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성 인격장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존성 인격장애는 타인에게 정서적, 신체적으로 의존하는 상태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이다. 스스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타인에게 의존하며, 분리에 대한 두려움과 비관적인 경향을 보인다. 미국정신의학협회(APA)의 DSM-5와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0에서 진단 기준을 제시하며, SWAP-200, 정신역동적 진단 메뉴얼(PDM) 등 다양한 진단 도구가 활용된다. 치료는 심리치료를 통해 이루어지며, 약물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시어도어 밀론은 의존성 인격장애를 불안한 의존자, 이타적인 의존자 등 5가지 하위 유형으로 분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격장애 -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한 감정 표현, 타인의 관심에 대한 갈망, 피상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심리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정신 질환이다. - 인격장애 - 분열형 인격장애
분열형 인격장애는 기이한 사고방식과 행동, 대인관계 기피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 장애로,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며 사회적 불안과 친밀한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약물 및 심리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를 시도할 수 있다. - 정신의학적 진단 - 하지불안 증후군
하지불안 증후군은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과 함께 다리에 불편한 감각이 나타나는 신경 질환으로, 휴식 시 증상이 심해지고 움직이면 완화되며, 도파민 시스템 이상, 철분 부족, 유전적 요인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수면 장애 및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 정신의학적 진단 - 신체화 장애
신체화 장애는 명확한 신체적 원인 없이 다양한 신체 증상을 나타내며, 불안,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적 문제를 동반하기도 하고, 증상 완화와 심리적 안정을 위한 정신 치료, 상담 치료, 약물 치료 등이 사용된다. - 이상심리학 - 망상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확고하게 믿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조현병, 망상장애 등에서 나타나며,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이상심리학 - 식사장애
식사장애는 체중, 체형, 음식 섭취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비정상적인 식사 행동을 보이는 정신 질환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 장애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유전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심각한 합병증과 높은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의존성 인격장애 | |
---|---|
일반 정보 | |
이름 | 의존성 인격장애 |
영어 이름 |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
관련 분야 | 정신 의학 임상 심리학 |
증상 | 의사 결정 회피 버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 수동적이거나 매달리는 행동 낮은 사회적 경계 비판에 대한 과민 반응 |
합병증 | 공동 의존적 또는 학대적인 관계 |
발병 | 해당 사항 없음 |
지속 기간 | 해당 사항 없음 |
유형 | 해당 사항 없음 |
원인 | 해당 사항 없음 |
위험 요인 | 과보호적인 엄격한 양육 또는 권위주의적 양육 |
진단 | 해당 사항 없음 |
감별 진단 | 경계선 성격 장애 분리 불안 회피성 성격 장애 |
예방 | 해당 사항 없음 |
치료 | 정신 치료 |
약물 | 해당 사항 없음 |
예후 | 해당 사항 없음 |
빈도 | 해당 사항 없음 |
사망 | 해당 사항 없음 |
질병 코드 | |
메쉬 아이디 (MeSH ID) | D003859 |
2. 정의
의존성 인격장애는 타인에게 여러 면에서 심리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의 일종이다.[19] 이는 자신의 정서적, 신체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타인에게 의존하는 장기적인 상태를 말하며, 이 장애가 있는 사람은 일부분에서만 독립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의존성 인격장애는 클러스터 C 성격장애(불안형 성격장애군)로 분류되며, 과도한 공포와 불안을 특징으로 한다. 주로 유년 초기에 시작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나며, 이로 인해 개인이 제대로 기능하기 어려워진다.
의존성 인격장애는 자신의 정서적, 신체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타인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적인 상태이다.[3] 이는 Cluster C personality disorder|클러스터 C 성격장애eng의 하나로, 과도한 공포와 불안을 특징으로 한다.[3] 보통 유년기 초기에 시작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나며, 개인이 독립적으로 제대로 기능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3]
주요 증상으로는 극단적인 수동성, 관계가 끝날 때 보이는 파괴적인 행동이나 무기력함,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 다른 사람에게 심각하게 복종하는 모습 등이 있다. 의존성 인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결정을 내릴 때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며, 다른 사람의 끊임없는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3] 결과적으로 자신의 필요나 의견보다 다른 사람의 것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수동적이고 매달리는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3]
또한 분리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며 혼자 있는 것을 견디기 힘들어한다. 혼자 있을 때는 다른 사람에게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고립감과 외로움을 느끼기 쉽다.[3] 일반적으로 비관적인 경향을 보이며, 상황을 부정적으로 예상하거나 최악의 상황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내성적이고 비판에 민감하며 거부당하는 것을 두려워하기도 한다.[3] 예를 들어, 연인 관계에서 상대방에게 끊임없이 연락하며 만남을 요구하고, 상대방의 일정 때문에 만날 수 없게 되면 크게 실망하며 매달리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과도한 의존성은 상대방에게 부담을 주고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으며, 본인 스스로도 학업이나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만들 수 있다.[19]
3. 증상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증상들은 개인이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하며, 학업, 직업, 대인관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19]
4. 진단
의존성 인격장애는 타인에게 정서적, 신체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심리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적인 상태이다. 이는 성격 장애의 한 유형으로, 과도한 공포와 불안을 동반하는 Cluster C personality disorder|C군 성격장애eng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유년기 초기에 시작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나며, 개인이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극단적인 수동성, 관계 종료 시 보이는 파괴적 행동이나 무기력함, 책임 회피, 심각한 복종 등이 있다.
임상 연구자들은 의존성 인격장애를 다음 네 가지 관련 요소로 개념화한다.
- 인지적: 자신을 무력하고 무능력하다고 여기는 반면, 타인은 강력하고 유능하다고 믿는다.
- 동기적: 자신을 돌봐줄 보호자나 양육자와의 관계를 맺고 유지하려는 강한 욕구를 가진다.
- 행동적: 타인과의 관계를 원활하게 하고 유대감을 강화하며, 버려지거나 거절당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려는 행동 패턴을 보인다.
- 정서적: 권위 있는 인물에게 버려질 것에 대한 공포, 거절에 대한 두려움, 평가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다.
의존성 인격장애의 진단은 여러 기관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 대표적으로 미국정신의학협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질병 분류(ICD)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SWAP-200이나 정신역동 진단 매뉴얼(PDM)과 같은 진단 도구 및 접근법이 존재한다. 각 기준은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공통적으로 타인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 분리 불안, 자기 능력에 대한 불신 등을 핵심 특징으로 삼는다. 상세한 진단 기준은 각 기관별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4. 1. 미국정신의학협회(APA)
미국정신의학협회(APA)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을 통해 의존성 인격장애의 진단 기준을 제시한다. DSM은 정신질환 진단의 표준으로 널리 사용된다.DSM-IV-TR
DSM-IV-TR판에서는 의존성 인격장애 진단이 포함되어 있었다.[9] 이 판에서는 의존성 인격장애를 "과도하게 보살핌을 받고 싶어하고, 매달리는 행동을 보이며, 분리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8가지 중 5가지 이상에 해당할 경우 진단될 수 있었다.
# 타인의 과도한 조언 없이는 사물을 결정할 수 없다.
# 책임을 지기 위해 타인을 필요로 한다.
# 타인의 찬성을 잃는 것을 두려워하여 반대 의견을 말할 수 없다. (이 공포는 현실적인 평가를 넘어선 것이다.)
# 스스로 일을 시작할 수 없다 (이것은 자신감 부족에 기인한다.)
# 타인으로부터 보호를 받기 위해 불쾌한 일까지 한다.
# 스스로를 보호할 수 없다는 비대해진 공포로 인해 정신 불안 또는 무력감을 느낀다.
# 타인과의 밀접한 관계가 끝나면 과도하게 불안해하고 보호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사람을 찾아낸다.
# 보호받지 못하게 될 것이라는 비현실적인 공포에 사로잡혀 있다.
그러나 DSM-IV의 성격 장애 진단 기준은 과도한 동반질병(comorbidity) 진단, 충분하지 못한 적용 범위, 정상적인 심리 기능과의 임의적인 경계 설정, 동일 진단 내 개인 간의 이질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12]
DSM-5
2013년에 개정된 DSM-5에서는 의존성 인격장애에 대한 8가지 특성으로 구성된 단일 기준을 제시한다. 이 장애는 다음 요소 중 최소 5가지 이상에 의해 나타난다:[10]
# 다른 사람의 과도한 조언과 안심 없이는 일상적인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한다.
# 삶의 주요 영역 대부분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떠넘기려 한다.
# 지지나 승인을 잃을까 봐 두려워 다른 사람에게 동의하지 못한다.
# 스스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혼자서 일을 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동기 부여나 에너지 부족이 아닌 판단력이나 능력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 다른 사람으로부터 보살핌과 지지를 얻기 위해 과도한 노력을 기울이며, 불쾌한 일도 자원해서 하려 한다.
# 스스로를 돌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과장된 두려움 때문에 혼자 있을 때 불편하거나 무력감을 느낀다.
# 친밀한 관계가 끝나면 보살핌과 지지의 원천으로 또 다른 관계를 즉시 찾는다.
# 혼자 남겨져 스스로를 돌봐야 한다는 두려움에 비현실적으로 사로잡혀 있다.[11]
의존성 인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결정을 내릴 때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며, 자신의 필요나 의견보다 타인의 것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분리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혼자 있는 것을 견디기 어려워하며, 비판에 민감하고 거부를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3]
4. 2. 세계보건기구(WHO)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0에서는 의존성 인격장애를 'F60.7 의존성 인격장애'로 분류하며, ICD-10 제5장: 정신 및 행동 장애 범주에 포함한다.[13] ICD-10에 따른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아래 목록 중 최소 4가지 이상에 해당해야 한다.[13]# 타인이 자신의 중요한 삶의 결정 대부분을 내리도록 부추기거나 허용한다.
# 자신의 욕구를 의존하는 타인의 욕구에 복종시키고, 그들의 바람에 과도하게 순응한다.
# 의존하는 사람에게 합리적인 요구조차 하려 하지 않는다.
# 스스로를 돌볼 수 없다는 과도한 두려움 때문에 혼자 있을 때 불편함이나 무력감을 느낀다.
# 친밀한 관계의 사람에게 버려져 혼자서 자신을 돌봐야 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다.
# 타인으로부터 과도한 조언과 안심 없이는 일상적인 결정을 내리는 능력이 제한된다.
관련된 특징으로는 스스로를 무력하고, 무능하며, 끈기가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13] 이는 무력성, 부적절성, 수동성, 자기 패배적 성격(장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13]
또한, ICD-10에서는 특정 인격 장애 진단을 내리기 전에 일반 인격 장애 기준을 먼저 충족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4. 3. SWAP-200
SWAP-200은 DSM-5의 의존성 인격 장애 진단 기준이 갖는 외부 타당성(external validity)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제안된 진단 도구이다.[10] 이는 임상 현실의 복잡성을 고려하면서 성격 장애에 대한 경험적 근거에 기반한 접근 방식을 만들려는 노력에서 나온 대안적 분류 체계로 볼 수 있다.[10] SWAP-200은 의존성 인격 장애를 개별 증상의 나열보다는 하나의 임상적 원형(clinical prototype)으로 간주하며, 성격 경향과 같은 복합적인 특징을 종합적으로 기술하는 데 중점을 둔다.[10]SWAP-200은 Q 방법론(Q-Sort method)과 원형 매칭(prototype matching)에 기반하며, 외부 관찰자의 판단을 통해 성격 평가를 진행하는 절차이다. 이 도구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10]
- DSM-IV에 제시된 성격 장애의 10가지 전형적 유형과의 일치도를 바탕으로 한 성격 진단.
- 경험적으로 도출된 11가지 성격 Q-요인(Q-factors)과 환자의 특성 간 일치도에 기반한 성격 진단.
- 건강하고 적응적인 기능 수준에 대한 차원적 프로파일.
SWAP-200에 따라 정의되는 의존성 인격 장애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10]
# 관계의 깊이나 기간과 무관하게 타인에게 빠르고 강하게 애착을 형성하며, 비현실적인 감정이나 기대를 갖는 경향이 있다.
# 타인의 환심을 사려 하거나 지나치게 복종적이어서, 정서적 또는 신체적으로 학대받는 관계에 놓이기 쉽다.
# 수치심, 부적절함, 우울감을 자주 느낀다.
# 스스로 무력하다고 느끼며 타인의 의견이나 제안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 불안감과 죄책감을 자주 경험한다.
# 자신의 분노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자신의 욕구나 목표를 추구하는 데 소극적이다.
# 괴로움을 느낄 때 스스로를 진정시키거나 위로하지 못하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 타인에게 의존한다.
4. 4. 정신역동적 진단 메뉴얼(PDM)
정신역동 진단 매뉴얼(PDM)은 의존성 성격장애에 대하여 처방적인(prescriptive) 의미가 아닌 묘사적인(descriptive) 의미로서 접근하며, 경험적 지지를 받았다.[10] PDM은 의존성 성격장애의 다음 두 가지 유형을 포함한다.[10]PDM-2는 SWAP-200과 같은 경험적 척도를 사용하여 원형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적용한다. 이는 시드니 블랫이 제안한 발달적이고 경험적으로 근거한 관점의 영향을 받았다.[10] 이 모델은 의존성 성격장애에 초점을 맞출 때 특히 흥미로운데, 정신 병리가 심리적 발달의 두 가지 주요 좌표, 즉 의존/내사 차원과 관련성/자기 정의 차원의 왜곡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10]
개인의 의존성 성격 조직(anaclitic personality organization)은 대인 관계의 어려움을 보이며 다음과 같은 행동을 나타낸다.[10]
- 관계에 대한 몰두
- 버림받음과 거부에 대한 두려움
- 친밀함과 밀착 추구
- 대인 관계 경계 관리의 어려움
- 불안-집착 애착 유형을 보이는 경향[10]
내사적 성격 유형(introjective personality style)은 자기 정의(self-definition)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10]
5. 감별진단
유기공포(fear of abandonment)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경계선 성격장애와 유사점을 보인다. 그러나 의존성 성격장애는 경계선 성격장애에서 보이는 충동적인 행동, 불안정한 정동, 나쁜 자아상, 자기파괴 행동, 불안정한 대인 관계, 의존 대상에 대한 가치 절하 등이 드물거나 나타나지 않는다.[14]
타인의 주의나 관심을 강하게 요구한다는 점에서는 연극성 성격장애와 유사하지만, 의존성 성격장애는 연극성 성격장애와 달리 과장된 행동이나 거짓말(허언증), 표면적으로 높은 자기평가는 보이지 않는다.
애착 대상과 떨어지는 것을 싫어한다는 점은 분리불안장애와 유사하다. 하지만 의존성 성격장애는 의존 대상이 없어지면 새로운 대상을 찾는 경향이 있는 반면, 분리불안장애는 특정 인물에게 집착하는 차이가 있다.
아래는 의존성 성격장애에서 흔히 함께 나타나는 병증(comorbid)이다.
병증 종류 | 해당 질환 |
---|---|
기분장애 | 기분장애(mood disorders) |
불안장애 |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 |
조절장애 | 조절장애(adjustment disorder) |
성격장애 | 경계선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성격장애 |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
성격장애 | 연극성 성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
6. 공존 질병
의존성 성격장애는 다음과 같은 정신질환들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다.
7. 원인
의존성 인격장애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5] 하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유전적, 환경적, 사회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전적 요인2012년 연구에 따르면, 의존성 인격장애가 발병할 위험은 부모로부터 유전될 가능성이 55%에서 72% 사이로 추정된다. 또한 2004년 쌍둥이 연구에서는 성격 장애 전반의 유전성이 0.81로 나타났으며,[4] 불안 장애의 가족력 역시 의존성 인격장애 발병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4]
환경적 요인
- 양육 방식: 어린 시절의 양육 환경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이가 스스로 무언가를 하려고 할 때 부모가 이를 미묘하게 제지하거나 처벌하는 경우, 또는 아이의 자율적인 행동이 부모와의 관계를 해칠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경우, 성인이 되어서도 자율성을 제대로 발달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부모의 과보호나 권위주의적인 태도는 아이의 의존적 성향을 강화하고 자율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은 아이에게 자신보다 타인이 더 유능하고 강력하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의존성 인격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인다.[7]
- 초기 트라우마 경험: 어린 시절 겪은 방치, 학대, 심각한 질병과 같은 부정적인 경험이나 트라우마는 이후 성격 장애, 특히 의존성 인격장애의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7] 특히 장기적인 학대 관계에 있었던 사람들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나타날 수 있으며,[4] 대인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사회적 지지가 부족한 환경에 놓인 경우에도 발병 위험이 커진다.[7]
사회문화적 요인'의존적인 성격'과 '의존성 인격장애'를 구분하는 것은 다소 주관적일 수 있으므로, 진단 과정에서는 문화적 영향, 특히 성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치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6] 실제로 의존성 인격장애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자주 진단되는데, 이는 전통적인 성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7]
8. 치료
의존성 성격장애는 주로 정신 요법을 통해 치료한다. 치료의 주요 목표는 환자가 더 독립적으로 생활하고, 주변 사람들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자존감과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5]
특히 통찰적 정신과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집단치료나 결혼한 경우 부부상담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자기주장훈련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대인 관계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도록 돕는다.
한편, 의존성 성격장애로 인해 우울증이나 불안증을 함께 겪는 경우에는 약물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그러나 약물 치료만으로는 의존성 성격장애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15] 약물 치료를 받는 환자는 약물 중독이나 남용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9. 밀론의 하위 유형
심리학자 시어도어 밀론은 의존성 인격장애의 성인 하위 유형 5가지를 확인했다. 의존적인 개인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하위 유형 | 성격 특성 |
---|---|
불안한 의존자 (회피성 인격장애의 특징 포함) | 끊임없이 불안해하며, 당황하고 초조해하며, 공포와 불안감을 느끼고, 버려질까 봐 불안하고 취약하다. 지지적인 인물 곁에 있지 않으면 외로움을 느낀다. |
이타적인 의존자 (자기 패배적 인격장애의 특징 포함) | 다른 사람과 융합하고 몰입하며, 휩싸이고, 감싸이고, 흡수되고, 통합되어 기꺼이 자신의 정체성을 포기한다. 다른 사람과 하나가 되거나 다른 사람의 연장선이 된다. |
미성숙한 의존자 ("순수한" 패턴의 변형) | 세련되지 않고, 덜 자랐으며, 미숙하고, 어린아이 같고, 발달되지 않았으며, 경험이 없고, 잘 속으며, 형성되지 않았다. 성인으로서의 책임을 감당할 수 없다. |
순응적인 의존자 (히스테리성 인격장애의 특징 포함) | 우아하고, 이웃을 좋아하며, 열정적이며, 자비롭고, 순종적이며, 고분고분하고, 동의한다. 불쾌한 감정을 부정하며, 순종적이고 열등한 역할을 잘 받아들인다. |
무능한 의존자 (분열성 인격장애의 특징 포함) | 비생산적이고, 이익이 없고, 무능하며, 가치 없고, 평온한 삶을 추구한다. 어려움을 처리하는 것을 거부하며, 단점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 |
10. 역사
고전적인 정신분석학에서는 의존성의 개념을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구강기와 직접적으로 연관시킨다. 이 시기에 좌절이나 과도한 만족을 경험하면 구강 고착 및 구강적 성격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타인에게 의존하려는 경향과 구강기를 대표하는 행동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이후의 정신분석 이론들은 의존성에 대한 욕구 중심적 접근에서 벗어나, 초기 관계의 중요성과 초기 양육자로부터의 분리 확립에 대한 인식으로 초점을 옮겼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양육자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이 내면화되고, 이 상호작용의 본질이 자아와 타인에 대한 개념의 일부가 된다고 설명한다.[10]
참조
[1]
웹사이트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http://www.mentalhea[...]
2018-08-09
[2]
뉴스
What are Cluster C Personality Disorders? - Online Psychology Degree Guide
https://www.onlineps[...]
2018-08-09
[3]
서적
Practitioner's Guide to Evidence-Based Psychotherapy
Springer
2006
[4]
서적
Are personality disorders psychological manifestations of executive function deficits? Bivariate heritability evidence from a twin study. ''Behavior Genetics'' (2004), pp. ''34'', 75-84, cited in Nolan-Hoeksema, ''Abnormal Psychology'' (6th. ed.), pp. 273, McGraw Hill Education (2014)
McGraw-Hill Education
2013-12-02
[5]
서적
Blueprints psychiatry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9-01-31
[6]
논문
Gender Role and Personality Disorders
https://www.research[...]
Guilford Press
2002-11
[7]
서적
Encyclopedia of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Springer, Cham
2017
[8]
서적
Practitioner's Guide to Evidence-Based Psychotherapy
Springer, Boston, MA
2006
[9]
웹사이트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http://behavenet.com[...]
2019-01-31
[10]
서적
Encyclopedia of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Springer, Cham
2017
[11]
문서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uthor
2013
[12]
논문
Assessment and Diagnosis of Personality Disorder: Perennial Issues and an Emerging Reconceptualization
https://zenodo.org/r[...]
Annual Reviews
2007
[13]
웹사이트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
http://www.mentalhea[...]
ICD-10
[14]
서적
Blueprints Psychiatr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9-01-31
[15]
웹사이트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webmd.co[...]
2019-01-31
[16]
서적
Practitioner's Guide to Evidence-Based Psychotherapy
Springer
2006
[17]
서적
Abnormal Psychology
McGraw Hill Education
2014
[18]
서적
ICD‐10정신 및 행동의 장애:임상기술과 진단지침
의학서원
2005
[19]
웹인용
서울대학교 임상ㆍ상담 심리학 연구실
http://hosting03.snu[...]
2020-08-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