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다 노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다 노다크는 독일의 화학자이다. 여성의 학문적, 사회적 진출이 제한적이던 시대에 화학을 전공했으며, 남편 발터 노다크, 오토 베르크와 함께 레늄(원자 번호 75)과 마주륨(원자 번호 43)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레늄 발견은 인정받았으나 마주륨은 인정받지 못했다. 그녀는 엔리코 페르미의 핵 충돌 실험 결과를 비판하며 핵분열 개념을 최초로 제시했으나, 당시에는 학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노다크는 레늄 발견으로 세 차례 노벨 화학상 후보로 추천되었으며, 만년에는 국립 지구 화학 연구소에서 재직하다가 197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여자 과학자 - 에미 뇌터
    에미 뇌터는 독일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추상대수학과 이론물리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대수학의 추상적인 개념 정립과 뇌터 정리 증명, 여성에 대한 차별 극복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성 수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독일의 여자 과학자 - 마리아 괴퍼트메이어
    마리아 괴퍼트메이어는 독일 태생의 미국 이론 물리학자로, 원자핵 껍질 구조 연구로 196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핵 껍질 모델을 통해 '마법수' 현상을 설명하고 이중광자 흡수 이론을 제시하는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 여자 화학자 - 수전 솔로몬
    수전 솔로몬은 미국의 대기 화학자이자 기후 과학자로, 남극 오존층 파괴 원인 규명에 기여하고 몬트리올 의정서의 근거를 마련했으며 기후 변화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 여자 화학자 - 거트루드 B. 엘리언
    거트루드 B. 엘리언은 박사 학위 없이 노벨상을 수상한 미국의 생화학자이자 약리학자로, 퓨린 대사 경로 표적 약물 설계 전략 개발을 통해 다양한 질병 치료에 기여하고 198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성차별 속에서도 과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 베를린 공과대학교 동문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베를린 공과대학교 동문 - 알베르트 슈페어
    알베르트 슈페어는 아돌프 히틀러의 총애를 받은 나치 독일의 건축가이자 군수장관으로, 제3제국의 주요 건축 프로젝트들을 담당하며 전쟁 물자 생산 극대화에 기여했으나,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석방 후 회고록을 통해 나치 시대를 회고했으나 책임에 대한 논란과 비판이 지속되고 있다.
이다 노다크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다 노다크
이다 노다크
본명이다 타케
출생일1896년 2월 25일
출생지독일 제국, 라인 주, 라크하우젠
사망일1978년 9월 24일
사망지서독, 라인란트팔츠 주, 바트노이에나르아르바일러, 바트노이에나르
거주지독일, 프랑스, 튀르키예
국적독일
학력 및 경력
모교베를린 공과대학교
직업화학자, 물리학자
직장Allgemein Elektrizität Gesellschaft (베를린)
지멘스 (베를린)
Physikalische Technische Reichsanstalt (베를린)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Staatliche Forschungs Institut für Geochemie (밤베르크)
업적
주요 업적레늄, 핵분열
수상
수상dLiebig Medal
Scheele Medal

2. 성장과 학업

이다 타케(Ida Tackede)는 1896년 독일 라크하우젠(바절)에서 태어났다.[44] 그녀는 독일에서 화학을 전공한 초기 여성 과학자 중 한 명으로, 여성의 학업과 사회 진출이 제한적이던 시대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교사는 절대 되고 싶지 않았고, 당시에는 연구와 산업에서 물리학자가 고용되는 비율이 적었기에 화학자가 되기로 했다"고 학자의 길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했다.[44] 1915년 베를린 공과대학교에 입학하여, 1918년 화학 및 야금 공학 학위를 받았다.[46] 특히 고급 지방족 지방산 산 무수물에 대한 연구를 했다.[7][46] 1921년 "고차 지방족 화합물지방산 무수물"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77] 졸업 후 미국의 제너럴 일렉트릭과 제휴한 AEG의 베를린 터빈 공장 화학 연구소에서 일했다.[46] 그녀가 일했던 건물은 페터 베렌스가 설계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물이었다.[46] 1926년 발터 노다크와 결혼하였다.[47]

3. 원소 발견

1925년 이다 노다크는 남편 발터 노다크, 오토 베르크(Otto Berg)와 함께 독일물리기술연구소(Physikalisch-Technische Reichsanstalt)에서 새로운 원소 레늄(rhenium)(원자 번호 75)과 마주륨(Masurium)(원자 번호 43)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93][7] 레늄(rhenium)은 이다 노다크의 고향을, 마주륨(Masurium)은 남편의 고향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46] 레늄의 발견은 인정되었으나, 마주륨은 학계의 검토에서 인정받지 못했다.[93] 노다크 부부는 추가 실험을 수행했지만, 43번 원소를 분리하지 못했으며 그들의 결과는 재현되지 않았다.[7]

1937년 에밀리오 세그레와 카를로 페리에르가 핵분열 부산물에서 원자 번호 43의 원소를 인공적으로 생성하여 테크네튬(Technetium)이라 명명했다.[94]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주기율표를 발표하면서 예견했던[95] 43번 원소, 즉 테크네튬은 핵물리학의 입자 발견 시기에 경쟁적으로 찾던 물질이었다. 테크네튬의 동위원소는 반감기가 짧아 지구상에서 자연적으로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1961년 B. T. 케나(B. T. Kenna)와 폴 K. 쿠로다(Paul K. Kuroda)는 피치블렌드(pitchblende)에서 자발적 핵분열로 생성된 미량의 테크네튬을 발견했다.[24]

이후 벨기에 물리학자 피터 반 아셰(Pieter van Assche)는 노다크 부부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검출 한계가 낮았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노다크 부부가 43번 원소를 처음 발견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25]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의 과학자(scientist) 존 T. 아름스트롱(John T. Armstrong)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가 발표된 스펙트럼과 매우 유사하다고 주장했다.[26] 그러나 마인츠 대학교(University of Mainz)의 군터 헤르만(Gunter Herrmann)은 반 아셰의 주장이 ''임시변통으로(ad hoc)'' 개발되었다고 결론지었다.[27] 케나와 쿠로다는 피치블렌드에서 테크네튬 함량을 추정했고,[24] F. 하바시(F. Habashi)는 노다크 부부의 샘플에서 43번 원소의 양이 극미량이라 검출이 어려웠을 것이라고 지적했다.[28][29][30][31][32]

한편, 1908년 43번 원소를 발견했다고 주장한 오가와 마사타카(Masataka Ogawa)의 '니포늄' 연구도 조사되었다. 요시하라 켄지(Kenji Yoshihara)는 오가와가 43번 원소가 아닌 75번 원소(레늄(rhenium))를 발견했음을 확인했다.[33][34][35] 그러나 이 주장은 화학 역사가 에릭 스케리(Eric Scerri)에 의해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주장되었다.[36]

3. 1. 레늄(Rhenium) 발견

1925년 이다 다케와 발터 노다크는 오토 베르와 함께 물리 기술 연방 연구소에서 원자 번호 75와 43의 원소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원자 번호 75에 해당하는 원소를 이다의 출생지를 따라 레늄(rhenium)으로 명명했다.[93][7] 학계 검토에서 레늄의 발견은 인정되었다.[93] 이들은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주기율표를 발표하면서 예견했던 원소이자 핵물리학의 입자 발견 시기에 경쟁적으로 찾던 물질인 원자 번호 43에 해당하는 원소를 남편의 고향을 기념하여 마주륨(masurium)이라고 명명하였으나, 과학자들이 그들의 결과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자 추가 실험을 수행했지만, 43번 원소를 분리하지 못했으며 그들의 결과는 재현되지 않았다.[95][7] 이러한 레늄 발견의 업적으로 이다는 1931년 독일화학회(German Chemical Society)의 리비히 메달(Liebig Medal)을 수상하였다.[7]

1908년 오가와 마사타카(小川正孝)가 43번 원소를 분리했다고 주장하며 니포늄(Nipponium)이라고 명명했으나, 요시하라 켄지(吉原賢二)는 오가와가 43번 원소가 아닌 75번 원소(레늄(rhenium))를 노다크 부부보다 17년 앞서 분리했음을 확인했다.[71][72][73]

3. 2. 테크네튬(Technetium) 논란

이다 다케와 발터 노다크 부부는 1925년 물리 기술 연방 연구소에서 오토 베르와 함께 미발견된 원자 번호 43번과 75번 원소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93] 이들은 75번 원소는 라늄(Rhenium), 43번 원소는 마주륨(Masurium)이라고 명명했다.[7] 학계는 75번 원소 발견은 인정했지만, 43번 원소 발견은 인정하지 않았다.[93] 43번 원소는 1937년 에밀리오 세그레와 카를로 페리에르가 핵분열 부산물에서 인공적으로 만든 테크네튬으로 확인되었다.[94]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주기율표를 발표하면서 예견했던[95] 43번 원소, 즉 테크네튬은 핵물리학의 입자 발견 시기에 경쟁적으로 찾던 물질이었다.

노다크 부부는 독일물리기술연구소(Physikalisch-Technische Reichsanstalt)에서 43번과 75번 원소를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고, 1925년에 레늄(rhenium)(75)과 마주륨(masurium)(43)을 발견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레늄(rhenium)은 이다의 출생지를, 마주륨(masurium)은 남편의 고향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7] 과학자들의 회의적인 반응에도 불구하고 노다크 부부는 추가 실험을 진행했지만, 43번 원소를 분리하지 못했고 결과는 재현되지 않았다.[7] 하지만 이다는 1931년 독일화학회(German Chemical Society)의 리비히 메달(Liebig Medal)을 수상했다.[7]

엠마누엘 세그레(Emilio Segrè)와 카를로 페리에르(Carlo Perrier)는 1937년 사이클로트론에서 나온 몰리브덴 박편에서 베타 붕괴를 거친 43번 원소를 분리했다.[24] 이 원소는 인공적인 기원 때문에 테크네튬(technetium)으로 명명되었다.[24] 테크네튬의 동위원소는 반감기가 짧아 지구상에서 자연적으로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1961년 B. T. 케나(B. T. Kenna)와 폴 K. 쿠로다(Paul K. Kuroda)는 피치블렌드(pitchblende)에서 자발적 핵분열로 생성된 미량의 테크네튬을 발견했다.[24]

벨기에 물리학자 피터 반 아셰(Pieter van Assche)는 노다크 부부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검출 한계가 낮았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노다크 부부가 43번 원소를 처음 발견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25]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의 과학자(scientist) 존 T. 아름스트롱(John T. Armstrong)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가 발표된 스펙트럼과 매우 유사하다고 주장했다.[26] 그러나 마인츠 대학교(University of Mainz)의 군터 헤르만(Gunter Herrmann)은 반 아셰의 주장이 ''임시변통으로(ad hoc)'' 개발되었다고 결론지었다.[27] 케나와 쿠로다는 피치블렌드에서 테크네튬 함량을 추정했고,[24] F. 하바시(F. Habashi)는 노다크 부부의 샘플에서 43번 원소의 양이 극미량이라 검출이 어려웠을 것이라고 지적했다.[28][29][30][31][32]

한편, 1908년 43번 원소를 발견했다고 주장한 오가와 마사타카(Masataka Ogawa)의 '니포늄' 연구도 조사되었다. 요시하라 켄지(Kenji Yoshihara)는 오가와가 43번 원소가 아닌 75번 원소(레늄(rhenium))를 발견했음을 확인했다.[33][34][35] 그러나 이 주장은 화학 역사가 에릭 스케리(Eric Scerri)에 의해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주장되었다.[36]

4. 핵분열

1934년 엔리코 페르미는 중성자를 이용한 핵 충돌 실험 결과를 발표하며 초우라늄 원소의 발견을 주장했다.[10] 이다 노다크는 페르미의 실험 결과를 비판하는 논문 〈원자 번호 93에 대해〉를 발표했다.[80][11] 노다크는 페르미가 초우라늄 원소의 존재를 확신하기에는 화학적 증거가 부족하며, 우라늄 핵이 여러 개의 동위 원소 핵으로 붕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13] 이는 핵분열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당시에는 실험적 증거나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여 학계에서 무시되었다.[7]

1938년 이렌 졸리오퀴리와 파블레 사비크는 페르미의 실험과 유사한 실험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결과를 얻었다.[14] 실험에 쓰인 원소보다 원자량이 큰 원소가 검출될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희토류 원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같은 해 12월 오토 한프리츠 슈트라스만은 초우라늄 원소가 바륨[82] 동위 원소로 붕괴되는 현상을 실험적으로 증명했다.[15] 리제 마이트너와 오토 프리슈는 오토 한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핵분열(Nuclear fission)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이론적 설명을 제시했다.[83][84][85][86][87][88][89][90][91][92] 이들은 조지 가모프가 1935년 제안한 물방울 가설을 바탕으로 핵분열을 설명했다.[14] 이로써 이다 노다크가 1934년에 제시했던 핵분열 개념이 실험과 이론으로 증명되었다.[16][17][18][19][20][21][22][23]

5. 노벨상 후보

이다 노다크는 레늄과 마주륨(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짐)의 발견으로 1933년, 1935년, 1937년 세 차례에 걸쳐 노벨 화학상 후보로 추천되었다.[96][7][46] 1933년에는 발터 네른스트와 K. L. 바그너가, 1935년에는 W. J. 뮐러가, 1937년에는 A. 스크라발이 노다크 부부를 추천했다.[7][46] 노다크 부부는 1931년에 독일 화학회의 리비히 메달, 1934년에 스웨덴 화학회의 셸레 메달과 레늄 농축물에 대한 독일 특허를 받았다.[37][74] 2020년에는 이고르 페트로프가 디자인한 발견 기념 메달이 ISTR에 의해 발행되었다.[38][39]

6. 만년

1935년 이다 노다크는 남편과 함께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였다.[97]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알자스에 속해 있던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령이 되었고, 이다는 독일로 돌아간 뒤 몇년간 터키에 머물렀다.[97] 1956년 부부는 독일로 귀환하여 국립 지구 화학 연구소에서 재직하였다.[97] 이다 노다크는 1968년 은퇴하였다.[97] 1969년 소련 아카데미(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는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발표 1백주년을 맞아 이다 노다크를 초청하였다.[97]

이다 노다크는 1978년 9월 24일 사망하였다. 부부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97]

참조

[1] 잡지 Ida Noddack and the missing elements https://eic.rsc.org/[...]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09-03-01
[2] 웹사이트 Tacke, Ida Eva http://www.astr.ua.e[...] University of Alabama Astronomy Program 2013-03-11
[3] 논문 The detours leading to the discovery of nuclear fission 1979
[4] 논문 Über das Element 93 1934
[5] 서적 For Better or for Worse? Collaborative Couples in Sci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Basel 2012
[6] 서적 For Better
[7] 간행물 A tale of oblivion: Ida Noddack and the 'universal abundance' of matter https://www.ncbi.nlm[...] 2014
[8] 백과사전 Ida Noddack http://www.britannic[...]
[9] 서적 For better or for worse?: collaborative couples in the sciences Birkhäuser 2012-06-07
[10] 서적 Their Day in the Sun: Women of the Manhattan Project https://www.worldcat[...] Temple University Press 1999
[11] 논문 Über das Element 93 1934
[12] 서적 Unravelling the Mystery of the Atomic Nucleus: A Sixty Year Journey 1896-1956 Springer 2013
[13] 웹사이트 Ida and the Atom, 1934 https://medium.com/@[...] 2016-03-09
[14] 논문 Possible Production of Elements of Atomic Number Higher than 92 1934
[15] 논문 On Element 93 http://dbhs.wvusd.k1[...] 1934-09
[16] 논문 On the Nature of a Radioactive Element with 3.5-Hour Half-Life Produced in the Neutron Irradiation of Uranium
[17] 논문 Concerning the Existence of Alkaline Earth Metals Resulting from Neutron Irradiation of Uranium http://dbhs.wvusd.k1[...] 1939-01
[18] 논문 Neutron capture and nuclear constitution 1936
[19] 논문 On the Transmutation of Atomic Nuclei by Impact of Material Particles. I. General theoretical remarks 1937
[20] 웹사이트 Report Of The Third Washington Conference On Theoretical Physics http://encyclopedia.[...] 1937-03-12
[21] 논문 Disintegration of Uranium by Neutrons: a New Type of Nuclear Reaction http://dbhs.wvusd.k1[...] 1939-02-11
[22] 논문 Physical Evidence for the Division of Heavy Nuclei under Neutron Bombardment 1939-02-18
[23] 논문 Disintegration of Heavy Nuclei 1939-02-25
[24] 논문 Isolation of naturally occurring technetium 1961-12
[25] 논문 The ignored discovery of the element-Z=43 1988-04-04
[26] 논문 Technetium http://pubs.acs.org/[...] 2003-02
[27] 논문 Technetium or masurium — a comment on the history of element 43 1989-12-11
[28] 서적 Ida Noddack (1896-1978):Personal Recollections on the Occasion of 80th Anniversary of the Discovery of Rhenium http://chemeducator.[...] Métallurgie Extractive Québec 2005
[29] 논문 A Note on the Discovery of Technetium 1989-10-16
[30] 서적 The Origin of Chemical Elements and the Oklo Phenomenon Springer-Verlag
[31] 논문 Die Ekamangane 1925
[32] 논문 Letters The History of Element 43--Technetium http://works.bepress[...] 2006-02
[33] 논문 Discovery of a new element 'nipponium': re-evaluation of pioneering works of Masataka Ogawa and his son Eijiro Ogawa 2004-08-31
[34] 논문 Ogawa Family and Their 'Nipponium' Research: Successful Separation of the Element 75 before Its Discovery by Noddacks 2005-11
[35] 웹사이트 75 Rhenium http://elements.vand[...]
[36] 서적 A Tale of Seven Elemen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The Nobel Population 1901-1950: A Census of the Nominations and Nominees for the Prizes in Physics and Chemistry https://www.pinteres[...] 2002-05-20
[38] 웹사이트 95 Anniversary of the discovery of RHENIUM by Walter Noddack, Ida Tacke-Noddack and Otto Berg | Rhenium https://www.pinteres[...]
[39] 서적 The Nobel Population 1901-1950: A Census of the Nominations and Nominees for the Prizes in Physics and Chemistry 2002-05-20
[40] 간행물 Ida Noddack and the missing elements https://eic.rsc.org/[...] 왕립화학회 2018-01-29
[41] 웹사이트 Ida Tacke Noddack https://web.archive.[...] UCLA 2013-03-11
[42] 웹사이트 Tacke, Ida Eva http://www.astr.ua.e[...] University of Alabama Astronomy Program 2013-03-11
[43] 서적 The Nobel Population 1901-1950: A Census of the Nominations and Nominees for the Prizes in Physics and Chemistry 2002-05-20
[44] 서적 For Better or for Worse? Collaborative Couples in Sci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Basel
[45] 서적 For Better
[46] 간행물 A tale of oblivion: Ida Noddack and the 'universal abundance' of matter https://www.ncbi.nlm[...]
[47] 백과사전 Ida Noddack http://www.britannic[...]
[48] 서적 For better or for worse?: collaborative couples in the sciences Birkhäuser
[49] 논문 Über das Element 93
[50] 서적 Unravelling the Mystery of the Atomic Nucleus: A Sixty Year Journey 1896-1956 Springer
[51] 웹사이트 Ida and the Atom, 1934 https://medium.com/@[...] 2016-03-09
[52] 논문 Possible Production of Elements of Atomic Number Higher than 92
[53] 논문 On Element 93 https://web.archive.[...] 1934-09
[54] 논문 On the Nature of a Radioactive Element with 3.5-Hour Half-Life Produced in the Neutron Irradiation of Uranium
[55] 논문 Concerning the Existence of Alkaline Earth Metals Resulting from Neutron Irradiation of Uranium https://web.archive.[...] 1939-01
[56] 논문 Neutron capture and nuclear constitution
[57] 논문 On the Transmutation of Atomic Nuclei by Impact of Material Particles. I. General theoretical remarks
[58] 웹사이트 Report Of The Third Washington Conference On Theoretical Physics https://web.archive.[...] 1937-03-12
[59] 논문 Disintegration of Uranium by Neutrons: a New Type of Nuclear Reaction https://web.archive.[...] 1939-02-11
[60] 논문 Physical Evidence for the Division of Heavy Nuclei under Neutron Bombardment https://web.archive.[...] 1939-02-18
[61] 논문 Disintegration of Heavy Nuclei https://web.archive.[...] 1939-02-25
[62] 논문 Isolation of naturally occurring technetium 1961-12
[63] 논문 The ignored discovery of the element-Z=43 1988-04-04
[64] 간행물 Technetium http://pubs.acs.org/[...] 2003-02
[65] 논문 Technetium or masurium — a comment on the history of element 43 1989-12-11
[66] 서적 Ida Noddack (1896-1978):Personal Recollections on the Occasion of 80th Anniversary of the Discovery of Rhenium http://chemeducator.[...] Métallurgie Extractive Québec
[67] 논문 A Note on the Discovery of Technetium 1989-10-16
[68] 서적 The Origin of Chemical Elements and the Oklo Phenomenon Springer-Verlag
[69] 논문 Die Ekamangane
[70] 간행물 Letters The History of Element 43--Technetium http://works.bepress[...] 2006-02
[71] 저널 Discovery of a new element 'nipponium': re-evaluation of pioneering works of Masataka Ogawa and his son Eijiro Ogawa 2004-08-31
[72] 저널 Ogawa Family and Their'Nipponium' Research: Successful Separation of the Element 75 before Its Discovery by Noddacks 2005-11
[73] 웹사이트 75 Rhenium http://elements.vand[...] 2007-04-03
[74] 서적 The Nobel Population 1901-1950: A Census of the Nominations and Nominees for the Prizes in Physics and Chemistry 2002-05-20
[75] 웹인용 Ida Noddack and the Missing Elements http://www.rsc.org/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3-03-11
[76] 웹인용 Tacke, Ida Eva http://www.astr.ua.e[...] University of Alabama Astronomy Program 2013-03-11
[77] 웹인용 Ida Noddack http://www.britannic[...]
[78] 서적 For better or for worse?: collaborative couples in the sciences Birkhäuser
[79] 웹인용 Ida Tacke and the warfare behind the discovery of fission http://www.hypatiama[...] 2013-10-01
[80] 문서 우라늄의 원자 번호가 92이므로 원자 번호 93은 우라늄보다 무거운 원소를 뜻한다.
[81] 논문 Über das Element 93 1934
[82] 문서 바륨의 원자 번호는 56이다. 무거운 원소가 붕괴하여 바륨과 다른 가벼운 원소로 붕괴되었음을 뜻한다.
[83] 저널 Possible Production of Elements of Atomic Number Higher than 92 http://dbhs.wvusd.k1[...]
[84] 저널 On Element 93 http://dbhs.wvusd.k1[...] 1934-09
[85] 저널 On the Nature of a Radioactive Element with 3.5-Hour Half-Life Produced in the Neutron Irradiation of Uranium
[86] 저널 Concerning the Existence of Alkaline Earth Metals Resulting from Neutron Irradiation of Uranium http://dbhs.wvusd.k1[...] 1939-01
[87] 저널 Neutron capture and nuclear constitution
[88] 저널 On the Transmutation of Atomic Nuclei by Impact of Material Particles. I. General theoretical remarks
[89] 저널 Report Of The Third Washington Conference On Theoretical Physics http://encyclopedia.[...] 1937-03-12
[90] 저널 Disintegration of Uranium by Neutrons: a new type of nuclear reaction http://dbhs.wvusd.k1[...] 1939-02-11
[91] 저널 Physical Evidence for the Division of Heavy Nuclei under Neutron Bombardment http://dbhs.wvusd.k1[...] 1939-02-18
[92] 저널 Disintegration of Heavy Nuclei http://dbhs.wvusd.k1[...] 1939-02-25
[93] 웹사이트 Elentymolgy and Elements Multidict, "Technetium" http://elements.vand[...]
[94] 저널 Isolation of naturally occurring technetium 1961-12
[95] 저널 Technetium, the missing element 1996
[96] 서적 The Nobel Population 1901-1950: A Census of the Nominations and Nominees for the Prizes in Physics and Chemistry 2002-05-20
[97] 웹사이트 Ida Noddack and the missing elements https://eic.rsc.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