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빳사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빳사나는 불교 수행법 중 하나로, 지혜를 통해 사물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어 '비파샤나'를 한자로 음역한 비바사나는 관(觀)으로 번역되며, 사마타(止) 수행과 함께 이루어진다. 사마타는 마음을 집중하는 수행법이며, 위빳사나와 사마타는 불교 수행의 핵심으로, 지관불이(止觀不二)라고도 한다. 불교에서는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통해 번뇌를 소멸하고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고 가르친다. 호흡 수행인 수식관은 사마타 수행의 일종으로, 위빳사나 수행의 기반이 된다. 대승불교에서는 요가불교가 호흡법을 중시했으며, 간화선과 위빳사나를 비교하는 논쟁이 현대 한국 불교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적 능력 - 예지
    예지는 미래에 일어날 일을 미리 아는 현상을 의미하며, 종교, 무속 신앙 등에서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과학적으로는 유사과학으로 간주된다.
  • 영적 능력 - 직관
    직관은 논리적 추론이나 의식적 분석 없이 문제 해결 및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으로, 심리학에서는 인간 심리의 중요한 기능으로, 철학에서는 인식론적 능력으로, 인지 과학에서는 직관적 추론으로 연구되며 인공지능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 불교 수행 - 만다라
    만다라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우주와 인간의 내면을 상징하는 기하학적 도형으로, 명상, 의식,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불교 수행 - 사향사과
    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경전에서 영적 성취 수준에 따라 불교 수행자를 수다원, 일래자, 불환자, 아라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용어이며, 수행과 결과에 따라 8가지 종류로 세분화된다.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위빳사나
일반 정보
불교기
불교기
종류불교의 수행법
어원팔리어: Vipassanā
산스크리트어: Vipaśyanā
의미'꿰뚫어 봄, 통찰'
어원 (팔리어)Vi- (다르게, 특별하게) + passanā (보다)
역사적 기원고대 인도
중요 인물고타마 붓다
수행 목표열반 (Nibbāna)
특징
수행 방법사마타와 병행
몸과 마음의 변화를 관찰
핵심 개념삼법인 (무상, 고, 무아)
관련 경전사념처경
아비담마
현대적 응용마음챙김 명상 (Mindfulness meditation)
용어
빨리어Vipassanā (위빳사나)
산스크리트어Vipaśyanā (비파시야나)
영어Insight Meditation (인사이트 명상)
한자觀 (관)
일본어観 (칸)
관련 개념
사마타마음을 집중시키는 수행
명상마음을 안정시키고 통찰력을 얻는 수행
마음챙김현재 순간에 주의를 기울이는 수행
기타 정보
주요 수행 장소전 세계 불교 사찰 및 명상 센터
관련 단체국제위빳사나센터 (International Vipassana Center)
위빳사나명상협회 (Vipassana Meditation Society)

2. 경전

비바사나(毘婆舍那)는 관(觀)을 말한다. 지(止)는 생각을 그치고 마음의 동요를 진정시키며 본원적인 진리에 머무르는 것을 의미하며, 관(觀)은 움직이지 않는 마음이 지혜의 작용이 되어 사물을 진리에 합치시키며 올바르게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는 정(定), 관은 혜(慧)에 해당하며, 여기에서는 오른팔에 그 의미를 부여하였다. 마찬가지로 왼팔은 사마타에 해당한다.[2]

비바사나 수행법 이전부터 있었던 인도의 정신집중 수행법. 사마타(奢摩他)는 의역하여 지(止)ㆍ지식(止息)ㆍ적정(寂靜)ㆍ능멸(能滅)이라 번역한다. 산란한 마음을 멈추고 한 가지 대상에 집중하는 수행법이다. 그래서 비바사나가 관(觀) 수행법(修行法)이라면 사마타는 지(止) 수행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합쳐 지관(止觀)이라 하며 불교 천태종의 근본교리이기도 하다. 사마타와 비바사나는 우열의 문제가 아니라 선후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사마타에 의해 자아몰입에 들어간 후 지혜를 끌어내어 대상을 보는 비바사나 수행에 들어가는 것이다. 이러한 집중과 관찰은 불도수행에 있어서 동전의 양면과 같다. 여기서 사마타는 정(定)에 해당되고, 비바사나는 혜(慧)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지관불이(止觀不二)라고 해야 할 것이다.[3]

사마타(奢摩他)는 능히 없앤다[能滅] 이름하나니 온갖 번뇌를 없애는 연고며, 또 사마타는 능히 조복한다 이름하나니 모든 근의 악하고 선하지 못한 것을 조복하는 연고며, 또 사마타는 고요하다 이름하나니 3업을 고요하게 하는 연고며, 또 사마타는 멀리 여읜다 이름하나니 중생으로 하여금 5욕락을 멀리 여의게 하는 연고며, 또 사마타는 능히 맑힌다 이름하나니 탐욕·성내는 일·어리석음의 흐린 법을 맑히는 연고니라. 이런 뜻으로 선정의 모양[定相]이라 이름하느니라.

비바사나(毘婆舍那)는 바르게 본다[正見] 이름하며, 또 분명히 본다[了見] 이름하며, 또 능히 본다[能見] 이름하며, 두루 본다[遍見]·차례로 본다[次第見]·(총상, 즉 제법이 모두 공함을 보는 상이 아닌)각각의 제법이 생멸하는 실상, 즉 별상으로 본다고[別相見] 이름하나니, 이것을 지혜라 하느니라.[4]

가섭아, 나는 온갖 하늘과 사람들에게 항상 '사마타와 비바사나를 닦아 자기 자신을 조복하라. 세간에는 당연히 믿고 좋아하는 바라문과 거사들이 있어서 사리에 공양하게 될 것이다'라는 이런 법을 말하였느니라.[5]

부처님께서 여러 비구들의 생각을 아시고, 그들을 타이르셨다.

"누구나 사마타(奢摩他)와 비바사나(毘婆舍那)를 닦으면 반드시 번뇌를 다할 수 있고, 만약에 그것을 닦지 않는 자라면 번뇌를 다할 수 없으며, 또 이미 그것을 보았거나 알았다면 비록 비천한 종성에 태어났더라도 아라한의 과위를 얻을 수 있느니라. 이제 바다라와 같은 자는 알지도 못하고 보지도 못했으므로 비록 수승한 종족에 태어났더라도 아라한을 얻지 못하였으니, 그러므로 여래는 평등하게 법을 설하여 치우침이 없느니라."[6]

또 사리자야,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는 까닭에 도의 선교[道善巧]를 닦나니, 도의 선교에는 또 두 가지가 있느니라. 어떤 것이 두 가지인가 하면, 사마타(奢摩他)와 비발사나(毘鉢舍那)이니, 이것을 두 가지라 하느니라. 사마타란... 비발사나란... 상세한 설명

보살이 한 가지 법을 성취하면 모든 악한 길과 악한 벗을 떠나 빨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게 되느니라. 어떤 것이 그 한 가지인가 하면 이른바 훌륭한 뜻과 좋아함으로 보리의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니, 이것을 하나라 하느니라. 미륵아, 다시 두 가지 법이 있어서 모든 악한 길과 악한 벗을 떠나 빨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게 되느니라. 어떤 것이 두 가지 법인가 하면 첫째는 사마타(奢摩他)를 항상 부지런히 닦아 익히는 것이요, 둘째는 비발사나(毘鉢舍那)에서 교묘함을 얻는 것이니, 이것을 두 가지라 하느니라.

‘사마타관의 뜻을 수순하며, 비발사나관의 뜻을 수순한다’는 것은 범어(梵語)인 사마타를 한어(漢語)로 번역하여 지(止)라고 한 것이며, 비발사나를 한어로 번역하여 관(觀)이라고 한 것이다. 다만 이제 이 『기신론』을 번역한 이가 방편과 정관(正觀)을 구별하기 위해서 정관에는 그대로 범어를 음사하여 저쪽의 말을 따른 것이다.[7]

청정한 시라에 머무는 것에 의지하여

허물없는 지(止)와 관(觀)을 닦아

세밀하게 근(根)과 뜻[意]을 보호하면

감로(甘露)의 열반 법을 증득할 것이다.

지법(止法)을 닦으면 마음이 조복되고

마음이 조복되면 탐욕을 여의나니

탐욕을 여읜 이는 해탈을 증득하며

해탈을 얻은 이는 마음이 평등하리.

관법(觀法)을 닦으면 지혜가 밝아지며

지혜가 맑으면 어리석음 멸하리.

어리석음 멸하면 해탈을 증득하고

해탈을 증득하면 마음이 평등하리.

그러므로 너희 비구들아,

정진하여서 방일하지 말고

언제나 시라에 머무는 것에 의지해

허물없는 지와 관을 닦아 익히라.[8]

2. 1. 사마타 (奢摩他)

사마타(奢摩他)는 산란한 마음을 멈추고 한 가지 대상에 집중하는 수행법으로, 의역하여 지(止)ㆍ지식(止息)ㆍ적정(寂靜)ㆍ능멸(能滅)이라고 번역한다.[3] 지(止)는 생각을 그치고 마음의 동요를 진정시키며 본원적인 진리에 머무르는 것을 의미한다.[2] 사마타는 온갖 번뇌를 없애고,[4] 모든 근(根)의 악하고 선하지 못한 것을 조복하며,[4] 3업(業)을 고요하게 한다.[4] 또한, 중생으로 하여금 5욕락(欲樂)을 멀리 여의게 하고,[4] 탐욕, 성내는 일, 어리석음의 흐린 법을 맑히는[4] 수행법이다.

사마타와 비바사나(毘婆舍那)는 선후의 문제로, 사마타를 통해 자아 몰입에 들어간 후 비바사나 수행에 들어간다.[3] 이러한 집중과 관찰은 불도 수행에 있어서 동전의 양면과 같으며, 사마타는 정(定)에, 비바사나는 혜(慧)에 해당된다.[3] 불교에서는 사마타와 비바사나를 닦으면 반드시 번뇌를 다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6]

2. 2. 위빠사나 (毘婆舍那)

위빠사나(위빳사나/विपश्यनाpi, 비파샤나/विपश्यनाsa)는 불교 수행법 중 하나로, 지혜를 통해 사물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4] 산스크리트어 '비파샤나'를 한자로 음역한 毘婆舍那(비바사나)는 관(觀)으로 번역되는데,[2] 정견(正見), 요견(了見), 능견(能見), 별상견(別相見) 등으로도 표현된다.[4]

비바사나 수행은 마음의 동요를 진정시키고 본원적인 진리에 머무르는 지(止), 즉 사마타(奢摩他) 수행과 함께 이루어진다.[2] 사마타는 산란한 마음을 멈추고 한 가지 대상에 집중하는 수행법으로, 지식(止息), 적정(寂靜), 능멸(能滅) 등으로 번역된다.[3] 사마타를 통해 자아 몰입에 들어간 후, 지혜를 통해 대상을 관찰하는 비바사나 수행을 하는 것이다.[3]

불교에서는 사마타와 비바사나 수행을 통해 번뇌를 다하고 아라한의 과위를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6] 이 두 가지 수행법은 불도 수행에 있어 동전의 양면과 같으며,[3] 지관불이(止觀不二)라고도 한다.[3]

2. 3. 지관불이 (止觀不二)

비바사나(毘婆舍那)는 관(觀)을, 사마타(奢摩他)는 지(止)를 의미한다.[2] 지(止)는 생각을 그치고 마음의 동요를 진정시켜 본원적인 진리에 머무르는 것이며, 관(觀)은 움직이지 않는 마음이 지혜의 작용이 되어 사물을 진리에 합치시키며 올바르게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2] 지는 정(定)에, 관은 혜(慧)에 해당한다.[2]

사마타는 산란한 마음을 멈추고 한 가지 대상에 집중하는 수행법으로, 비바사나가 관(觀) 수행법이라면 사마타는 지(止) 수행법이라고 할 수 있다.[3] 이를 합쳐 지관(止觀)이라 하며, 불교 천태종의 근본 교리이기도 하다.[3] 사마타와 비바사나는 우열의 문제가 아니라 선후의 문제로, 먼저 사마타를 통해 자아몰입에 들어간 후 지혜를 끌어내어 대상을 보는 비바사나 수행에 들어간다.[3] 이러한 집중과 관찰은 불도 수행에 있어 동전의 양면과 같으므로, 지관불이(止觀不二)라고 해야 한다.[3]

사마타(奢摩他)는 온갖 번뇌, 악하고 선하지 못한 것, 3업을 없애거나 조복, 고요하게 하며, 중생으로 하여금 5욕락을 멀리 여의게 하고, 탐욕·성내는 일·어리석음의 흐린 법을 맑히는 것을 의미한다.[4] 비바사나(毘婆舍那)는 바르게 보고, 분명히 보고, 능히 보고, 두루 보고, 차례로 보고, 각각의 제법이 생멸하는 실상을 보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지혜라 한다.[4]

부처는 하늘과 사람들에게 항상 사마타와 비바사나를 닦아 자신을 조복하라는 법을 말하였으며,[5] 여러 비구들에게도 누구나 사마타와 비바사나를 닦으면 번뇌를 다할 수 있다고 가르쳤다.[6] 보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며 도의 선교(善巧)를 닦는데, 여기에는 사마타와 비발사나(毘鉢舍那) 두 가지가 있다. 또한 보살이 모든 악한 길과 악한 벗을 떠나 빨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게 하는 두 가지 법은 사마타를 항상 부지런히 닦는 것과 비발사나에서 교묘함을 얻는 것이다.

청정한 시라(尸羅)에 머무는 것에 의지하여 허물없는 지(止)와 관(觀)을 닦으면 감로(甘露)의 열반 법을 증득할 수 있다.[8] 지법(止法)을 닦으면 마음이 조복되고 탐욕을 여의어 해탈을 얻고, 관법(觀法)을 닦으면 지혜가 맑아지고 어리석음이 멸하여 해탈을 얻는다.[8]

3. 호흡

인도의 요가와 중국의 단전호흡에서는 호흡을 매우 중요시 한다. 우파니샤드이래 인도의 모든 종교에서는 깨달음의 수단으로 요가를 주장하며, 석가모니가 수식법을 했다는 것도, 요가명상을 한 것이다.

고대 인도인들은 숨인 프라나를 생명의 기운, 생명 그 자체, 우주의 근본원리하고 보았다. 리그베다의 '푸루샤 수크타'라는 찬가에는 푸루샤의 숨으로부터 바람이 생겼다고 한다. 우파니샤드에서는 숨을 우주의 원리인 브라흐마아트만이라고 했다. 아타르바 베다에는 숨이 세상의 지배자, 여신이라며 찬양하는 시가 있다.

이렇게 호흡을 절대시하는 사상적 전통은 인도만이 아니라 인도와 접경한 중국의 도교에서도 마찬가지로서, 단전호흡을 하면 신선이 되어 영원히 죽지 않는다고 한다.

이렇게 호흡을 대상으로 하는 수행은 다양한 수행전통에 존재한다. 하지만 부처님은 수식관 혹은 아나빠나사띠 그 자체에서 얻은 선정력 만으로는 깨달음에 이를 수 없다고 판단, 세상의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보는 위빳사나를 (이번 불법 시대에는) 최초로 시도하셨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지혜를 기르는 위빳사나 수행에는 사마타의 선정력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아주 특이하게 호흡수행 즉 선정수행 없이 위빳사나 수행만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깨달음에 이른 사람들을 마른위빳사나를 닦은 자들 이라고 한다. 석가모니 당시 500 아라한 중에 320명이 위빠사나만으로 깨달은 혜해탈자, 60명이 사마타의 심해탈과 위빠사나의 혜해탈을 둘 다 깨달은 양분해탈자였다.

따라서 결국 불교 수행은 계행을 철저하게 지키면서, 호흡수행 등 사마타 수행[9]으로 선정을 닦은 후, 그 선정력으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고 나와 세상에 대한 무명과 갈애를 타파하여 번뇌를 소멸하고 열반에 이르는 지혜를 기르고 완성하는 위빳사나 수행을 하는 것이다. 즉 불교수행에서 호흡이란 지혜의 기반이 되는 선정을 기르기 위한 선정수행의 대상이 된다. 혹은 대념처경의 신수심법 중 신념처이다.

다른 종교에도 호흡수행은 존재한다. 하지만 불교의 호흡수행을 통한 선정과 다른 종교의 호흡수행을 통한 선정은 다르다. 다른 종교의 호흡수행은 수행을 통한 고요함과 선정에 끝난다. 반면에 불교의 호흡수행은 수행을 통해 얻은 고요함과 선정력이 갈애와 무명을 타파하고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지혜로 전환되는 위빳사나 수행과 연결되는 정견의 메커니즘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전체 수행메커니즘은 철저하게 불교의 정견에 기반을 두고 행해진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바른 삼매(정견을 바탕에 둔 삼매)와 삿된 삼매(정견을 바탕으로 두지 않은 삼매)로 호흡수행이나 기타 사마타 수행을 통한 삼매를 구분한다.

3. 1. 수식관 (數息觀)

수식관(數息觀)은 들숨과 날숨의 숫자를 세는 수행법으로, 아나빠나사띠(ānāpānasati)라고도 불린다. 대중부 불교에서는 계율을 지키고 사마타위빳사나 두 가지를 수행해야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치는데, 수식관은 사마타, 즉 선정(禪定) 수행에 해당한다.[9] 수식관을 통해 선정의 힘을 닦으면, 이를 기반으로 위빳사나 수행을 통해 지혜를 닦아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

인도 요가와 중국 단전호흡에서도 호흡은 매우 중요하다. 우파니샤드 이래 인도의 모든 종교에서는 깨달음의 수단으로 요가를 주장하며, 석가모니가 수식법을 했다는 것도 요가 명상을 한 것이다. 고대 인도인들은 숨을 프라나라고 부르며 생명의 기운, 우주의 근본 원리라고 보았다. 리그베다의 '푸루샤 수크타' 찬가에는 푸루샤의 숨으로부터 바람이 생겼다고 하며, 우파니샤드에서는 숨을 우주의 원리인 브라흐마아트만이라고 하였다. 아타르바 베다에는 숨이 세상의 지배자, 여신이라며 찬양하는 시가 있다.

호흡을 절대시하는 사상은 인도와 접경한 중국 도교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데, 단전호흡을 하면 신선이 되어 영원히 죽지 않는다고 믿었다.

하지만 부처는 수식관, 즉 아나빠나사띠 자체에서 얻는 선정력만으로는 깨달음에 이를 수 없다고 판단하여, 세상의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보는 위빳사나를 시도하였다. 일반적으로 위빳사나 수행에는 사마타의 선정력이 기반이 되어야 하지만, 예외적으로 호흡 수행 없이 위빳사나 수행만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을 '마른 위빳사나를 닦은 자들'이라고 한다.

불교 수행은 계행을 철저하게 지키면서, 호흡 수행 등 사마타 수행으로 선정을 닦은 후, 그 선정력으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고 나와 세상에 대한 무명과 갈애를 타파하여 번뇌를 소멸하고 열반에 이르는 지혜를 기르고 완성하는 위빳사나 수행을 하는 것이다.[9] 즉, 불교에서 호흡은 지혜의 기반이 되는 선정을 기르기 위한 선정 수행의 대상, 혹은 대념처경의 신수심법 중 신념처가 된다.

다른 종교에도 호흡 수행이 존재하지만, 불교의 호흡 수행을 통한 선정은 다른 종교와는 다르다. 다른 종교의 호흡 수행은 고요함과 선정에 그치는 반면, 불교의 호흡 수행은 이를 통해 얻은 고요함과 선정력이 갈애와 무명을 타파하고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지혜로 전환되는 위빳사나 수행과 연결된다. 이러한 수행 메커니즘은 철저하게 불교의 정견에 기반을 두고 행해지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바른 삼매(정견을 바탕에 둔 삼매)와 삿된 삼매(정견을 바탕으로 두지 않은 삼매)를 구분한다.

3. 2. 프라나 (숨)

4. 대승불교

4. 1. 요가불교

3세기 용수 스님이 대승불교를 만들면서, 이전의 종파를 소승불교라 칭하며 수행보다 믿음을 중시했다. 이에 따라 석가모니의 수식법도 소승의 수행법으로 여겨 멀리했다. 그러나 4세기 무착 스님은 요가불교를 창시하여 중기 대승불교를 열었고, 요가불교에서는 호흡법인 요가를 다시 중시했다. 석가모니가 6년간 수행했다는 수식법도 요가의 일종이었다.

4. 2. 조동종 (曹洞宗)

12세기 중국 임제종에서 간화선이 만들어질 당시, 조동종에서는 전통의 수식관을 통한 묵조선을 강조하여 서로 비난하며 대립하였다. 후에 조동종이 쇠퇴하고 임제종이 동북아 불교를 장악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5. 간화선 (看話禪)

요즘 한국불교에서는 간화선위빳사나의 비교가 언론에 보도되기도 하였다. 석가모니는 6년간 수식법을 하여 깨달음을 얻었으며, 안반수의경이 핵심경전이다. 수식법은 호흡법이 중심이다. 반면 12세기 중국의 대혜종고 스님이 만든 간화선은 호흡법이 빠졌다.

5. 1. 간화선과 위빠사나 비교

요즘 한국불교에서는 간화선과 위빠사나의 비교가 언론에 보도되기도 하였다. 간화선은 12세기 중국의 대혜종고 선사가 만든 명상법으로 호흡법이 빠져있다.

5. 2. 현대 한국 불교에서의 논쟁

요즘 한국불교에서는 간화선위빳사나의 비교가 언론에 보도되기도 하였다. 석가모니는 6년간 수식법을 하여 깨달음을 얻었으며, 안반수의경이 핵심경전이다. 수식법은 호흡법이 중심이다. 반면 12세기 중국의 대혜종고 스님이 만든 간화선은 호흡법이 빠졌다.

참조

[1] 서적 대승아비달마잡집론
[2] 서적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
[3] 서적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4] 서적 대반열반경
[5] 서적 대보적경
[6] 서적 대장엄론경
[7] 서적 대승기신론소기회본
[8] 서적 본사경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