록한 저작집으로 모두 희극이다. 희극이 적은 당시의 중국 연극으로는 희소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이 밖에 왕부지, 오위업 등의 작가도 있으나 홍승, 공상임의 두 사람이 역사에 남는 작가라고 하겠다.
홍승(1645 -1704)은 첸탕(錢塘) 사람으로, 몇 개의 전기(傳奇)도 있으며 <장생전(長生殿)>은 그의 대표작이다. 초연 때는 마침 국장(國葬)의 기간이었으므로 불경죄에 몰렸으나 그의 작품 생명은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전 4권 50절(折), 즉 4막 50장의 작품이다. 당 현종과 양귀비의 이야기로, 양귀비가 죽은 후 현종은 그녀의 꿈을 꾸고 도사(道士)의 인도로 월궁전(月宮殿)에 이르러 두 사람은 영원히 맺어진다고 하는 줄거리로서 아름다운 묘사와 변화가 풍부한 무대 전환 등으로 호평을 받았다.
공상임(1648-1718)은 산둥 취푸(山東 曲阜) 사람으로 공자의 자손이다. <도화선(桃花扇)>은 그가 심혈을 기울인 걸작인 동시에 중국 고전극 가운데에서 불멸의 명작이라고 하겠다. 1699년의 작품으로 전 42장(場)으로 되어 있다. 기녀(妓女) 이향군과 청년 후방역의 사랑에 명조(明朝)의 정치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로망과 사실(事實)·허실(虛實)이 교묘하게 교차하는 특이한 사극이라고 하겠다. 작자는 지금까지의 전기물(傳奇物)과는 달리 대사에 중점을 두고 가사에도 유기적인 필연성을 고려하는 등, 희곡적 체재를 충분히 계산하여 작극(作劇)한, 말하자면 오늘날의 전형적인 희곡이라고 하겠다.
이 밖에 전기 작가로서는 장사전의 <홍설루구종곡(紅雪樓九種曲)>, 계복의 <후사성원(後四聲猿)>, 서위의 <병생관수소보(甁笙館修簫譜)> 등이 있다.
한편, 이 시기에 지방에 그때까지 산재했던 지방극, 예컨대 익양강, 진강(秦腔), 방자강, 서피강(西皮腔), 이황강(二黃腔) 등이 융성하였고, 특히 서피와 이황은 안휘(安徽)를 중심으로 활약했던 연극인이 북경에 들어옴으로써 도시적으로 세련되어 중국 연극의 주류적 존재가 된 경극으로 집대성되었다.
4. 현대극
현대 중국 연극은 전통적인 경극과 각 성(省) 및 지방에 흩어져 있는 지방극(地方劇), 그리고 오늘날 신극에 해당하는 화극으로 대표된다. 현대 중국 연극과 희곡은 과거에 비해 많은 변화를 겪었다. 현대 세계의 영향으로 중국인들이 즐기는 음악, 연극, 희곡의 형태가 달라졌으며, 국가의 급속한 발전 또한 연극에 영향을 미쳤다. 현대 중국 연극은 사람들이 극장 대신 집이나 TV에서 연극을 시청하는 새로운 형태로 발전했다. 음악극 외에도, 현대 세계는 대서양 횡단 무대로 알려진 새로운 형태의 희곡을 탄생시켰다.[43]
4. 1. 화극
20세기 초, 서구의 드라마와 연극의 영향으로 비가극적인 연극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850년 상하이에서 서구 거류민들에 의해 서구 드라마가 처음으로 상연되면서, 상하이는 현대 중국 연극의 발상지가 되었다. 1899년 세인트 존스 칼리지 학생들은 최초의 현대 중국 연극인 ''관장추스''(官场丑事, 官场丑事|guānchǎng chǒushì중국어)를 공연했고, 1900년 난양 대학 학생들은 육군자(六君子)와 의화단 운동을 소재로 한 연극 등 당대 사건을 바탕으로 한 3편의 연극을 무대에 올렸다.[42] 이러한 학생들의 연극은 확산되었고, 화극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차오 위, 홍 선, 가오 싱젠과 같은 저명한 극작가들이 캠퍼스에서 기량을 연마하기 시작했다.[42] 초기에 제작된 가장 중요한 연극 중 하나는 차오 위의 뇌우였다.오늘날 중국에서는 신극의 대칭으로 화극이 보급되어 있다. 중국의 화극은 1904년 일본 유학생들 사이에 조직된 도쿄 춘류사(春柳社)의 창립으로부터 시작된다. 쩡지구(曾季谷), 리시스왕(李息霜), 어우양위첸 등이 창립 멤버였으며, 이들은 뒤마 피스의 <춘희>, 스토 부인의 <엉클 톰스 캐빈> 등을 상연하고 1907년 본국으로 돌아가 신극운동단체를 조직, 적극적인 활동을 개시했다. 이때 톈한과 홍선(洪深)이 이에 가담, 톈한은 남국극사(南國劇社)를 조직했고, 홍선은 미국에서 돌아와 어우양위첸의 희극협사(戱劇協社)와 톈한의 전기 극단에 관여하며 <오규교(五奎橋)>, <향도미(香稻米)> 등의 창작극을 발표, 새로운 화극의 연출 체계와 연기 이론을 전개해 나갔다. 그로 말미암아 1922년 베이징에서는 처음으로 신극 배우 양성을 위한 인예희극전문학교(人藝戱劇專門學校)가 창설되어 중국 최초의 여배우 우루이옌(吳瑞燕)을 배출했다.
1925년에는 미국에서 연극 공부를 마치고 돌아온 즈아오타이머우·위상위안(余上沅) 등에 의해 국립 베이징 예술전문학원이 설립되어 대학 과정의 역할을 했고, 슝포시(態佛西)가 연출 지도를 맡았다. 그는 자작극 외에 입센의 <유령(幽靈)>, 오닐의 <고래> 등 번역극을 연출하여 구미 각국의 연극들을 소개했다. 이어서 난징에도 국립희극학교가 설립되어 극작가 차오위와 연출가 잉위언웨이(應雲衛) 등이 교단에 섰다. 당시의 화극 중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해방 후 한국에도 소개된 바 있는 차오위의 <뇌우>와 <일출(日出)> 등이 있었으며, 이는 중국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이었다. 그 후 1930년 톈한, 샤옌, 양한성(陽翰笙) 등이 주동이 된 중국좌인극단연맹이 조직되었으나, 곧 당국의 제재로 해산되었고, 1935년에는 진산(金山)·즈아오단(趙丹) 등이 업여극인협회(業餘劇人協會)를 결성했다.
한편 상해와 우한 등지에서는 항일전쟁으로 희극선전대가 조직되어 각 전선을 누비며 국방 의식을 고취했다. 이때 훙선은 구국연극 제2대대장으로 우한 등지에서 활약, 자작 희극 <비장군(飛將軍)>을 연출·주연했으며, 충칭에선 궈모뤄(郭洙若)의 역사극 <호부(虎符)>, <굴원(屈原)>, <당체지화> 그리고 샤옌의 <파시스트 세균(法西斯細菌)>, <슬픔의 거리> 등이 유명했다. 그 밖에 충칭 시대의 작가와 작품으로는 영국 유학을 마친 딩시린(丁西林)의 <묘봉산(妙峰山)>, 라오서(老舍)의 <잔무(殘霧)>, 양한성의 <이수성(李秀成)의 죽음>, <천국춘추(天國春秋)>, 송지적(宋之的)의 <안개 속의 중경>, <조국의 소명(召命)을 받고> 등이 있다.
5. 특징
중국 연극은 서양 연극과는 다른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서양 연극이 '시론(詩論)'을 바탕으로 발전한 반면, 중국 연극은 '악론(樂論)'을 중심으로 체계가 잡혔다. 악론은 음악뿐만 아니라 춤, 노래, 연기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는 종합예술을 의미하며, 정치적, 윤리적 이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1]
이러한 악론은 공자를 중심으로 한 유학자들에 의해 집대성되었으며, 한나라 시대에 <예기>의 <악기(樂記)> 편에 기록되었다. 악론은 '예(禮)'라는 윤리와 결합하여 '예악(禮樂)' 사상을 형성했고, 이는 오랫동안 중국, 한국, 일본의 예술, 특히 예능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1]
중국 고전극은 경극으로 대표되며, 그 이전의 다양한 예능적 요소들이 경극과 융합되었다. 예를 들어, <시경>이나 <초사>에 나오는 민요적인 시에 맞춰 춤을 추는 민간 무녀의 춤과 노래, 궁중 연회에서의 노래와 춤, 제사 때의 놀이, 난쟁이가 등장하는 익살극, 산악(散樂)에 따르는 인형극, 요술, 곡예 등 다양한 잡예(雜藝)가 경극에 흡수되었다.[1] 왕국유의 <송원희곡사>에는 이러한 과정이 비교적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다.[1]
유교의 형식주의는 연극을 선(善)과 악(惡)으로 나누어 평가했다. 아악(雅樂)은 선한 것으로, 속악(俗樂), 신악(新樂), 음악(淫樂)은 악한 것으로 규정했다. 이러한 관점은 한국에서 가면극 배우를 광대라 부르며 천시했던 역사적 사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에서 연극의 사회적 필요성이 인식되고 배우의 지위가 향상되기 시작한 것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19세기 이후의 일이다.[1]
그러나 민중들은 엄격한 형식주의보다는 신악, 음악(淫樂)과 같이 좀 더 자유롭고 즐거운 형태의 연극을 선호했다. 육조 시대에는 이미 고악(古樂)의 제도가 쇠퇴하고 아악과 속악이 섞이기 시작했다.[1] 수나라 수 문제는 악을 아악과 속악으로 나누었고, 당나라 시대에는 속악의 비중이 더욱 커져 궁중에 내교방을 설치하여 속악을 담당하게 했다. 특히 당 현종은 산악창우(散樂倡優)의 기예를 장려하고 '이원(梨園)'이라는 예능학교를 설립하여 연극 발전에 큰 공헌을 했다. 이 때문에 현종은 예능의 수호신으로 숭배되기도 했다.[1]
건륭제 말년(1795년)에는 곤곡의 뒤를 이어 경극이 등장했다. 경극은 노래(唱), 대사(念), 동작(做), 무술(打)의 네 가지 요소를 갖춘 종합예술이다.
5. 1. 상징성
중국 연극은 상징적인 표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특히 경극에서는 배역, 의상, 분장 등에 따라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경극의 등장인물은 생(生), 단(旦), 정(淨), 축(丑) 등으로 나뉘는데, '생'은 선생(先生)·서생(書生)에서 온 말이고, '단'은 여자 역할, '정'은 장사와 같이 호쾌한 역할, '축'은 익살스럽고 웃음을 자아내는 역할이다.[1]5. 2. '수'(Hsiu), 소매 동작
소매 동작은 고대 중국 춤 기법의 중요한 특징이었으며, 공연자의 우아함을 더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오래된 중국 시가에서 춤꾼의 소매의 아름다움에 대한 언급을 많이 찾을 수 있다.[44]5. 3. 그림자극
그림자 인형극은 한나라 평제 시대에 중국에서 인정받는 연극 형태로 처음 등장했다.[20] 그림자 인형극에는 북경(북부)과 광동(남부)의 두 가지 뚜렷한 형식이 있었다. 이 두 스타일은 인형의 제작 방식과 인형의 막대 위치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공연하는 연극의 종류에 따른 것은 아니었다. 두 스타일 모두 일반적으로 위대한 모험과 환상을 묘사하는 연극을 공연했으며, 이 매우 양식화된 형태의 연극이 정치적 선전에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었다.광동 그림자 인형은 더 컸으며, 더 실질적인 그림자를 만들어내는 두꺼운 가죽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상징적인 색상도 매우 널리 사용되었는데, 검은 얼굴은 정직함을, 붉은 얼굴은 용기를 나타냈다. 광동 인형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막대는 인형 머리에 직각으로 부착되었다. 따라서 그림자가 만들어질 때 관객에게 보이지 않았다.
북경 인형은 더 섬세하고 작았다. 이들은 얇고 반투명한 가죽(보통 따오기의 배에서 가져옴)으로 제작되었다. 이들은 생생한 페인트로 칠해져 매우 다채로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그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얇은 막대는 인형 목의 가죽 칼라에 부착되었다. 막대는 인형의 몸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가 90도 각도로 꺾여 목에 연결되었다. 이러한 막대는 그림자가 드리워질 때 보였지만, 인형의 그림자 바깥에 위치해 인물의 외관을 방해하지 않았다.
여러 개의 머리를 하나의 몸체에 사용할 수 있도록 목에 막대가 부착되었다. 머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얇은 모슬린 책이나 천으로 안감 처리된 상자에 보관했다. 머리는 항상 밤에 제거되었는데, 이는 그대로 두면 인형이 밤에 살아날 것이라는 옛 미신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 어떤 인형극 배우들은 인형의 머리를 한 상자에, 몸체를 다른 상자에 보관하여 인형이 되살아날 가능성을 더욱 줄였다. 그림자 인형극은 정부의 도구가 되기 전인 7세기에 예술적 발전의 정점에 도달했다고 한다.[20]
5. 4. 샹성(Xiangsheng)
샹성은 독백 또는 대화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중국 코미디 공연의 한 형태이다.[45]6. 한국과의 관계
한국 연극은 고대부터 중국 연극의 영향을 받아왔다. 고려시대에는 송의 잡극이 전래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굿, 탈춤 등 민속극이 발전하였다. 현대에는 중국의 화극(話劇)이 한국 연극계에 소개되기도 했다.
유교식 형식주의는 한국의 연극에 대한 관념을 왜곡시켜 왔으며, 가면극 배우를 광대(廣大)라 하여 천시해온 역사적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4] 중국에서 연극의 사회적 필요성이 구체적으로 인식되고 배우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기 시작한 것은 한국과 같이 19세기에 들어와서였다.[4]
7. 현대 중국 연극의 과제와 전망
현대 중국 연극은 경극으로 대표되는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문화대혁명 이후 사회 변화에 발맞춰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표현의 자유, 상업화, 국제화 등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중국 연극은 서구의 '시론(詩論)'과 달리 '악론(樂論)'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며, 이는 공자의 유교 사상에 기반한 '예악(禮樂)' 사상과 연결된다. 이러한 전통은 한나라 시대 <예기>의 <악기(樂記)>편에 기록되어 20세기까지 중국 연극의 기본 이념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유교적 형식주의는 민중의 지지를 받기 어려웠고, 오히려 '속악(俗樂)'이 인기를 얻으며 육조 시대에는 아악(雅樂)과 속악이 섞이게 되었다. 수나라 문제는 악을 아악과 속악으로 나누었으나, 당나라 시대에는 속악의 비중이 더욱 커져 궁중 내교방에서 주로 담당하게 되었다. 특히 당 현종은 '이원(梨園)'이라는 예능학교를 설립하여 연극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현대 중국 연극은 사회적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볼 때, 중국 연극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사회적 불평등과 부조리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인용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인용
[6]
인용
[7]
인용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웹사이트
唐代參軍戲
http://hk.chiculture[...]
[13]
웹사이트
Sichuan Opera
http://www.chengdu.c[...]
[14]
웹사이트
The Tang Dynasty (618–907)
http://www.xip.fi/at[...]
[15]
서적
Music from the Tang Court: Volume 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인용
[17]
서적
Chinese Theories of Theater and Performance from Confuciu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8]
웹사이트
Theatre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The Early History of Chinese Theatre
http://www.xip.fi/at[...]
[20]
서적
Chinese Theater: From Its Origins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8
[21]
서적
Chinese Theories of Theater and Performance from Confuciu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2]
간행물
The Division between ‘Nanxi’ and ‘Chuanqi
1998
[23]
문서
"明代戏曲中女性德行意识” (Female Virtue Consciousness in the Opera of Ming Dynasty)
2018-04
[24]
문서
Acting in the Private Theatre of the Ming Dynasty
[25]
문서
Culture, Courtiers, and Competition
[26]
문서
The Sovereign and the Theatre
[27]
문서
The Sovereign and the Theatre
[28]
문서
The Sovereign and the Theatre
[29]
인용
[30]
인용
[31]
간행물
Ma Xianglan and Wang Zhideng Onstage and Offstage
2017
[32]
인용
[33]
인용
[34]
간행물
The Music Teacher: The Professionalization of Singing and the Development of Erotic Vocal Style During Late Ming China
[35]
인용
[36]
인용
[37]
인용
[38]
인용
[39]
논문
牡丹亭·写真》昆剧舞台演出史考略 (On A History of the Performance of Kunqu Opera Portrait in The Peony Pavilion)
2017-02
[40]
서적
Cross Dressing in Chinese Opera
[41]
인용
[42]
서적
中国舞台上的塞缪尔·贝克特:跨文化戏剧演出研究:1964~2011
https://books.google[...]
南开大学出版社
2015
[43]
웹사이트
Modern Chinese Drama
http://www.oxfordbib[...]
[44]
서적
The Classical Theatre Of China
Simson Shand LTD
[45]
서적
China, Japan, Korea Culture and Customs
https://books.google[...]
BookSur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