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발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발소는 머리카락을 자르고 면도하는 곳을 의미하며, 일본에서는 가메야마하치만구 신사 발상지 기념비가 있는 시모노세키시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에도 시대부터 "이발소"라는 말이 사용되었으며, 메이지 유신 시대에 요코하마에 최초의 이발소가 개업했다. 이발소는 일본의 이용사법에 의해 규정되며, 이발소 개설 시 도도부현 지사에게 신고해야 한다. 이발소를 소재로 한 작품으로는 동요 "아와테 토코야", 희곡 "세비야의 이발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발 - 면도
면도는 날면도기나 전기면도기를 사용하여 수염이나 몸의 털을 제거하는 행위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방법과 제품 선택이 중요하며, 개인의 선택과 자기 표현의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 이발 - 바비 핀
바비 핀은 머리카락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작은 금속 핀으로, 다양한 스타일 연출과 머리 덮개 고정, 장식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1차 세계 대전 이후 루이스 마커스에 의해 발명되었다. - 가게 - 면세점
면세점은 관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어 여행객들이 출국 시나 특정 지역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점으로, 1947년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 세계 최초의 면세점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가게 - 포장마차
포장마차는 1950년대 한국에서 술과 안주를 파는 노점으로 시작되어 서민들의 음식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았으며, 다양한 음식과 주류를 판매하고 현대에는 독특한 미학으로 인식되는 친숙한 문화 공간이다.
이발소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종류 | 시설 |
주요 기능 | 이발 |
역사 | |
기원 | 1800년대 중반에 시작된 근대적인 형태의 이발소는 남성 전용 공간으로 탄생하였으며, 이 시기에는 면도와 간단한 머리 손질을 제공하였다. 20세기 초반에 이발소는 남성들이 사회적 교류를 나누는 장소로 발전하였다. |
대한민국 | 1920년대 후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했으며, 1970년대에는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1980년대부터 미용실의 등장과 함께 점차 감소 추세에 있다. 1960년대와 70년대에는 지역 사회의 중요한 만남의 장소 역할을 하였다. 1980년대 이후 미용실 증가와 함께 이발소는 점차 감소하였다. |
특징 | |
시설 | 이발 의자 거울 소독기 면도칼 |
서비스 | 이발 면도 머리 감기 간단한 머리 손질 |
문화적 측면 | |
남성 문화 | 이발소는 남성들이 편안하게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단순한 이발 공간을 넘어 사회적 교류 및 소통의 장소였다. |
변화 | 사회 변화와 미용 기술 발전에 따라 이발소의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이발소의 개념을 살린 새로운 형태의 이발소가 등장하고 있다. |
기타 | |
관련 용어 | 리발소 |
다른 나라 | 미국에서는 '바버샵(Barbershop)'이라고 불리며, 이발뿐만 아니라 면도, 머리 손질, 수염 손질 등 다양한 남성 그루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럽의 경우에도 비슷한 형태의 이발소가 존재한다. |
2. 역사
이발소는 한국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가마쿠라 시대부터 이발소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의 가메야마하치만구 신사에는 1995년에 세워진 이발소 발상지 기념비가 있다[4]. 가미유이쇼쿠몬유슈쇼에 따르면, 가마쿠라 시대 후기에 가메야마 천황을 섬겼던 무사가 보도를 분실한 책임을 지고 아들과 함께 교토에서 시모노세키로 이주하여 머리 깎는 기술을 익혀 가메야마하치만구 신사가 있는 나카노초에 가게를 열었는데, 거기에 토코노마에 훌륭한 제단이 있었기 때문에 "이발소"라는 상호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4].
"이발소"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에도 시대부터이며, 머리 깎는 사람이 상점(사람이 살지 않는 상점)에서 일하던 가미유이도코(머리 깎는 곳)를 기원으로 한다는 설도 있다[5].
메이지 유신에 의한 문명 개화 때 요코하마에 개업한 미용실(散髪屋, 산파츠야) 즉 이발소(理髪店, 리하츠텐)가 일본의 제1호로 여겨진다.
2. 1.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의 가메야마하치만구 신사에는 1995년에 세워진 이발소 발상지 기념비가 있다[4].가미유이쇼쿠몬유슈쇼에 따르면, 가마쿠라 시대 후기에 가메야마 천황을 섬겼던 무사가 보도를 분실한 책임을 지고 아들과 함께 교토에서 시모노세키로 이주하여 머리 깎는 기술을 익혀 가메야마하치만구 신사가 있는 나카노초에 가게를 열었는데, 거기에 토코노마에 훌륭한 제단이 있었기 때문에 "이발소"라는 상호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4]. 우메노스케 마사유키(采女之亮政之)가 조선반도의 신라 사람으로부터 기술을 익혀 머리 깎는 곳을 개업한 것이 시작이라고 하며, 우메노스케는 그 후 가마쿠라로 옮겨 가마쿠라 막부로부터도 중용될 정도가 되었다고 전해진다.한편, "이발소"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에도 시대부터이며, 머리 깎는 사람이 상점(사람이 살지 않는 상점)에서 일하던 가미유이도코(머리 깎는 곳)를 기원으로 한다는 설도 있다[5]. 에도 시대의 이발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머리 깎는 사람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 “토코(床)”라는 말이 성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전에는 성풍속업소도 운영했기 때문이다”라는 속설이 있지만, 틀린 말이다.
- * 단, 아시아 일부에서는 여성 종업원에 의한 마사지점이나 성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남성 고객 대상의 풍속업소 (퇴폐이발소) 역할을 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는 미용실에 그러한 업종을 겸업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는 것일 뿐, 이발소라는 말의 의미나 유래와는 관계없다.
- * 또한, 이상의 속설로부터 방송금지어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과격한 자주 규제나 말 사냥이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으며, 유카와 히로의 소설 도서관 위기(2007년)에서도 테마의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미용실'''(散髪屋, 산파츠야) 즉 '''이발소'''(理髪店, 리하츠텐)는 일본에서는 메이지 유신에 의한 문명 개화 때 요코하마에 개업한 것이 제1호로 여겨진다.
3. 법규
이발소는 일본의 이용사법(昭和22年法律第234号)에 규정되어 있으며, 이발소를 개설하려면 도도부현지사에게 신고해야 한다.
3. 1. 일본
일본 법률에서는 이용(理容)을 머리카락을 자르고 면도 등의 방법으로 용모를 정돈하는 것으로 정의한다(이용사법 제1조의 2 제1항).[1] 최근에는 남녀 구분 없이 이용원이나 미용실을 이용하거나, 여성이 면도를 위해 이용원을 찾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많은 이용원 입구에는 사인폴이라 불리는 3색(적, 청, 백) 원통형 간판이 회전하고 있다.최근에는 고급스러운 서비스와 인테리어를 강조하거나, 헤드스파, 면도, 삭발 전문점, 10분 커트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이용원이 등장하고 있다.
; 점포 수
2016년 후생노동성 위생행정 보고에 따르면, 일본 전국의 이용소는 122,539곳으로, 인구 10만 명당 96.54곳이다.[1] 도호쿠 지방의 밀도가 높고, 3대 도시권에서는 낮은 경향을 보인다.[1] 점포 수가 가장 많은 곳과 적은 곳은 다음과 같다.
순위 | 지역 | 인구 10만 명당 점포 수 |
---|---|---|
1 | 아키타현 | 240.20 |
2 | 야마가타현 | 217.52 |
3 | 이와테현 | 193.69 |
4 | 아오모리현 | 166.28 |
5 | 도쿠시마현 | 160.40 |
... | ... | ... |
43 | 오사카부 | 75.43 |
44 | 사이타마현 | 73.26 |
45 | 효고현 | 72.86 |
46 | 도쿄도 | 60.60 |
47 | 가나가와현 | 54.19 |
; 정기휴일
일본에서는 대부분의 개인 경영 이용원이 매주 월요일을 정기휴일로 하고 있었다.[2]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국적인 전력 부족으로 인한 휴전일이 월요일이었던 것에서 유래한다.[2] 지역에 따라 화요일(아이치현, 홋카이도 등)이나 수요일(미에현 등)이 정기휴일인 곳도 있었다.[3] 현재는 정기휴일에 대한 규제가 없지만, 주말에 손님이 많은 관계로 이전의 정기휴일을 유지하는 점포가 많다.
이용사법(昭和22年法律第234号)에 따라 이발소 개설 시 도도부현지사에게 신고해야 한다.
4. 현황 및 통계
최근에는 남녀 모두 이발소나 미용실의 구분을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이용하거나, 면도나 미용을 위해 여성 고객이 이발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두 가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서비스와 인테리어에서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가게, 헤드스파나 면도, 또는 삭발만 전문으로 하는 가게, 10분 정도로 커트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게 등 다양한 업종이 등장하고 있다.
4. 1. 일본
일본 법률에서는 이발소(理容)와 미용실의 업무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이용(理容): 머리카락을 자르고, 면도 등의 방법으로 용모를 정돈하는 것(이용사법 제1조의 2 제1항)
- 미용: 퍼머넌트 웨이브, 머리 땋기, 화장 등의 방법으로 용모를 아름답게 하는 것(미용사법 제2조 제1항)
최근에는 남녀 모두 이발소나 미용실의 구분을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이용하거나, 면도나 미용을 위해 여성 고객이 이발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두 가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많은 이발소에는 입구에 사인폴이라고 불리는 적청백 3색으로 구성된 원통형 간판이 나선형으로 회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서비스와 인테리어에서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가게, 헤드스파나 면도, 또는 삭발만 전문으로 하는 가게, 10분 정도로 커트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게 등 다양한 업종이 등장하고 있다.
;점포 수
2016년 후생노동성의 위생행정 보고례에 따르면, 전국의 이발소는 122,539곳으로, 인구 10만 명당 96.54곳이다.
순위 | 지역 | 인구 10만 명당 점포 수 | 표준편차 |
---|---|---|---|
1 | 아키타현 | 240.20 | 83.3 |
2 | 야마가타현 | 217.52 | |
3 | 이와테현 | 193.69 | |
4 | 아오모리현 | 166.28 | |
5 | 도쿠시마현 | 160.40 | |
... | |||
43 | 오사카부 | 75.43 | |
44 | 사이타마현 | 73.26 | |
45 | 효고현 | 72.86 | |
46 | 도쿄도 | 60.60 | |
47 | 가나가와현 | 54.19 | 32.3 |
도호쿠 지방이 밀도가 높고, 그 밖의 지역에서도 지방이 높고 3대 도시권에서는 낮다. 농업 종사 인구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인구 증감률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인구 감소가 현저하고 농업 종사 인구가 많은 지방에서 이발소 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1]
;정기휴일
일본에서는 대부분의 개인 경영 가게는 매주 월요일을 정기휴일로 하고 있었다. 이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서 전후에 있었던 전국적인 전력 부족에 대한 휴전일이 월요일이었던 잔재이다.[2] 전국적으로는 월요일이 많았지만, 지역에 따라 화요일(아이치현, 홋카이도 등)이나 수요일(미에현 등)에 설정되어 있으며, 그 지역에서는 각각의 휴전일에 맞춰 정기휴일이 설정되었다.[3] 휴전일이 없어진 후에도 과당 경쟁을 피하기 위해 정기휴일은 각 지역별 이용 조합에의 가입의 약정으로 정해져(적정화 규정), 휴전일을 기준으로 한 정기휴일이 지역별로 계승되었다. 현재는 특히 정기휴일의 규제는 없지만, 주말에 손님이 많은 것을 감안하여 이전부터의 정기휴일을 계승하고 있는 점포가 많다.
5. 이발소를 소재로 한 작품
키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가 작사하고 야마다 고사쿠(山田耕筰)가 작곡한 동요 아와테 토코야(慌て床屋)|아와테 토코야일본어는 이발소에서 면도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보마르셰(カロン・ド・ボーマルシェ)의 희곡을 바탕으로 로시니(ジョアキーノ・ロッシーニ)가 작곡한 세비야의 이발사(セビリアの理髪師)라는 작품도 있다. 이발소를 소재로 한 락고(落語)에는 무성상(無精床)과 우세상(浮世床)이 있다.
5. 1. 일본
일본에서는 키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가 작사하고 야마다 고사쿠(山田耕筰)가 작곡한 동요 아와테 토코야(慌て床屋)에서 이발소에서 면도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동요의 가사는 "봄은 일찍부터 강가의 갈대에,…게 아기는 부글부글 비누거품을 풀고, 아버지는 자랑스럽게 가위 소리를 낸다…"와 같다. 보마르셰(カロン・ド・ボーマルシェ)의 희곡을 바탕으로 로시니(ジョアキーノ・ロッシーニ)가 작곡한 세비야의 이발사(セビリアの理髪師)라는 작품도 있다. 이발소를 소재로 한 락고(落語)에는 무성상(無精床)과 우세상(浮世床)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都道府県別統計とランキングで見る県民性
https://todo-ran.com[...]
2023-02-10
[2]
웹사이트
理容店の定休日。なぜ月曜が多い~電気が来なければ営業できない~
http://www.riyo.or.j[...]
全国理容生活衛生同業組合連合会
2018-05-08
[3]
뉴스
理容店、なぜ火曜定休 「休電日」に合わせ踏襲
https://web.archive.[...]
中日新聞
2008-03-24
[4]
웹사이트
髪に感謝、健康も願い供養祭 「床屋発祥の地」下関で県理容組合
https://yama.minato-[...]
2022-11-14
[5]
간행물
床屋さんがなくなった
https://www.hiroshim[...]
2015-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