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어는 보르네오 섬의 사라왁, 서 칼리만탄, 브루나이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이반어는 사라왁 말레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서부아, 물랑, 칸투 등의 언어와도 관련이 있다. 이반족은 16세기에 사라왁에 정착했으며, 브룩 시대에 학교에서 가르치기도 했다. 1958년 보르네오 문학국이 설립되어 이반어 문학을 수집하고 기록했으나 1977년 폐쇄되었다. 이후에도 이반어는 라디오, 신문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2024년에는 구글 번역에 이반어 지원이 추가되었다. 이반어는 사라왁 주 의회에서 사용되며, 이반족의 구전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중요한 언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나이의 언어 - 말레이어
    말레이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고, 루미 문자와 자위 문자를 함께 사용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갖는 언어이다.
  • 말레이어군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 말레이어군 - 코코스 말레이어
    코코스 말레이어는 코코스 제도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변종으로, 자바어와 호키엔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 및 문법적 특징에서 차이를 보이며 독자적인 문법 체계와 음운 체계를 갖는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이반어
언어 정보
이름이반어
자기 이름Jaku Iban
사용 국가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사용 지역보르네오섬
사용자이반족
추정 화자 수 (2019년)2,450,000명
제2 언어 화자 수 (말레이시아, 2019년)1,900,000명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하위 분류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말레이어군 - 이반어군
문자로마자, 둥잉 문자
ISO 639-2iba
ISO 639-3iba
Glottologiban1264
Glottolog 참조 이름이반어
언어 관리 기관Tun Jugah Foundation
말레이시아 교육부
Dayak Cultural Foundation
언어 분포도
이반어 분포
이반어 분포도 (제1 언어 화자가 대다수인 지역은 파란색, 소수 언어 지역은 하늘색으로 표시)

2. 분류

이반어는 보르네오 섬 내 사라왁, 서 칼리만탄[1]브루나이에서 사용되는 이반어군에서 유래되었다.[3][2] 이반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의 말레이어 하위 그룹에 속한다.[2] 말레이어는 서부 보르네오에서 유래되었으며,[3][2] 따라서 이반어는 특히 사라왁 방언과 말레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2] 이반어군에 속하는 다른 언어 변이로는 서부아, 물랑, 칸투, 서브루앙이 있다. 이 언어 그룹은 특정 어휘 형태의 단어 최종 위치 / -ai /로 식별할 수 있다. 이 어휘 형태는 / -an /, / -ang / 또는 드물게 / -ar /의 어휘 형태를 가진 다른 말레이어와 유사하다.[1]

이반어는 서부아, 켄다얀어, 발라우 및 셀라쿠와 같은 다른 방언과도 관련이 있다.[3]

3. 역사

이반족의 구전 역사에 따르면, 1968년 베네딕트 산딘은 이반족을 사라왁-칼리만탄 국경인 카푸아스 훌루 산맥의 후손으로 추정했다. 이반족은 16세기에 사라왁에 도착하여 사라왁 남부의 바탕 루파르 유역과 운도프강 지역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북쪽, 동쪽, 서쪽으로 이주하여 사리바스, 바탕 사동, 바탕 라야르, 바탕 루파르 강으로 확장되었다. 1800년대에는 바탕 루파르 강, 카티바스 강, 사리바스 강(라장강의 지류)에서 라장 분지(사라왁 중부 지역)로 이동했다. 1870년대까지 그들은 무카와 오야강에 도달했다. 1900년대 초에는 발링간, 타타우, 케메나 강(빈투루 근처)에 도달했다. 그들은 또한 사라왁 북부의 바람 지역과 림방강에도 같은 시기에 도달했으며 사라왁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이 되었다.[1]

3. 1. 브룩 통치 (1841년 ~ 1946년)

브룩 정부는 이반족이 이동식 경작으로 지정된 토지에 유해한 환경적 영향을 미치고, 기존 지역 부족보다 수가 더 많아질 것을 우려하여 이반족의 다른 강(예: 발레 강)으로의 추가 이주를 제한했다. 그러나 브룩 정부는 정부의 권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룬두, 발링기안, 빈툴루, 림방, 바라우와 같은 다른 지역에 이반족이 정착하는 것은 허용했다. 이러한 정책의 결과로 바탕 루파 강을 따라 살던 부키탄족과 같은 소수 민족 집단이 이반족에게 동화되어 이반족의 성장과 주(州) 내 이반어의 확산에 기여했다.[1] 이반어는 브룩 시대인 1940년대에 학교에서 가르쳐졌다.[4]

3. 2. 보르네오 문학국 (1958년 ~ 1977년)

사라왁 왕령 식민지 시대에 이반어는 정부 공식 서신, 법원, 발표 및 공지 사항에 사용되었다. 영국이 시작한 사라왁 라디오는 이반어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아시아 언어"로 알려졌던 이반어는 사라왁 주니어 자격증 시험 과목으로 제공되었으며, 1963년에 "이반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58년 영국은 구전 이반 문학을 수집하고 기록하기 위해 보르네오 문학국(BLB)을 설립했다.[5] BLB는 1973년까지 60권 이상의 이반어 책을 출판했으며, 1977년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 기관인 데완 바하사 단 푸스타카(DBP)로 대체되면서 보르네오 언어로 된 책의 출판은 중단되었다.[5] 1967년 BLB가 시작한 잡지 ''Nendak'' (흉조 새의 이름)의 출판 또한 중단되었다.[9] 사라왁 데이악 이반 협회의 전 부회장인 짐분 타와이는 이 왕령 식민지 시대를 이반어의 "황금기"라고 불렀다.[6]

3. 3. 보르네오 문학국 폐쇄 이후 (1977년 ~ 2000년대)

보르네오 문학국(BLB) 폐쇄 이후, 쿠칭에 본사를 둔 '클라식(Klasik)'과 같은 소규모 출판사들이 이 분야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엔세라'(이반 서사시)와 '체리타 켈룰루'(도덕 소설) 등의 작품을 출판했다. 기독교 교회는 이반 '아닷'(문화)의 특정 측면을 채택한 기도서를 출판하여, BLB 폐쇄 이후 기독교 텍스트가 이반어의 문화적 보고로서 더 큰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9]

'베리타 라크얏(Berita Rakyat)'과 같은 국가 지원 미디어는 1974년에 설립되어 1990년대에 종료되었다. 이 잡지는 라장 보안 사령부(RASCOM)가 라장 분지에서 공산주의자 활동을 근절하기 위해 시부에서 시작했으며, 1990년 사라왁의 공산주의 반란이 종식된 후 발행을 중단했다. 주 정부의 정보부는 '펨브리타(Pembrita)'라는 또 다른 잡지를 발행하여 모범적인 롱하우스, 수익성 있는 현금 작물 및 축산업과 같은 개발 뉴스를 시골 이반 인구에게 제공하고, 농업 방식 현대화를 촉구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는 이반어 신문이 없었는데, 이는 수입 종이 재료의 높은 비용과 낮은 광고 수입 때문이었다.[9]

툰 주가 재단은 이반의 최고 지도자인 주가 바리엥이 사망한 후 1985년에 설립되어 이반인의 구술 역사를 기록하고, 이반어 사전을 제작하며, 이반인의 농촌-도시 이주를 조사했다.[7][8]

Radio Televisyen Malaysia(RTM)은 1980년대까지 이반어 라디오 방송을 일요일에는 10시간, 나머지 요일에는 9시간으로 확대했으며, WaiFM[9][3] Cats FM은 1997년에 개국한 최초의 상업 라디오 방송국이다.[9]

이반어는 1968년에 초등학교 커리큘럼에 포함되었고 1988년에는 몇몇 중등학교에 포함되었다. 1968년부터 1969년까지 교원 양성 대학에서는 이반어를 선택 과목으로 제공했으며, 1988년에 이르러서야 말레이시아 국가 커리큘럼의 일부로 공식화되었다.[4] 사라왁에는 이반어 매체 학교가 없다.[4] 2008년, 이반어는 Sijil Pelajaran Malaysia(SPM) 자격 시험을 위해 말레이시아 5학년 중등학교에서 선택 과목으로 가르쳐졌다.[3] 2008년 사라왁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1968년부터 총 367개의 초등학교와 55개의 중등학교에서 이반어 과목을 가르쳤다. 이반어 과목을 제공하는 초등학교 수는 2015년에 1,264개로 증가한 반면, 중등학교 수는 2015년에 52개로 감소했다. 대부분의 학교는 카피트, 시부, 스리 아만, 사리케이 구역에 상당한 이반인 학생이 있다. 이반어 과목은 사라왁의 두 교원 양성 기관의 학부 프로그램에서도 제공된다. 술탄 이드리스 교육 대학교(페락)에서는 이반어 연구를 전공하는 이반 학생들을 위해 이반어를 부전공 과목으로 제공한다.[3] 학교에서 이반어 과목을 도입한 결과, 지역별 차이를 보이던 이반어 철자, 방언 및 발음이 표준화되었다.[10]

2003년, 말레이시아 연방 당국은 이반어 성경인 '붑 쿠두스(Bup Kudus)'가 하나님에 대한 "알라"라는 단어의 사용이 알라를 이슬람의 신의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과 겹친다는 이유로 금지했다. 기독교가 이반의 다수 신앙인 반면, 이슬람은 공식적인 연방 지위를 가지고 있어, 정부는 이것이 주의 무슬림 인구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금지는 당시 부총리였던 압둘라 아흐마드 바다위가 지속적인 항의를 거쳐 해제했다.[9][11]

3. 4. 현대 (2010년 ~ 현재)

2010년과 2014년에 각각 ''보르네오 포스트(The Borneo Post)''와 ''우투산 보르네오(Utusan Borneo)'' 신문이 이반어 섹션을 시작했다.[12][3][13] 보르네오 포스트는 2017년에 이반어 섹션을 중단했다.[14] 2012년부터 2018년까지는 PEGARI Iban Production이라는 작은 회사에서 ''페가리''(Pegari)라는 월간 이반어 잡지를 발행했다.[3][15][16] PEGARI Iban Production의 자회사인 Borneo Media Solutions는 이반어로 된 여러 권의 책을 출판했다.[17]

RTM은 2011년에 최초의 보르네오 지향 채널인 TVi를 개국했으며, 2018년에 TV 오케이(TV Okey)로 변경되어 30분 분량의 이반어 뉴스 시간을 포함하게 되었다.[18][19] TV 사라왁(TV Sarawak)은 2020년 10월에 이반어 섹션을 시작했다.[20] 2024년에는 구글 번역(Google Translate)의 말레이시아 도메인에 이반어 지원이 추가되었다.[21]

4. 사용 현황

이반어는 사라왁 주 입법 의회에서 의장의 특별 허가를 받아 사용되며, 의회 회의 중 동시 통역이 제공되고 속기록에 기록된다.[3]

1860년대 제임스 브룩과의 전투에서 렌타프의 외침인 Agi Idup, Agi Ngelaban!|아기 이둡, 아기 느가라반!iba(살아있는 한 싸울 것이다!)은 사라왁 왕립 레인저 연대의 모토로 채택되었다. 이 외침은 연설과 차량 스티커에도 사용되어 이반족의 전사 정신을 불러일으킨다.[3] 이반족의 축하 구호인 "Oo-ha"는 사라왁의 전 수석 장관 아데난 사템이 군중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연설 전에 "안녕"의 형태로 대중화했다.[3] 중국계가 주류인 사라왁 연합 인민당은 이반어 단어 Sa'ati|사아티iba(단결)를 당의 슬로건으로 사용했다.[22][23] 또 다른 중국계가 주류인 사라왁 민주 행동당은 이반족의 지지를 얻기 위해 이반어를 사용하고 있다.[24][25] 다른 단어로는 말레이시아 국가 통합의 슬로건으로 선정된 Segulai sejalai|스굴라이 스잘라이iba(함께 가다)[26]사라왁 FA 축구팀이 상대를 꺾는 것을 채소를 먹는 것에 비유한 응원 구호 Ngap Sayot|응압 사욧iba(직역: 채소 먹기)가 있다.[27][28][29]

사라왁의 이반 교회는 이반어로 예배를 진행한다.[3]

사라왁 바자에서의 거래 또한 이반어로 자주 이루어진다.[3]

5. 음운론

이반어는 필리핀 바타네스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독특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반어의 음운 체계는 아래의 하위 섹션에서 자세하게 다룬다.

5. 1. 모음

이반어는 6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며, 5개의 기본 모음과 슈와를 포함한다.[1]

이반어 모음
전설중설후설
i|imulu|umul
e|emulə|əmulo|omul
a|amul



모음 소리는 비음 자음 앞에 올 때 비음화된다.[1]

5. 2. 자음

이반어는 다음과 같은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1]


6. 문법

이반어는 접사를 통해 어휘를 확장하는 특징을 보인다. 동사 gagaiiba('쫓다')를 예로 들 수 있다.[1]


  • gagaiiba '쫓다'
  • '''be'''gagaiiba '서로 쫓아다니며/장난치며 놀다'
  • '''be'''gagai'''ka'''iba '무언가/누군가를 쫓다'
  • '''ng'''agaiiba '쫓다'
  • '''di'''gagaiiba '~에게 쫓기다'
  • '''dipe'''gagai'''ka'''iba '많은 사람들에게 쫓기다'
  • '''peng'''agaiiba '추격자'
  • '''te'''gagai'''ka'''iba '앞지르다/능가하다'


이반어에는 접두사, 접미사, 양쪽 접사, 내부 접사의 네 가지 유형의 접사가 있다.[1]

명사 접사의 유형접사어근 단어의 예파생 단어의 예
접두사pe-mangahiba (화난)pemangahiba (성미가 급한)
pen-dataiiba (도착하다)penataiiba (도착)
penge-rinduiba (사랑하다) (동사)pengerinduiba (사랑) (명사)
be-retaiba (재산, 소유물)beretaiba (부유한)
bepe-rindangiba (즐거워하다)beperindangiba (즐거움을 느끼다)
beke- betekitangiba (걸다)bekekitangiba (무리지어 걸다)
ke-rimpakiba (깨지다)kerimpakiba (깨진 조각)
m- n- me- nge- nyepandukiba (요리하다)mandukiba (요리하는 것)
di-siumiba (키스하다)disiumiba (키스받다)
dipe-jakuiba (단어, 말)dipejakuiba (이야기되다, 험담하다)
se-ikuiba (꼬리)seikuiba, sikuiba (하나 (사람))
sepe(m)-panjaiiba (길다)sepemanjaiiba (길이만큼, 길이 측정)
te-indikiba (발자국)terindikiba (우연히 무언가를 밟다)
내부 접사titikiba (떨어지다)teritikiba (똑똑 떨어지다)
접미사-kapasukiba (입다)pasukkaiba (입어라) (명령)
-igaramiba (소금)garamiiba, geramiiba (절이다)
양쪽 접사ng-...-knayahiba (낭비하다)ngayahkaiba (낭비하다, 가지고 놀다)
be-...-kakenaiba (치다, ~을 위해)bekenakaiba (착용한다)



다른 예시는 다음과 같다.[1]


  • Sayauiba '사랑'
  • Dikesayaukaiba '사랑받았다'
  • Penyayauiba '애정'
  • Kiruhiba '바쁘다'
  • Ngiruhkaiba '누군가를 바쁘게 만들다'
  • Pengiruhiba '몰두하는'
  • Pengiruh-ngiruhiba '정말로 몰두하는'
  • Enjukiba '주다'
  • Berenjukiba '서로 주는 것' (현재)
  • Dienjukiba '주었다' (과거)
  • Deka ngenjukiba '주어질 것이다' (미래)
  • Pengenjukiba '주는 사람'
  • Kangauiba '부르다'
  • Bekangauiba '서로 부르는 것' (현재)
  • Ngangauiba '부르다' (현재)
  • Dikangauiba '불렸다' (과거)
  • Deka dikangauiba '불릴 것이다' (미래)
  • Pengangauiba '부르는 사람'

6. 1. 인칭 대명사

noan|노안ibadeʔ səduai|데 서두아이iba
noan səduai|노안 서두아이ibakitaʔ|키타iba3인칭iya|이야ibasəduai|서두아이ibasidaʔ|시다iba



예시



대명사는 주로 주어 뒤에 위치한다.

6. 2. 소유 대명사

이반어 소유 대명사
이반어한국어
engkuiba나의 것
enggi diiba, ngediiba너의 것
enggi iyaiba, ngi'yaiba그/그녀의 것
enggi tuaiba우리 둘의 것
engkitaiba너희 모두의 것
enggi sidaiba그들의 것



예시 문장:

6. 3. 지시 한정사

이반어에는 세 개의 지시 한정사가 있다. Tu|투iba는 '이, 이것들'로 화자에게 가까운 명사에 사용되고, nya|냐iba는 '저, 저것들'로 화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명사에 사용되며, nyin|닌iba은 화자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것을 가리킨다.

대명사이반어한국어
tu|투ibabup tu|붑 투iba이 책, 이 책들
nya|냐ibaukui nya|우쿠이 냐iba저 개, 저 개들
nyin|닌ibabungai nyin|붕아이 닌iba저 (가장 먼) 꽃들



이 단어들은 명사를 수식하기보다는 대체하여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시 대명사로도 작용할 수 있다.

예시:

6. 4. 지시 대명사

이반어에서 지시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위치에 따라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이반어에는 화자와의 위치에 따라 세 가지 지시 대명사가 있으며, 사람에게만 사용할 수 있고 무생물에는 사용할 수 없다.

지시 대명사
형태
iya tuiba이 사람
iya nyaiba저 사람
iya nyiniba저 다른 사람 (가장 먼)



예시:

6. 5. 부사

이반어의 지시 부사는 이반어 문법의 지시 대명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지시 대명사에 해당하는 부사로는 kituiba ('여기로 가는'), kiaiba ('거기로 가는'), kiniba ('저 멀리 가는')이 있으며, 지시 대명사 '이것'에 해당하는 부사로는 tuiba, nyaiba, nyiniba이 있다.

지시 부사
형태의미
근접kituiba여기로 가는
중간kiaiba거기로 가는
원격kiniba저 멀리 가는



예시:



장소 지시어
형태해석
근접dituiba여기
중간diaiba저기
원격diniba저기, 저 멀리



예시:



이반어는 또한 방식을 나타내는 부사 집합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baka (ke)iba ('~처럼/같이')와 약어 형태의 결정사 tuiba, nyaiba, nyiniba의 조합이다.

위치 결정사
형태의미
근접baka tuiba이처럼, 이렇게
중간baka nyaiba저처럼, 그렇게
원격baka nyiniba저처럼, 그렇게



예시:

6. 6. 의문사

이반어에는 sapa|사파iba, nama|나마iba, ni|니iba, lapa|라파iba, kemaya|케마야iba, berapa|베라파iba와 같은 몇 가지 의문사가 있다.

7. 어휘

1900년, 윌리엄 하웰 성공회 사제와 브룩 행정관 D.J.S. 베일리가 시망강(스리 아만) 근처 사부에서 최초의 이반어-영어 사전인 ''바다 다야크 사전''을 출판했다.[30]

2016년에는 The Dayak Cultural Foundation과 The Tun Jugah Foundation이 공동으로 31,000개 항목, 약 1900페이지 분량의 ''포괄적인 이반어-영어 사전''을 출판했다.[30]

1989년, 데완 바하사 단 푸스타카(DBP)에서 최초로 이반어-말레이어 사전을 출판했다. 2015년에 출판된 2판은 11,530개 항목과 9,710개 하위 항목을 포함한다.[31]

8. 문자 체계

이반족의 전설에 따르면, 렝기라는 조상이 나무 껍질에 글을 썼지만 물에 젖어 글이 사라졌다고 한다. 이 비극에 고통받은 렝기는 글을 먹고 삼켰다.[37] 이로 인해 글은 렝기의 뇌와 혈액, 그리고 그의 후손들에게 각인되었다. 그 이후로 이반족은 책에 정확히 쓰인 것처럼 구두 전통을 암기하는 데 능숙해졌다.[32] 이따금 이반족은 기억 보조 도구로 개인화된 기호를 그들의 글판(''papan turai'')에 사용했다.[33][34] ''Papan turai''는 ''pengap''과 ''sabak''과 같은 의례적인 시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35]

이반어는 고유의 현존하는 문자 체계가 없었기 때문에, 기독교 선교사들이 언어를 체계화하기 위해 라틴 문자를 채택했다.[4] 1900년에 출판된 ''A Sea Dyak Dictionary''는 이반어가 문자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0] 사라왁 왕령 식민지 시대 동안, 보르네오 문학국 또한 이반어의 문자 형태에 힘썼다.[4]

1947년부터 1962년까지, Dunging anak Gunggu는 음절 문자인 Dunging script를 발명했다.[36][37] 2010년, 말라야 기술 대학교의 Bromeley Philip 박사(Dunging의 조카손자)는[37] Windows 및 Macintosh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LaserIban"이라는 Dunging script용 디지털 글꼴을 만들었다. Bromeley 박사는 또한 LaserIban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강좌를 개설했으며, 라틴 문자로 된 여러 전통 민담을 Dunging script로 번역했다.[38] 그러나 Dunging script는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36] 2011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Dunging script를 마스터한 사람은 Bromeley 박사, 롱하우스 족장 Tuai Rumah Bagat Nunui, 그리고 교사 Ngambong Katoi 세 명뿐이었다.[39]

9. 방언

이반어는 보르네오 섬의 사라왁, 서 칼리만탄[1]브루나이에서 사용되는 이반어군에서 유래되었다.[3][2] 이반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의 말레이어 하위 그룹에 속한다.[2] 말레이어는 서부 보르네오에서 유래되었으며,[3][2] 따라서 이반어는 사라왁 방언 및 말레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2]

이반어는 서부아, 켄다얀어, 발라우, 셀라쿠와 같은 다른 방언과도 관련이 있다.[3] 이반어는 다양한 하위 민족 집단으로 세분될 수 있으며, 각 집단은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한다. 가장 격식 있고, 중간적이며, 실용적인 방언은 사리바스 방언으로, 주로 베통과 사라토크에서 사용된다. 발라우, 서부야우, 울루 아이, 레장과 같은 다른 방언들은 사라왁 지역 전체에서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예외는 다른 지역의 이반족에게도 여전히 이해되는 르문/밀리킨 방언이다. 서칼리만탄에서는 부가우, 서브루앙, 무알랑, 쳉캉, 서바루, 다우와 같은 방언들이 더 상이하다.

9. 1. 방언 비교

사라왁 이반어와 무알랑어 비교
영어발라우 (사라왁)무알랑 (칼리만탄)
수탉Manuk|마눅ibaRenyau|레냐우mtd
냄새Nyium|니윰ibaLulum|룰룸mtd
바보Tuyu|투유iba, banga|방아ibaMawa|마와mtd
쌍둥이sapit|사핏ibaRakup|라쿱mtd
창문Penyinga/jenila|프닝아/제닐라ibaTelingu'|틀링우mtd
아버지Apai|아파이ibaMpai|음파이mtd
느끼다Asai|아사이ibaAsa'|아사mtd
그리고Enggau|응가우ibaAba'|아바mtd
동물Jelu|즐루ibaIbun|이분mtd
정렬하다Tusun|투순ibaTunsun|툰순mtd, tipan|티판mtd
호흡하다Seput|스풋ibaPenyuan|프뉴안mtd



'''샘플 텍스트 (누가복음 2:10-11)'''

무알랑 (서칼리만탄, 인도네시아)

:10 Baroꞌ mlikat Tuhan Allah madah ke sidaꞌ: “Nang kitaꞌ takot! Ku madah brita bayek ari Tuhan Allah ke kitaꞌ, te nyuroh gaga ugaꞌ bansa.

:11 Malam toꞌ de kuta Daode udah adai Penyelamat kitaꞌ, Al Maseh Raja te dedanyi Tuhan Allah, nyaꞌ mah Tuhan.

이반 (사라왁, 말레이시아)

:10 Tang ku melikat nya bejaku ngagai sida, “Anang takut! Laban aku mai ngagai kita Berita Manah ti ngasuh ati semua mensia gaga:

:11 sehari tu, di nengeri David, Juruselamat kita udah ada, iya nya Kristus ti Tuhan!

세부야우 (사라왁, 말레이시아)

:10 Tapi kenu mlikat nia bepadah ka hida-eh, “Nang kita takut! Tegal aku minching ka kita Behita Badas te mela ati semua mensia hindang:

:11 chahi tia, de nenggehi David, Penyelamat kita udah ada, iya nia Kehistus te Petaha!

표준 이반어와 레문어 비교
영어표준 이반어레문/밀리킨
아니요Enda|은다ibaEntai|은타이lkj
보다Meda|므다ibaNgilau|응일라우lkj
알다Nemu|느무ibaBadak|바닥lkj
셔츠Gari|가리ibaKelatang|클라탕lkj
뛰다Belanda|블란다ibaBelawa|블라와lkj
조용!Anang inggar|아낭 잉아르ibaSengian|승이안lkj
바보Beli'/Palui/bangka|블리/팔루이/방카ibaLabuan|라부안lkj
아니/아니었다Nadai|나다이ibaEntai|은타이lkj
내일Pagila|파길라ibaPagi|파기lkj
나중에Lagi/legi|라기/르기ibaIla|일라lkj
매트Tikai|티카이ibaKelaya|클라야lkj
좋은Manah|마나ibaNyelaie|녤라이에lkj



'''이반 레문어의 샘플 구절'''



표준 이반어와 세부야우 비교
영어표준 이반어세부야우/쿠아'
Nuan|누안ibaKua'|쿠아iba
Lapa|라파ibaMentang|믄탕iba
바보Tuyu|투유iba, beli|블리ibaBanga|방아iba
아니Enda|은다ibaAdai|아다이iba
나중에Lagi|라기ibaIla|일라iba
내일Pagila|파길라ibaPagi|파기iba
알다Nemu|느무ibaSiba|시바iba
서두르다Beguai/Berumban|브과이/브룸반ibaTemengat|트믄앗iba
곁들여 먹는 음식Engkayu|응카유ibaHempah|음파iba
나오다Pansut|판숫ibaTemenyul|트므뉼iba
안절부절못하는Kekasak|크카삭ibaKekajal|크카잘iba
지저분한Temerak|트므락ibaKemada|크마다iba
이처럼Baka nya|바카 냐ibaBaka nia|바카 니아iba
원인Ngasuh|응아수ibaMela|믈라iba
충격을 받다Tekenyit|트크닛ibaTekanyat|트카냣iba
느린Lubah|루바ibaLumbu|룸부iba


10. 예시

이반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반어 숫자
이반어이반어 표준영어
SanibaSa/satuiba하나
DuanibaDuaiba
DangkuibaTigaiba
DangkanibaEmpatiba
Dana/TebakibaLimaiba다섯
Dia/TunggulibaNamiba여섯
Tuchung/KusilibaTujuhiba일곱
Dalun/KulatibaLapaniba여덟
Dunggau/KeduibaSemilaniba아홉
Dupuk/KedatibaSepuluhiba



이반어 가족 관계
이반어영어
Apai/Abaiba아버지
Indai/Inaiba어머니
Akiiba할아버지
Iniiba할머니
Ayaiba삼촌
Ibuiba고모/이모/숙모
Menyadi/Madiiba형제/자매
Aka/Ika/Menyadi tuaiiba형/누나/언니/오빠
Adi/Menyadi biakiba남동생/여동생
Uchuiba손자/손녀
Ichitiba증손자/증손녀



이반어 확대 가족 관계
이반어영어
Entuaiba배우자의 부모
Entua ke lakiiba장인/시아버지
Entua ke induiba장모/시어머니
Apai/Indai tiriiba계부 또는 계모
Menyadi/Madi ipariba배우자의 형제자매
Ipar ke lakiiba처남/매형/시동생/형님
Ipar ke induiba처제/올케/시누이/동서
Aki ichitiba고조할아버지
Ini ichitiba고조할머니
Anak buahiba조카
Anak buah ke lakiiba조카(남)
Anak buah ke induiba조카(여)
Petunggaliba사촌
Isaniba배우자의 부모와 자신의 부모 사이의 관계



이반어 시간 표현
이반어영어/로마자
Ensanus/Ensanaiba그저께
Kemariiba어제
Sarituiba오늘
Pagilaiba내일
Lusaiba모레
Tulatiba3일 후
Lupatiba4일 후



예시:



이반 달력은 다음과 같이 그레고리력보다 한 달 앞선다.

이반 달력
이반어영어/그레고리력
Empalai rubaiiba1월
Emperega/Empekapiba2월
Lelangiba3월
Turun pangguliba4월
Sandih tundaniba5월
Tujuhiba6월
Berenggang rebaniba7월
Kelebuniba8월
Labuh benihiba9월
Gantung sendukiba10월
Chechangukiba11월
Pangka di labuiba (이반 달력의 첫 번째 달)12월



이반어 기본 회화
이반어영어/로마자
Nama berita nuan?iba잘 지내세요?
Sapa nama nuan?iba이름이 뭐예요?
Berapa/mesa rega utai tu?iba이거 얼마예요?
Dini alai ___?iba___는 어디에 있나요?
Ari ni penatai nuan?iba어디에서 오셨어요?
Datai ari ___akuiba___에서 왔어요.
Pukul berapa diatu?iba지금 몇 시예요?
Selamat lemai!iba안녕하세요! (저녁 인사)
Selamat ngalih ari!iba안녕하세요! (오후 인사)
Lalu nemuai!iba환영합니다!
Anang manchal!iba장난치지 마세요!
Enda ulih dataiiba못 갔어요.
Anang guaiiba잠깐만요/기다려 주세요.
Nadai ngawa nya/enda ngawaiba신경 쓰지 마세요/괜찮아요.
Ka belayaiba싸울래요?
Pulai/mupuk duluiba돌아가요/먼저 가요.
Aram bekelala tuaiba서로 알아가요.
Pengerinduiba사랑, 열정
Aku lelengauka nuaniba보고 싶어요.
Sapa enggau nuan?iba누구랑 왔어요/같이 있어요?
Aku enggau ___iba___랑 같이 왔어요/갔어요; ___랑 같이 있어요.
Alau dingaiba들어주세요 (사라토크 방언)
Anang inggar / ragakiba조용히 해주세요.
Kini ke nuan?iba어디 가세요?
Mar amat!iba너무 비싸요/어려워요.
Tusah endar!iba너무 어려워요.
Kapa nya!iba신경 안 써요/그게 왜요!
Selamat pagi, Pengajariba선생님, 안녕하세요.
Enda nemu aku tuiba모르겠어요.
Aram ngirup mih kitaiiba우리 술 마시자.
Ka ke pasar ku pagilaiba내일 시내에 가고 싶어요.
Mupuk gawa akuiba일하러 가요.
Ka tinduk akuiba자고 싶어요.
Sapa kita ke manchal?iba누가 장난을 치고 있어요?
Bajik amat nuaniba당신은 예뻐요 (여성에게)
Sigat amat nuaniba당신은 잘생겼어요 (남성에게)
Aku meruan sayauka nuan belamaiba나는 항상 당신을 사랑할 거예요.
Asai ke kala meda nuaniba당신을 전에 본 것 같아요.


11. 성경 번역 및 샘플 텍스트

태초에, 하느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 땅은 아직 꼴을 갖추지 못하고 비어 있었고, 어둠이 깊은 물 위에 덮여 있었다. 하느님의 영이 물 위를 감돌고 있었다. 하느님께서 "빛이 생겨라!" 하고 말씀하시자 빛이 생겨났다. 하느님께서는 빛이 보기에 좋음을 보시고 빛과 어둠을 나누셨다. 하느님께서는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셨다.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것이 첫째 날이었다.

참조

[1] 논문 Iban as a koine language in Sarawak https://scholarhub.u[...] 2021-05-07
[2] 서적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ANU Press 2006
[3] 논문 Language use and attitudes as indicators of subjective vitality: The Iban of Sarawak, Malaysia https://scholarspace[...] 2023-10-15
[4] 논문 The Iban of Sarawak, Malaysia Ethnic Language Losing Ground to English and Sarawak Malay https://so01.tci-tha[...] 2023-12-19
[5] 서적 Mother Tongue Education of Malaysia Ethnic Minorities Dong Jiao Zong Higher Learning Center
[6] 논문 Minority Language Education in Malaysia: Four Ethnic Communities' Experiences http://www.tandfonli[...] 2003-02
[7] 웹사이트 Tun Jugah Remembered As Sarawak's Greatest Hero - Taib https://www.nreb.gov[...]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Board Sarawak 2024-02-19
[8] 웹사이트 Report on Research Projects https://tunjugahfoun[...] Tun Jugah Foundation 2024-02-19
[9] 서적 Media and Nation Building: How the Iban became Malaysian Berghahn Books 2006-05-15
[10] 뉴스 Union chief calls on Sarawak communities to avoid language disputes https://www.thestar.[...] 2024-11-18
[11] 뉴스 Ban on Iban Bible lifted https://www.thestar.[...] 2003-04-26
[12] 웹사이트 Berita Iban https://www.theborne[...] The Borneo Post 2024-01-06
[13] 웹사이트 Berita Iban https://www.utusanbo[...] Utusan Borneo 2024-01-06
[14] 뉴스 Berita Iban https://www.theborne[...] The Borneo Post 2024-02-19
[15] 웹사이트 Majalah PEGARI https://pegari02.wor[...] PEGARI Iban Production 2024-02-19
[16] 뉴스 Sukung mih Radio Pegari Web FM (Please support Pegari Web FM Radio) https://suarasarawak[...] Suara Sarawak 2021-04-19
[17] 뉴스 Seven Iban books published by Borneo Media Solutions so far https://www.theborne[...] The Borneo Post 2014-01-03
[18] 뉴스 New TV channel for Sabah and Sarawak https://www.thestar.[...] 2022-10-30
[19] 뉴스 TV OKEY guna bahasa tempatan (TV OKEY uses local languages) https://www.bharian.[...] Berita Harian 2018-03-21
[20] 뉴스 TVS nyerungkai pengidup Iban (TVS unwraps the Iban way of life) https://suarasarawak[...] Suara Sarawak 2020-10-11
[21] 뉴스 Iban among new languages added to Google Translate https://www.theborne[...] The Borneo Post 2024-06-29
[22] 뉴스 SUPP members told to move forward with 'Sa'ati' https://www.theborne[...] The Borneo Post 2014-06-04
[23] 뉴스 SUPP to set up Sa'Ati Education Foundation to aid students https://dayakdaily.c[...] Dayak Daily 2022-05-22
[24] 웹사이트 YES! Jom Aram Neh Berubah! (Yes! Let's just change!) http://lib.perdana.o[...] Democratic Action Party 2023-10-16
[25] 웹사이트 Dayaks As The Kingmaker In Coming State Election https://en.dapsarawa[...] Sarawak Democratic Action Party 2023-10-16
[26] 뉴스 PM: Segulai sejalai, cogan kata perpaduan dari bahasa Iban (Prime Minister: "Segulai sejalai" slogan from the Iban language) https://www.malaysia[...] Malaysiakini 2023-06-07
[27] 웹사이트 Ngap Sayot https://www.behance.[...] 2023-10-17
[28] 뉴스 'Don't use Ngap Sayot for politics' https://www.theborne[...] The Borneo Post 2013-06-16
[29] 웹사이트 Ngap sayot! Sarawakians upbraid 'Harimau Malaya' on Malaysia Day https://www.thevibes[...] The Vibes 2023-10-17
[30] 논문 A Comprehensive Iban-English Dictionary. https://www.thefreel[...] 2024-01-07
[31] 뉴스 Unik dan kepentingan kamus Iban - Melayu (The uniqueness and the importance of the Iban-Malay dictionary) https://www.bharian.[...] Berita Harian 2015-12-20
[32] 뉴스 Dunging Script into the millennium https://www.theborne[...] The Borneo Post 2021-07-11
[33] 서적 Rajahs & Rebels - The Ibans of Sarawak under Brooke Rule (1841-1941)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023-08-12
[34] 뉴스 The Sarawak Hieroglyphics: A Lost Legacy? https://www.theborne[...] The Borneo Post 2024-05-13
[35] 웹사이트 Bab III - Metodologi (Chapter 3 - Methodology) https://kc.umn.ac.id[...] Universitas Multimedia Nusantara 2024-11-01
[36] 웹사이트 Iban https://www.omniglot[...] 2019-08-20
[37] 뉴스 'Long Lost' Iban Alphabet Script 'Found' http://www.theborneo[...] 2019-08-20
[38] 웹사이트 Reviving the Iban alphabet https://news.uitm.ed[...] UiTM News Hub 2023-12-19
[39] 뉴스 'Pioneer Iban alphabet students will promote system' https://www.theborne[...] The Borneo Post 2024-01-16
[40] 웹사이트 Bup Kudus Baru http://www.gerijaib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