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구기 와 티옹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구기 와 티옹오는 키쿠유족 출신 케냐 작가로, 소설, 희곡, 수필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사회 비판, 아프리카 전통 등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영어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나, 이후 기쿠유어로 글을 쓰며 아프리카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울지 마, 내 아이야』, 『밀알』, 『피의 꽃잎』 등이 있으며, 다양한 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자녀 중 4명 또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응구기 와 티옹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티옹오
2012년의 티옹오
출생 이름제임스 응구기
출생일1938년 1월 5일
출생지카미리이투, 케냐 식민지 (현재의 키암부 군, 케냐)
직업작가
언어영어, 스와힐리어, 키쿠유어
교육마케레레 대학교 (문학사)
리즈 대학교
배우자니에리
자녀무코마, 완지쿠 외
대표 작품울지 마라, 아이야 (1964); 강 사이 (1965); 밀알 (1967); 피의 꽃잎들 (1977); 마티가리 마 니루웅기 (1986); 무로기 와 카고고 (까마귀 마법사, 2006)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다른 이름웅기 와 지옹고, 제임스 구기, 제임스 웅기
수상
수상 내역세계 흑인 예술제 최우수 작품상(1966)
로터스 상(1973)
박경리 문학상(2016)
작품 활동
데뷔 작품『흑인의 구세주』

2. 생애

응구기 와 티옹오는 키암부 주 리무루 근처 카미리이투에서 키쿠유족 출신으로 태어났으며, 세례명은 '''제임스 응구기'''였다. 그의 가족은 마우마우 봉기에 휘말렸는데, 이복 형제 므왕기는 케냐 토지 및 자유 군대에 참여했다가 사망했고, 다른 형제는 비상 사태 중에 총에 맞았으며, 그의 어머니는 카미리이투 키쿠유 자경단 초소에서 고문을 받았다.[1]

나이로비에서 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림루에 있는 카밀리즈 마을 근처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완지쿠는 아버지 두우슈의 세 번째 아내였으며, 응구기에게는 이복형제를 포함하여 형제자매가 모두 28명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부모는 이혼했다. 어머니는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동복 형인 무안기는 케냐 독립을 요구하는 마우마우단 봉기에 참여했다.[4]

얼라이언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우간다 캄팔라에 있는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962년 마케레레에서 열린 아프리카 작가 회의에 참석했고, 그의 희곡 ''검은 은자''가 국립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회의에서 치누아 아체베에게 소설 ''사이에 흐르는 강''과 ''울지마, 아이야''의 원고를 읽어 달라고 요청했고, 이 소설들은 아프리카 작가 시리즈에 실리게 되었다. 1963년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영어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 1964년 ''Weep Not, Child|울지 마, 내 아이야영어''(「밤이 새도록」이라고도 함)를 발표하여 세계 흑인 예술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때는 기독교 신자로서 ''James Ngũgĩ''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같은 해 대학교를 졸업하고 기자로 활동했다.[4]

1964년 응구기의 데뷔 소설 ''울지마, 아이''가 출판되었으며, 이는 동아프리카 작가가 영어로 출판한 최초의 소설이었다.[21][22] 같은 해, 리즈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기 위해 영국으로 건너갔다. 1965년에는 두 번째 소설 ''두 강 사이''가 출판되었다.[21] 마우마우 봉기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은 케냐의 중등학교 교과 과정에 포함되기도 했다.[23][24][25] 응구기는 카리브 문학에 대한 논문을 완성하지 못하고 리즈를 떠났다.[26]

1967년 나이로비 대학교 영문학 교수로 부임하여 10년간 재직했다. 1969년에는 학생 시위에 대한 대학 당국의 조치에 항의하여 사임했다.[20] 1971년부터 1년간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아프리카 문학을 강의했다.[20] 귀국 후 나이로비 대학교 문학부 학과장이 되었다. 1973년 로터스상을 수상했다.

1967년 소설 ''밀알''(A Grain of Wheat)을 통해 파농주의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했음을 보여주었다.[27] 이후 영문학 저술과 제임스 응구기라는 이름을 식민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버렸다.[55] 1970년 '''응구기 와 티옹오'''로 개명하고,[28] 모국어인 기쿠유어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29] 나이로비 대학교 재직 시절 영어학과 폐지 논의를 주도하며 아프리카 문학 중심의 교육을 주장했다.[30]

1976년 카미리이투 공동체 교육 문화 센터 설립을 도왔다. 1977년 소설 ''피의 꽃잎'' 출판 후, 희곡 ''Ngaahika Ndeenda'' (''내가 원할 때 결혼하리'')가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이유로 다니엘 아랍 모이 당시 부통령의 명령으로 체포되어 카미티 최고 보안 교도소에 수감되었다.[31] 수감 중 화장지에 기쿠유어로 소설 ''십자가 위의 악마'' (''Caitaani mũtharaba-Inĩ'')를 썼다.[31]

1978년 석방되었으나,[20] 나이로비 대학교 복직이 거부되었고, 가족들은 괴롭힘을 당했다. 독재 정부의 불의에 대한 글쓰기로 인해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32] 감옥 생활은 미세레 기타에 무고와 공동 집필한 희곡 ''데단 키마티의 재판'' (1976)에 영감을 주었다.[33] 『내가 원할 때 결혼하리』는 케냐 지배 계급을 비난한 것으로 간주되어 상영이 금지되었고, 응구기는 정치범으로 구금되었다. 구금 중 "싸우는 반체제 작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1978년 조모 케냐타 케냐 초대 대통령 사망 후 석방되었지만, 나이로비 대학교 복직은 거부당했다. 체포를 계기로 영어와 결별하고, 아프리카 민족의 언어로 글을 쓰는 작가가 되었다.

1982년 케냐 쿠데타 미수 사건 당시 런던에 체류 중이던 응구기는 귀국 시 체포될 것이라는 경고를 받고 망명을 선택, 1988년까지 런던을 거점으로 활동했다. 망명 기간 동안 런던에 기반을 둔 케냐 정치범 석방 위원회(1982–98)에서 활동했다.[7][20] 1984년 바이로이트 대학교 객원 교수, 1985년 런던 이사링턴 자치구 작가 레지던시, 1986년 스톡홀름 드라마티스카 인스티튜트에서 영화를 공부했다.[20]

후기 작품으로는 감옥 일기 ''구금''(1981), 에세이 ''마음을 식민지화하다: 아프리카 문학에서의 언어 정치''(1986), 기쿠유 민담 바탕의 풍자극 ''마티가리''(1987) 등이 있다.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예일 대학교 객원 교수, 1992년 뉴욕 대학교 비교 문학 및 공연학 교수를 역임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국제 문학 번역 센터 초대 소장을 지냈다.[34]

2004년 케냐로 귀환했으나, 강도 사건으로 아내를 성폭행 당하는 피해를 입었다.[35] 2006년 신작 소설 ''까마귀의 마법사(Wizard of the Crow)''를 출판했다. 2006년 샌프란시스코 호텔에서 인종차별적 괴롭힘을 당해 호텔 측의 사과를 받았다.[36][37][38]

후기 저서로는 ''Globalectics: Theory and the Politics of Knowing''(2012), 에세이집 ''Something Torn and New: An African Renaissance''(2009), 자서전 ''Dreams in a Time of War: a Childhood Memoir''(2010)[40][41][42][43][44], ''In the House of the Interpreter: A Memoir''(2012) 등이 있다. ''완벽한 아홉(The Perfect Nine)''은 2021년 국제 부커 상 후보에 올랐다.[53][54] 2023년, 케냐 영어와 나이지리아 영어에 대한 질문에 "식민지화된 자가 식민지화자의 언어를 주장하려는 것은 노예화의 성공을 보여주는 징후"라고 답했다.[55]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38년 ~ 1964년)

응구기 와 티옹오는 키암부 주 리무루 근처 카미리이투에서 키쿠유족 출신으로 태어났으며, 세례명은 '''제임스 응구기'''이다. 그의 가족은 마우마우 봉기에 휘말렸다. 이복 형제 므왕기는 케냐 토지 및 자유 군대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가 사망했고, 다른 형제는 비상 사태 중에 총에 맞았으며, 그의 어머니는 카미리이투 키쿠유 자경단 초소에서 고문을 받았다.[1]

나이로비에서 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림루에 있는 카밀리즈 마을 근처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완지쿠는 아버지 두우슈의 세 번째 아내였으며, 응구기에게는 이복형제를 포함하여 형제자매가 모두 28명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부모는 이혼했다. 어머니는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동복 형인 무안기는 케냐 독립을 요구하는 마우마우단 봉기에 참여했다.[4]

그는 얼라이언스 고등학교에 다녔고, 이후 우간다 캄팔라에 있는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학생 시절 그는 1962년 6월 마케레레에서 열린 아프리카 작가 회의에 참석했고, 그의 희곡 ''검은 은자''는 이 행사의 일환으로 국립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회의에서 응구기는 치누아 아체베에게 그의 소설 ''사이에 흐르는 강''과 ''울지마, 아이야''의 원고를 읽어 달라고 요청했고, 이 소설들은 그 해 런던에서 아체베가 첫 번째 자문 편집자로 참여하여 출판된 헤인만의 아프리카 작가 시리즈에 실리게 되었다. 1963년 우간다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영어학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다.[1] 동아프리카 당시 최고 명문인 동아프리카 대학교(마케레레 대학교) 영문학과 재학 중 창작 활동을 시작하여, 1962년 '영어로 글을 쓰는 아프리카 작가 회의'에서 치누아 아체베, 랭스턴 휴즈 등과 교류했다. 1964년에 Weep Not, Child|울지 마, 내 아이야영어(「밤이 새도록」이라고도 함)를 발표, 해당 작품으로 세계 흑인 예술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때는 기독교 신자로서 ''James Ngũgĩ''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같은 해, 대학교를 졸업했다. 기자 활동을 거쳤다.[4]

2. 2. 영국 유학 및 초기 작품 활동 (1964년 ~ 1967년)

1964년 5월, 응구기의 데뷔 소설 ''울지마, 아이''가 출판되었으며, 이는 동아프리카 작가가 영어로 출판한 최초의 소설이었다.[21][22] 같은 해, 응구기는 리즈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기 위해 장학금을 받고 영국으로 건너갔다. 1965년에는 그의 두 번째 소설 ''두 강 사이''가 출판되었다.[21] 마우마우 봉기를 배경으로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사이의 불행한 로맨스를 묘사하는 ''두 강 사이''는 이전에 케냐의 전국 중등학교 교과 과정에 포함되어 있었다.[23][24][25]

응구기는 카리브 문학에 대한 논문을 완성하지 못하고 리즈를 떠났는데,[26] 그의 연구는 조지 래밍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1972년 에세이 모음집인 ''귀향''에서 응구기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는 백인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농민 반란의 잊을 수 없는 그림을 나에게 떠올렸다. 그리고 갑자기 나는 소설이 나에게 말을 걸 수 있고, 설득력 있는 절박함으로 내 속 깊은 곳의 끈을 건드릴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의 세계는 필딩, 디포, 스몰렛, 제인 오스틴, 조지 엘리엇, 디킨스, 로렌스의 세계만큼 나에게 낯설지 않았다."[21]

동아프리카 대학교(마케레레 대학교) 영문학과 재학 중 창작 활동을 시작한 응구기는 1962년 '영어로 글을 쓰는 아프리카 작가 회의'에서 치누아 아체베, 랭스턴 휴즈 등과 교류했다. 1964년에 Weep Not, Child|울지 마, 내 아이야영어를 발표하여 세계 흑인 예술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때는 기독교 신자로서 ''James Ngũgĩ''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같은 해 대학교를 졸업하고 기자로 활동했다. 1965년부터 3년간 영국 대사관 장학금으로 리즈 대학교에 유학하여 주로 서인도 문학을 전공했고, 같은 해 :en:The River Between을 발표했다.

2. 3. 귀국 및 작품 활동, 이념적 변화 (1967년 ~ 1976년)

1967년 응구기는 나이로비 대학교에서 영문학 교수로 가르치기 시작했다.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창작 문학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10년 동안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1969년에는 나이로비 대학교 학생 시위에 대한 대학 당국의 조치에 항의하여 사임했다.[20]

1971년부터 1년간, 미국의 노스웨스턴 대학교에 초빙되어 아프리카 문학을 강의했다.[20] 귀국 후 다시 나이로비 대학교 문학부에 근무했으며, 이후 문학과장이 되었다. 1973년 로터스상을 수상했다.

응구기는 1967년 소설 ''밀알''(A Grain of Wheat)을 통해 파농주의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했음을 보여주었다.[27] 이후 그는 영문학 저술과 제임스 응구기라는 이름을 식민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버렸다.[55] 1970년까지 그는 이름을 '''응구기 와 티옹오'''로 바꾸었고,[28] 모국어인 기쿠유어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29]

나이로비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응구기는 영어학과를 폐지하려는 논의의 촉매가 되었다. 그는 식민주의 종식 이후 아프리카의 대학교에서는 구술 문학을 포함한 아프리카 문학을 가르쳐야 하며, 이는 아프리카 언어의 풍요로움을 인식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30] 60년대 후반,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대학교는 영문학을 정규 과정에서 폐지하고, 아프리카 문학(구술 및 서면)을 중심으로 하는 과정으로 대체했다.[55]

2. 4. 투옥과 망명 (1977년 ~ 1992년)

1976년, 티옹오는 카미리이투 공동체 교육 문화 센터 설립을 도왔다. 이 센터는 특히 이 지역에서 아프리카 극장을 조직하는 데 기여했다. 이듬해에는 그의 소설 ''피의 꽃잎''이 출판되었다. 그의 강한 정치적 메시지와 응구기 와 미리와 공동 집필하여 1977년에 출판된 희곡 ''Ngaahika Ndeenda'' (''내가 원할 때 결혼하리'')는 당시 케냐 부통령 다니엘 아랍 모이가 그를 체포하도록 명령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의 희곡 사본과 함께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블라디미르 레닌의 책들도 압수되었다.[31] 그는 카미티 최고 보안 교도소로 보내졌고, 거의 1년 동안 재판 없이 갇혀 있었다.[31]

그는 다른 정치범들과 함께 감방에 수감되었다. 수감 기간 중 일부 동안, 그들은 하루에 한 시간 햇빛을 볼 수 있었다. 응구기는 "이 구내는 '정치적으로 정신 이상자'를 위한 우리로 사용되기 전에 정신 이상자 수감자를 위한 곳이었다"고 썼다. 그는 글쓰기에서 위안을 찾았고, 감옥에서 지급된 화장지에 기쿠유어로 쓰여진 최초의 현대 소설인 ''십자가 위의 악마'' (''Caitaani mũtharaba-Inĩ'')를 썼다.[31]

1978년 12월 석방된 후,[20] 그는 나이로비 대학교 교수로 복직되지 않았고, 그의 가족은 괴롭힘을 당했다. 당시 독재 정부의 불의에 대한 그의 글쓰기 때문에 응구기와 그의 가족은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 아랍 모이가 2002년에 퇴임한 후에야 그들이 안전하게 케냐로 돌아갈 수 있었다.[32]

감옥에 있는 동안 응구기는 희곡과 다른 작품을 영어로 쓰는 것을 중단하고 모국어인 기쿠유어로 모든 창작물을 쓰기 시작하기로 결정했다.[20] 그의 감옥 생활은 미세레 기타에 무고와 공동으로 쓴 희곡 ''데단 키마티의 재판'' (1976)에 영감을 주었다.[33]

『내가 원할 때 결혼하리』는 응구기 와 미리에와의 공동 작품이었다. 이 작품은 문화와 경제 향상을 목적으로 한 마을 부흥 활동의 일환으로, 문자 교육 참가자들이 출연했다. 이야기는 부유한 농장에서 일하는 가난한 농부가 지배 계급에 의해 토지를 잃고, 금전욕과 물질욕이 사회악임을 깨닫는다는 내용이었다. 상영에는 2만 명을 모아 당시 케냐 역사상 최대 관객 동원 수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 내용이 독립 후 케냐의 지배 계급을 비난한 것으로 간주되어 1977년 11월에 상영이 금지되었고, 응구기는 12월에 정치범으로 구금되었다. 구금 중에는 화장지에 키쿠유어로 소설 『십자가 위의 악마』 ''Caitaani mutharaba-Ini'' (1980년 발표)를 쓰는 등, "싸우는 반체제 작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1978년 조모 케냐타 케냐 초대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1년 만에 석방되었지만, 나이로비 대학교로 복직은 거부당했다. 체포를 계기로 영어와 결별하고, 진정한 아프리카 문학은 아프리카 민족의 여러 언어로 쓰여져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키쿠유어 작가가 되었다. 스스로는 이 전환을 "과거와의 인식론적 단절"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1982년 8월 케냐 쿠데타 미수 사건이 일어났다. 당시 응구기 와 티옹오는 런던에 머물고 있었는데, 친구로부터 귀국하면 체포될 것이라는 경고를 받아 망명을 선택, 1988년까지 런던을 거점으로 활동했다.

2. 5. 망명 생활과 작품 활동 (1982년 ~ 2004년)

응구기는 망명 기간 동안 런던에 기반을 둔 케냐 정치범 석방 위원회(1982–98)에서 활동했다.[7][20] 이 시기에 왕구이 와 고로가 영어로 번역한 ''마티가리''가 출판되었다. 1984년에는 바이로이트 대학교의 객원 교수였으며, 이듬해에는 런던 이사링턴 자치구의 작가 레지던시였다.[20] 1986년에는 스톡홀름에 있는 드라마티스카 인스티튜트에서 영화를 공부했다.[20]

그의 후기 작품으로는 감옥 일기인 ''구금''(1981), 아프리카 작가들이 유럽 언어 대신 모국어로 표현하여 남아있는 식민지적 유대를 거부하고 진정한 아프리카 문학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에세이 ''마음을 식민지화하다: 아프리카 문학에서의 언어 정치''(1986), 왕구이 와 고로가 번역한 기쿠유 민담 바탕의 풍자극 ''마티가리''(1987)가 있다. ''마티가리''는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다.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예일 대학교의 영어 및 비교 문학 객원 교수였다.[20] 1992년에는 남아프리카 작가 회의에 초청되어 므지 마홀라와 함께 즈와이드 타운십에서 시간을 보냈으며, 같은 해 뉴욕 대학교에서 비교 문학 및 공연학 교수가 되어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석좌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의 국제 문학 번역 센터 초대 소장이었다.[34]

2. 6. 귀환과 최근 활동 (2004년 ~ 현재)

응구기, 2019년 의회 도서관에서 낭독


2004년 8월 8일, 응구기는 한 달간의 동아프리카 순방의 일환으로 케냐로 돌아왔다. 8월 11일, 강도들이 그의 고도의 보안 아파트에 침입하여 응구기를 폭행하고 아내를 성폭행했으며, 귀중품을 훔쳐갔다.[35] 응구기가 한 달간의 여행을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왔을 때, 범죄 혐의로 응구기의 조카를 포함한 5명이 체포되었다.[32] 2006년 북반구 여름, 미국의 출판사 랜덤 하우스는 그가 거의 20년 만에 발표하는 신작 소설인 ''까마귀의 마법사(Wizard of the Crow)''를 출판했으며, 이 책은 저자가 기쿠유어로 번역한 것이다.

2006년 11월 10일, 응구기는 샌프란시스코의 엠바카데로에 있는 호텔 비탈에서 직원에 의해 괴롭힘을 당하고 호텔에서 나가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 사건은 공분을 일으켰고, 미국에 거주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구성원들을 분노하게 했으며,[36][37] 이로 인해 호텔 측은 사과했다.[38]

그의 후기 저서로는 ''Globalectics: Theory and the Politics of Knowing''(2012)과 2009년에 출판된 에세이 모음집인 ''Something Torn and New: An African Renaissance''가 있으며, 이 책에서는 아프리카 언어가 "아프리카 기억의 부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Publishers Weekly''는 "응구기의 언어는 신선하며, 그가 제기하는 질문은 심오하며, 그가 주장하는 바는 명확하다. '언어를 굶주리게 하거나 죽이는 것은 한 민족의 기억 은행을 굶주리게 하고 죽이는 것이다.'"라고 평했다.[39]

이어서 그는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은 두 권의 자서전적인 작품을 발표했다. ''Dreams in a Time of War: a Childhood Memoir''(2010)[40][41][42][43][44]과 ''In the House of the Interpreter: A Memoir''(2012)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서 "훌륭하고 필수적인" 작품으로 묘사되었으며,[45] 그 외에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46][47][48]

그의 저서 ''완벽한 아홉(The Perfect Nine)''은 원래 기쿠유어로 쓰여져 ''Kenda Muiyuru: Rugano Rwa Gikuyu na Mumbi''(2019)로 출판되었으며, 2020년 출판을 위해 응구기가 영어로 번역했고, 이는 그의 민족의 기원 이야기를 서사시로 재해석한 것이다.[49]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이 책을 "민속, 신화, 알레고리를 명확하게 페미니스트적이고 범아프리카적인 시각으로 탐구하는 운문 소설"로 묘사했다.[50] ''World Literature Today''는 "응구기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숭고함, 개인적 용기의 필요성, 효의 중요성, 그리고 세계 종교를 초월하는 신성함과 통일성을 나타내는 존재인 숭고한 기증자에 대한 감각을 강조하는 기쿠유 신화를 아름답게 재현한다. 이 모든 것들이 역동적인 시구로 융합되어 ''완벽한 아홉''을 기적과 인내의 이야기, 현대성과 신화의 연대기, 시작과 끝에 대한 성찰, 그리고 고대와 현대의 기억의 팔림세스트로 만들며, 응구기는 케냐의 기쿠유 민족의 기원 신화에 완벽한 아홉의 여성적 힘을 투사하여 서사시 형태의 감동적인 연출을 선보인다."라고 평했다.[51] ''가디언''에 글을 쓴 피오나 셈슨은 이 작품이 " '고급 예술'과 전통적인 스토리텔링 사이의 구분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매우 드문 필요, 즉 삶에 의미가 있다는 감각을 제공하는 아름다운 통합 작품"이라고 결론지었다.[52]

2021년 3월, ''완벽한 아홉''은 원주민 아프리카 언어로 쓰여진 작품 중 처음으로 국제 부커 상 후보에 올랐으며, 응구기는 이 책의 저자이자 번역가로서 처음으로 후보에 지명되었다.[53][54]

2023년, 케냐 영어와 나이지리아 영어가 이제 현지 언어가 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구기 와 티옹오는 "그것은 노예가 된 사람이 자신의 노예화가 현지 버전이어서 기뻐하는 것과 같다. 영어는 아프리카 언어가 아니다. 프랑스어도 아니고 스페인어도 아니다. 케냐 영어 또는 나이지리아 영어는 터무니없다. 그것은 정상적인 비정상의 한 예이다. 식민지화된 자가 식민지화자의 언어를 주장하려는 것은 노예화의 성공을 보여주는 징후이다."라고 답했다.[55]

3. 작품 세계와 주요 주제

응구기 와 티옹오는 1967년 소설 ''밀알''(A Grain of Wheat)에서 파농주의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했음을 보여주었다.[27] 이후 식민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영어로 글을 쓰는 것과 제임스 응구기라는 이름을 버리고,[55] 1970년 '''응구기 와 티옹오'''로 개명했다.[28] 그리고 모국어인 기쿠유어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29]

나이로비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응구기는 영어학과 폐지를 주장했다. 그는 식민주의 종식 이후 아프리카 대학교에서는 구술 문학을 포함한 아프리카 문학을 가르쳐야 하며, 이는 아프리카 언어의 풍요로움을 인식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0]

1977년, 『血の花びら|피의 꽃잎일본어(Petals of Blood)』가 반체제적이라는 이유로 모이 부통령으로부터 모어인 키쿠유어로 된 민중극 『したい時に結婚するわ|결혼은 하고 싶을 때일본어(Ngaahika Ndeenda)』의 상영 금지 처분을 받고 정치범으로 구금되었다.

1978년 조모 케냐타 케냐 초대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1년 만에 석방되었지만, 나이로비 대학교 복직은 거부당했다. 체포를 계기로 영어와 결별하고, 진정한 아프리카 문학은 아프리카 민족의 여러 언어로 쓰여져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키쿠유어 작가가 되었다.

3. 1.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응구기 와 티옹오는 1967년 소설 ''밀알''(A Grain of Wheat)에서 파농주의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했음을 보여주었다.[27] 이후 그는 영문학 저술과 제임스 응구기라는 이름을 식민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버렸다.[55] 1970년, 그는 이름을 '''응구기 와 티옹오'''로 바꾸었고,[28] 모국어인 기쿠유어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29]

나이로비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응구기는 영어학과 폐지 논의의 촉매가 되었다. 그는 식민주의 종식 이후 아프리카 대학교에서는 구술 문학을 포함한 아프리카 문학을 가르쳐야 하며, 이는 아프리카 언어의 풍요로움을 인식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30] 1960년대 후반,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대학교는 영문학을 정규 과정에서 폐지하고, 아프리카 문학(구술 및 서면)을 중심으로 하는 과정으로 대체했다.[55]

1977년, 『血の花びら|피의 꽃잎일본어(Petals of Blood)』가 반체제적이라는 이유로, 부통령 모이로부터 모어인 키쿠유어로 된 민중극 『したい時に結婚するわ|결혼은 하고 싶을 때일본어(Ngaahika Ndeenda)』의 상영 금지 처분을 받고 정치적인 구금을 당했다.

『결혼은 하고 싶을 때』는 응구기 와 미리에와의 공동 작품이었다. 이 작품은 문화와 경제 향상을 목적으로 한 마을 부흥 활동의 일환으로, 문자 교육 참가자가 출연했다. 이야기는 부유한 농장에서 일하는 가난한 농부가 지배 계급에 의해 토지를 잃고, 금전욕과 물질욕이 사회악임을 깨닫는다는 내용이었다. 상영에는 2만 명을 모아, 당시 케냐 역사상 최대 관객 동원 수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 내용이 독립 후 케냐의 지배 계급을 비난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1977년 11월에 상영이 금지되었고, 응구기는 12월에 정치범으로 구금되었다. 구금 중에는 화장지에 키쿠유어로 소설 『십자가 위의 악마』 ''Caitaani mutharaba-Ini'' (1980년 발표)를 쓰는 등, "싸우는 반체제 작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1978년 조모 케냐타 케냐 초대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1년 만에 석방되었지만, 나이로비 대학교 복직은 거부당했다. 체포를 계기로 영어와 결별하고, 진정한 아프리카 문학은 아프리카 민족의 여러 언어로 쓰여져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키쿠유어 작가가 되었다. 스스로는 이 전환을 "과거와의 인식론적 단절"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3. 2. 사회 비판과 정치 참여

응구기 와 티옹오는 1967년 소설 ''밀알''(A Grain of Wheat)을 통해 파농주의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했음을 보여주었다.[27] 그는 영문학 저술과 제임스 응구기라는 이름을 식민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버리고,[55] 1970년에 '''응구기 와 티옹오'''로 이름을 바꾸고,[28] 모국어인 기쿠유어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29]

나이로비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응구기는 영어학과 폐지를 주장했다. 그는 식민주의 종식 이후 아프리카 대학교에서는 구술 문학을 포함한 아프리카 문학을 가르쳐야 하며, 아프리카 언어의 풍요로움을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0]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60년대 후반, 대학교는 영문학을 정규 과정에서 폐지하고 아프리카 문학 중심으로 과정을 대체했다.[55]

1976년, 티옹오는 카미리이투 공동체 교육 문화 센터 설립을 도왔는데, 이 센터는 이 지역에서 아프리카 극장을 조직하는 데 기여했다. 1977년에는 ''피의 꽃잎''이 출판되었다. 그의 강한 정치적 메시지와 응구기 와 미리와 공동 집필한 희곡 ''Ngaahika Ndeenda'' (''내가 원할 때 결혼하리'')는 당시 케냐 부통령 다니엘 아랍 모이가 그를 체포하도록 명령하는 결과를 낳았다.[31] 그는 카미티 최고 보안 교도소에 প্রায় 1년 동안 재판 없이 갇혀 있었다.[31] 감옥에서 그는 화장지에 기쿠유어로 ''십자가 위의 악마'' (''Caitaani mũtharaba-Inĩ'')를 썼다.[31]

1978년 12월 석방 후,[20] 그는 나이로비 대학교 교수로 복직되지 못했고, 가족들은 괴롭힘을 당했다. 독재 정부의 불의에 대한 글 때문에 응구기와 가족은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32] 감옥에 있는 동안 응구기는 희곡과 다른 작품을 영어로 쓰는 것을 중단하고 모국어인 기쿠유어로 모든 창작물을 쓰기로 결정했다.[20] 그의 감옥 생활은 희곡 ''데단 키마티의 재판'' (1976)에 영감을 주었다. 그는 미세레 기타에 무고와 공동으로 이 작품을 썼다.[33]

망명 기간 동안 응구기는 런던에 기반을 둔 케냐 정치범 석방 위원회(1982–98)에서 활동했다.[7][20] 그의 후기 작품으로는 감옥 일기인 ''구금''(1981), 아프리카 작가들이 유럽 언어 대신 모국어로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에세이 ''마음을 식민지화하다: 아프리카 문학에서의 언어 정치''(1986) 등이 있다.

3. 3. 아프리카 전통과 민중의 삶

응구기는 1967년 소설 ''밀알(A Grain of Wheat)''에서 파농주의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했음을 보여주었다.[27] 이후 그는 영문학 저술과 제임스 응구기라는 이름을 식민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버렸다.[55] 1970년까지 그는 이름을 '''응구기 와 티옹오'''로 바꾸었고,[28] 모국어인 기쿠유어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29]

1967년, 응구기는 나이로비 대학교에서 영문학 교수로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는 메케레에서 창작 문학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10년 동안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이 기간 동안 그는 1년 동안 노스웨스턴 대학교 영어 및 아프리카 연구 부서에서 초빙 강사로도 활동했다.[20]

나이로비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응구기는 영어학과를 폐지하려는 논의의 촉매제가 되었다. 그는 식민주의 종식 이후 아프리카의 대학교에서는 구술 문학을 포함한 아프리카 문학을 가르쳐야 하며, 이는 아프리카 언어의 풍요로움을 인식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30] 60년대 후반,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대학교는 영문학을 정규 과정에서 폐지하고, 아프리카 문학(구술 및 서면)을 중심으로 하는 과정으로 대체했다.[55]

4. 주요 작품 목록

제목원제출판 연도번역자(한국어판)비고
울지마, 아이Weep Not, Child1964년미야모토 마사오키
그 사이의 강The River Between1965년키타지마 요시노부
밀알A Grain of Wheat1967년, 1992년고바야시 신지로
피의 꽃잎Petals of Blood1977년
십자가 위의 악마Caitaani Mutharaba-Ini, Devil on the Cross1980년
마티가리Matigari ma Njiruungi, Matigari1986년왕구이 와 고로(Wangui wa Goro) (영어 번역)
까마귀의 마법사Mũrogi wa Kagogo, Wizard of the Crow2006년
완벽한 아홉: 기쿠유와 뭄비의 서사시The Perfect Nine: The Epic of Gĩkũyũ and Mũmbi2020년
어둠 속의 만남A Meeting In The Dark1974년[85]
은밀한 삶, 그리고 다른 이야기들Secret Lives, and Other Stories1976년, 1992년[86]
영광의 순간들, 그리고 다른 이야기들Minutes of Glory and Other Stories2019년[87]
검은 은둔자The Black Hermit1963년
내일 이 시간에This Time Tomorrow1970년"내일 이 시간에", "반역자들", "마음의 상처" 수록
귀향: 아프리카 및 카리브해 문학, 문화 및 정치에 관한 에세이Homecoming: Essays on African and Caribbean Literature, Culture, and Politics1972년
데단 키마티의 재판The Trial of Dedan Kimathi1976년미체레 기타에 무고(Micere Githae Mugo) 및 Njaka와 함께
응가히카 뉜다: 이타코 리아 응에레카노 (원할 때 결혼하리라)Ngaahika Ndeenda: Ithaako ria ngerekano (I Will Marry When I Want)1977년, 1982년응구기 와 미리(Ngũgĩ wa Mirii)와 함께
엄마, 나를 위해 노래해 줘Mother, Sing For Me1986년
구금: 작가의 감옥 일기Detained: A Writer's Prison Diary1981년
전쟁의 시대의 꿈: 어린 시절의 회고록Dreams in a Time of War: a Childhood Memoir2010년
통역가의 집에서: 회고록In the House of the Interpreter: A Memoir2012년
꿈 직조기의 탄생: 작가의 각성 회고록Birth of a Dream Weaver: A Writer's Awakening2016년
악마와 레슬링: 감옥 회고록Wrestling with the Devil: A Prison Memoir2018년
국가 문화 교육Education for a National Culture1981년[85]
펜의 배럴: 신식민주의 케냐의 억압에 대한 저항Barrel of a Pen: Resistance to Repression in Neo-Colonial Kenya1983년[85]
신식민주의에 반하는 글쓰기Writing against Neo-colonialism1986년[85]
탈식민주의적 사고: 아프리카 문학에서의 언어 정치Decolonising the Mind: The Politics of Language in African Literature1986년미야모토 마사오키, 쿠스노세 요시코
중심 이동: 문화적 자유를 위한 투쟁Moving the Centre: The Struggle for Cultural Freedom1993년
펜 포인트, 총 포인트 그리고 꿈: 탈식민 아프리카에서 문학과 권력의 수행Penpoints, Gunpoints and Dreams: Towards a Critical Theory of the Arts and the State in Africa1998년[91]
찢어지고 새로운 무언가: 아프리카 르네상스Something Torn and New: An African Renaissance2009년[92]
글로벌렉틱스: 이론과 앎의 정치Globalectics: Theory and the Politics of Knowing2012년
베이스 확보: 세계에서 아프리카를 가시화하기Secure the Base: Making Africa Visible in the World2016년
언어의 언어The Language of Languages2023년
응잠바 네네와 하늘을 나는 버스Njamba Nene and the Flying Bus1986년왕구이 와 고로 (번역)[93]
응잠바 네네와 잔혹한 추장Njamba Nene and the Cruel Chief1988년왕구이 와 고로 (번역)
응잠바 네네의 권총Njamba Nene's Pistol1990년
똑바로 선 혁명, 또는 인간이 왜 똑바로 걷는가The Upright Revolution, Or Why Humans Walk Upright2019년


5. 수상 및 영예

연도수상 및 영예
1963년동아프리카 소설상
1964년세네갈 다카르에서 열린 제1회 흑인 예술 세계 축제에서 데뷔 소설 울지마 아이로 유네스코 첫 번째 상 수상[1]
1973년카자흐스탄 알마아타에서 문학 로터스 상 수상[2]
1992년
(4월 6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예술적 탁월성, 정치적 양심, 청렴성을 기리는 폴 로베슨 상 수상[3]
1992년
(10월)
뉴욕 대학교에서 뛰어난 학문적 성과, 대학 사회와 직업에서의 강력한 리더십, 교육적 사명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아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언어학 교수로 임명[4]
1993년가나 아크라에서 흑인 연구 전국 위원회가 수여하는 예술 및 학문적 업적을 기리는 조라 닐 허스턴-폴 로베슨 상 수상[5]
1994년
(10월)
흑인 문학 예술에 대한 중요한 기여를 기리는 그웬돌린 브룩스 센터 공헌자 상 수상[6]
1996년예술적 탁월성과 인권에 대한 폰론-니콜스 상, 뉴욕 수상[7]
2001년Nonino 국제 문학상 수상[8]
2002년짐바브웨 국제 도서 박람회에서 "20세기의 12권의 최고의 아프리카 도서" 선정[9]
2002년
(7월)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UCI) 영어 및 비교 문학 명예 교수 임명[10]
2002년
(10월)
이탈리아 리미니의 피오 만주 센터 국제 과학 위원회에서 수여하는 이탈리아 내각 대통령 메달 수상[11]
2003년
(5월)
미국 예술 및 문학 아카데미 명예 외국인 회원[12]
2003년
(12월)
아프리카 사회 과학 연구 개발 위원회 (CODESRIA) 명예 종신 회원[13]
2004년
(2월 23-28일)
인문학 연구 센터 방문 연구원[14]
2006년마법사의 까마귀타임지의 올해의 책 10선 (유럽판)에서 3위[15]
2006년마법사의 까마귀이코노미스트의 올해의 최고의 책 중 하나로 선정[16]
2006년마법사의 까마귀Salon.com의 올해의 최고의 소설로 선정[17]
2006년마법사의 까마귀가 리트-블로그 협동 조합의 2007년 겨울 "이것을 읽으세요!"의 수상작으로 선정; 문학 살롱[18]
2006년마법사의 까마귀워싱턴 포스트의 올해의 즐겨찾는 도서에 선정[19]
2007년마법사의 까마귀 - 독립 외국 소설상 최종 후보[20]
2007년마법사의 까마귀 - NAACP 문학상 소설 부문 최종 후보[21]
2007년마법사의 까마귀 - 2007년 영연방 작가상 최고 도서 – 아프리카 부문 최종 후보[22]
2007년마법사의 까마귀 - 2007년 캘리포니아 도서상 소설 부문 금메달 수상[23]
2007년마법사의 까마귀 - 2007년 아스펜 문학상[24]
2007년마법사의 까마귀 - 2007년 허스턴/라이트 레거시 흑인 문학상 최종 후보[25]
2008년마법사의 까마귀가 2008년 임팩 더블린 상 후보로 지명[26]
2008년
(4월 2일)
타는 불꽃의 원로 훈장 (케냐 메달 – 로스앤젤레스 주재 케냐 대사 수여)[27]
2008년
(10월 24일)
아프리카를 위한 그린자네 상[28]
2008년하와이 대학교 마노아의 댄 앤 매기 이노우에 민주적 이상 명예 석좌[29]
2009년맨 부커 국제상 최종 후보[30]
2011년
(2월 17일)
아프리카 채널 문학 업적상[31]
2012년통역가의 집으로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상 (자서전 부문 최종 후보)[32]
2012년
(3월 31일)
W.E.B. 듀 보이스 상, 뉴욕 국립 흑인 작가 회의[33]
2013년
(10월)
UCI 메달[34]
2014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35]
2014년니콜라스 기옌 평생 공로 철학 문학상 수상[36]
2014년
(11월 16일)
뉴욕 아키펠라고 북스의 10주년 갈라 행사에서 헌정[37]
2016년박경리 문학상 수상[38]
2016년
(12월 14일)
케냐 국립 극장에서 열린 사나 극장 어워드/평생 공로상 수상, 케냐 연극계의 탁월함 인정[39]
2017년로스앤젤레스 북 리뷰/UCR 창작 문학 평생 공로상[40]
2018년작품 전체에 대한 GPLA 2018년 메세나 그랑프리[41]
2019년아프리카 언어에 대한 용감한 업적과 옹호를 기리는 카탈루냐 국제상[42]
2021년더 퍼펙트 나인으로 인터내셔널 부커 상 최종 후보[43]
2021년왕립 문학 협회 국제 작가로 선출[44]
2022년국제 문학 공로 펜/나보코프 상 수상[45]


6. 가족 관계

응구기 와 티옹오는 슬하에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그 중 티 응구기, 무코마 와 응구기, 은두추 와 응구기, 완지쿠 와 응구기 4명은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56][50]

2024년 3월, 무코마 와 응구기는 트위터에 그의 아버지가 생전에 어머니를 신체적으로 학대했다는 글을 게시했다.[57][58]

참조

[1] 웹사이트 Ngũgĩ wa Thiong'o: 'Europe and the West must also be decolonised' https://www.youtube.[...] 2019-09-10
[2] 웹사이트 Ngũgĩ wa Thiong'o: A Profile of a Literary and Social Activist http://www.ngugiwath[...] ngugiwathiongo.com 2009-03-20
[3] 백과사전 African literature; search for Ngugi wa Thiong'o https://www.britanni[...] 2022-12-02
[4]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ranslation and Activism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1-09-28
[5] 웹사이트 Jalada Translation Issue 01: Ngũgĩ wa Thiong'o https://jaladaafrica[...] 2016-03-22
[6] 서적 Decolonising the Mind: The Politics of Language in African Literature 1994
[7] 웹사이트 Committee for the Release of Political Prisoners in Kenya Collection: 1975-1998 https://catalogue.ge[...] George Padmore Institute 2024-05-04
[8] 뉴스 Despite the Criticism, Ngugi is 'Still Best Writer http://allafrica.com[...] AllAfrica 2010-11-08
[9] 뉴스 Kenyan author sweeps in as late favourite in Nobel prize for literatur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10-05
[10] 뉴스 Ngugi wa Thiong'o: a major storyteller with a resonant development messag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10-06
[11] 웹사이트 MUKOMA WA NGUGI http://www.mukomawan[...]
[12] 뉴스 A Family Affair at Calabash: Lit Fest hosts First Family of Kenyan Letters https://www.jamaicao[...] 2021-04-04
[13] 간행물 Biografski dodaci http://dhk.hr/casopi[...] 1978-12
[14] 서적 Ngũgĩ wa Thiong'o, gender, and the ethics of postcolonial reading 2010
[15] 웹사이트 The First Makerere African Writers Conference 1962 http://www.90.mak.ac[...] Makerere University 2018-05-13
[16] 웹사이트 Penpoints, Gunpoints, and Dreams: A history of creative writing instruction in East Africa http://chimurengachr[...] Chimurenga Who No Know Go Know 2017-04-18
[17] 뉴스 Namibian Literature at the Cross Roads https://web.archive.[...] New Era 2008-04-18
[18] 뉴스 African Writers, Readers, Historians Gather In London https://www.pmnewsni[...] PM News 2017-10-27
[19] 서적 Urban Obsessions, Urban Fears: The Postcolonial Kenyan Novel https://books.google[...] Africa World Press
[20] 웹사이트 About Profile of a Literary and Social Activist http://ngugiwathiong[...] Ngũgĩ wa Thiong’o website
[21] 간행물 Ngũgĩ, Leeds and the Establishment of African Literature http://lucas.leeds.a[...] Leeds African Studies Bulletin 2012-12
[22] 서적 A New Reader's Guide to African Literature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983
[23] 웹사이트 Kenya: Publishers Losing Millions to Pirates http://allafrica.com[...] 2008-04-02
[24] 웹사이트 Kenya: Ngugi Book Causes Rift Between Publishers http://allafrica.com[...] 2007-11-25
[25] 잡지 Ngugi Wa Thiong'o Man of Letters https://issuu.com/ww[...] University of Leeds 2013-02-15
[26] 서적 Author Biography https://books.google[...] Gale 2000
[27] 웹사이트 A Grain of Wheat Summary https://www.litchart[...] 2022-08-28
[28] 간행물 Reviewed Work(s): The Emergence of African Fiction by Charles R. Larson https://www.jstor.or[...]
[29] 웹사이트 Ngugi wa Thiong'o (b. James Ngugi, 1938) http://coursesite.uh[...]
[30] 서적 Texts and Their Worlds Ii https://books.google[...] Foundation Press
[31] 서적 Devil on the cross https://www.worldcat[...] 2017
[32] 뉴스 Kenya exile ends troubled visit http://news.bbc.co.u[...] BBC 2004-08-30
[33] 서적 Ngugi wa Thiong'o, Gender, and the Ethics of Postcolonial Reading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34] 웹사이트 Out of Africa, a literary voice https://www.ocregist[...] 2020-12-25
[35] 뉴스 The Outsider: an interview with Ngũgĩ wa Thiong'o http://books.guardia[...] 2010-05-20
[36] 뉴스 The Incident at Hotel Vitale, San Francisco, California, Friday, November 10, 2006 https://web.archive.[...] Africa Resource 2009-02-05
[37] 뉴스 ROUGHED UP ON THE WATERFRONT https://ocweekly.com[...] 2019-02-04
[38] 뉴스 The Hotel Responds to the Racist Treatment of Professor Ngũgĩ wa Thiong'o https://web.archive.[...] Africa Resource 2010-10-06
[39] 간행물 Something Torn and New: An African Renaissance http://www.publisher[...] Publishers Weekly 2009-01-26
[40] 뉴스 Dreams in a Time of War, By Ngugi wa Thiong'o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0-03-26
[41] 뉴스 Dreams in a Time of War by Ngugi wa Thiong'o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7-03
[42] 뉴스 Dreams in a Time of War: a Childhood Memoir by Ngugi wa Thiong’o: review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0-04-27
[43] 뉴스 Marie Arana reviews 'Dreams in a Time of War' by Ngugi wa Thiong'o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0-03-10
[44] 웹사이트 Dreams in a Time of War http://www.complete-[...]
[45] 뉴스 Ngugi wa Thiong'o soars 'In the House of the Interpreter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2-11-16
[46] 뉴스 In the House of the Interpreter: A Memoir, By Ngugi wa Thiong'o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2-12-01
[47] 간행물 In the House of the Interpreter https://www.kirkusre[...] Kirkus Reviews 2012-08-29
[48] 뉴스 A portrait of the dissident as a young man http://www.herald.co[...] The Herald (Zimbabwe) 2015-08-10
[49] 웹사이트 The Perfect Nine: Ngũgĩ wa Thiong'o's Feminist Spin on a Gikuyu Origin Story https://brittlepaper[...] 2021-03-30
[50] 뉴스 How the SoCal coast inspired a legendary author's feminist Kenyan epic https://www.latimes.[...] 2020-10-12
[51] 웹사이트 The Perfect Nine: The Epic of Gĩkũyũ and Mũmbi by Ngũgĩ wa Thiong'o https://www.worldlit[...] 2021-03-30
[52] 뉴스 The best recent poetry collections – review roundup https://www.theguard[...] 2020-10-10
[53] 뉴스 Ngũgĩ wa Thiong'o nominated as author and translator in first for International Booker https://www.theguard[...] 2021-03-30
[54] 뉴스 Ngũgĩ wa Thiong'o's book longlisted for 2021 International Booker Prize https://www.theeasta[...] 2021-04-02
[55] 뉴스 Ngũgĩ wa Thiong'o: three days with a giant of African literature https://www.theguard[...] 2023-06-13
[56] 웹사이트 Return of Ngũgĩ wa Thiong'o with his writing children https://www.standard[...] 2018-12-08
[57] 뉴스 "How my father physically abused my late mother" - Ngugi wa Thiong'o's son https://www.premiumt[...] 2024-03-30
[58] 뉴스 Kenya: Mukoma wa Ngugi and GBV – the 'culture of silence' https://www.theafric[...] 2024-03-30
[59] 웹사이트 Some of the Prize Winners https://web.archive.[...] Nonino Distillatori S.p.A. 2014-05-06
[60] 웹사이트 Ehrendoktorwürde der Universität Bayreuth für Professor Ngũgĩ wa Thiong'o (German)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Bayreuth 2014-05-06
[61] 잡지 10 Best https://content.time[...] 2021-09-28
[62] 잡지 Where magic is reality https://www.economis[...] 2021-09-28
[63] 잡지 Books of the year 2006 {{!}} Fighting to be tops https://www.economis[...] 2021-09-28
[64] 웹사이트 Best fiction of 2006 https://www.salon.co[...] 2021-09-28
[65] 웹사이트 Beginnings: Wizard of the Crow https://kinnareads.c[...] 2021-09-28
[66] 웹사이트 Ngugi Wins Fiction Prize https://www.newuniv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2021-09-28
[67] 뉴스 Crowd of contenders jostle for Impac prize https://www.theguard[...] 2007-11-06
[68] 웹사이트 Ngugi wa Thiong'o https://manoa.hawaii[...]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2021-09-28
[69] 웹사이트 Ngugi Wa Thiong’o http://themanbookerp[...]
[70] 뉴스 James Kelman is UK's hope for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https://www.theguard[...] 2016-10-22
[71] 뉴스 National Book Critics Circle Names 2012 Award Finalists http://artsbeat.blog[...] 2012-01-14
[72] 웹사이트 Ngugi Wa Thiong'o Honoured http://www.ghafla.co[...] 2021-09-28
[73] 웹사이트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Elects its 2014 Class of Members https://www.amacad.o[...]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2021-09-27
[74] 웹사이트 The Nicolas Guillén Philosophical Literature Prize https://web.archive.[...] Caribb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2014-05-06
[75] 웹사이트 Honoring Ngũgĩ wa Thiong'o at Archipelago's 10th Anniversary Gala https://archipelagob[...] Archipelago Books 2014-08-18
[76] 웹사이트 Ngugi Wa Thiongo wins 6th Pak Kyong-ni Literature Award http://english.donga[...] 2016-09-21
[77] 웹사이트 Jalada Africa, Ngugi Wa Thiong'o Win at Sanaa Theatre Awards https://web.archive.[...] 2021-09-27
[78] 웹사이트 Awards: LARB/UCR Lifetime Achievement https://www.shelf-aw[...] 2021-09-27
[79] 뉴스 Ngũgĩ wa Thiong'o, lauréat du Grand Prix des Mécènes / Ngũgĩ wa Thiong'o awarded Grand Prix des mécènes https://www.actualit[...] actualitte.com
[80] 웹사이트 Inaugural RSL International Writers Announced https://rsliterature[...] 2023-12-03
[81] 웹사이트 Ngugi wa Thiong'o Awarded Prestigious PEN America Honors https://brittlepaper[...] 2022-02-05
[82] 웹사이트 43rd graduation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Dar es Salaam 2013-11
[83] 웹사이트 Yale awards honorary degrees to eight individuals for their achievements http://news.yale.edu[...] 2017-05-18
[84] 웹사이트 Honorary Graduates in 2019 https://www.ed.ac.uk[...] 2019-07-09
[85] 웹사이트 List of Works https://ngugiwathion[...] 2023-03-27
[86] 서적 Secret Lives and Other Stories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1992
[87] 논문 Minutes of Glory and Other Stories by Ngũgĩ wa Thiong'o https://www.worldlit[...] 2024-05-04
[88] 서적 This Time Tomorrow https://books.google[...] East African Literature Bureau 1970
[89] 서적 Who's Who in Contemporary World Theat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5-20
[90] 서적 Wrestling with the devil : a prison memoir https://www.worldcat[...] 2018
[91] 웹사이트 Penpoints, Gunpoints, and Dreams: Towards a Critical Theory of the Arts and the State in Africa https://academic.oup[...] 1998
[92] 뉴스 Queries over Ngugi's appeal to save African languages, culture http://www.nation.co[...] Daily Nation 2009-06-13
[93] 서적 Njamba Nene and the Flying Bus https://books.google[...] East African Publishers 1986-05-15
[94] 웹사이트 Ngũgĩ wa Thiongʼo 1938-, Overview http://www.worldcat.[...]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2016-11-04
[95] 서적 Weep Not, Child East African Educational Publishers
[96] 서적 The River Between Heinemann
[97] 서적 The river between : [unparalleled as a chronicler of elementar change' the Gardian] Heinemann, cop
[98] 서적 A Grain of Wheat Heinemann
[99] 서적 Petals of blood Heinemann Educational Publishers
[100] 서적 Ngaahika ndeenda: ithaako ria ngerekano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01] 서적 Caitaani mũtharaba-inĩ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02] 서적 Devil on the cross Heinemann
[103] 논문 Free thoughts on toilet paper http://online.sagepu[...] SAGE Journals 2016-11-04
[104] 서적 Detained: A Writer's Prison Diary :Heinemann
[105] 웹사이트 Detained: A Writer's Prison Diary http://www.escholars[...] 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2016-11-04
[106] 서적 Wizard of the Crow Methuen Drama
[107] 서적 一粒の麦 : 独立の陰に埋もれた無名の戦士たち 門土社
[108] 서적 アフリカ人はこう考える : 作家グギ・ワ・ジオンゴの思想と実践 第三書館
[109] 서적 精神の非植民地化 : アフリカのことばと文学のために 第三書館
[110] 서적 精神の非植民地化 : アフリカ文学における言語の政治学 第三書館
[111] 서적 夜が明けるまで : 動乱に蹂躙される小さき魂 門土社
[112] 서적 川をはさみて 門土社
[113] 서적 泣くな、わが子よ 第三書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