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수리급 고속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수리급 고속정은 1970년대 대한민국 해군의 연안 방어를 위해 건조된 함정이다. 1976년 첫 계약을 시작으로 13차례 발주되었으며, 북한의 상륙 작전에 대비한 연안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무장에 따라 PKM 201 소형급과 PKM 301 소형급으로 나뉘며, 최대 속력은 38노트로 설계되었다. 2002년 제2연평해전 이후 개량을 거쳤으며, 윤영하급 고속함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가나, 동티모르, 방글라데시, 카자흐스탄, 필리핀 등에 공여 또는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고속정 - 윤영하급 고속함
윤영하급 고속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연안 초계용 미사일 고속함으로, 참수리급 고속정을 대체하고 포항급 초계함의 일부 임무를 수행하며, 76mm 함포, 40mm 함포, 대함유도탄 등을 탑재하여 총 18척이 건조되었다. - 대한민국의 고속정 - PKMR
PKMR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차세대 고속정으로, 130mm 유도로켓 비룡과 K-6 중기관총 등 강화된 화력을 갖추고 있으며, 20여 명의 적은 인원으로 운용되고, 2020년 설계 결함이 발견되어 기술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 대한민국의 군사에 관한 -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방 관련 군정 및 군령, 기타 군사 사무를 관장하며, 대통령의 명을 받아 합동참모의장과 각 군 참모총장을 지휘·감독한다. - 대한민국의 군사에 관한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 위키백과 이동보호 중인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위키백과 이동보호 중인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참수리급 고속정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함급 명칭 | 참수리급 고속정 |
로마자 표기 | Chamsuri-geup gosokjeong |
영어 명칭 | Chamsuri-class patrol vessels |
함종 | 초계정 (PKM) |
제작사 | 한국타코마 한진중공업 |
운용 국가 | 동티모르 방위군 |
이전 함급 | 아시빌급 포정 |
다음 함급 | 검독수리급 초계정 |
세부 함급 | PKM 201급 PKM 301급 |
건조 기간 | 1970년대–1980년대 |
총 건조 척수 | 101척 |
활동 중인 척수 | 52척 |
퇴역 척수 | 49척 |
손실 척수 | 3척 |
보존 척수 | 1척 |
제원 (PKM 301급 기준) | |
함종 | 초계정 |
배수량 | 경하: 만재: |
추진 체계 | 2 × MTU 16V 538 TB90 디젤 엔진 |
항속 거리 | ( 속력 시) |
승조원 | 31명 |
레이더 | 레이시온 1645 대수상 수색 레이더 |
무장 | 1 × 함포 2 × 단장 시 발칸 개틀링 기관포 2 × 단장 M2 브라우닝 기관총 |
추가 정보 | |
관련 함급 | 검독수리급 초계정 |
참고 자료 | |
출처 |
2. 역사적 배경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미중 관계 개선의 일환으로 1970년 3월, 주한미군 1개 보병사단 철수를 결정하고 추가 감축을 모색했다.[1] 그러나 같은 해 6월, 황해에서 대북 방송을 하던 한국 해군 방송선이 북한 경비정에 의해 나포되는 등, 북한의 위협은 여전했다.[2]
참수리급 고속정의 기본 설계는 백구급 후기형을 축소시킨 것으로, 1978년부터 한진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되었다. 건조 과정에서 대간첩전의 교훈을 바탕으로 무장 시스템을 변경하여 초기형, 중기형, 후기형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민국은 자주국방을 시급한 과제로 인식했다. 미국과 협의하여 "국군 현대화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1972년 12월 29일에는 국방 목표를 제정했으며, 1973년 3월 5일에는 방위산업 육성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했다. 1974년부터는 전력 증강을 위한 8개년 계획인 율곡 계획이 시작되었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참수리급 고속정이 건조되었으며, 첫 계약은 1976년 11월에 체결된 후 13차례에 걸쳐 발주되었다.[3]
3. 설계 및 제원
참수리급은 참새(Chebi)형 PK(Patrol Killer)보다 큰 PKM(Patrol Killer Medium)으로 계획되었다. 초기형은 길이 33.1미터, 배수량 141톤이었으며, 1982년 발주된 5차 사업 건조분부터 길이 37미터, 배수량 157톤으로 변경되었다. 엔진은 참새형 초계정과 유사한 고속 성능을 위해 MTU 16V538 TB90이 사용되었다. 출력은 최대 10,800마력(정격 9,000마력)으로 향상되었으며, 초기 설계상 최대 속력은 38노트였으나 실제로는 34노트였다.
초기에는 기러기(Kilogi)형 미사일정(PKMM)과 같이 엑소세 MM38 함대함 미사일을 탑재할 계획이었으나, 미국이 프랑스제 무기 탑재에 난색을 표해 포병 무기만 탑재하게 되었다.
1~4차 사업분, 5~9차 사업분, 10~13차 사업분에 따라 무장에 차이가 있으며, 그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1~4차 사업분 5~9차 사업분 10~13차 사업분 75구경 30mm 2연장 기관포 × 1기 60구경 40mm 단장 기관포 × 1기 60구경 40mm 단장 기관포 × 1기 20mm 다포신 기관포 × 2기 70구경 20mm 단장 기관포 × 1기
3. 1. 설계
참수리급 고속정은 1970년대에 북한의 상륙 작전에 대비한 대한민국의 연안 방어를 위한 기본 함정으로 설계되었다.[1] 참수리급은 무장이 다른 두 가지 설계로 나뉜다. PKM 201 소형급("PKM"은 "Patrol Killer Medium"의 약자)은 PKM 301 소형급보다 경량 무장을 탑재했으며, 이들은 각각 "돌고래"형과 "야생고양이"형으로도 알려져 있다.[2]
함정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이 고속정은 두 개의 MTU 16V MD538 TU90 디젤 엔진으로 두 개의 프로펠러를 구동하며, 최대 10800bhp, 지속 9000bhp의 출력을 낸다. 전력 생산을 위해 50kW 디젤 발전기 2대를 갖추고 있다.[4] 참수리급은 최대 속력 38kn으로 설계되었지만, 지속 속력은 32kn이다.[5] 항해거리는 32노트에서 500nmi, 20노트에서 1000nmi이다. 연료는 15ton을 적재한다.[3]
한국 해군에서 초기 PKM 201형 함정은 다음의 무장을 갖추었다.
후기 PKM 201급 함정은 다음의 무장을 갖추었다.
PKM 301 소형급은 다음의 무장을 갖추었다.
PKM 301급은 40mm 포대가 덮개로 덮여 함교에 위치하고, 발칸 마운트 하나는 상부 구조물 위에, 다른 하나는 선미에 위치했다. 덮개는 마우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방패였다. PKM 201형 함정은 함교에 동력 작동식 쌍열 30mm 포대를 갖추었고, 일부 구형 함정은 선미에 40mm 포대를 장착했다. 이 함정들은 레이시온 1645 항해/표면 탐색 레이더를 장착했다.[3]
본 함정은 참새(Chebi)형 PK(Patrol Killer)보다 큰 PKM(Patrol Killer Medium)으로 계획되었다. 초기형은 길이 33.1미터, 배수량 141톤이었으며, 1982년 발주된 5차 사업 건조분부터 길이 37미터, 배수량 157톤으로 변경되었다. 참새형과 유사한 고속 성능이 요구되어 주기는 MTU 16V538 TB90이 사용되었다. 출력은 최대 10,800마력(정격 9,000마력)으로 향상되었으며, 초기 설계상 최대 속력은 38노트였으나 실제로는 34노트였다.
초기에는 기러기(Kilogi)형 미사일정(PKMM)과 같이 엑소세 MM38 함대함 미사일을 탑재할 계획이었으나, 미국이 프랑스제 무기 탑재에 난색을 표해 포병 무기만 탑재하게 되었다.
1~4차 사업분에서는 함수갑판에 75구경 30mm 기관포(엘리콘 KCB) 2문을 배치한 미 에머슨사제 유인 포탑, 후부 갑판실 위에 70구경 20mm 기관포 단장 포대, 선미 갑판에 Mk.3 40mm 단장 기관포 개방 포대를 탑재했다. 5~9차 사업분에서는 함정 후부 무장을 유인 포탑식 20mm 다포신 기관포로, 10~13차 사업분에서는 함수포를 유인 포탑식 60구경 40mm 단장 기관포로 변경했다.
1~4차 사업분 | 5~9차 사업분 | 10~13차 사업분 |
---|---|---|
75구경 30mm 2연장 기관포 × 1기 | 60구경 40mm 단장 기관포 × 1기 | |
60구경 40mm 단장 기관포 × 1기 | 20mm 다포신 기관포 × 2기 | |
70구경 20mm 단장 기관포 × 1기 |
3. 2. 제원 (일반)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함정인 참수리급 고속정의 기본 설계는 백구급 후기형을 축소시킨 것으로, 총 배수량은 170톤이다. 1978년부터 한진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에서 여러 모델이 건조되었다.참수리급 고속정은 1970년대에 북한의 상륙 작전에 대비한 대한민국의 연안 방어를 위한 기본 함정으로 설계되었다.[1] 참수리급은 무장이 다른 두 가지 설계로 나뉜다. PKM 201 소형급("PKM"은 "Patrol Killer Medium"의 약자)은 PKM 301 소형급보다 경량 무장을 탑재했다. 이 소형급들은 각각 "돌고래"형과 "야생고양이"형으로도 알려져 있다.[2]
함정의 길이는 전장 33.1m이며, 수선장은 31.25m이다. 폭은 6.92m이고, 흘수는 프로펠러 부분에서 1.75m, 최대 2.45m이다. 참수리급의 경하배수량은 113ton, 만재배수량은 156ton이다. 승조원은 장교 5명을 포함하여 31명이다.[3]
이 고속정은 두 개의 MTU 16V MD538 TU90 디젤 엔진으로 두 개의 프로펠러를 구동하며, 최대 10800bhp (정격 9000bhp)의 출력을 낸다. 전력 생산을 위해 50kW 디젤 발전기 2대를 갖추고 있다.[4] 참수리급은 최대 속력 38kn로 설계되었지만, 지속 속력은 32kn이다.[5] 항해거리는 32노트로 500nmi 또는 20노트로 1000nmi이다. 고속정은 15ton의 연료를 적재한다.[3] 초기형은 길이 33.1미터, 배수량 141톤이었으며, 1982년 발주된 5차 사업 건조분부터는 길이 37미터, 배수량 157톤으로 변경되었다. 엔진은 참새형 초계정과 유사한 고속 성능을 위해 MTU 16V538 TB90이 사용되었다.[3]
3. 3. 무장
참수리급 고속정의 무장은 초기형, 중기형, 후기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초기형: 함수에 30mm 에머슨 2연장 기관포 1문, 함미에 40mm 보포스 단장포 1문, 함교 후방에 20mm 단장 기관포 2문, M60 기관총 2정을 장착했다.
- 중기형: 함수에 30mm 에머슨 2연장 기관포 1문, 함미에 20mm 발칸포 2문, K-6 중기관총 2정을 장착했다.
- 후기형: 함수에 40mm 보포스 단장포 1문, 함미에 20mm 발칸포 2문, K-6 중기관총 2정을 장착했다.
이러한 무장은 함정의 운용 목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998년 동해 잠수정 사건 이후 소형 대잠폭뢰와 폭뢰 투하기가 추가되었다. 이는 기어링급 구축함 퇴역 후 남은 헤지호그를 개조한 것이다. 2002년 제2 연평해전 이후에는 M60 기관총이 K-6 중기관총으로 대체되었다.[15]
30mm 기관포는 덮개가 덮여 있으며, 항해 레이다가 좌표를 잡으면 사수가 조종한다. 이 때문에 빠르게 움직이는 목표물에는 제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60구경장 40mm 단장포는 자동 장전 체제이며, 수동 또는 사격통제장치를 이용해 자동 사격이 가능하다. 최대 발사 속도는 분당 300발, 최대 사정거리는 8.7km이다. 사수가 직접 조준하여 사격할 수도 있지만, 정확도가 낮아 주로 사통장비에 연결하여 자동 사격을 한다. 거센 파도 속에서도 10발 중 6~7발이 명중할 정도로 명중률이 높다. 실제 유효 사거리는 4km 안팎이며, 광학 조준경으로는 2km 이상에서 효과적인 사격이 어렵다. 발칸포 역시 수동 및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사거리는 2km 안팎이다. 자동 사격이 수동 사격보다 명중률이 훨씬 높다.[15]
주 상대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속정대의 서호급 호위함과 청진급 초계정은 85mm 고사포를[16] 탑재하고 있어 참수리급이 치명타를 맞을 시 격침될 수 있다. 그러나 참수리급의 40mm 단장포와 30mm 기관포로는 적함을 반파시킬 수는 있어도 격침시키기는 어렵다. 실제로 2002년 제2 연평해전 당시 조선인민군 해군 함선은 참수리급 고속정의 20mm, 40mm 포를 300발 이상 맞고도 살아남았다.
초기 계획에는 엑소세 MM38 함대함 미사일을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미국이 프랑스제 무기 탑재에 난색을 표하여 포병 무기만 탑재하게 되었다.
1~4차 사업분에서는 함수 갑판에 75구경 30mm 기관포(엘리콘 KCB) 2문씩 배치한 미 에머슨사제 유인 포탑, 함교 위에 70구경 20mm 기관포 단장 포대, 선미 갑판에 Mk.3 40mm 단장 기관포 개방 포대를 탑재했다. 5~9차 사업분에서는 함정 후부 무장을 유인 포탑식 20mm 다포신 기관포로, 10~13차 사업분에서는 함수포를 유인 포탑식 60구경 40mm 단장 기관포로 변경했다.
1~4차 사업분 | 5~9차 사업분 | 10~13차 사업분 |
---|---|---|
75구경 30mm 2연장 기관포 × 1기 | 60구경 40mm 단장 기관포 × 1기 | |
60구경 40mm 단장 기관포 × 1기 | 20mm 다포신 기관포 × 2기 | |
70구경 20mm 단장 기관포 × 1기 |
4. 운용 및 임무
참수리급 고속정은 백구급 후기형을 축소시킨 설계로, 총 배수량은 170톤이다. 1978년부터 한진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에서 여러 모델이 건조되었다. 참수리급 고속정은 건조 과정에서 대간첩전의 교훈을 바탕으로 무장 시스템을 변경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초기형, 중기형, 후기형으로 구분한다.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참수리급은 75척 정도이며, 대부분 노후화되었다. 초기형 5척은 필리핀 해군에 매각되었다. 2007년 기준, 참수리급은 30년 가까이 현역으로 운용 중이나 함의 수명이 다하고 노후화되어, 해군은 차기 고속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 우선 순위에서 밀려 2015년 정도까지는 참수리급을 계속 운용할 예정이다.
로우급 전력으로 개발된 참수리급 고속정은 기뢰부설함까지 76mm 함포를 장착하는 한국 해군에서는 화력이 약한 편이다. 따라서 구형 함선 위주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무력 충돌 시 대응 전력으로 적합하며, 작은 함체와 긴급 출항 용이성으로 인해 거의 모든 잡다한 업무에 투입된다. 현재 참수리급은 여름에 0척, 겨울에 0척으로 1개 조를 이루며, 포항급 초계함이나 동해급 초계함과 함께 운용된다. 이는 2002년 제2연평해전 당시 후방에 대기하던 포항급 초계함의 대응 지연으로 큰 피해를 입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포항급 또는 동해급 초계함의 사정거리 내에서 참수리급 고속정이 초계 활동을 하여 유사시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참수리급의 주요 임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속정대에 대한 견제이며, 그 외에 불법 어로 감시, 밀입국 감시, 간첩선 감시, 인원 이송 등의 업무도 수행한다. 취역 초기에는 대간첩선 작전에도 투입되었다. 2함대 기준으로 현재 참수리 2~3척씩 편대를 이루어 운영하고 있다. 사실상 해군의 거의 모든 잡무는 참수리급 고속정이 맡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5. 개량 및 차세대 사업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함정인 참수리급 고속정은 1978년부터 한진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되었으며, 건조 과정에서 대간첩전의 교훈을 바탕으로 무장 시스템을 변경하여 초기형, 중기형, 후기형으로 구분된다. 현재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참수리급은 75척 정도이며, 이 중 5척은 필리핀 해군에 매각되었다.
참수리급 고속정은 30년 가까이 현역으로 운용 중이나 함의 수명이 다하고 노후화되어, 해군은 차기 고속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참수리급은 로우(Low)급 전력으로 개발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과의 무력 충돌에 대응하는 전력으로 적합하며, 긴급 출항이 용이하여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고 있다.
5. 1. 개량
2002년 제2 연평해전을 계기로, 참수리급 고속정 개량 작업이 시작되었다. 1함대 및 2함대의 참수리급 45척에 대해 개량 작업이 완료되었으며, 주로 방어력 강화에 집중되었다.- 함교와 기관실에 이중 철판 장갑판이 추가되었다.
- 해군은 신형 케볼라 방탄 헬멧 650여 개를 구입하여 구형 헬멧을 교체했다.
- 화력 강화를 위해 M60 기관총 2정을 K-6 중기관총으로 교체했다.
- 소총수 보호용 방탄판이 6곳에 추가 설치되었다.
- 화재 및 침수에 대비하여 기존 60G/L 펌프를 250G/L 대용량 펌프로 교체했다.
- 해군본부와 직접 교신을 위해 위성통신체계를 장착했다.
5. 2. 차세대 사업
대한민국 해군은 주력 함정인 참수리급 고속정의 노후화로 인해 차기 고속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17] 2007년 6월 28일, 참수리급 고속정을 대체할 차기 고속함인 윤영하급 고속함(PKX-A) 1번함이 진수되었고, 2008년 12월 18일 해군에 인도되어 취역하였다.[17] 1번함 명칭은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윤영하 소령의 이름을 따 윤영하함으로 지어졌다.[17]2010년까지 윤영하급 고속함(PKX-A) 2번함에서 5번함이 STX조선에서 제작되어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며, 2011년까지 6번함에서 9번함까지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되어 인도될 예정이다.[17]
차세대 고속정은 윤영하급 고속함(PKX-A)과 검독수리급 스텔스 미사일 고속정(PKX-B)으로 이원화하여 개발 중이다.[17]
6. 사용 국가
참수리급 고속정은 대한민국 해군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다.
- 가나: 1척을 운용 중이다. 2011년에 대한민국으로부터 인수했으며, 함명은 '스티븐 오투(Stephen Otu)'이다.[14]
함번 | 함명 | 인수 | 취역 | 상태 |
---|---|---|---|---|
P33 | Stephen Otu영어 (구 PKM 237) | 2010년 | 2011년 1월 21일 | 현역 |
- 동티모르: 1척을 운용했다. 2011년에 대한민국으로부터 인수했으며, 함명은 '카메나사(Kamenassa)'였다. 2023년 7월 15일에 침몰하여 현재는 잠수함 난파선으로 활용되고 있다.[3][4]
- 방글라데시: 4척을 운용 중이다. 2000년과 2004년에 각각 2척씩 대한민국으로부터 인수했으며, 현재는 방글라데시 해안경비대에서 운용하고 있다.[2]
함번 | 함명 | 인수 | 취역 | 상태 |
---|---|---|---|---|
P1011 | Titasbn | 2000년 4월 | 2000년 5월 27일 | 운용 중 |
P1012 | Kusiyarabn | 운용 중 | ||
P1013 | Chitrabn | 2004년 | 2004년 10월 3일 | 운용 중 |
P1014 | Dhansiribn | 운용 중 |
- 카자흐스탄: 3척을 운용 중이다. 2005년에 대한민국으로부터 인수했으며, 함정당 100달러라는 상징적인 가격에 구매했다.[6] 인수 조건으로 모든 무장과 식별아군식별장치(IFF) 시스템은 제거되었다.
함번 | 함명 | 인수 | 취역 | 현황 |
---|---|---|---|---|
RK-031 | Shapshankk | 2005년 4월 | 2006년 3월 27일 | |
RK-032 | Batyrkk | |||
RK-033 | Ozhetkk (구 PKM 233) |
- 필리핀: 최소 8척을 대한민국으로부터 인도받았다. 1995년에 5척, 1998년에 1척, 2006년에 2척을 인도받았다.[7][8][9][10] 필리핀 해군에서 운용되는 참수리급 고속정은 한국 전쟁에서 공을 세운 필리핀 장교 및 병사들의 이름을 따서 토마스 바틸로급으로 불린다.[10] 2021년 3월 1일 기준으로, 이 급의 모든 함정은 필리핀 해군에서 퇴역했다.

- 대한민국: 대한민국 해군을 위해 총 101척(돌고래급 54척, 야생 고양이급 47척)이 건조되었다. 최초 함정은 1971년에서 1972년 사이에 취역했다. 2013년까지 74척이 운용 중이었으며, 현재는 윤영하급 고속함으로 대체되고 있다. 2002년 제2연평해전에서 침몰한 'PKM 357'정은 복원되어 박물관선으로 활용되고 있다.[1]
7. 참고 프로그램
참조
[1]
웹사이트
The PKM- 357 National Security Exhibition Pavilion
https://www.warmemo.[...]
The War Memorial of Korea
2023-08-21
[2]
잡지
The Cruel Sea
https://issuu.com/vi[...]
2016-09-01
[3]
웹사이트
East Timor Naval Force Receives Three Patrol Vessels from South Korea
http://rpdefense.ove[...]
RP Defense
2011-09-28
[4]
웹사이트
S Korea hands over decommissioned patrol boats to Timor Leste
http://news.xinhuane[...]
2011-09-26
[5]
웹사이트
Timor Leste's Newest Shipwreck
https://divetimor.co[...]
2023-07-18
[6]
웹사이트
Korea Sells Old Naval Patrol Ships for US$300
http://english.chosu[...]
2006-02-27
[7]
웹사이트
PKM 200 Sea Dolphin (Wild Cat) class patrol boats
http://www.janes.com[...]
Jane's
2012-08-29
[8]
웹사이트
Photograph
http://imgnews.naver[...]
Yonhap News Agency
2009-04-14
[9]
웹사이트
Modernization projects
http://www.afpmodern[...]
AFP Modernization Office
2009-03-18
[10]
웹사이트
List of commissioned ships
http://www.philfleet[...]
Philippine Fleet Website
2009-03-18
[11]
뉴스
군함 이름 짓기…김유신 장군은 자격 미달?
http://japan.hani.co[...]
2009-02-20
[12]
일반
[13]
일반
[14]
웹사이트
List of commissioned ships
http://www.philfleet[...]
Philippine Fleet Website
2009-03-18
[15]
일반
[16]
일반
[17]
뉴스
차세대고속함 건조업체에 한진중공업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8-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