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하급 고속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영하급 고속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연안 초계용 미사일 고속함으로, 참수리급 고속정을 대체하고 포항급 초계함의 일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2007년 초도함인 윤영하함을 시작으로 총 18척이 건조되었으며, 76mm 함포, 40mm 함포, 대함유도탄 등을 탑재한다. 개발 과정에서 기술적 문제와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으며, 1번함의 초기 결함, 76mm 속사포의 문제점 등이 지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고속정 - PKMR
PKMR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차세대 고속정으로, 130mm 유도로켓 비룡과 K-6 중기관총 등 강화된 화력을 갖추고 있으며, 20여 명의 적은 인원으로 운용되고, 2020년 설계 결함이 발견되어 기술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 대한민국의 고속정 - 백구급 미사일 고속정
백구급 미사일 고속정은 1970년대 북한의 해상 도발에 대응하고자 대한민국 해군이 도입한 고속정으로, 미국 애쉬빌급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스탠다드 미사일 또는 하푼 미사일과 76mm 함포로 무장했으며, 1975년부터 1978년까지 9척이 건조되어 대한민국 해군 전력 증강에 기여하다가 1990년대 초반부터 퇴역했다.
윤영하급 고속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급 명칭 | 윤영하급 |
다른 명칭 | 검독수리급 고속정 |
로마자 표기 | Geomdoksuri-geup gosokjeong |
제원 (PKX-A(PKG)) | |
함종 | 초계함 |
배수량 | 570 톤 |
길이 | 63 미터 |
폭 | 9 미터 |
흘수선 | 3 미터 |
추진 방식 | CODAG (Combined diesel and gas) |
가스터빈 | 2 × 한화테크윈/GE LM500 가스터빈 (4,570 kW) |
디젤 엔진 | 2 × 두산/MTU 12V 595 TE90 (3,240 kW) (711함) 2 × STX/MTU 16V 1163 TB93 (5,920 kW) (712~733함) |
워터제트 | 3 × 두산중공업 워터제트 |
속력 | 44 노트 |
항속 거리 | 1,998 해리 (15 노트 시) |
승조원 | 40명 |
센서 | |
레이다 | STX RadarSys SPS-100K 수상 탐색 레이다 LIG넥스원 SPS-540K 3차원 감시 레이다 |
사격 통제 레이다 | Saab CEROS 200 Fire Control Radar 및 광학 조준경 |
전자 광학 표적 시스템 | 한화 시스템 전자 광학 표적 시스템 |
전자전 | |
채프/플레어 발사기 | 2 × T.S Tech K-RBOC Mk36 채프/플레어 발사기 |
ECM/ECCM | LIG Nex1 Sonata SLQ-200(V)K ECM/ECCM 스위트 |
무장 | |
함포 | 현대위아 (3번함 이후) 76 mm 함포 |
기관포 | S&T Dynamics '노봉' 40L/70K 40mm 2연장 기관포 |
대함 미사일 | 4 × LIG Nex1 SSM-700K 해성 대함 순항 미사일 |
기관총 | 2 × S&T Dynamics K6 12.7 mm 기관총 |
제원 (PKX-B(PKMR)) | |
함종 | 초계함 |
배수량 | 200 톤 |
길이 | 44 미터 |
폭 | 7 미터 |
추진 방식 | CODAG |
속력 | 40 노트 |
센서 (PKX-B(PKMR)) | |
레이다 | STX RadarSys SPS-100K 수상 탐색 레이다 LIG Nex1 SPS-540K 3차원 감시 레이다 |
사격 통제 레이다 | Saab CEROS 200 Fire Control Radar 및 광학 조준경 |
전자 광학 표적 시스템 | 한화 시스템 전자 광학 표적 시스템 |
전자전 (PKX-B(PKMR)) | |
ECM/ECCM | LIG Nex1 Sonata SLQ-200(V)K ECM/ECCM 스위트 |
무장 (PKX-B(PKMR)) | |
함포 | 현대위아 76 mm 함포 |
기관총 | 2 × S&T Dynamics K6 12.7 mm 기관총 |
유도 로켓 | 12 연장 130 mm 유도 로켓 |
건조 및 운용 | |
건조사 | 한진중공업, STX |
함급 종류 | PKX-A(PKG) (윤영하급) (PKMR) |
대당 가격 | ₩488억 원 $3770만 (2009년 불변 USD) |
취역 기간 | 2008년–현재 |
계획 수량 | PKX-A(PKG): 18척, PKX-B(PKMR): 34척 |
완료 수량 | PKX-A(PKG): 18척, PKX-B(PKMR): 16척 |
운용 수량 | PKX-A(PKG): 18척, PKX-B(PKMR): 16척 |
명명 기준 | 전사자, 한국 전쟁 당시 장군 및 전공자 |
2. 역사
대한민국 해군은 2002년 제2연평해전 이후 참수리급 고속정의 한계를 인지하고 차기 고속정 사업(PKX)을 추진했다. 이 사업은 윤영하급 고속함(PKX-A)과 차기 고속정(PKX-B) 개발로 구체화되었다.
1번함인 윤영하함은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윤영하 소령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2007년 6월 28일 한진중공업에서 진수되어 2008년 12월 17일 취역했다.[40] 초대 함장에는 제1연평해전에서 활약한 안지영 소령이 임명되었다.[25]
2번함부터 5번함까지는 STX조선이 건조를 맡아 2009년에 진수, 2010년에 해군에 인도되었다. 이들 함정은 2011년과 2012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취역했다.
6번함부터 9번함까지는 다시 한진중공업이 건조를 맡았다. 6번함 박동혁함과 7번함 현시학함은 2010년 7월 28일, 8번함 정긍모함과 9번함 지덕칠함은 2010년 11월 2일에 진수되었다. 이들 함정은 2011년에 해군에 인도되어, 박동혁함과 정긍모함은 2011년에 취역했다.[41]
당초 윤영하급 고속함은 24척이 건조될 예정이었으나, 2011년 계획이 변경되어 18척으로 축소되고, 대신 차기 고속정(PKX-B) 18척을 추가 도입하기로 결정되었다.[42][43]
2. 1. 개발 과정
대한민국 해군은 2002년 제2연평해전에서 참수리급 고속정이 침몰한 후, 2003년부터 PKG급 개발을 시작했다. PKX(Patrol Killer eXperimental)라는 암호명으로 진행된 이 사업은 대한민국 해군의 고속정 현대화 사업이다.PKX 사업은 500톤급 미사일 탑재 PKX-A(PKG)와 200톤급 함포 탑재 PKX-B(PKMR)의 두 가지 설계로 구성된다. PKX-A(PKG)는 포항급 초계함의 일부 작전을 대체하고, PKX-B(PKMR)는 노후화된 참수리급 고속정을 대체할 예정이었다.
한진중공업이 건조한 선도함 ''윤영하함''은 2007년 6월 28일 진수되었고, 2008년 12월 17일 취역했다. 이후 한진중공업과 STX 조선해양이 각각 4척씩 PKX-A(PKG) 생산을 분담했다.
PKX-B는 함미에 130mm 유도 로켓 발사기를 탑재하며, 2016년 7월 첫 함정이 진수되어 2017년 말 취역했다. 1차분 4척은 2019년 말까지 인도될 예정이었으며, 2017년 6월에는 5~8번함 계약이 한진중공업과 체결되어 2020년 이후 인도될 예정이었다. PKX-B는 특히 북한 고속정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12연장 130mm 유도 로켓은 3km에서 20km 거리의 표적을 명중시킬 수 있다. 로켓은 80kg 중량에 8kg 탄두를 탑재하고, GPS/관성 항법 장치, 데이터 링크, 영상 적외선 (IIR) 호밍 방식을 사용하며, 3발을 동시 발사할 수 있다.
윤영하급 고속함은 대청급의 후계로 연안 초계용 미사일 고속함이며, 포항급 초계함의 임무 일부를 대체할 수 있다. 북한과 무력 충돌이 잦은 북방한계선 인근 서해 5도 해역에 인천급 호위함과 함께 투입될 예정이었다. 초기에는 24척 건조 계획이었으나, 최종적으로 18척 건조로 변경되었다.[24] 1척당 건조 비용은 8500억원이다.[24]
초기형 윤영하급은 여러 결함이 보고되었다. 1번함은 취역 전후로 잦은 고장과 개수를 겪었고,[26] 2번함 이후에는 두산이 개발한 추진 장치에서 새로운 결함이 발생하여 전력화가 지연되기도 했다.[27] 2014년에는 문제가 해결되었고,[28] 15번함까지 취역했지만,[29] 2015년에는 현대위아제 76mm 속사포의 결함이 제기되었다.
배수량이 커진 탓에 소형의 PKX-B를 건조하여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30]
다음은 함정 건조 일정이다.
함번 | 함명 | 건조사 | 진수 | 취역 | 비고 |
---|---|---|---|---|---|
711 | 윤영하 | 한진중공업 | 2007년 6월 28일 | 2008년 12월 17일 | [40] |
712 | 한상국 | STX조선 | 2009년 9월 23일 | 2011년 9월 4일 | |
713 | 조천형 | STX조선 | 2009년 9월 23일 | 2011년 9월 4일 | |
715 | 황도현 | STX조선 | 2009년 12월 11일 | 2012년 1월 13일 | |
716 | 서후원 | STX조선 | 2009년 12월 11일 | 2011년 11월 28일 | |
717 | 박동혁 | 한진중공업 | 2010년 7월 28일 | 2011년 11월 28일 | [41] |
718 | 현시학 | 한진중공업 | 2010년 7월 28일 | [41] | |
719 | 정긍모 | 한진중공업 | 2010년 11월 2일 | 2011년 12월 19일 | [41] |
721 | 지덕칠 | 한진중공업 | 2010년 11월 2일 | [41] |
2. 2. 도입 및 배치
대한민국 해군은 차기 고속정을 윤영하급 고속함(PKX-A)과 차기 고속정(PKX-B) 두 가지 함종으로 개발할 계획이었다. 윤영하급 고속함은 2007년 6월 28일 네임쉽인 윤영하함이 진수되어, 2008년 12월 17일에 해군에 인도되어 취역하였다.[40]2번함부터 5번함까지는 STX조선이 2007년 11월 23일 계약하여 건조하였다. 2, 3번함인 한상국함, 조천형함은 2009년 9월 23일에, 4, 5번함인 황도현함, 서후원함은 2009년 12월 11일에 각각 진수되었고 2010년에 해군에 인도되었다. 한상국함과 조천형함은 2011년 9월 4일, 서후원함은 11월 28일, 황도현함은 2012년 1월 13일에 각각 취역했다.
6번함부터 9번함까지는 1번함인 윤영하함을 건조한 한진중공업이 2008년 12월 22일 제작업체로 선정되었다. 6번함 박동혁함, 7번함 현시학함은 2010년 7월 28일 진수되었다. 8번함 정긍모함, 9번함 지덕칠함은 2010년 11월 2일 진수되어 2011년에 해군에 인도되었다. 박동혁함은 2011년 11월 28일에, 정긍모함은 2011년 12월 19일에 각각 취역했다.[41]
10~12번함의 건조는 STX조선해양이 담당하여 2012년에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었다. 당초 총 24척을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2011년 6척을 줄여 18척을 도입하고 대신 차기 고속정을 18척 더 도입하기로 결정했다.[42][43]
대한민국 해군은 2002년 6월 29일 제2연평해전 당시 북한 경비정과의 해상 교전에서 참수리급 (PKM급) 고속정이 침몰한 이후 2003년 PKG급 개발을 시작했다. PKX(Patrol Killer eXperimental)라는 암호명으로 진행된 이 사업은 대한민국 해군의 고속정 현대화 사업이다.
PKX 사업은 500톤급의 대형 미사일 탑재 PKX-A(PKG)와 200톤급의 소형 함포 탑재 PKX-B(PKMR) 두 가지 설계로 구성된다. PKX-A(PKG)는 포항급 초계함이 수행하던 일부 작전을 대체할 예정이며, PKX-B(PKMR)는 노후화된 참수리급 함정을 대체할 예정이다.
첫 번째 PKX-A(PKG) 함정은 한진중공업으로부터 발주되었다.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윤영하 소령의 이름을 딴 선도함인 ''윤영하함''은 2007년 6월 28일 진수되었고, 2008년 12월 17일 취역했다. PKX-A(PKG)의 생산은 한진중공업과 STX 조선해양이 각각 4척씩 분담하여 진행하고 있다.
PKX-B는 함미에 130mm 유도 로켓 발사기를 탑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첫 번째 함정은 2016년 7월 진수되었으며 2017년 말 취역했다. 1차분 4척은 2019년 말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2017년 6월, 5번함부터 8번함까지의 계약이 한진중공업에 체결되었으며, 2020년 이후 인도될 예정이다. 9번함부터 12번함까지의 계약은 2018년 초에 체결되었다. PKX-B는 특히 북한의 고속정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윤영하급 고속함은 대청급의 후계로 연안 초계용 미사일 고속함이다. 계획상으로는 포항급 초계함의 임무 일부를 대체하고, 북한과 무력 충돌이 반복되고 있는 북방한계선 인근 서해 5도 부근 해역에 인천급 호위함과 함께 투입될 예정이었다. 처음에는 24척 건조 계획에 10척 추가 건조 구상도 있었지만[23], 최종적으로 18척 건조 계획으로 변경되었다.[24] 1척당 건조 비용은 8500억원이다.[24]
1번함은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참수리급 357호정의 윤영하 정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초대 함장에는 제1연평해전에서 활약한 안지영 소령이 임명되었다.[25]
초기형 윤영하급에는 여러 가지 결함이 있었다. 1번함은 취역 전 61건, 취역 후 2개월 동안 95건의 개수를 해야 했다. 그 후에도 레이더와 엔진에 결함이 발견되었고, 대청해전 중에도 개수 중이어서 참전하지 못했다.[26] 2번함 이후는 두산이 독자 개발한 추진 장치를 장착했지만, 고속 주행 시 직진 문제, 추진축 베어링 문제 등으로 전력화가 지연되었다.[27]
2014년에는 문제가 해결되었고[28], 같은 해 4월 1일에는 15번함이 취역했지만[29], 2015년에는 현대위아제 76mm 속사포의 결함이 제기되었다.
배수량이 커진 탓에 소형의 PKX-B를 건조하여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30]
3. 특징
윤영하급 고속함은 기존 고속정과 포항급 초계함의 임무 일부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참수리급 고속정을 직접 대체하는 함정은 차기 고속정(PKX-B)이다. 윤영하급은 고속정보다 큰 선체를 가지며, 제2연평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PKX 사업을 통해 개발되었다.
PKX 사업은 500톤급 PKX-A(PKG)와 200톤급 PKX-B(PKMR)의 두 가지 설계로 구성된다. PKX-A(PKG)는 포항급 초계함의 일부 임무를, PKX-B(PKMR)는 참수리급 고속정을 대체한다.
1번함 ''윤영하함''은 한진중공업에서 건조되어 2007년 6월 28일 진수되었고, 2008년 12월 17일에 취역했다. 이후 STX 조선해양과 한진중공업이 각각 4척씩 생산을 분담하였다. PKX-B는 함미에 130mm 유도 로켓 발사기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며, 1번함은 2016년 7월에 진수, 2017년 말에 취역하였다. 2019년 말까지 1차분 4척이 인도되었다.
3. 1. 주요 무장
윤영하급 고속함에는 대함유도탄, 76mm 및 40mm 함포가 탑재된다.[42] 포항급 초계함에 탑재되는 76mm 62구경장 함포가 탑재되어 포항급 초계함과 참수리급 고속정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진다.3. 2. 기술적 특징
윤영하급 고속함은 전장 63m, 전폭 9m, 최대 속력 40노트(74km)의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대함유도탄과 76mm 및 40mm 함포로 무장하고 있다.[42] 포항급 초계함의 임무 일부를 대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스텔스 설계와 방탄 능력을 갖추고 있어 생존성을 높였다.대한민국 해군은 제2연평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PKX(Patrol Killer eXperimental) 사업을 통해 고속정 현대화를 추진했다. PKX 사업은 500톤급 PKX-A(PKG, 윤영하급)와 200톤급 PKX-B(PKMR) 두 가지 설계로 진행되었다.
윤영하급은 대청급 초계함의 후계함으로, 연안 초계 임무와 더불어 포항급 초계함의 일부 임무를 대체할 수 있다. 북한과의 무력 충돌이 잦은 북방한계선 인근 해역에 인천급 호위함과 함께 투입될 예정이었다. 초기에는 24척 건조 계획에 10척 추가 건조 구상도 있었으나,[23] 최종적으로는 18척 건조로 계획이 변경되었다.[24] 1척당 건조 비용은 850억원이다.[24]
초기형 윤영하급은 여러 기술적 결함이 보고되었다. 1번함은 취역 전후로 워터 제트 엔진, 디젤 엔진, 항해 레이더 등에서 잦은 고장이 발생하여 수차례 개수를 거쳤다.[26] 2번함 이후에는 두산이 독자 개발한 추진 장치를 장착했으나, 고속 주행 시 직진 불가, 추진축 베어링 문제 등 새로운 결함이 발생하여 전력화가 지연되기도 했다.[27] 2014년에는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었으나,[28] 2015년에는 현대위아제 76mm 함포의 결함이 새롭게 제기되었다.
4. 문제점 및 개선 노력
윤영하급 고속함은 초기형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1번함은 취역 전후로 잦은 고장과 결함으로 인해 많은 개수를 거쳐야 했다.[26] 2번함 이후에는 두산에서 제작한 추진 장치를 장착했지만, 새로운 결함이 발생하여 전력화가 지연되기도 했다.[27] 2014년에 문제가 해결되어 15번함이 취역했지만,[28][29] 2015년에는 현대위아제 76mm 함포에서 결함이 발견되기도 했다.
4. 1. 초기 문제점
1번함은 취역 전 워터 제트 엔진에서 윤활유가 새고, 디젤 엔진의 에어 탱크에서 공기가 새는 등의 문제로 61건의 개수를 실시했다. 취역 후 2개월 동안에는 워터 제트 엔진의 터빈 날개와 냉각 장치 부식, 디젤 엔진 연료 누출, 자기 나침반 20도 이상 오차 발생, 함내 통신 시스템 교신 불가능 등의 문제로 95건의 개수를 추가로 진행했다.[26] 이후에도 레이더와 엔진에서 결함이 발견되어 개수가 필요했고, 대청해전 당시에도 개수 중이어서 참전하지 못했다.[26] 이러한 문제로 1번함은 취역 후에도 운용이 매우 저조했다.2번함부터는 외산 워터 제트 추진 장치 대신 두산이 자체 개발한 추진 장치를 장착했지만, 고속 주행 시 직진 불가, 추진축 베어링 문제로 인한 급격한 속도 저하 등 새로운 결함이 발생하여 전력화가 2010년 9월에서 2012년 8월로 지연되었다.[27]
4. 2. 개선 노력
윤영하급 고속함의 초기형에는 여러 가지 결함이 보고되었다. 1번함은 취역 전에 워터 제트 엔진에서 윤활유가 새고, 디젤 엔진의 에어 탱크에서 공기가 새며, 항해 레이더가 꺼지는 등의 이유로 61건의 개수를 실시했다.[26] 취역 후 2개월 동안에도 워터 제트 엔진의 터빈 날개와 냉각 장치가 부식되고, 디젤 엔진에서 윤활유와 연료유가 새며, 자기 나침반에 20도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고, 함내 통신 시스템의 교신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이유로 95건을 개수해야 했다.[26] 그 후에도 레이더와 엔진에 다시 결함이 발견되어 개수가 필요했고, 대청해전 중에는 개수 중이어서 참전하지 못했다.[26]2번함 이후에는 외국산 워터 제트 추진 장치 대신 두산이 독자 개발한 추진 장치를 장착했지만, 이 때문에 고속 주행 시 직진하지 못하거나, 추진축 베어링 문제로 속도가 갑자기 떨어지는 등의 새로운 결함이 발생하여 전력화가 2010년 9월 말에서 2012년 8월 이후로 지연되었다.[27]
2014년에는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었고,[28] 같은 해 4월 1일에는 15번함이 취역했지만,[29] 2015년에는 현대위아제 76mm 속사포의 결함이 제기되었다.
5. 함정 목록
윤영하급 고속함(PKX-A)의 처음 6척은 2002년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속정 ''PKM 357'' 승조원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후 PKG-718~PKG-728, PKG-732함은 한국 전쟁 참전 장군 및 전공자의 이름, PKG-729, PKG-733함은 베트남 전쟁 전공자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대한민국 해군은 함정에 함번을 부여할 때 숫자 '0'과 '4'를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한국에서 '4'가 불길한 숫자라는 미신이 있기 때문이다. '0' 역시 불운으로 여겨진다.
6. 사건 사고
2013년 11월 25일 새벽,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의 STX조선해양 조선소 부두에서 장비를 장착 중이던 윤영하급 고속함 1척이 파도에 의해 침수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상자는 없었지만[31] 침수된 함정은 수리가 불가능해져 포기하고, 2015년 1월 말부터 새로 건조하기로 했다. STX 측은 천재지변으로 인한 사고를 이유로 납기 연장을 신청했지만, 군 측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지연 배상금 지급을 요구하며 분쟁 중이다.[32]
2014년, 대한민국 국군 전체의 납품 위조 문제가 드러나는 과정에서, 윤영하급 고속함에 원래 프랑스제여야 할 전자 기기 냉각 팬 등이 대만제로 둔갑한 사실이 발각되었다.[33]
2015년 1월 22일, "PKG-715 황도현함"에서 76mm 속사포의 폭발 사고가 발생, 일등병이 머리에 중상을 입고, 같은 해 7월 17일에 사망했다.[34] 본 급의 현대 WIA제 76mm 속사포는 퇴역함에 장착되어 있던 오토 멜라라제 76mm 속사포에 대해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량을 가해 전용한 것으로,[35] 오토 멜라라는 특허 침해로 영업 손해를 입었다며 소송을 제기했지만, 대법원에서 기각되었다.[36] 2014년 10월 북방한계선을 침범한 북한 함정에 경고 사격을 가했을 때, "PKG-713 조천형함"의 현대 WIA제 76mm 속사포가 갑자기 작동을 멈춘 것이 밝혀졌지만, 이 사고를 계기로, 북방한계선에서 불발 사건 발생 직후 두 번 실시된 발사 시험에서도 불발탄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대한민국 해군이 은폐하고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보다 앞선 2014년 4월에도 "PKG-716 서후원함"의 현대 WIA제 76mm 속사포가 이상 동작을 일으켰던 것이 밝혀졌다.[37] 이러한 5건의 사건으로 인해, 현대 WIA사가 진행한 76mm 속사포 사업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38]
참조
[1]
웹사이트
차기고속정 1번함 '윤영하함' 결정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07-06-15
[2]
뉴스
Republic of Korea Navy's PKX High Speed Patrol Boats Powered by Compact GE LM500 Gas Turbines
http://www.geaviatio[...]
General Electric
[3]
뉴스
STX Engine Raided for Corruption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4]
뉴스
Doosan Successfully Demonstrates First Product of Waterjet Propulsion System
http://www.doosan.co[...]
doosan.com
[5]
웹사이트
Navy launches high-speed patrol boat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07-06-29
[6]
웹사이트
OPVs offer small navies greater presence
http://content.yudu.[...]
Ship & Boat International
2009-03
[7]
뉴스
South Korea's DAPA Orders Additional PKX-B Fast Attack Craft for ROK Navy
http://navyrecogniti[...]
Navyrecognition.com
2017-06-28
[8]
뉴스
LIG Nex1 PKX-B 130mm Guided Rocket Launcher to Counter Swarm Attacks
https://navyrecognit[...]
Navyrecognition.com
2017-10-25
[9]
웹사이트
C 해군, 정긍모함 취역...PKG 개발 문제점 해결
http://www.dema.mil.[...]
2012-08-03
[10]
문서
ja:コムドクスリ級ミサイル艇
[11]
웹사이트
해군5성분전단 '홍시욱함' 취역
http://www.knnews.co[...]
2013-10-11
[12]
웹사이트
유도탄고속함 12번함 홍대선함, 해군 인도
http://news.naver.co[...]
[13]
웹사이트
유도탄 고속함 '한문식함' 취역
http://kookbang.dema[...]
[14]
웹사이트
해군 14번째 유도탄 고속함 '김창학함' 취역
http://news.naver.co[...]
[15]
웹사이트
"해양수호 선봉, PKG '박동진함' 취역"
http://www.anewsa.co[...]
2014-04
[16]
웹사이트
방사청, 유도탄고속함 16번함 '김수현함' 해군 인도
http://news.naver.co[...]
[17]
웹사이트
방위사업청, 유도탄고속함 '이병철함' 해군에 인도 - 국제뉴스
http://www.gukjenews[...]
2014-11-28
[18]
뉴스
RoKN commissions 18th and final PKG-A-class patrol vessel
http://www.janes.com[...]
Jane's Information Group
2018-01-25
[19]
뉴스
서해 최전선 지키는 신형 고속정 진수
http://www.hani.co.k[...]
2016-07-28
[20]
뉴스
한진중공업 '차기고속정 1번함' 만든다
http://news20.busan.[...]
[21]
뉴스
한진重, 1991억 규모 차기고속정 수주..군함 건조 기술력 입증
http://www.edaily.co[...]
[22]
뉴스
한진重, 해군함정 3500억 수주 '쾌거'
http://www.hankookil[...]
[23]
뉴스
軍“서해 방어 유도탄고속함 10대 더 도입”
http://media.daum.ne[...]
東亜日報
2011-07-13
[24]
뉴스
“차기고속정 30여척 건조“
http://www.naeil.com[...]
naeil.com
2011-08-31
[25]
웹사이트
Navy launches high-speed patrol boat
https://megalodon.jp[...]
JoongAng Daily
2007-06-29
[26]
뉴스
"걸핏하면.." 최신예 고속함 '하자투성이'
http://news.sbs.co.k[...]
SBSニュース
2009-11-13
[27]
뉴스
"欠陥だらけ"高速艦‥西海戦力化、また遅延
http://imnews.imbc.c[...]
MBCニュース
2011-08-28
[28]
뉴스
열 번째 유도탄고속함 ´임병래함´ 해군에 인도
http://news.naver.co[...]
[29]
뉴스
해군 15번째 유도탄 고속함 '박동진함' 취역
http://news.naver.co[...]
連合ニュース
2014-04-01
[30]
뉴스
韓国軍 ミサイル艇20隻建造へ=最前線での機動力向上
https://www.navalnew[...]
聯合ニュース
2016-03-21
[31]
뉴스
強風により建造中の海軍高速艇1隻沈没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3-11-25
[32]
뉴스
‘건조중 침수’ 유도탄고속함 대체 함정 건조
http://www.segye.com[...]
世界日報
2015-01-24
[33]
뉴스
韓国原発、「欠陥・事故」続出の恐ろしき実態…偽造部品納入は当たり前、放射能漏れ数値は18倍増に修正
https://www.sankei.c[...]
2015-01-02
[34]
뉴스
韓国海軍の高速艦が故障で誤射、水兵の頭に直撃し死亡=韓国ネット「就役から3年もたってないのに…」「海軍のほぼすべての事業に不正が絡んでいる」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15-07-28
[35]
뉴스
함정 ‘함포 오작동’ 포탄 발사 사고…병사 1명 중상
http://news.kbs.co.k[...]
KBS
2015-01-22
[36]
뉴스
西海英雄達が先端高速艇となって西海を守る
조선일보
2009-09-24
[37]
뉴스
76㎜ 함포에서 오작동 불발탄…책임 주체는 불분명
http://news.kbs.co.k[...]
KBS
2015-02-19
[38]
뉴스
76mm 함포, 시험 사격서도 이상..해군 '쉬쉬'
http://media.daum.ne[...]
daum
2015-02-12
[39]
문서
교전 당시 계급은 대위였으며, 사후에 소령 계급으로 추서되었다
[40]
뉴스
6년 만에 환생한 서해교전 영웅
http://www.heraldbiz[...]
헤럴드비즈
2009-05-29
[41]
웹인용
해군, 정긍모함 취역...PKG 개발 문제점 해결
http://www.dema.mil.[...]
2012-08-03
[42]
뉴스
"[기획 한국군 무기 40] 부활한 서해의 영웅, 윤영하급 고속함"
http://mnm.seoul.co.[...]
서울신문 M&M
2012-11-14
[43]
뉴스
“차기고속정 30여척 건조”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12-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