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석태는 대한민국의 변호사, 시민운동가, 헌법재판관이다. 1982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며 '강기훈 유서대필 사건' 등 굵직한 사건들을 변론했다. 환경운동연합 상임집행위원, 참여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고,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을 지냈다. 2015년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을 맡았으며, 2018년 9월부터 2023년 4월까지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재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 조한창
조한창은 현재 정보 부족으로 인해 상세한 이력, 활동, 업적 등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 대한민국 탄핵심판위원회
대한민국 탄핵심판위원회는 탄핵 심판을 담당하는 기관이며, 위원장은 대법원장이 맡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참여연대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참여연대 - 김기식
김기식은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참여연대 사무국장과 19대 국회의원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금융감독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국회의원 시절의 논란으로 15일 만에 사퇴했다.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 김희옥
김희옥은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고 동국대학교 총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KBL 프로농구연맹 총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회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 스포츠인,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 조한창
조한창은 현재 정보 부족으로 인해 상세한 이력, 활동, 업적 등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이석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李錫兌 |
로마자 표기 | I Seok-tae |
한글 | 이석태 |
출생일 | 1953년 4월 17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산시 |
학력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사법학과 |
직책 | |
직책 | 헌법재판소 재판관 |
임기 시작 | 2018년 9월 |
임기 종료 | 2023년 4월 16일 |
임명권자 | 문재인 |
지명자 | 김명수 |
전임자 | 김창종 |
후임자 | 정정미 |
소속 위원회 | 베네치아 위원회 (대한민국 대표) |
베네치아 위원회 임기 시작 | 2019년 2월 |
베네치아 위원회 전임자 | 강일원 |
경력 | |
주요 경력 | 법무법인 덕수 대표변호사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
베네치아 위원회 웹사이트 | 베네치아 위원회 |
2. 생애
이석태는 1953년 한국 전쟁 중에 충청남도 서산에서 태어나 1982년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었다. '강기훈 유서대필 사건', '동성동본 불혼 헌법소원 사건' 등 주요 사건들을 맡았으며, 매향리 미군사격장 소음피해 소송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미군의 환경오염 책임을 묻는 판결을 이끌어냈다.[9][10] 환경운동연합, 녹색교통운동, 대한변호사협회 등에서 활동했고,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을 지냈다. 호주제 폐지와 양심적 병역거부 운동에 참여했으며,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2015년 1월부터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12][13][14]
이후 2018년 김명수 대법원장의 지명으로 헌법재판소 재판관이 되었고, 2023년 4월 16일 정년 퇴임하였다.[6]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53년 한국 전쟁 중에 충청남도 서산에서 태어났다. 서울에서 경복중학교, 경복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2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해 화학과에서 3학년까지 공부하다가 '인문학에 대한 갈증'으로 자퇴한 뒤 다시 시험을 쳐서 서울대학교 인문계열에 재입학했다. 문학이나 철학을 공부하고 싶어서 인문학을 선택했으나 군대 3년 동안 큰 좌절을 겪고 마음을 접었고, 법학을 선택하였다. 1982년 제24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고 사법연수원 수료 후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었다. 1997년 헬렌 니어링의 저서 《아름다운 삶, 사랑 그리고 마무리》를 대한민국 내에 처음으로 번역하여 소개하였다.[8]2. 2. 법조인의 길
1982년 제24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고 사법연수원 수료 후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었다. 1997년 헬렌 니어링의 저서 《아름다운 삶, 사랑 그리고 마무리》를 대한민국 내에 처음으로 번역하여 소개하였다.[8]변호사로서 '강기훈 유서대필 사건', '동성동본 불혼 헌법소원 사건', '미결수의 수의착용 헌법 소원 사건' 등 큰 사건들을 주로 다뤘다. 매향리 미군사격장 소음피해와 관련해 대한민국 내 최초로 미군의 환경오염책임을 묻는 판결을 이끌어냈다.[9][10] 환경운동연합 상임집행위원, 녹색교통운동 공동대표,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장을 지냈으며 노무현 정부 출범 뒤 첫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을 맡았다. 호주제 폐지에 앞장섰고 양심적 병역거부 관련 운동에 동참하였다.[11] 2011년부터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맡았다.
2. 3. 사회 활동
변호사로서 '강기훈 유서대필 사건', '동성동본 불혼 헌법소원 사건', '미결수의 수의착용 헌법 소원 사건' 등 큰 사건들을 주로 다뤘다.[9] 매향리 미군사격장 소음피해와 관련해 대한민국 내 최초로 미군의 환경오염책임을 묻는 판결을 이끌어냈다.[10] 환경운동연합 상임집행위원, 녹색교통운동 공동대표,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장을 지냈으며 노무현 정부 출범 뒤 첫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을 맡았다. 호주제 폐지에 앞장섰고 양심적 병역거부 관련 운동에 동참하였다.[11] 2011년부터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맡았다. 2015년 1월부터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으로 내정되어 활동하였다.[12][13][14]2. 4.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
2015년 1월부터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하여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으로 내정되어 활동하였다.[12][13][14]2. 5. 헌법재판소 재판관
2018년 김명수 대법원장 지명으로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에 지명되었고, 같은 해 9월 21일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헌법재판소 재판관에 임명되었다.[15] 2023년 4월 16일자로 70세 정년을 맞이하여 퇴임하였고,[6] 4월 14일에 미리 퇴임식을 가졌다.[16]3. 학력
4. 경력
연도 | 경력 |
---|---|
1982년 | 제24회 사법시험 합격[3] |
1985년 | 이석태 법률사무소 변호사[3] |
1989년 | 법무법인 덕수 변호사[9], 덕수 공동 공증 및 법률사무소 변호사[3] |
1992년 ~ 1993년 | 미국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객원연구원[3] |
1997년 | 덕수 공동 법률사무소 변호사[3] |
1999년 ~ 2001년 | 한겨레신문 사외이사[3] |
2000년 ~ 2001년 |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회 위원장[3], 덕수 법률사무소 변호사[3] |
2003년 |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3] 겸 공직복무관리관[3] |
2004년 ~ 2006년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3] |
2006년 | 일본 히토쓰바시 대학교 대학원 법학연구소 객원연구원[3] |
2007년 | 중국 베이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객원연구원[3], 한국민주주의재단 비상임이사[3] |
2008년 ~ 2011년 | 시민평화포럼 공동대표[3] |
2011년 | 참여연대 공동대표[17], 참여자주 민주사회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 공동대표[3] |
2015년 1월 | 세월호 침몰 사고 특별조사위 위원장[8] 겸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3] |
2017년 | 진실과 정의를 위한 개헌 국민운동 공동대표[3] |
2018년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공익인권법센터 소장[3] |
2018년 9월 ~ 2023년 4월 |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재판관 (2018년 9월 21일부터)[3] |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법·헌법재판소 연대표
https://library.ccou[...]
Librar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2019-00-00
[2]
웹사이트
Constitutional Court Korea > Introduction > Organization
http://english.ccour[...]
[3]
웹사이트
Mr Lee Suk-Tae
https://www.venice.c[...]
[4]
뉴스
Liberal Constitutional Court triggers hopes, concerns
http://www.koreahera[...]
2019-03-08
[5]
뉴스
South Korean Constitutional Court to undergo liberal shift
https://www.koreatim[...]
2018-08-26
[6]
뉴스
새해, 대법관 4명 헌법재판관 2명도 교체
https://www.lawtimes[...]
법률신문사
2022-12-31
[7]
웹인용
대한민국헌법·헌법재판소 연대표
https://library.ccou[...]
헌법재판소 도서관
2023-01-06
[8]
뉴스
이석태 '세월호 특별조사위' 위원장 "이건 정파나 이념의 문제가 아니다"
https://www.hani.co.[...]
한겨레신문사
2015-12-22
[9]
뉴스
(한국의 로펌) 법무법인 덕수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2-01-31
[10]
뉴스
(인터뷰)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장 내정 이석태 변호사
http://www.lawtimes.[...]
법률신문
2014-12-29
[11]
뉴스
호주제 폐지 이끈 우정의 드라마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5-02-16
[12]
뉴스
세월호 특위 준비단 "정쟁 여지 없도록 하겠다"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5-01-27
[13]
뉴스
여야 면담 결과 브리핑하는 이석태 세월호 특별조사위원장
https://news.naver.c[...]
뉴스1
2015-01-27
[14]
뉴스
공영방송이면서... MBC 앵커의 멘트, 이게 최선인가?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5-01-30
[15]
뉴스
유남석 헌재소장, 이석태·이은애 재판관 취임
https://www.hani.co.[...]
한겨레신문사
2018-09-21
[16]
뉴스
이석태 헌법재판관 퇴임 "영광스러운 기억…환경미화원에 감사"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사
2023-04-14
[17]
웹사이트
참여연대, 정기총회 신임대표 선출...6대 중점, 4대 조직발전과제 채택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