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어는 보르네오 섬의 사라왁, 서 칼리만탄, 브루나이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이반어는 사라왁 말레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서부아, 물랑, 칸투 등의 언어와도 관련이 있다. 이반족은 16세기에 사라왁에 정착했으며, 브룩 시대에 학교에서 가르치기도 했다. 1958년 보르네오 문학국이 설립되어 이반어 문학을 수집하고 기록했으나 1977년 폐쇄되었다. 이후에도 이반어는 라디오, 신문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2024년에는 구글 번역에 이반어 지원이 추가되었다. 이반어는 사라왁 주 의회에서 사용되며, 이반족의 구전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중요한 언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나이의 언어 - 말레이어
말레이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고, 루미 문자와 자위 문자를 함께 사용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갖는 언어이다. - 말레이어군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 말레이어군 - 코코스 말레이어
코코스 말레이어는 코코스 제도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변종으로, 자바어와 호키엔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 및 문법적 특징에서 차이를 보이며 독자적인 문법 체계와 음운 체계를 갖는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이반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이반어 |
자기 이름 | Jaku Iban |
사용 국가 |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
사용 지역 | 보르네오섬 |
사용자 | 이반족 |
추정 화자 수 (2019년) | 2,450,000명 |
제2 언어 화자 수 (말레이시아, 2019년) | 1,900,000명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하위 분류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말레이어군 - 이반어군 |
문자 | 로마자, 둥잉 문자 |
ISO 639-2 | iba |
ISO 639-3 | iba |
Glottolog | iban1264 |
Glottolog 참조 이름 | 이반어 |
언어 관리 기관 | Tun Jugah Foundation 말레이시아 교육부 Dayak Cultural Foundation |
언어 분포도 | |
![]() |
2. 분류
이반어는 보르네오 섬 내 사라왁, 서 칼리만탄[1] 및 브루나이에서 사용되는 이반어군에서 유래되었다.[3][2] 이반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의 말레이어 하위 그룹에 속한다.[2] 말레이어는 서부 보르네오에서 유래되었으며,[3][2] 따라서 이반어는 특히 사라왁 방언과 말레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2] 이반어군에 속하는 다른 언어 변이로는 서부아, 물랑, 칸투, 서브루앙이 있다. 이 언어 그룹은 특정 어휘 형태의 단어 최종 위치 / -ai /로 식별할 수 있다. 이 어휘 형태는 / -an /, / -ang / 또는 드물게 / -ar /의 어휘 형태를 가진 다른 말레이어와 유사하다.[1]
이반족의 구전 역사에 따르면, 1968년 베네딕트 산딘은 이반족을 사라왁-칼리만탄 국경인 카푸아스 훌루 산맥의 후손으로 추정했다. 이반족은 16세기에 사라왁에 도착하여 사라왁 남부의 바탕 루파르 유역과 운도프강 지역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북쪽, 동쪽, 서쪽으로 이주하여 사리바스, 바탕 사동, 바탕 라야르, 바탕 루파르 강으로 확장되었다. 1800년대에는 바탕 루파르 강, 카티바스 강, 사리바스 강(라장강의 지류)에서 라장 분지(사라왁 중부 지역)로 이동했다. 1870년대까지 그들은 무카와 오야강에 도달했다. 1900년대 초에는 발링간, 타타우, 케메나 강(빈투루 근처)에 도달했다. 그들은 또한 사라왁 북부의 바람 지역과 림방강에도 같은 시기에 도달했으며 사라왁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이 되었다.[1]
이반어는 서부아, 켄다얀어, 발라우 및 셀라쿠와 같은 다른 방언과도 관련이 있다.[3]
3. 역사
3. 1. 브룩 통치 (1841년 ~ 1946년)
브룩 정부는 이반족이 이동식 경작으로 지정된 토지에 유해한 환경적 영향을 미치고, 기존 지역 부족보다 수가 더 많아질 것을 우려하여 이반족의 다른 강(예: 발레 강)으로의 추가 이주를 제한했다. 그러나 브룩 정부는 정부의 권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룬두, 발링기안, 빈툴루, 림방, 바라우와 같은 다른 지역에 이반족이 정착하는 것은 허용했다. 이러한 정책의 결과로 바탕 루파 강을 따라 살던 부키탄족과 같은 소수 민족 집단이 이반족에게 동화되어 이반족의 성장과 주(州) 내 이반어의 확산에 기여했다.[1] 이반어는 브룩 시대인 1940년대에 학교에서 가르쳐졌다.[4]
3. 2. 보르네오 문학국 (1958년 ~ 1977년)
사라왁 왕령 식민지 시대에 이반어는 정부 공식 서신, 법원, 발표 및 공지 사항에 사용되었다. 영국이 시작한 사라왁 라디오는 이반어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아시아 언어"로 알려졌던 이반어는 사라왁 주니어 자격증 시험 과목으로 제공되었으며, 1963년에 "이반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58년 영국은 구전 이반 문학을 수집하고 기록하기 위해 보르네오 문학국(BLB)을 설립했다.[5] BLB는 1973년까지 60권 이상의 이반어 책을 출판했으며, 1977년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 기관인 데완 바하사 단 푸스타카(DBP)로 대체되면서 보르네오 언어로 된 책의 출판은 중단되었다.[5] 1967년 BLB가 시작한 잡지 ''Nendak'' (흉조 새의 이름)의 출판 또한 중단되었다.[9] 사라왁 데이악 이반 협회의 전 부회장인 짐분 타와이는 이 왕령 식민지 시대를 이반어의 "황금기"라고 불렀다.[6]
3. 3. 보르네오 문학국 폐쇄 이후 (1977년 ~ 2000년대)
보르네오 문학국(BLB) 폐쇄 이후, 쿠칭에 본사를 둔 '클라식(Klasik)'과 같은 소규모 출판사들이 이 분야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엔세라'(이반 서사시)와 '체리타 켈룰루'(도덕 소설) 등의 작품을 출판했다. 기독교 교회는 이반 '아닷'(문화)의 특정 측면을 채택한 기도서를 출판하여, BLB 폐쇄 이후 기독교 텍스트가 이반어의 문화적 보고로서 더 큰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9]
'베리타 라크얏(Berita Rakyat)'과 같은 국가 지원 미디어는 1974년에 설립되어 1990년대에 종료되었다. 이 잡지는 라장 보안 사령부(RASCOM)가 라장 분지에서 공산주의자 활동을 근절하기 위해 시부에서 시작했으며, 1990년 사라왁의 공산주의 반란이 종식된 후 발행을 중단했다. 주 정부의 정보부는 '펨브리타(Pembrita)'라는 또 다른 잡지를 발행하여 모범적인 롱하우스, 수익성 있는 현금 작물 및 축산업과 같은 개발 뉴스를 시골 이반 인구에게 제공하고, 농업 방식 현대화를 촉구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는 이반어 신문이 없었는데, 이는 수입 종이 재료의 높은 비용과 낮은 광고 수입 때문이었다.[9]
툰 주가 재단은 이반의 최고 지도자인 주가 바리엥이 사망한 후 1985년에 설립되어 이반인의 구술 역사를 기록하고, 이반어 사전을 제작하며, 이반인의 농촌-도시 이주를 조사했다.[7][8]
Radio Televisyen Malaysia(RTM)은 1980년대까지 이반어 라디오 방송을 일요일에는 10시간, 나머지 요일에는 9시간으로 확대했으며, WaiFM[9][3] Cats FM은 1997년에 개국한 최초의 상업 라디오 방송국이다.[9]
이반어는 1968년에 초등학교 커리큘럼에 포함되었고 1988년에는 몇몇 중등학교에 포함되었다. 1968년부터 1969년까지 교원 양성 대학에서는 이반어를 선택 과목으로 제공했으며, 1988년에 이르러서야 말레이시아 국가 커리큘럼의 일부로 공식화되었다.[4] 사라왁에는 이반어 매체 학교가 없다.[4] 2008년, 이반어는 Sijil Pelajaran Malaysia(SPM) 자격 시험을 위해 말레이시아 5학년 중등학교에서 선택 과목으로 가르쳐졌다.[3] 2008년 사라왁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1968년부터 총 367개의 초등학교와 55개의 중등학교에서 이반어 과목을 가르쳤다. 이반어 과목을 제공하는 초등학교 수는 2015년에 1,264개로 증가한 반면, 중등학교 수는 2015년에 52개로 감소했다. 대부분의 학교는 카피트, 시부, 스리 아만, 사리케이 구역에 상당한 이반인 학생이 있다. 이반어 과목은 사라왁의 두 교원 양성 기관의 학부 프로그램에서도 제공된다. 술탄 이드리스 교육 대학교(페락)에서는 이반어 연구를 전공하는 이반 학생들을 위해 이반어를 부전공 과목으로 제공한다.[3] 학교에서 이반어 과목을 도입한 결과, 지역별 차이를 보이던 이반어 철자, 방언 및 발음이 표준화되었다.[10]
2003년, 말레이시아 연방 당국은 이반어 성경인 '붑 쿠두스(Bup Kudus)'가 하나님에 대한 "알라"라는 단어의 사용이 알라를 이슬람의 신의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과 겹친다는 이유로 금지했다. 기독교가 이반의 다수 신앙인 반면, 이슬람은 공식적인 연방 지위를 가지고 있어, 정부는 이것이 주의 무슬림 인구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금지는 당시 부총리였던 압둘라 아흐마드 바다위가 지속적인 항의를 거쳐 해제했다.[9][11]
3. 4. 현대 (2010년 ~ 현재)
2010년과 2014년에 각각 ''보르네오 포스트(The Borneo Post)''와 ''우투산 보르네오(Utusan Borneo)'' 신문이 이반어 섹션을 시작했다.[12][3][13] 보르네오 포스트는 2017년에 이반어 섹션을 중단했다.[14] 2012년부터 2018년까지는 PEGARI Iban Production이라는 작은 회사에서 ''페가리''(Pegari)라는 월간 이반어 잡지를 발행했다.[3][15][16] PEGARI Iban Production의 자회사인 Borneo Media Solutions는 이반어로 된 여러 권의 책을 출판했다.[17]
RTM은 2011년에 최초의 보르네오 지향 채널인 TVi를 개국했으며, 2018년에 TV 오케이(TV Okey)로 변경되어 30분 분량의 이반어 뉴스 시간을 포함하게 되었다.[18][19] TV 사라왁(TV Sarawak)은 2020년 10월에 이반어 섹션을 시작했다.[20] 2024년에는 구글 번역(Google Translate)의 말레이시아 도메인에 이반어 지원이 추가되었다.[21]
4. 사용 현황
이반어는 사라왁 주 입법 의회에서 의장의 특별 허가를 받아 사용되며, 의회 회의 중 동시 통역이 제공되고 속기록에 기록된다.[3]
1860년대 제임스 브룩과의 전투에서 렌타프의 외침인 Agi Idup, Agi Ngelaban!|아기 이둡, 아기 느가라반!iba(살아있는 한 싸울 것이다!)은 사라왁 왕립 레인저 연대의 모토로 채택되었다. 이 외침은 연설과 차량 스티커에도 사용되어 이반족의 전사 정신을 불러일으킨다.[3] 이반족의 축하 구호인 "Oo-ha"는 사라왁의 전 수석 장관 아데난 사템이 군중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연설 전에 "안녕"의 형태로 대중화했다.[3] 중국계가 주류인 사라왁 연합 인민당은 이반어 단어 Sa'ati|사아티iba(단결)를 당의 슬로건으로 사용했다.[22][23] 또 다른 중국계가 주류인 사라왁 민주 행동당은 이반족의 지지를 얻기 위해 이반어를 사용하고 있다.[24][25] 다른 단어로는 말레이시아 국가 통합의 슬로건으로 선정된 Segulai sejalai|스굴라이 스잘라이iba(함께 가다)[26]와 사라왁 FA 축구팀이 상대를 꺾는 것을 채소를 먹는 것에 비유한 응원 구호 Ngap Sayot|응압 사욧iba(직역: 채소 먹기)가 있다.[27][28][29]
사라왁의 이반 교회는 이반어로 예배를 진행한다.[3]
사라왁 바자에서의 거래 또한 이반어로 자주 이루어진다.[3]
5. 음운론
이반어는 필리핀 바타네스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독특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반어의 음운 체계는 아래의 하위 섹션에서 자세하게 다룬다.
5. 1. 모음
이반어는 6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며, 5개의 기본 모음과 슈와를 포함한다.[1]5. 2. 자음
이반어는 다음과 같은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1]
6. 문법
이반어는 접사를 통해 어휘를 확장하는 특징을 보인다. 동사 gagaiiba('쫓다')를 예로 들 수 있다.[1]
- gagaiiba '쫓다'
- '''be'''gagaiiba '서로 쫓아다니며/장난치며 놀다'
- '''be'''gagai'''ka'''iba '무언가/누군가를 쫓다'
- '''ng'''agaiiba '쫓다'
- '''di'''gagaiiba '~에게 쫓기다'
- '''dipe'''gagai'''ka'''iba '많은 사람들에게 쫓기다'
- '''peng'''agaiiba '추격자'
- '''te'''gagai'''ka'''iba '앞지르다/능가하다'
이반어에는 접두사, 접미사, 양쪽 접사, 내부 접사의 네 가지 유형의 접사가 있다.[1]
명사 접사의 유형 | 접사 | 어근 단어의 예 | 파생 단어의 예 |
---|---|---|---|
접두사 | pe- | mangahiba (화난) | pemangahiba (성미가 급한) |
pen- | dataiiba (도착하다) | penataiiba (도착) | |
penge- | rinduiba (사랑하다) (동사) | pengerinduiba (사랑) (명사) | |
be- | retaiba (재산, 소유물) | beretaiba (부유한) | |
bepe- | rindangiba (즐거워하다) | beperindangiba (즐거움을 느끼다) | |
beke- bete | kitangiba (걸다) | bekekitangiba (무리지어 걸다) | |
ke- | rimpakiba (깨지다) | kerimpakiba (깨진 조각) | |
m- n- me- nge- nye | pandukiba (요리하다) | mandukiba (요리하는 것) | |
di- | siumiba (키스하다) | disiumiba (키스받다) | |
dipe- | jakuiba (단어, 말) | dipejakuiba (이야기되다, 험담하다) | |
se- | ikuiba (꼬리) | seikuiba, sikuiba (하나 (사람)) | |
sepe(m)- | panjaiiba (길다) | sepemanjaiiba (길이만큼, 길이 측정) | |
te- | indikiba (발자국) | terindikiba (우연히 무언가를 밟다) | |
내부 접사 | titikiba (떨어지다) | teritikiba (똑똑 떨어지다) | |
접미사 | -ka | pasukiba (입다) | pasukkaiba (입어라) (명령) |
-i | garamiba (소금) | garamiiba, geramiiba (절이다) | |
양쪽 접사 | ng-...-kn | ayahiba (낭비하다) | ngayahkaiba (낭비하다, 가지고 놀다) |
be-...-ka | kenaiba (치다, ~을 위해) | bekenakaiba (착용한다) |
- Sayauiba '사랑'
- Dikesayaukaiba '사랑받았다'
- Penyayauiba '애정'
- Kiruhiba '바쁘다'
- Ngiruhkaiba '누군가를 바쁘게 만들다'
- Pengiruhiba '몰두하는'
- Pengiruh-ngiruhiba '정말로 몰두하는'
- Enjukiba '주다'
- Berenjukiba '서로 주는 것' (현재)
- Dienjukiba '주었다' (과거)
- Deka ngenjukiba '주어질 것이다' (미래)
- Pengenjukiba '주는 사람'
- Kangauiba '부르다'
- Bekangauiba '서로 부르는 것' (현재)
- Ngangauiba '부르다' (현재)
- Dikangauiba '불렸다' (과거)
- Deka dikangauiba '불릴 것이다' (미래)
- Pengangauiba '부르는 사람'
6. 1. 인칭 대명사
noan|노안ibanoan səduai|노안 서두아이i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