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원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원필은 조선 중기의 인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의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오빠이다. 사포별제를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을사사화 이후 위사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윤원형, 윤원로 형제간의 갈등 속에서 관직을 버리고 낙향했으며, 사후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2. 생애

2. 1. 생애 초반

윤원필은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부인 전의 이씨의 아들로 교하군 와동에서 태어났다.[1] 할아버지는 내자시판관 윤욱이며, 외할아버지는 관찰사 이석숭이다. 좌의정 윤번의 5대손으로, 윤번의 다른 아들인 윤사분은 장경왕후의 증조부이자 윤임의 증조부가 된다. 윤원형, 윤원로의 친형이고, 문정왕후는 그의 여동생이었다.

사포별제로 관직에 진출하여 돈녕부직장, 북부, 종부시주부, 장원서주부, 장원서장원 등을 역임했다.[1] 이조판서 황헌 등은 윤원필, 윤원로 형제를 요직에 임명하며 외척의 권세를 이용하려 했다.[1]

외직으로 금성현령으로 나갔다가 부친상을 당하여 사직하고 3년상을 치렀다.[1] 이후 우위솔, 종묘서령, 장예원 찬의, 사의, 군자첨정, 개성부경력 등을 역임했다.

2. 2. 생애 후반

1534년(중종 38년) 부친 윤지임의 상을 당하여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3년상을 마친 후 복직했다.[2] 사섬서첨정, 광흥창수, 선공감, 예빈시, 사복시부정, 돈녕부정, 상의원정 등을 역임했다.[2] 1545년(명종 즉위년) 명종 즉위 직후 윤원형, 윤원로, 이기, 정순붕 등이 을사사화를 일으켜 대윤을 제거하자, 1546년(명종 1) 위사원종공신에 책록되고 절충장군, 행용양위대호군 겸오위도총부내승에 제수되었다.[2]

윤원형과 윤원로 사이에 알력이 생기자 윤원량의 이름도 언급되었다.[2] 1545년 윤원로가 파직당할 때 그의 아들 현감 윤위도 파직되었다가 그해 12월 1일 복직했다. 윤원필은 을사사화 이전부터 집에서 두문불출하고 담장을 높이 쌓고 칩거했다고 한다.[2]

1546년(명종 1년) 2월 9일 원종공신 자격으로 왕명에 의해 1계급 특진되었다.[2] 도총부 내승직에서 먼저 사퇴한 뒤 용양위대호군직도 사퇴했다.[2] 1547년(명종 2) 윤원로가 정계에서 제거되자, 윤원필도 관직을 버리고 낙향했다. 윤원필의 10대손 윤기는 그가 동기간의 갈등 속에서 명철하게 처신하여 벼슬을 버리고 물러났다고 평가했다.[2]

낙향한 지 얼마 안 되어 그해 5월 9일 교하의 사저에서 병으로 사망했다.[2]

2. 3. 사후

윤원필이 죽자 왕실에서는 부의를 하사하였다.[3] 이듬해 윤원로사약을 받고 죽은 뒤, 명종은 부의를 내릴 때 윤원필의 예를 따르라고 지시했다.[3] 사후 본인의 원종공신 공로로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지의금부사에 추증되었다. 묘는 경기도 교하군 와동면 당하리(현, 파주시 당하동) 정정공 일가 묘역에 아버지 윤지임과 부부인 이씨 묘소 근처 윗편 언덕에 부인 경주정씨와 합장되어 있다.

3. 가족 관계

윤사흔(尹士昕)의 후손으로, 그의 동생 윤사분의 증손이 대윤 윤임이다. 윤임은 장경왕후의 아버지 윤지임과는 8촌간으로, 윤원필에게는 9촌 숙질 관계가 된다.


  • 고조부 : 윤사흔(尹士昕)
  • 증조부 : 윤계겸(尹繼謙)
  • 할아버지 : 윤욱(尹頊)
  • 아버지 : 윤지임(尹之任)
  • 형 : 윤원개(尹元凱)
  • * 조카 : 윤기(尹紀)
  • * 조카 : 윤강(尹綱)
  • * 조카 : 윤씨, 구윤(具潤)의 처
  • 형 : 윤원량(尹元亮)
  • * 조카 : 윤소(尹紹, 1515년-1544년) 군수 역임
  • * 조카 : 윤찬(尹纘)
  • * 조카 : 윤치(尹緻)
  • * 조카 : 숙빈 윤씨(淑嬪 尹氏), 인종의 후궁
  • 동생 : 윤원로(尹元老)
  • * 조카 : 윤백원(尹百源)
  • * 조카 : 윤천원(尹千源)
  • * 조카 : 윤만원(尹萬源)
  • 동생 : 윤원형(尹元衡)
  • * 조카 : 윤계(尹繼)
  • * 조카 : 윤효원(尹孝源)
  • * 조카 : 윤충원(尹忠源)
  • * 조카 : 윤담연(尹覃淵)
  • 여동생 : 문정왕후, 중종의 셋째 부인
  • * 조카 : 의혜공주
  • * 조카 : 효순공주
  • * 조카 : 경현공주
  • * 조카 : 명종
  • * 조카 : 인순공주
  • 부인 : 경주정씨, 정찬(鄭纘)의 딸
  • * 장남 : 윤윤(尹綸)
  • * 차남 : 윤위(尹緯)
  • * 삼남 : 윤회(尹繪)
  • * 사남 : 윤집(尹緝)


여동생은 중종의 셋째 왕비 문정왕후이며, 형 윤원량의 딸은 인종의 후궁 숙빈 윤씨이다. 이러한 혼맥은 윤원필 가문이 권력의 핵심으로 부상하는 기반이 되었다.

3. 1. 부계

윤원필의 고조부는 윤사흔으로, 그의 동생 윤사분의 증손이 대윤 윤임이다. 증조부는 윤계겸(尹繼謙), 할아버지는 윤욱(尹頊), 아버지는 윤지임(尹之任)이다. 형제로는 윤원개(尹元凱), 윤원량(尹元亮), 윤원로(尹元老), 윤원형(尹元衡)이 있고, 여동생은 중종의 셋째 부인인 문정왕후이다. 문정왕후의 소생으로는 의혜공주, 효순공주, 경현공주, 명종, 인순공주가 있다. 부인은 경주정씨로 정찬(鄭纘)의 딸이며, 장남은 윤윤(尹綸), 차남은 윤위(尹緯), 삼남은 윤회(尹繪), 사남은 윤집(尹緝)이다.

3. 2. 처가

부인은 경주 정씨로 정찬(鄭纘)의 딸이다.

3. 3. 자녀

경주 정씨 정찬(鄭纘)의 딸과 혼인하여 아들 넷을 두었다. 장남은 윤윤(尹綸)이고, 차남은 윤위(尹緯), 삼남은 윤회(尹繪), 사남은 윤집(尹緝)이다.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4. 3. 중도진보적 관점의 평가

참조

[1] 역사기록 사헌부가 경주 부윤 권찬의 품계 개정과 우찬성 황헌의 교체를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아니하다 중종실록 1544-08-09
[2] 역사기록 상진·임권·지세방·구수담 등에게 각각 한 자급씩 올려주다 명종실록 1546-02-09
[3] 역사기록 윤원로에게 별치부하게 하다 명종실록 1548-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