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병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병충은 요나라, 금나라에 출사한 한인 가문 출신으로, 금나라 멸망 후 승려가 되었다가 쿠빌라이를 섬기며 행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쿠빌라이에게 세금 감면을 건의하여 백성 수를 늘리고, 중국식 도성 건설을 설계했으며, 몽골 제국의 통치 체제를 정비하는 데 기여했다. 유병충은 원나라의 정치 제도 설계자로 평가받으며, 1274년 사망 후 태부, 조국공으로 추증되었고, 원 성종 때 태사로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16년 출생 - 기야스 웃딘 발반
    기야스 웃딘 발반은 델리 술탄국의 노예 왕조 술탄으로,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 구축, 공포 정치 시행, 몽골 제국 침입 방어에 힘썼으나 만년에 후계자 문제로 고심하며 그의 사후 왕조는 멸망의 길을 걸었다.
  • 1216년 출생 - 아시카가 야스우지
    아시카가 야스우지는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으로, 호죠 야스토키의 딸을 어머니로 두고 1236년 탄코노카미에 임명되어 쇼군을 섬겼으며, 36세에 출가하여 아시카가씨 세력 확장에 기여했다.
  • 1274년 사망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1274년 사망 - 안천대군
    안천대군 이어선은 조선 목조대왕과 효공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왕족으로, 안원대군, 안풍대군, 익조대왕 등과 형제이며, 김해 김씨 부인과의 사이에서 영흥군 등 세 아들을 두어 목조대왕의 직계 후손으로서 조선 왕조의 중요한 가계를 이룬다.
유병충

2. 생애

유병충(劉秉忠)은 화북(华北) 출신으로, 그 조상은 서주(瑞州)에 본적을 두고 있었다. 그의 집안은 형주(邢州)에 거하면서 대대로 (遼), (金)에 출사한 한인(漢人) 가문이었다. 아버지 유윤은 칭기즈 칸을 섬긴 형주록사였다.

17세에 금나라에 출사하여 형대절도부령사(邢台節度府令史)가 되었으나, 이 일에 뜻이 없어 바로 출가했다. 당시 금은 북쪽으로부터 발흥해 오는 몽골 제국과의 전쟁으로 기울어가고 있었고, 유병충은 "대장부가 재주를 품고도 불우한 시절을 만났다면 마땅히 은거하면서 그 기회를 엿보아야 할 것이다"라고 한탄하며 관직을 버리고 무안산(武安山)에 올랐다가 무안산 천녕사(天宁寺)의 허조선사(虚照禅师)에 인도로 출가해 승려가 되었고 자총(子聰)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그 뒤 천하를 떠돌아다니다 운중(雲中)에 이르러서 남당사(南堂寺)에 거하였다.

당시 임제종의 해운선사(海雲禪師)가 쿠빌라이에게 불려 가는 길에 운중에 이르렀을 때 유병충이 박학하고 재주가 많다는 것을 듣고 또한 그에게 같이 갈 것을 권했으며, 쿠빌라이에게 발탁되어 그의 모신(謀臣)이 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그의 재능이 탁월하였으므로 그를 「총서기」(聰書記)라 부르고 「형주오걸」(邢州五傑)의 필두에 두었다.[8]

유병충이 출사한 뒤에 요추(姚樞) 등과 함께 「널리 천하의 뛰어난 준재들을 불러모아 함께 치도(治道)를 논한다」라는 용인(用人) 방침을 제정하고 현인과 선비들을 대거 불러모았다. 이때 불려간 학자로 대유학자라는 칭송이 있던 허형(許衡), 왕순(王恂), 장이(張易) 등이 출사하였고, 당시 쿠빌라이의 옆에서 모의를 짜고 계책을 내었다.

쿠빌라이가 즉위하기 전 그의 영지는 화북에 있었는데, 그곳에는 1만 호의 백성이 있었지만 날이 갈수록 백성이 줄어 마침내 700호로 줄어 버렸다. 쿠빌라이는 놀라 유병충에게 조사를 시켰는데, 세금을 거두는 책임자가 너무 가혹하게 세금을 거둔 탓이었다. 이에 유병충은 "세금을 가볍게 하고 부역을 줄여 주면 호수는 저절로 늘어날 것"이라고 진언하였고, 쿠빌라이가 유병충의 건의대로 하자 1년 만에 몇 배의 호수가 늘었다. 이 때문에 유병충은 쿠빌라이에게 두터운 신임을 얻었다고 한다.[8]

유병충은 쿠빌라이가 1253년1254년 두 차례에 걸쳐 대리(大理)를 공격하고 1259년 남송을 정벌할 때 쿠빌라이에게 누차 「왕자(王者)의 신무(神武)란 죽이지 않는 것」이라고 진언했고, 쿠빌라이는 그 말을 받아들여 성이 함락된 뒤에도 한 사람도 죽이지 않았다고 한다.

1256년 유병충은 쿠빌라이의 명을 받들어 환주(桓州) 동면 롼수이(滦水) 북쪽에 새로운 성을 쌓는 설계를 맡았다. 건축에 착수한 지 3년 만에 완성된 이 성에는 개평(開平)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훗날 쿠빌라이가 중화 제국의 황제(천자)를 칭하게 되었을 때 상도(上都)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1259년 몽골 제국의 대칸 몽케가 조어성(釣魚城)에서의 전투에서 병으로 사망하고, 쿠빌라이는 휘하의 장이(張易)의 계책을 수용해 당시 쿠빌라이와 대칸 지위를 놓고 경쟁하고 있던 아리크부카가 행동에 나서기 전에 유병충, 요추 등 주요 한인 모사들을 데리고 밤낮으로 길을 재촉해서 경기병으로 북쪽으로 돌아가 대칸이 되었다.

1260년 쿠빌라이는 정식으로 중화식의 황제를 칭하였는데, 이는 유병충의 건의를 받아들인 것이었다. 조를 내려 중국식으로 연호와 기년을 정할 때 연호를 「중통」(中統)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중원의 정통」이라는 뜻이었다.[9] 아울러 중원 제도(中原制度)를 실행하고 중서성(中書省)과 선무사(宣撫司) 등의 기구를 세웠다.

1264년환속하여 광록대부에 임명되었다. 이후 요추와 함께 쿠빌라이의 브레인으로서 원나라 국호 제정부터 한풍 제도의 왕조 정비, 중통 연호 제정, 지폐 발행에 따른 통화 정책, 원의 수도인 대도 건설 등 중요 정책에 참여했다. 같은 해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 왕악(王鹗)의 건의 아래 쿠빌라이 칸은 조서로 유병충을 광록대부(光禄大夫)에 제배하고 태보(太保)의 지위에 두었으며 참령중서성사(参领中书省事)로 하였다.

1266년 유병충은 쿠빌라이의 명을 받들어 옛 금 왕조의 도읍지였던 연경성(燕京城) 동북쪽에 새로운 도성(후대에 대도라 불리게 될 도시)을 세웠고, 중국식 제도를 본떠 종묘와 궁실을 지었다.

지원 8년, 유병충은 쿠빌라이 칸에게 상서를 올려 《역경》(易經)의 「대재건원」(大哉乾元)에서 따서 장차 쿠빌라이가 세울 중국식 모델의 정권의 이름을 「대원」(大元)으로 정하자고 주청하였고, 동시에 「치란(治乱)의 도는 하늘에 달려 있고 사람에게 달려 있다」, 「말 위에서 천하를 다스릴 수는 있어도 말 위에서 천하를 다스릴 수는 없다」는 등의 중국식 정치 이념을 도입해 한인의 법률을 참조해 법도를 개선하고 폐정을 개혁하자고 하였다.

유병충은 전후로 중국식으로 장복(章服)의 법을 반포하고, 조정의 의례를 권장하고, 봉록(俸祿)을 지급하고, 중국식으로 관제를 정하였는데, 이는 원 왕조의 정치 제도의 설계자라 보아도 무방할 것들이었다.

중서령으로 임명되어 있는 기간 동안, 그는 상도와 수도 대도 두 도시의 공사에 참여한 것 외에도 동향 출신의 한인 곽수경(郭守敬)과 함께 이슬람식 역법을 도입한 수시력(授時曆)을 제정하기도 했다. 또한 태자태보(太子太保)로 임명되었을 때는 자신이 출가한 곳에 자산서원(紫山書院)을 세우고 그곳에서 문도들을 모아 학문을 가르치는데 유교 경전에만 그치지 않고 자연과학까지도 함께 가르치면서 그곳을 학문 연구의 터전으로 삼았다.

지원 11년 8월에 남병산(南屏山)의 별야(別墅)에서 아무 병도 없이 세상을 떠났다. 이때 유병충의 나이 59세였다. 쿠빌라이는 그에게 태부(太傅), 조국공(趙國公)을 추증하였고, 시호를 문정(文貞)이라 하였다.

원 성종(元成宗) 때에 이르러 태사(太師)가 추증되고 시호를 문정(文正)이라 하였으며, 원 인종(元仁宗) 때에 이르러 거듭 상산왕(常山王)에 봉해졌다.

유병충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동생인 유병서(秉恕)의 아들 유란장(蘭璋)이 그 뒤를 이었다.

3. 인맥

쿠빌라이 칸 즉위 직후 한인 관료는 유병충, 허형, 왕악으로 대표되는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유병충으로 대표되는 파벌은 건축, 재무, 감찰 등 행정적 실무에 능했다는 특징이 있었다.[1] 유병충 등은 사상적으로 허형을 비롯한 "유림파(덕행파)"와 가까웠지만, 허형이 기술, 수리적인 지식을 낮게 평가하고 "도를 가지고 자신의 임무를 삼았"던 데 반해, 유병충 등은 실학을 전문으로 함으로써 차별성을 보였다.[2] 또한 유병충은 인재 추천에 열심이었으며, 유병충의 추천을 거쳐 조병온, 장문겸, 이덕휘, 마형, 정사렴, 왕순, 곽수경, 왕문통 등이 몽골에 출사하게 되었다.[1]

4. 저작

제목분량
춘집 藏春集6권
춘사 藏春词
시집 诗集22권
문집 文集10권
평사옥척 平沙玉尺4권
옥척신경 玉尺新镜2권


5. 일화


  • 쿠빌라이의 오른팔이자 모신으로 그 이름을 떨쳤다. 그의 사후 약 100년 뒤 영락제의 책사(브레인)가 된 요광효는 그의 환생으로까지 칭송받았다.[6]
  • 쿠빌라이가 몽케의 가신이었을 때, 영지가 하북에 있었다. 그곳에는 1만 호의 백성이 있었지만, 날마다 백성이 줄어 마침내 700호까지 줄어들었다. 쿠빌라이는 놀라 유병충에게 조사를 명했다. 그러자 세금을 징수하는 책임자의 과도한 징수가 있었다. 이에 유병충은 "세금을 가볍게 하고 부역을 덜어주면 호수가 저절로 늘어날 것입니다"라고 진언했다. 쿠빌라이가 진언대로 실행하자 1년 만에 수 배의 호수가 늘어났다. 이 때문에 유병충은 쿠빌라이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얻었다고 한다.

참조

[1] 서적 The scholar's mind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 서적 China archaeology and art digest https://books.google[...] Art Text (HK) Ltd., original from [[University of Michigan]]
[3] 서적 Chinese imperial city planning University of Hawaii Press
[4]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5]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Volume 2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Scribner, original from [[University of Michigan]]
[6] 문서 『[[明史]]』巻145 列伝第33 姚広孝伝「姚広孝、長洲人、本医家子。年十四、度為僧、名道衍、字斯道。事道士席應真、得其陰陽術数之学。嘗遊嵩山寺、相者袁珙見之曰:「是何異僧!目三角、形如病虎、性必嗜殺、'''劉秉忠'''流也」。道衍大喜」
[7] 문서 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遼寧省) 쑤이중현(綏中縣) 전위진(前衛鎮)이다.
[8] 문서 《원사》권제157 열전제44 유병충
[9] 문서 《中统建元诏》——稽列圣之洪规,讲前代之定制,建元表岁,示人君万世之传;纪时书王,见天下一家之义。法《春秋》之正始,体大《易》之乾元。炳焕皇猷,权舆治道。可自庚申年五月十九日,建号为中统元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