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노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로노사우루스는 1억 8300만 년 전에서 1억 7500만 년 사이에 서유럽의 바다에서 살았던 멸종된 어룡의 한 속이다. 최대 6미터 이상까지 자라는 대형 어룡으로, 위턱이 아래턱보다 두 배 길고 길쭉한 이빨을 가졌으며, 꼬리지느러미는 저체운동형으로 고속 수영에 적합했다. 1851년 유럽에서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으며, 1909년 아벨에 의해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콘텍토팔라투스
콘텍토팔라투스는 트라이아스기 중기에 살았던 해양 파충류로, 길게 튀어나온 주둥이, 날카로운 이빨, 큰 눈을 가지며 유럽과 아시아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 185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톨로더스
톨로더스는 독일, 이탈리아, 중국 등지에서 발견된 트라이아스기 중기의 기초적인 어룡으로, 치아와 턱 파편 등의 유골로 알려져 있으며 물고기, 갑각류, 두족류를 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쥐라기의 파충류 - 운도로사우루스
운도로사우루스는 후기 쥐라기 시대에 살았던 해양 파충류로, 불완전하게 융합된 좌골치골과 강한 치열을 가지고 있으며, 삼각형 이빨로 해양 생물을 잡아먹는 육식성 포식자로 추정되지만, 계통 발생적 위치는 아직 논쟁 중이다. - 쥐라기의 파충류 - 크리코사우루스
크리코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바다악어의 일종으로, 긴 주둥이와 톱 모양 이빨, 염분 배설 땀샘, 유선형 몸체와 지느러미 꼬리 등 바다 생활에 적응한 특징을 가진다. - 어룡 - 운도로사우루스
운도로사우루스는 후기 쥐라기 시대에 살았던 해양 파충류로, 불완전하게 융합된 좌골치골과 강한 치열을 가지고 있으며, 삼각형 이빨로 해양 생물을 잡아먹는 육식성 포식자로 추정되지만, 계통 발생적 위치는 아직 논쟁 중이다. - 어룡 - 겐가사우루스
쥐라기에 이탈리아 겐가 지역에서 서식한 겐가사우루스는 약 2.4m의 몸길이를 가진 오프탈모사우루스과의 어룡으로, 비교적 완전한 화석 골격 특징으로 오프탈모사우루스와 구별된다.
| 유로노사우루스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Eurhinosaurus longirostris |
| 속 | Eurhinosaurus |
| 종 | longirostris |
| 명명자 | 요한 안드레아스 바그너 |
| 명명 년도 | 1852년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 상강 | 사지상강 |
| 강 | 파충강 |
| 아강 | 이궁아강 |
| 목 | 어룡목 |
| 과 | 렙토넥테스과 |
| 속 | 유로히노사우루스 |
| 특징 | |
| 크기 | 약 6m |
| 서식 시기 | 쥐라기 전기 |
| 발견 장소 | 유럽 |
| 학명 정보 | |
| 학명 | Eurhinosaurus longirostris |
| 어원 | '긴 코를 가진 도마뱀' |
2. 특징
유로노사우루스(Εὐρινόσαυρος|에우리노사우로스grc)는 어룡의 한 속으로, 속명은 그리스어로 '좋은 코 도마뱀'을 의미하는데, 이는 '좋은'을 뜻하는 '에우'(εὖgrc), '코'를 뜻하는 '리노스'(ῥίςgrc), '도마뱀'을 뜻하는 '사우로스'(σαῦροςgrc)를 합친 것이다. 이들은 약 1억 8천 3백만 년 전부터 1억 7천 5백만 년 전 사이, 중생대 쥐라기 전기 토아르시안절에 번성했던 해양 파충류이다. 화석은 서유럽의 영국, 독일, 베네룩스, 프랑스, 스위스 등 넓은 지역의 해성 퇴적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당시 이들이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유럽의 깊고 탁 트인 바다에 광범위하게 서식했음을 보여준다.
일반적인 어룡과 유사하게 물고기를 닮은 유선형 몸체를 지녔지만, 유로노사우루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위턱이 아래턱보다 두 배 이상 길게 튀어나와 있다는 점이다. 이 독특한 주둥이 구조는 현생 황새치를 연상시키며, 유로노사우루스를 다른 어룡들과 쉽게 구별하게 해주는 중요한 특징이다. (자세한 형태 및 생태적 특징은 형태 및 생태 문단 참고)
2. 1. 형태
유로노사우루스는 어룡의 한 속으로, 몸길이는 성체 기준 최대 6m 이상에 달하는 큰 크기를 가졌다. 물고기와 유사한 방추형 몸체를 지녔으며, 잘 발달된 등지느러미, 하엽이 발달한 초승달 모양의 꼬리지느러미(저체력 꼬리지느러미), 한 쌍의 가슴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었다. 눈은 매우 컸으며, 다른 어룡들처럼 아가미 없이 폐를 사용하여 호흡했다.유로노사우루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턱 구조이다. 위턱은 아래턱보다 두 배 이상 길어, 현생 황새치와 유사한 극단적인 과교합(overbite) 형태를 보였다. 이 긴 위턱에는 위아래 방향으로 난 이빨들이 촘촘히 박혀 있었다. 이빨 자체는 길고 가늘며 곧은 형태로, 표면에 특별한 장식은 없었다. 섬세하고 날카롭게 뾰족했으며, 에나멜은 부드러웠다.
두개골은 매우 크고 둥근 안와(눈구멍)를 가졌으며, 이는 극히 짧은 볼 부위와 결합되어 상측두창(supratemporal fenestra, 머리 윗부분의 구멍)의 크기를 줄였다. 외부 콧구멍(external naris)은 크고 뒤쪽으로 치우쳐 있었다. 대부분의 트라이아스기 이후 어룡처럼 두정공(parietal foramen)은 두정골과 전두골 사이의 접합부에 위치했다. 측두창(temporal fenestra, 머리 옆부분의 구멍)은 매우 작았다. 두개골 후두 부위는 매우 좁았고, 후두엽(occipital lappet)은 없었다. 아래턱에는 긴 하악골창(mandibular fenestra)이 있었다.
척추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척추 부위 | 개수 |
|---|---|
| 선행 척추 (목, 등, 허리) | 약 50개 |
| 꼬리 척추 | 약 45개 |
| 요추 | 100개 미만 |
꼬리지느러미는 노토코드(notochord)가 아래쪽 엽으로 확장된 저체력 형태였으며, 고속 유영에 사용되었을 연골성 구조물(cartilaginous chevrons)을 가지고 있었다. 등쪽 척추의 신경 돌기는 테모돈토사우루스나 플라티프테리기우스 같은 다른 초기 쥐라기 어룡들처럼 중심체 높이보다 현저히 짧았다.
사지는 지느러미 형태로 변형되었다. 앞지느러미는 요골(radius)이 척골(ulna)보다 훨씬 컸으며, 매우 길고 가늘었다. 4개의 주요 지골열(digit), 부속 지골열(accessory digit), 그리고 강한 위쪽 부속 지골(preaxial accessory digit)을 가지고 있었다. 뒷지느러미는 앞지느러미 길이의 약 3분의 2 크기였다.
어깨뼈(shoulder girdle)는 작고 T자형의 쇄골간(interclavicle)을 가졌다. 견갑골(scapula)은 좁고 길쭉했으며, 확장된 등쪽 날(dorsal blade)을 지녔다. 오훼골(coracoid)은 둥근 형태였고, 관절후 부분(postglenoid portion)이 축소된 전방 확장부보다 컸다. 상완골(humerus)은 수축되고 두꺼운 머리와 확장되고 납작한 원위 끝부분을 가졌다.
골반뼈(pelvic girdle)는 적당히 축소되었으며, 스테노프테리기우스처럼 치골(pubis)과 장골(ilium)이 융합된 형태를 보였다. 판 모양이었던 치골과 좌골(ischium)은 길쭉한 막대 모양으로 변형되었고, 치골에는 폐쇄공(obturator foramen)이 없었다.
유로노사우루스의 전체적인 형태는 매우 빠른 속도로 헤엄치는 포식자와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유연한 포식자 사이의 중간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극단적인 과교합 형태의 턱은 현생 황새치처럼 긴 위턱을 무기 삼아 작은 먹이를 찌르거나 베는 방식으로 사냥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상대적으로 큰 뒷지느러미는 방향 전환이나 저속에서의 추진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2. 생태
유로노사우루스는 약 1억 8천 3백만 년 전부터 1억 7천 5백만 년 전 사이, 중생대 쥐라기 전기 토아르시안절에 살았던 어룡의 한 종류이다. 화석은 서유럽의 영국, 독일 남부와 북부, 베네룩스, 프랑스, 스위스 등 넓은 지역의 해성 퇴적층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유로노사우루스가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당시 유럽의 얕은 바다에 광범위하게 분포했음을 시사한다. 이들은 주로 해안선에서 멀리 떨어진 깊고 탁 트인 바다에서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화석이 주로 석회암이나 이회암(와크스톤)과 같은 해양 환경에서 형성되는 암석에서 발견되며, 암모나이트와 같은 다른 해양 생물 화석과 함께 출토되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유로노사우루스는 성체의 몸길이가 최대 6m 이상에 달하는 비교적 큰 어룡이었다. 전체적으로 물고기와 유사한 방추형 몸매를 가졌으며, 잘 발달된 등지느러미와 초승달 모양의 꼬리지느러미, 그리고 한 쌍의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었다. 다른 어룡들과 마찬가지로 아가미가 없었기 때문에 폐로 호흡했으며, 주기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와 숨을 쉬어야 했다. 유로노사우루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턱 구조로, 위턱이 아래턱보다 두 배 이상 길게 튀어나와 있으며 가늘고 뾰족한 이빨들이 줄지어 나 있었다. 이는 현생 황새치와 유사한 형태로, 극단적인 과교합(overbite)을 보여준다. 이빨은 작고 날카로우며 에나멜질이 매끈했다.
이러한 독특한 턱 구조는 유로노사우루스의 식성 및 사냥 방식과 관련이 깊다. 길고 뾰족한 위턱은 주로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 굴과 같이 몸이 부드러운 먹이를 사냥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생 황새치처럼 긴 위턱을 휘둘러 먹잇감을 기절시키거나 베어서 사냥했을 가능성이 있다. 유로노사우루스는 작고 부드러운 먹이를 주로 사냥하는 포식자 그룹('피에르 1 포식 길드', piercer 1 prey guild)에 속했다.
유로노사우루스는 유선형 몸체와 강력한 꼬리지느러미를 이용해 빠르게 헤엄치는 유영 능력이 뛰어난 포식자였을 것으로 보인다. 수영 방식은 현생 참다랑어와 유사한 투니폼(thunniform) 방식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몸통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꼬리지느러미를 좌우로 강하게 흔들어 추진력을 얻는 방식이다. 좁은 꼬리자루와 초승달 모양의 꼬리지느러미는 이러한 고속 유영에 적합한 형태이다. 비교적 큰 뒷지느러미(배지느러미)는 주로 방향을 바꾸거나 저속으로 이동할 때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로노사우루스의 척추 구조는 매우 빠른 유영에 특화된 어룡과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한 어룡의 중간적인 특징을 보인다.
유로노사우루스는 몸 크기에 비해 매우 큰 눈을 가지고 있었다. 눈 주위에는 공막고리뼈(sclerotic ring)라는 여러 개의 뼈 조각으로 이루어진 고리 모양 구조가 있어, 깊은 물속의 높은 수압에서도 눈의 형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유로노사우루스가 상당한 깊이까지 잠수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어룡은 알려진 동물 중 가장 큰 눈을 가진 것으로 유명하며, 유로노사우루스의 큰 눈 역시 뛰어난 시력을 제공하여 빛이 희미한 깊은 바다 환경에서도 먹이를 찾거나 주변 환경을 파악하는 데 유리했을 것이다.
3. 분류
유로노사우루스는 어룡의 일종으로, 렙토넥테스과 Leptonectidaela에 속한다.
3. 1. 근연종
유로노사우루스에는 다음과 같은 아종들이 존재한다.- 비펠비아
- 마고와니아
- 허드슨펠피디아
3. 2. 렙토넥테스과 내 다른 속
4. 발견
(내용 없음)
4. 1. 최초 발견
1851년 유럽의 고생물학자들이 유럽의 트라이아스기 후기와 쥐라기 초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화석을 처음 발견하여 유로노사우루스라는 새로운 종으로 명명하였다. 이 어룡은 중생대의 해당 시기(약 1억 8300만 년 전 ~ 1억 7500만 년 전)에 유럽을 중심으로 대서양, 북극해, 지중해 등지에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